[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3347A -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 Google Patents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347A
KR20070003347A KR1020050059259A KR20050059259A KR20070003347A KR 20070003347 A KR20070003347 A KR 20070003347A KR 1020050059259 A KR1020050059259 A KR 1020050059259A KR 20050059259 A KR20050059259 A KR 20050059259A KR 20070003347 A KR20070003347 A KR 2007000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housing
portable device
swing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2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3347A/en
Publication of KR2007000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3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wing-type portable device with a convenient camera mode is provided to allow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body housing to perform a grip function when a moving picture is taken in camera-related mode. A swing housing(200) swings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a confronted state on a body housing(100), and opens/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an upper side of the body housing(100). A camera lens(400) is comprised on the swing housing(200). A display device(300) is swung together with the swing housing(200) by being received in the swing housing(200), and is configured to make upper/lower sides of the device(300) reversed so that a screen of the device(300) turns in the same direction as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400) turns or the screen turns in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400) turns.

Description

카메라 촬영이 편리한 스윙 타입 휴대 장치{SWING-TYPE PORTABLE TELEPHONE WITH CONVENIENT CAMERA MODE}Swing type portable device that camera photography is convenient {SWING-TYPE PORTABLE TELEPHONE WITH CONVENIENT CAMERA MOD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장치의 스윙 하우징이 90도 정도 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winging state of the swing housing of about 90 degrees of the swing-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표시 장치가 90도 정도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about a first hinge axis by about 90 degrees in the state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장치의 화상통화 모드나 셀프 샷 모드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4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used in a video call mode or a self-shot mode of a swing-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타입 휴대 장치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amera mode for shooting a video of a swing-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게임 폰, 카메라 폰, 티브이 기능을 가지는 휴대 장치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통신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통화 모드, 피사체를 촬영하는 모드, 셀프 샷 모드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와 관련된 모드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including a cellular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hones (HHPs), game phones, camera phones, portable devices having TV functions,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convenient for use in a mode related to a camera lens including a video call mode, a mod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 self shot mode, and the like.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a camera lens is adopt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is in progres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두 개의 하우징이 대면하면서 하나의 하우징의 스윙 동작에 의해 나머지 하나의 하우징이 개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윙 타입 휴대 통신 장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하우징과, 다수개의 키들을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또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로 사용할 경우 예를 들어, 다양한 환경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화 환경에서, 하나의 휴대 장치는 단지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화상 통화, 게임, 음악 청취, 티브이나 비디오 시청, 채팅, 인터넷 등의 기능을 전부 포함하는 융합화현상으로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환경이 대두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sw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housings face each other and the other one is opened and closed by a swinging operation of one housing includes a housing having a display device; It is composed of another housing which is essentially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keys, and when used in the horizont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cluding various environments, one portable device is not only a voice call, but also a video. There is a convergence phenomenon that includes all functions such as call, game, music listening, TV or video viewing, chatting, and the Internet. As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nges, an environment that must respond to various user interfacing environments has emerged.

특히, 향후에는 휴대 장치에 엔터테인먼트 요소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음악청취 기능, 디엠비 기능 등이 필수적으로 추가될 것이며, 이러한 모드들에 최적의 휴대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In particular, in the future, entertainment elements such as a camera function, a music listening function, a DMB function, etc. will necessarily be add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it is expected that an optimal portable device is required for these modes.

따라서, 하나의 휴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에서, 가장 중요하게 간 주되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싱 환경과 데이터 출력 인터페이싱 환경의 편리성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본 발명은 스윙 타입 휴대 장치에서, 표시 장치와 키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convenience of the data input interfacing environment and the data output interfacing environment,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in the user interfacing environment of one portable device,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와 관련된 모드, 예를 들어 셀프 샷 모드, 피사체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that is convenient for use in a mode related to a camera, for example, a self shot mode, a subject photographing mode, and a video photographing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와 관련된 모드에서 동영상 촬영 시에 본체 하우징의 소정 위치가 그립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is convenient for use by performing a grip function whe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is taken during video shooting in a mode related to a camer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가 가능하여 디엠비 모드 시에 시청하기에 편리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viewed in a DM mode in a horizont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가 표시 장치와 함께 스윙되어서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가 편리함과 아울러 표시 장치도 가로 보기 상태로 되어 보기에 편리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view a camera lens while being swinged together with a display device to capture a desired subject, and the display device is also in a horizontal view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표시 장치가 디스플레되는 방향과 같거나 정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서 셀프 샷 모드, 피사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 시에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convenience in a self-shot mode, a subject shooting mode or a video recording mode, because the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as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ed. In providing 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윙 하우징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까지만 스윙하게 구성되어짐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90도의 정도의 스윙 동작이 용이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swing only 90 degre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a swinging motion of about 90 degrees is easy from a user's point of vie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윙 하우징의 스윙에 따라서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와,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이 편리한 휴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rizont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wing of a swing housing and a portable device for convenient key operation using both hands.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evice,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스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A swing housing that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by swinging the main body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e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상기 스윙 하우징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 및A camera lens configured in the swing housing; And

