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099A - Touch screen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remote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3099A KR20070003099A KR1020050058834A KR20050058834A KR20070003099A KR 20070003099 A KR20070003099 A KR 20070003099A KR 1020050058834 A KR1020050058834 A KR 1020050058834A KR 20050058834 A KR20050058834 A KR 20050058834A KR 20070003099 A KR20070003099 A KR 200700030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screen
- remote control
- video signal
- bluetooth module
- menu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리모콘 내 터치 스크린 상에 동일하게 출력하고, 이 출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서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영상신호 중 해당 메뉴가 선택된 데이터를 가전제품으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진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에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존 리모콘의 장점은 그대로 이용하고, 추가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어 복잡한 메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a screen output through the home appliances in the same way on the touch screen in the remote control, and to execute the operation by touching the output touch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is A Bluetooth module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data of the corresponding menu to the home appliance,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the video signal, and outputting the decoded video signal to the user,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for providing data for selecting a menu, and a Bluetooth module for providing data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menu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Therefore,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remote control can be used as it is, and additionally, the advantages of the touch screen can be used, so that a complicated menu can be conveniently and quickly perform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리모콘을 위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for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리모콘의 동작을 위한 상세 흐름도.Figure 2 is a detailed flowchart for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터치 스크린 리모콘 11 : 블루투스 모듈10: touch screen remote control 11: Bluetooth module
13 : 디코딩부 15 : 터치 스크린13
17 : 터치 스크린 제어부 20 :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17: touch screen controller 20: home appliances for output
21 : 튜너부 22 : 마이컴21: tuner unit 22: micom
23 : 모니터 24 : 블루투스 모듈23: monitor 24: Bluetooth module
S10 : DVD 레코더 S20 : 셋탑 박스S10: DVD Recorder S20: Set Top Box
S30 : PMPS30: PMP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리모콘 내 터치 스크린을 통해 동일하게 출력하고, 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리모콘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 and in more detail, a screen output through the home appliance for output in the same way through the touch screen in the remote control, the remote control that can execute the operation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It is about.
주지된 바와 같이, 현대사회는 과학문명의 발전에 힘입어 개발된 각종 가전제품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가전제품들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기 위해 리모콘을 통해 원격지에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modern society has been widely distributed with various home appliances develop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and these home appliances can input various control commands from a remote plac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for convenience of use. It is supposed to be.
즉, 리모콘은 편안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성향에 맞추어 가전제품을 무선으로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소위,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라 칭하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가전제품의 리모콘에는 각종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 및 별도의 전원 온/오프 키 및 음량 조절키 등이 갖추어져 소비자의 선택에 따른 동작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remote control is widely used as a so-called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home appliance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s propensity to seek comfort, the remote control of these home appliances various functions This function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o select the sound, and a separate power on / off key and volume control key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onsumer's choice.
