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1712A -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712A
KR20070001712A KR1020050057336A KR20050057336A KR20070001712A KR 20070001712 A KR20070001712 A KR 20070001712A KR 1020050057336 A KR1020050057336 A KR 1020050057336A KR 20050057336 A KR20050057336 A KR 20050057336A KR 20070001712 A KR20070001712 A KR 2007000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sage
rights management
digital r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712A/ko
Priority to EP06768583A priority patent/EP1913489A1/en
Priority to US11/911,709 priority patent/US20080155646A1/en
Priority to CNA2006800173381A priority patent/CN101180620A/zh
Priority to JP2008509947A priority patent/JP2009503626A/ja
Priority to PCT/KR2006/001930 priority patent/WO2007001118A1/en
Publication of KR2007000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5Me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콘텐츠에 대한 동작요청을 수신한 DRM 에이전트가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사용해야 하는 제 3의 콘텐츠에 대한 선사용 제약정보가 포함된 사용권리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DRM 에이전트는 선사용 제약정보에 지정된 동작이 모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수행되어 제약(constraint)이 만족되면 해당 콘텐츠를 동작시킨다.
DRM, 사용권리, 사용권리 발급자, 콘텐츠 발급자

Description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RIGHT OBJECT, METHOD FOR ISSUING THE SAME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USAGE CONTROL METHOD FOR CONTENTS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권리(Right)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3 및 도 5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정의되는 엘리먼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권리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및
도 7은 도 4의 사용권리를 이용한 콘텐츠 구현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콘텐츠의 사용을 조건으로 하는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 및 콘텐츠 사용권리의 획득, 콘텐츠의 생성 및 유통, 사용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도 1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전달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부여한 사용권리만큼만 사용하도록 통제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 발급자(Content Issuer : CI) 및/또는 사용권리 발급자(Rights Issuer : RI)에 해당하는 엔티티(Entity)이다.
상기 콘텐츠 발급자는 접근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해 보호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고 한다.)를 발급하고,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는 상기 DRM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권리(Rights Object : RO)를 발급한다.
DRM 에이전트는, 단말에 탑재되어 상기 콘텐츠 발급자와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상기 DRM 콘텐츠와 사용권리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권리에 포함된 허가(permission) 및/또는 제약(constraint)을 해석하여 해당 단말에서의 상기 DRM 콘텐츠의 사용을 통제한다.
종래의 DRM 시스템에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발급자로부터 수신한 DRM 콘텐츠를 다른 DRM 에이전트로 전달하거나 로컬 저장부 또는 네트워크 저장부로 전달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DRM 콘텐츠를 수신한 상기 DRM 에이전트들 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수신한다. 상기 DRM 콘텐츠 및/또는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수신한 다른 DRM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권리에 포함된 허가 및/또는 제약 항목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수신된 DRM 콘텐츠를 사용한다. 이때, DRM 콘텐츠 및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다른 DRM 에이전트에게 전달하는 동작은 ‘export’로 정의된다.