상기 스윙 하우징에 수용되어 함께 스윙되고, 그의 상하면이 반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의 화면이 향하거나 상기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의 화면이 향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It is accommodated in the swing housing and swings togeth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inverted so that the screen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lens is facing or the screen is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mera lens. It is composed of a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보여진 휴대 장치는 스윙 타입 휴대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본체 하우징(100)과, 스윙 하우징(200)과, 카메라 렌즈(400)와, 표시 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과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소정의 각도 이내에서 스윙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윙 하우징에 수용되어서 함께 스윙되고, 그의 상하면이 반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400)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화면(312)이 향하거나, 상기 카메라 렌즈(400)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화면(312)이 향하게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400)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이동과 함께한다.1 to 3 is a swing type portable device.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00, a swing housing 200, a camera lens 400, and a display device 300. The main body housing 100 and the swing housing 200 are configured in a plate shape, and the swing housing 200 swing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swing housing 200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By performing the operation to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swing housing and swings togeth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inverted so that the screen 312 faces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lens 400 faces, or the camera lens ( The screen 312 is configured to 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400 faces. The camera lens 40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wing housing 200 to cope with a swing movement of the swing housing 200.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면은 두 개의 제1,2영역(101,103)으로 구분된다. 상기 상면은 상기 스윙 하우징(20)의 스윙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노출되는 제1영역(101)과,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2영역(1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상기 제2영역(103)에 수용되어서 스윙 동작이 진행된다. 상기 제1영역(101)과 상기 제2영역(103)은 서로 단차지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2영역(103)은 상기 제1영역(101)에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되어 단차진다. 아울러, 상기 제1,2영역(101,103) 사이에는 곡률 단차부(113)(curvature stepped portion)가 제공된다. 상기 곡률 단차부(113)는 상기 본체 하우징(100) 상에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이동을 허여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 이상의 스윙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곡률 단차부(113)는 상기 스윙 하우징 (200)의 스토퍼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시계 방향으로 90도 정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정도 스윙되게 구성되고, 90도 이상의 스윙 이동은 상기 곡률 단차부(113)에 의해 불가능하다. 도 2와 도 3에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최대 스윙된 상태가 보여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100 is divided into two first and second regions 101 and 103. The upper surface includes a first region 101 which is always exposed regardless of the swing housing 20, and a second region 103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swing housing 200. The swing housing 20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gion 103 to perform a swing operation. The first region 101 and the second region 103 are stepped with each other, and specifically, the second region 103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irst region 101. In addition, a curvature stepped portion 11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01 and 103. The curvature step 113 allows the swing movement of the swing housing 200 on the body housing 100 and limits the swing movement of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at is, the curvature step portion 113 serves as a stopper of the swing housing 200. The swing housing 200 is configured to swing about 90 degre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about 90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swing movement of more than 90 degrees is impossible by the curvature step 113. 2 and 3 shows the maximum swing of the swing housing 200.