이와 같이 리모콘을 통해 각종 기능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의 수량도 증가될 수밖에 없음에 따라 리모콘의 사용법도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제어대상 가전제품의 제어내용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와 그 액정표시장치 상에 표시되는 제어 내용 중 원하는 기능의 제어를 접촉식으로 설정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갖추어 구성된 터치 스크린 리모콘이 제안되어 있다.In this way, the operation of various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and the number of buttons for selecting a function must also be increased, thereby making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 more complicated. In view of this, in recent years, a touch screen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rol contents of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and a touch screen for setting a control of a desired function among the control content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a contact manner. Screen remote controls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리모콘은 단순히 리모콘의 기능키를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하며, 이 출력되는 기능키를 터치함으로써, 다수의 가전제품을 한 개의 리모콘으로 동작시킬 수는 있지만, DVD 레코더나, 셋탑 박스, 혹은 PMP 제품 등의 메뉴를 출력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리모콘과 같이 일 일이 리모콘의 기능키를 여러 번 터치하여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 simply outputs the function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on the touch screen, and by touching the output function keys,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can be operated with a single remote controller. When using a product that outputs a menu such as a set-top box or a PMP product, a work has a problem in that work has to be performed by touching a fun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several times as in a general remote contro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리모콘 내 터치 스크린 상에 동일하게 출력하고, 이 출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리모콘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output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home appliances for output the same on the touch screen in the remote control, and to touch the output touch screen It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 that can execute the operation in a mann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리모콘은 가전제품에서 송출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며, 영상신호 중 해당 메뉴가 선택된 데이터를 가전제품으로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와,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진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에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creen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es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home appliance, a Bluetooth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ata selected from the menu of the video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and decoding to decode the video signal And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a decoded video signal to a user and providing data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menu pressed by the user, and for providing data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menu provided from the touch screen to the Bluetooth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Hereinafter,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and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리모콘을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터치 스크린 리모콘(10) 및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을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for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touch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리모콘(10)은 블루투스 모듈(11), 디코딩부(13), 터치 스크린(15), 터치 스크린 제어부(17)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블루투스 모듈(11)은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에서 송출되는 영상신호, 즉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수신하여 디코딩부(13)에 제공하며, 또한 터치 스크린 제어부(17)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 중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으로 송신한다. The Bluetooth
디코딩부(13)는 블루투스 모듈(1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터치 스크린(15) 상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여 터치 스크린(15)에 제공한다.The
터치 스크린(15)은 절전 상태로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중에, 사용자의 전원 온 제어에 따라 전원을 온 상태로 절환한 후, 디코딩부(13)로부터 제공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하며,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누를 경우 이 눌리어진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 제어부(17)에 제공한다. While the power is turned off in the power saving state, the
터치 스크린 제어부(17)는 터치 스크린(15)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11)이 수신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모듈(11)에 제공한다.The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은 튜너부(21), 마이컴(22), 모니터(23), 블루투스 모듈(24)을 구비한다. The
튜너부(21)는 방송국(도시되지 않음)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마이컴(22)의 제어에 따라 모니터(23)에 제공한다.The
마이컴(22)은 튜너부(21)를 제어함과 동시에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의 제품 등에 연결되어 이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메뉴 관련 영상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24)에 제공함과 동시에 모니터(23)에 제공한다. The
모니터(23)는 마이컴(22)으로부터 제공되는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한다.The
블루투스 모듈(24)은 마이컴(22)으로부터 제공되는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관련 영상신호를 터치 스크린 리모콘(10)내 블루투스 모듈(11)에 송신한다. The Bluetooth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리모콘과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간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the operation between the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the home appliance for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먼저,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내 마이컴(22)은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의 제품 등에 연결되어 이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메뉴 관련 영상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24)에 제공함과 동시에 모니터(23)에 제공한다. 모니터(23)는 마이컴(22)으로부터 제공되는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출력한다.First, the
블루투스 모듈(24)은 마이컴(22)으로부터 제공되는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 관련 영상신호를 터치 스크린 리모콘(10)내 블루투스 모듈(11)에 송신한다. The Bluetooth
터치 스크린 리모콘(10)내 블루투스 모듈(11)은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으로부터 송출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1). The Bluetooth
상기 판단(201)결과, 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수신 여부의 판단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201)결과,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신호, 즉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디코딩부(13)에 제공한다(단계 202).As a result of the
디코딩부(13)는 블루투스 모듈(1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터치 스크린(15) 상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디코딩하여 터치 스크린(15)에 제공한다(단계 203).The