여기서, DRM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는 해당 DRM 콘텐츠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여러 종류의 제약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횟수 또는 시간 또는 기간 또는 시스템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DRM에서 사용권리에는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다른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 다른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하는 제약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콘텐츠를 미리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을 사용권리에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는, 특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의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선사용 제약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발급방법은, 특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의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선사용 제한정보가 포함된 사용권리를 사용권리 발급자가 생성하는 과정과; DRM 에이전트가 콘텐츠 발급자로부터 상기 사용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에게 해당 사용권리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수신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에이전트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동작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DRM 에이전트가 요청된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서 제 3의 콘텐츠가 먼저 동작되어야 한다는 선사용 제약정보가 상기 사용권리에 포함된 경우,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를 만족시킨 후, 해당 콘텐츠를 동작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사용권리(Rights Object)를 정의하는 형식인 권리(Right) 엘리먼트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로서, 상기 권리 엘리먼트는 해당 권리에 대한 메 타데이터를 제공하는 ‘context’ 엘리먼트와, 소정의 DRM 콘텐츠에 부여된 권리를 기술하는 ‘agreement’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context’ 엘리먼트는 상기 사용권리(Right Object)의 버전을 나타내는 ‘version’ 엘리먼트와, 상기 사용권리의 ID를 구성하는 ‘uid’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agreement’ 엘리먼트는 해당 ‘agreement’ 엘리먼트의 영향을 받는 DRM 콘텐츠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구체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asset’ 엘리먼트와, 단말에게 허용된 동작에 대한 제약을 열거하는 0개 이상의 ‘permission’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asset’ 엘리먼트는 해당 ‘agreement’ 엘리먼트의 영향을 받는 DRM 콘텐츠의 식별자 및/또는 참조 식별자를 나타내는 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DRM 콘텐츠의 무결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해시(hash) 값을 포함하는 ‘digest’ 엘리먼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permission’ 엘리먼트는 ‘constraint’ 엘리먼트와, ‘asset’ 엘리먼트와, ‘play’ 엘리먼트와, ‘display’ 엘리먼트와, ‘export’ 엘리먼트와, ‘print’ 엘리먼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constraint’ 엘리먼트는 상기 ‘permission’ 엘리먼트의 하위에 존재하는 상기 ‘display’ 엘리먼트와, ‘export’ 엘리먼트와, ‘print’ 엘리먼트 등의 동작에 모두 적용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permission’ 엘리먼트의 하위에 존재하는 ‘asset’ 엘리먼트는 상기 ‘permission’ 엘리먼트 하위에 존재하는 동작들을 적용할 애셋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DRM 콘텐츠에 대해 재생, 디스플레이, 전달, 인쇄(play, display, export, print)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사용권리 내의 제약, 예를 들어, ‘constraint’ 엘리먼트, ‘permission’ 엘리먼트 하위의 ‘asset’ 엘리먼트 등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다.
도 3 및 도 5는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right’ 엘리먼트에 추가로 정의되는 엘리먼트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엘리먼트는 XML DTD(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Type Definition)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onstraint’ 엘리먼트는 ‘count’ 엘리먼트와, ‘timed-count’ 엘리먼트와, ‘datetime’ 엘리먼트와, ‘interval’ 엘리먼트와, ‘accumulated’ 엘리먼트와, ‘individual’ 엘리먼트와, ‘system’ 엘리먼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preconsumption’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특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의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하, 선사용 제약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사용권리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사용 제약을 표현하기 위해 ‘constraint’ 엘리먼트의 하위에 ‘preconsumption’ 엘리먼트를 추가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상기 엘리먼트가 반드시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constraint’ 엘리먼트는 0개 이상의 ‘preconsumption’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nstraint’ 엘리먼트가 1개 이상의 ‘preconsumption’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preconsumption’ 엘리먼트가 참조하는 애셋에 대해 지정된 동작이 미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는 하위에 0개 이상의 ‘consumptionunit’ 엘리먼트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가 1개 이상의 ‘consumptionunit’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consumptionunit’ 엘리먼트가 참조하는 애셋에 대해 지정된 동작이 미리 수행되면 해당 ‘preconsumption’ 엘리먼트가 요구하는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도 3 참조) 또는 ‘consumptionunit’ 엘리먼트(도 5 참조)에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받을 수 있다. 