상기 제1영역(101)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110)가 배치된다. 상기 제1키패드(110)는 항시 노출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상면(201)에는 표시 장치(300)가 장착된다. 상기 표시 장치(300) 일측으로 항시 개방되는 제1스피커 장치(310)가 이웃하고,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스윙 여부에 따라서 개폐되는 제2스피커 장치(1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300) 하측으로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210)가 배치되고, 그의 중심에 4-방향 키가 더 구비되며, 상기 4-방향 키는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스피커 장치(114)는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단 영역쪽에 구비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단면(203)에는 카메라 렌즈(400)와 조명 장치(41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상단 측면(202)에는 제3스피커 장치(230)(도 3에 도시됨)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3스피커 장치(114,230)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first area 101, a first keypad 110 having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The first keypad 110 is always exposed. The display device 300 is mounted on the top surface 201 of the swing housing 200. The first speaker device 310, which is always open to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300,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peaker device 114 is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swing housing 200 is swinged. In addition, a second keypad 210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device 300, a four-way key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our-way key selects desired data. Used to run The second speaker device 114 is provided on the upper region side of the swing housing, and the camera lens 400 and the lighting device 41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03 of the swing housing. In addition, a third speaker device 230 (shown in FIG. 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202 of the swing housing 200. Accordingly,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stereo sound may be provided using the second and third speaker devices 114 and 230.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하단(213)은 곡률 반경을 구비한다. 물론, 상기 하단(213)은 상기 곡률 단차부(113)와 대응한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의 원할한 스윙 동작을 위해서 상기 각각의 곡률 반경은 동일하다.The lower end 213 of the swing housing 200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course, the lower end 213 corresponds to the curvature step portion 113. Each radius of curvature is the same for a smooth swing operation of the swing housing 200.

상기 표시 장치(300)는 힌지 장치, 구체적으로 로터리 힌지 모듈(미도시됨) 에 의해 상기 스윙 하우징에서 회전하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면(301)에서 스윙축과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A1)과, 상기 제1힌지축(A1)과 직교하는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의 상하면(301,302)이 반전될 수 있다. 도 3의 참조번호 220은 상기 스윙 하우징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지칭한다.The display device 3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wing housing by a hinge device, specifically, a rotary hinge module (not show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on the upper surface 301 of the swing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301 and 302 may be inverted by rotat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facing the second hinge axis A1 and the second hinge axis A2 orthogonal to the first hinge axis A1. Reference numeral 220 of FIG. 3 refers to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swing housing can be accommodated.

도 1은 사용자가 통화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도 2는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90도 회전하여 휴대 장치가 "ㄱ"자 형상으로 놓인 상태이고, 상기 표시 장치(300)가 가로 보기 상태로 놓인 상태이다. 상기한 표시 장치(300)의 가로 보기 상태는 이메일 전송, 각동 동영상 시청, 티브이 시청 및 게임 모드 시에 편리하다. 특히, 상기 표시 장치(300)가 가로 보기 상태로 놓이고, 상기 제1,2키패드(110,210)는 양 손 이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서 게임 모드 시에도 편리하다.1 is a case where a user is used in a call mode.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wing housing 200 is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portable device is placed in a "-" shape, and the display device 300 is placed in a horizontal view state. The horizontal view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300 is convenient when sending an email, watching a dynamic video, watching a TV, and a game mode.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300 is placed in a landscape view, and the first and second keypads 110 and 210 are in a state where both hands can be used, which is convenient even in a game mode.

도 4는 상기 카메라 렌즈(400)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표시 장치(300)의 화면(312)이 향하는 방향이 동일하여 셀프 샷 모드나 상대방과 얼굴을 마주하면서 화상통화가 가능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상기 카메라 렌즈(400)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표시 장치(300)의 화면(312)이 향하는 방향이 정반대여서 원하는 피사체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 촬영 모드의 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400)와 관련된 모드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제1키패드는 부분은 그립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400 fac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312 of the display device 300 faces are the same, so that a video call is possible while facing the face with the self-shot mode or the counterpart. 5 illustrates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lens 400 faces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312 of the display device 300 faces to take a photograph of a desired subject or to show a state of using a video recording mode. 4 or 5, in the mode associated with the camera lens 400,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specifically, the first keypad of the main body housing 100 plays a grip role.