터치 스크린(15)은 절전 상태로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제공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204).The
상기 체크(204)결과,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체크(204)결과, 사용자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제공되면 전원을 온 상태로 절환한 후(단계 205), 디코딩부(13)로부터 제공되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출력한다(단계 206).As a result of the
이때, 터치 스크린(15)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누를 경우 이 눌리어진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터치 스크린 제어부(17)에 제공한다(단계 207). In this case, the
터치 스크린 제어부(17)는 터치 스크린(15)으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11)이 수신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블루투스 모듈(11)에 제공한다(단계 208).The
블루투스 모듈(11)은 터치 스크린 제어부(17)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데이터(예로, X축 및 Y축 데이터)를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으로 송신한다(단계 209). 그러면,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에 연결된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의 제품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e Bluetooth
따라서,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20)을 통해 출력되는 DVD 레코더(S10)나, 셋탑 박스(S20), 혹은 PMP(S30)등을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메뉴 관련 화면을 리모콘 내 터치 스크린(15) 상에 동일하게 출력하고, 이 출력되는 터치 스크린(15)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기존 리모콘의 장점은 그대로 이용하고, 추가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어 복잡한 메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a complicated menu related screen for controlling the DVD recorder S10, the set-top box S20, or the PMP S30 that is output through the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더욱 수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In addition, since it may be further modified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ver any modification, use and / or adaptation using general principles, and is intended as a departure from the description herein. It is intended to cover all matter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known or customary practice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출력을 위한 가전제품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 즉 DVD 레코더나, 셋탑 박스, 혹은 PMP 등을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메뉴 관련 화면을 리모콘 내 터치 스크린 상에 동일하게 출력하고, 이 출력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기존 리모콘의 장점은 그대로 이용하고, 추가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어 복잡한 메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qually outputs a complicated menu related screen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output through a home appliance for output, that is, a DVD recorder, a set-top box, or a PMP, on the touch screen of the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by executing the operation by touching the output touch screen, the advantage of the existing remote control is used as it is, and additionally, the advantage of the touch screen can be used, and thus a complicated menu can be conveniently and quickly performed. .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8834A KR20070003099A (en) | 2005-06-30 | 2005-06-30 | Touch screen remote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8834A KR20070003099A (en) | 2005-06-30 | 2005-06-30 | Touch screen remote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3099A true KR20070003099A (en) | 2007-01-05 |
Family
ID=3787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8834A Withdrawn KR20070003099A (en) | 2005-06-30 | 2005-06-30 | Touch screen remote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3099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378B1 (en) * | 2007-04-03 | 2008-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control method of integrated remote control |
WO2010078228A3 (en) * | 2008-12-29 | 2010-09-02 | Microsoft Corporation |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
WO2013081423A1 (en) * | 2011-12-01 | 2013-06-06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
US8917260B2 (en) | 2009-12-10 | 2014-12-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tical touch panel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
-
2005
- 2005-06-30 KR KR1020050058834A patent/KR2007000309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378B1 (en) * | 2007-04-03 | 2008-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control method of integrated remote control |
WO2010078228A3 (en) * | 2008-12-29 | 2010-09-02 | Microsoft Corporation |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
US8917260B2 (en) | 2009-12-10 | 2014-12-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tical touch panel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
WO2013081423A1 (en) * | 2011-12-01 | 2013-06-06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
US9372611B2 (en) | 2011-12-01 | 2016-06-21 | Lg Electronics Inc. |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013998A1 (en) | Intelligent task based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 |
US20150208114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 |
US20100001957A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10103789A (en) | Remote control and its control method,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displa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070003099A (en) | Touch screen remote control | |
KR101833790B1 (en) | Media system and method of achieving various modes using force input | |
US7499110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030214604A1 (en) |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20060115416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including the same | |
EP2642751B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93798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ulti-user interface screen | |
KR101079596B1 (en) |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Method | |
JP2006203391A (en) | Video device and its menu operating method | |
KR101220287B1 (en) | Auto Mode Conversion Method for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External Input Device Change | |
KR20080008153A (en) | Remote control and video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9065267A (en) | Electronic equipment | |
KR20030026134A (en) | Display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same | |
KR10070515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e Media Controling | |
KR20050047603A (en) | System to control the external apparatus of television | |
KR101235420B1 (en) | Keyboard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put data using thereof | |
KR19990027033A (en) | How to Define Input Keys for Your TV | |
KR20100027666A (en) | Method for switching external input mode of television | |
KR20060038574A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 |
KR20040079110A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 of the same | |
KR19980072828A (en) |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help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