즉,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DRM 에이전트는 ‘preconsumption’ 엘리먼트(도 3 참조) 또는 ‘consumptionunit’ 엘리먼트(도 5 참조)가 지정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특정 콘텐츠의 사용 자체를 금지시킬 수 있다.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도 3 참조) 또는 ‘consumptionunit’ 엘리먼트(도 5참조)는, 어떤 애셋(asset)의 어떤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표기하기 위한 자식 엘리먼트(child element)와, 수행 횟수를 정의하기 위한 속성(attribute)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 5에서 이에 대응하는 부분에도 이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도 5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는 어떤 애셋의 어떤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표기하기 위한 것으로, 1개의 ‘asset’엘리먼트와,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작 엘리먼트는 ‘play’ 엘리먼트와, ‘display’ 엘리먼트와, ‘print’ 엘리먼트와, ‘export’ 엘리먼트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애셋에 수행될 수 있는 동작을 표현하는 엘리먼트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play’ 엘리먼트와, ‘display’ 엘리먼트와, ‘print’ 엘리먼트와, ‘export’ 엘리먼트 각각은, 0개 또는 1개의 엘리먼트로, 즉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의 하위에 ‘asset’ 엘리먼트는, 상기에서 기술했던 일반적인 ‘asset’ 엘리먼트의 속성 중 미리 지정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는 다른 콘텐츠의 참조 식별자를 나타내는 ‘idref’ 속성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의 하위에서 지정한 여러 동작들이 상기 다른 콘텐츠에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상기 동작의 수행여부는 상기 DRM 에이전트가 탑재된 단말 내에 존재하는 소정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사용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는 동작 횟수에 대한 ‘once’ 속성을 갖는다. 상기 ‘once’ 속성은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once’ 속성이 생략되는 경우, ‘false’로 간주한다. 상기 ‘once’ 속성 값이 ‘true’인 경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는 한번 수행되고, 상기 ‘once’ 속 값이 ‘false’인 경우, ‘preconsumption’ 엘리먼트는 조건이 성립될 때마다 수행된다. 이때,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가 수행되는 단말은 전술한 저장공간에 상기 ‘preconsumption’ 엘리먼트 동작의 수행여부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권리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사용권리를 이용한 콘텐츠 구현방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권리는 콘텐츠 2를 플레이하기 위해서 콘텐츠 1을 플레이하고, 콘텐츠 3을 디스플레이 해야 한다는 것을 ‘preconsumption’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권리는 콘텐츠 2을 플레이하기 위해서 콘텐츠 1을 플레이하거나 또는 콘텐츠 3을 디스플레이 해야 한다는 것을 ‘preconsumption’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2를 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RM 에이전트가 콘텐츠 발급자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1과, 콘텐츠 2와, 콘텐츠 3을 수신하고(S11),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리를 수신한다(S13). 이때, 상기 사용권리에는, 상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2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 1을 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 3을 디스플레이 해야 한다는 제약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가 사용권리를 발급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권리 발급자는 상기 콘텐츠 발급자와 상호작용하여 사용권리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권리의 획득을 개시하기 위한 ROAP(Rights Object Acquisition Protocol) 트리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발급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ROAP 트리거를 수신한 콘텐츠 발급자는 해당 ROAP 트리거를 상기 DRM 에이전트에게 전송하고,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에게 사용권리를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상기 사용권리는 콘텐츠 2를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 1을 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 3을 디스플레이 해야 한다는 선사용 제약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DRM 에이전트에게 상기 콘텐츠 2을 플레이하도록 요청하는 경우(S15), 상기 DRM 에이전트는 수신한 사용권리의 내용을 확인하고(S17) 상기 콘텐츠 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콘텐츠 1과 콘텐츠 3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고 동의하는지를 질의한다(S19).
사용자가 동의하는 경우,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1을 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1이 상기 콘텐츠 발급자에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1을 상기 콘텐츠 발급자로부터 검색 및 수신하여(S21) 플레이한다(S23).