더욱이, 상기 스윙 하우징(200)은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서 자동,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자동으로 스윙되는 경우, 공지의 모터와, 모터에 연결된 감속 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감속 모듈은 고속의 모터 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기어 배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윙 하우징(200)이 반 자동으로 스윙되는 경우, 구동원으로서 공지의 탄성체, 즉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wing housing 200 may be configured automatically,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in the body housing 100. When the swing housing 200 swings automatically, a known motor, a reduc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like may be used. The reduction module mentioned includes a gear arrangement capable of slowing down a high motor speed. In addition, when the swing housing 200 is semi-automatically swinging, a known elastic body, that is, a torsion spring may be used as a driving sourc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와 관련된 모드, 예를 들어 셀프 샷 모드, 피사체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특히 동영상 촬영 모드 시에 본체 하우징이 그립 기능을 수행하여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와 스테레오 사운드 제공으로 디엠비 모드에서 시청감이 향상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률 단차부에 의해 스윙 하우징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정도까지만 스윙되게 구성되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90도 정의 스윙 동작이 매우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to use in a camera related mode, for example, a self-shot mode, a subject shooting mode, a video recording mode, in particular, the body housing performs a grip function in the video recording mode. It is conveni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viewing experience in the DMB mode by providing a horizontal view and stereo sound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wing housing swings up to about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curvature stepped portion, thereby achieving an advantage of 90 degrees positive swing oper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휴대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device, 본체 하우징;Body housing;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스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스윙 하우징;A swing housing that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by swinging the main body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tate facing the main body housing is continuously maintained; 상기 스윙 하우징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 및A camera lens configured in the swing housing; And 상기 스윙 하우징에 수용되어 함께 스윙되고, 그의 상하면이 반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의 화면이 향하거나 상기 카메라 렌즈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의 화면이 향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It is accommodated in the swing housing and swings togeth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inverted so that the screen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lens is facing or the screen is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amera lens.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는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윙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The portab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lens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wing housing and faces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swin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면에서 스윙축과 이격되고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직교하는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서 그의 상하면이 반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 장치.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rotatable about a first hinge axis spaced apart from the swing axis and di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top surface of the swing housing, and a secon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b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being rever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에 제1스피커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 상면 소정 영역에는 제2스피커 장치가 배치되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의 스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의 상단 측면에 제3스피커 장치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peaker device is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the second speaker device is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n the swing housing upper surface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wing presence or absence of the swing housing,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speaker devic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스윙 하우징의 스윙 이동을 허여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 이상의 스윙 이동을 제한하는 곡률 단차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윙 하우징의 스윙 동작 및 정지 동작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The swing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ousing further includes a curvature step portion for allowing a swing movement of the swing housing and limiting a swing movement of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Mobil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스윙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패드가 배치되어짐으로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상기 스잉 하우징이 스윙된 경우에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이 편리하고, 상기 제1키패드가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그립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ousing has a first keypad consisting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swing housing is a second keypad consisting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disposed,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manipulation using both hands is convenient when the swing housing is swinged in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first keypad performs a grip function in a video record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가로 보기 상태가 되는 상태까지만 스윙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The portabl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wing housing is configured to swing only until the swing housing is in a horizontal view state of the display devic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하우징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90도 회전하면, "ㄱ"자 형상으로 놓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The portable device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wing housing rotates 90 degrees in the body housing, the swing housing is placed in a "-" shape.
KR1020050059259A 2005-07-01 2005-07-01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KR200700033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59A KR20070003347A (en) 2005-07-01 2005-07-01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259A KR20070003347A (en) 2005-07-01 2005-07-01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347A true KR20070003347A (en) 2007-01-05

Family

ID=3787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59A KR20070003347A (en) 2005-07-01 2005-07-01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334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351B1 (en) Swing type mobile device
KR100663573B1 (en) 3-axis rotary folder type portable device
KR100703418B1 (en) Folding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KR100630067B1 (en) PD A combined biaxial hing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78189B1 (en) Tripod-mounted w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342B1 (en) 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with step compensation mechanism
KR10066342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10354B1 (en) Mobile phone with game
KR100689468B1 (en) Sliding combined swing type portable device
KR20060105307A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display
KR100606073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606108B1 (en) 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swing hinge device thereof
KR20050075561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68947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075648B1 (en) Sliding/sw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KR20070003347A (en) Swing type mobile device for easy camera shooting
KR100640495B1 (en) Portable device for watching DMV
KR100663484B1 (en) Portable terminal with magnetic mounting function
KR101155250B1 (en) Mobile devices
KR100689535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KR20040056780A (en) Dual rotation axis-type mobile phone
KR100703449B1 (en) Folding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KR100713353B1 (en) Mobile devices
KR100663453B1 (en) Handhel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