상기 콘텐츠 1의 플레이가 종료되면,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콘텐츠 3을 디스플레이한 후(S25), 상기 제 2 콘텐츠를 플레이한다(S27). 이때, 상기 각 동작은 각 애셋의 ‘permission’ 엘리먼트와, ‘constraint’ 엘리먼트에 설정된 대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텐츠 3은 ‘preconsumption’ 엘리먼트의 ‘once’ 속성 값이 ‘true’이므로 한번 디스플레이된 후에는 상기 콘텐츠 2를 플레이하기 위해 다시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은, 제 3의 콘텐츠의 사용을 조건으로 하는 사용권리를 발급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이용순서 또는 횟수 등을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 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고를 보도록 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다수개의 콘텐츠 간의 이용순서 등을 정의함으로써 콘텐츠 사용을 다양하게 체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특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의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선사용 제약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는
    상기 제 3의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의 동작 형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는
    해당 선사용 정보의 적용 횟수를 정의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를 한번 동작할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사용할 때마다 동작할지 여부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5. 특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3의 콘텐츠를 먼저 사용해야 한다는 선사용 제한정보가 포함된 사용권리를 사용권리 발급자가 생성하는 과정과;
    DRM 에이전트가 콘텐츠 발급자로부터 상기 사용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에게 해당 사용권리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발급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한정보는
    상기 제 3의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의 동작 형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발급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는
    해당 선사용 정보의 적용 횟수를 정의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발급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를 한번 동작할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사용할 때마다 동작할지 여부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발급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수신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에이전트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동작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DRM 에이전트가 요청된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서 제 3의 콘텐츠가 먼저 동작되어야 한다는 선사용 제약정보가 상기 사용권리에 포함된 경우, 상기 DRM 에이전트가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를 만족시킨 후, 해당 콘텐츠를 동작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동작하는 과정은
    상기 DRM 에이전트가 선사용 제약정보의 수행에 대해 사용자의 동의를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는
    상기 제 3의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해당 선사용 정보의 동작 형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정보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사용 제약정보는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의 적용 횟수를 정의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해당 선사용 제약정보를 한번 동작할지 또는 특정 콘텐츠를 사용할 때마다 동작할지 여부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어방법.
KR1020050057336A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KR20070001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36A KR20070001712A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EP06768583A EP1913489A1 (en) 2005-06-29 2006-05-23 Rights object, rights object issuing method, and contents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11/911,709 US20080155646A1 (en) 2005-06-29 2006-05-23 Rights Object, Rights Object Issuing Method, and Contents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CNA2006800173381A CN101180620A (zh) 2005-06-29 2006-05-23 数字权利管理中的权利客体、其发行方法和使用其的内容控制方法
JP2008509947A JP2009503626A (ja) 2005-06-29 2006-05-23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における利用権利、利用権利発行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制御方法
PCT/KR2006/001930 WO2007001118A1 (en) 2005-06-29 2006-05-23 Rights object, rights object issuing method, and contents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336A KR20070001712A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12A true KR20070001712A (ko) 2007-01-04

Family

ID=3759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336A KR20070001712A (ko) 2005-06-29 2005-06-29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55646A1 (ko)
EP (1) EP1913489A1 (ko)
JP (1) JP2009503626A (ko)
KR (1) KR20070001712A (ko)
CN (1) CN101180620A (ko)
WO (1) WO2007001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8759T1 (de) 2003-05-06 2007-11-15 Cvon Innovations Ltd 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 und nachrichtendienst
GB0321337D0 (en) 2003-09-11 2003-10-15 Massone Mobile Advertising Sy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KR20070050712A (ko) 2005-11-11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Srm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GB2435565B (en) 2006-08-09 2008-02-20 Cvon Services Oy Messaging system
WO2008049955A1 (en) 2006-10-27 2008-05-02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ubscriber connection
GB2436412A (en) 2006-11-27 2007-09-26 Cvon Innovations Ltd Authentication of network usage for use with message modifying apparatus
GB2438475A (en) 2007-03-07 2007-11-28 Cvon Innovations Ltd A method for ranking search results
GB2445630B (en) 2007-03-12 2008-11-12 Cvon Innovations Ltd Dynamic messag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GB2441399B (en) 2007-04-03 2009-02-18 Cvon Innovations Ltd Network invitation arrangement and method
GB2445627A (en) * 2007-04-24 2008-07-16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US8671000B2 (en) 2007-04-24 2014-03-11 Apple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US8935718B2 (en) 2007-05-22 2015-01-13 Apple Inc. Advertis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GB2452789A (en) 2007-09-05 2009-03-18 Cvon Innovations Ltd Selecting information content for transmission by identifying a keyword in a previous message
GB2453810A (en) 2007-10-15 2009-04-22 Cvon Innovations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difying Communications by Insertion of a Targeted Media Content or Advertisement
CN101431412B (zh) * 2007-11-07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导入许可的方法和许可服务器
KR20100081021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98217B2 (en) 2010-05-06 2014-11-25 Apple Inc. Content delivery based on user terminal events
US8504419B2 (en) 2010-05-28 2013-08-06 Apple Inc. Network-based targeted content delivery based on queue adjustment factors calculated using the weighted combination of overall rank, context, and covariance scores for an invitational content item
US9367847B2 (en) 2010-05-28 2016-06-14 Apple Inc. Presenting content packages based on audience retargeting
US8510658B2 (en) 2010-08-11 2013-08-13 Apple Inc. Population segmentation
US8983978B2 (en) 2010-08-31 2015-03-17 Apple Inc. Location-intention context for content delivery
US8510309B2 (en) 2010-08-31 2013-08-13 Apple Inc. Selection and delivery of invitational content based on prediction of user interest
US8640032B2 (en) 2010-08-31 2014-01-28 Apple Inc. Selection and delivery of invitational content based on prediction of user intent
TWI459230B (zh) * 2011-08-08 2014-11-01 Ind Tech Res Inst 數位版權管理裝置及數位版權管理方法
CN103186721B (zh) * 2011-12-28 2016-03-09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数字版权服务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141504B2 (en) 2012-06-28 2015-09-22 Apple Inc. Presenting status data received from multip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305B1 (en) * 1999-03-12 2004-07-20 Curl Corporati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reely distributed information
TW550949B (en) * 2000-10-26 2003-09-01 Gen Instrument Corp Initial free preview for multimedia multicast content
JP4169942B2 (ja) * 2001-02-27 200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テンツ利用方法、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52698A (ja) * 2001-11-15 2003-05-23 Nippon Hoso Kyokai <Nhk> コンテンツ利用制御送信方法、コンテンツ利用制御受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制御送信装置、コンテンツ利用制御受信装置ならびにコンテンツ利用制御送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利用制御受信プログラム
AU2003240981B9 (en) * 2002-06-03 2006-03-16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managing rights expressions
US7383586B2 (en) * 2003-01-17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File system operation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US20070168293A1 (en) * 2005-06-02 2007-07-19 Alexander Medvinsk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rights issuers i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0620A (zh) 2008-05-14
US20080155646A1 (en) 2008-06-26
EP1913489A1 (en) 2008-04-23
JP2009503626A (ja) 2009-01-29
WO2007001118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1712A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있어서의 콘텐츠 사용권리, 그발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어방법
KR100493904B1 (ko) 다수의 기기를 지원하는 drm 라이센스 방법
US7162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assignment of rights to documents and documents having such rights
US8856072B2 (en) Method for providing of content data to a client
JP4714791B2 (ja) 拡張可能な権利表記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402053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70112679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506530B1 (ko) 다수의 기기를 지원하는 drm 라이센스 방법
KR20120055371A (ko) 디지털 공간정보의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0716719B1 (ko) 디.알.엠 기반의 패키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1587B1 (ko) 사용권리 활성화 기능이 있는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90022832A (ko) 디바이스 인증 시스템 및 디바이스 인증방법
AU20023055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assignment of rights to documents and documents having such r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205

Appeal identifier: 2008101009468

Request date: 2008091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0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811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10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2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5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8101009468

Request date: 2008091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