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625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1625A KR20070001625A KR1020050057206A KR20050057206A KR20070001625A KR 20070001625 A KR20070001625 A KR 20070001625A KR 1020050057206 A KR1020050057206 A KR 1020050057206A KR 20050057206 A KR20050057206 A KR 20050057206A KR 20070001625 A KR20070001625 A KR 200700016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age history
- history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wireless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용 내역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용 내역 목록을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키입력부로부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 및 특정 항목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일정 갯수만큼의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종래의 음성 통화 내역 검색 모드에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은 제공하지 않는 부분을 개선하여, 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사용량에 대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사용 내역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 패턴 및 이동통신 요금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무선데이터, 무선데이타, 통화, 착신, 발신, 이력, 검색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통화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02: 프로그램 메모리
104: 키입력부 106: LCD 표시부
108: 데이터 저장부 110: 모드 상태 저장부
112: 가입자 정보 저장부 114: 마이크로프로세서
116: 디지털 처리부 118: 베이스밴드 변환부
120: 스피커 122: 마이크로폰
124: 안테나 126: RF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음성 착신 및 발신 내역 뿐만 아니라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와 문자 메시지 서비스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성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시도가 이루어져 소정의 시간이 지나 통화 연결 시도가 종료되기 전까지 통화 연결이 성공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조차 알 수 없었다. 즉,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통화 연결 시도와 관련하여 어떠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연결 시도가 있었음을 단순하게 알려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5 번의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부재중 5 통화'와 같은 문구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 실패가 5 번 있었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와 같이 통화 연결 실패가 몇 번 있었다는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는 발신자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받지 못한 통화 연결 시도가 몇 번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지만, 누구에게서 걸려 온 전화인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발신자에 대한 궁금증과 그에 따른 많은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 발신자의 정보를 전혀 제공해 주지 않아 유발되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CID: Caller Identification)가 제공되고 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란 통화 개시 전에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표시 단말기에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가 걸려 온 시각을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교환(Switching) 기술, 단말 기술, 전송 기술을 결합한 전화망의 새로운 서비스로서, 발신호 및 착신호에 대한 사용자 제어가 가능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이 통화 전 또는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에 표시되므로 수신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행된 통화 연결 시도와 관련된 발신 전 화기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의 정보(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해놓은 이름이나 별칭)와 같은 발신 내역과 착신 내역은 기 설정된 일정 갯수까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내역 및 발신 내역을 키 조작을 통해 언제든지 검색 가능하고 그 내역 중에서 특정한 내역 하나를 선택하면 통화 날짜, 통화 시각, 통화 시간 등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에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임시로 저장되는 착신 내역 및 발신 내역은 기 설정된 일정 갯수를 초과하면 오래된 데이터부터 차례대로 하나씩 메모리에서 삭제된다.
이렇게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 등에 관련된 서비스 외에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노트북에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부가서비스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도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들 무선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해 종래에 음성통화에서 제공하는 착신 및 발신 내역 기능이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얼마 동안, 몇회의 어떠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였는지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자신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요금이 적절한 것이지에 대해서 판단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공되는 음성 착신 및 발신 내역 뿐만 아니라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용 내역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용 내역 목록을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키입력부로부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 및 특정 항목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일정 갯수만큼의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이용 내역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용 내역 목록을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키입력부로부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 및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항목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는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LCD 표시부를 구비하여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키입력부를 통해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을 전달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 내역 검색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b)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항목 키값을 키입력부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 (c)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이용 내역 목록을 분류하고,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 플레이하는 단계; 및 (d) 키입력부를 통해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해제 키값이 입력되면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메모리(102), 키입력부(104), LCD 표시부(106), 데이터 저장부(108), 모드 상태 저장부(110),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ity Module: 112), 마이크로프로세서(114),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116), 베이스밴드(Baseband) 변환부(118), 스피커(120), 마이크로폰(122), 안테나(124), RF 신호 처리부(126)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종 휴대폰, PDA 등을 포함한다.
도 1을 설명하면, 프로그램 메모리(10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상적인 기 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역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내역 분류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 분류 기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04)에서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키, 기능키, 커서 이동키 등을 조작하여 착신 내역이나 발신 내역을 선택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 및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LCD 표시부(106)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각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CD 표시부(106)는 화면에 각종 통화 내역과 무선 데이터 이용 내역 및 선택된 특정 내역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 저장부(108)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 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키입력부(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부(108)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내역과 발신 내역,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까지 임시로 저장되어 있고, 착신 내역과 발신 내역, 무선 데 이터 송수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가 초과되면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하나씩 삭제된다. 이는 먼저 삽입된 자료가 먼저 삭제되는(FIFO: First In First Out) 자료 구조인 대기열(Queue) 구조와 같은 원리이다.
모드 상태 저장부(110)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착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통화 내역 및 무선 데이터 검색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10)를 갱신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에는 가입자(사용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는 카드 형태로 슬롯(Slot)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 SIM 카드라고도 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SIM 카드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보안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일반 유무선 전화번호, 상대방 정보 등)가 저장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 SIM 카드를 빼내 다른 단말기에 장착하면 음성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IM 카드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동 통신망과 주고받으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사용승인이 떨어짐과 동시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 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내역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선택된 특정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작업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4)는 이용 내역 목록 중 특정 통화 항목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통화 버튼이 선택되면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의 전화번호 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 전송한다(TX DATA).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퀼라이저(Equalizer)로서 가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18)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는 RF 신호 처리부(126)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116), 스피커(120), 및 마이크로폰(12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피커(1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는 전송 데이터(TTIQ)를 RF 신호 처리부(126)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26)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해당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26)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안테나(124)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126)는 안테나(12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처리부(126)로 출력한다.
RF 신호 처리부(126)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에 싣는 변조 과정을 수행하여 안테나(124)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거나, 안테나(124)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통화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 중 하나 이상의 내역을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선택한다(S210).
키입력부(104)를 통해 통화 이력 검색의 키값을 전달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의 플래그를 검색 모드 값으로 설정하고 검색 모드로 변경한다(S220).
검색 모드로 변경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230).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LCD 표시부(106)에는 이용 내역 목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LCD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용 내역 목록 화면의 착신 내역 , 발신 내역,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 중 검색을 원하는 하나의 내역 항목 키값이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다(S240).
키입력부(104)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내역 항목 키값을 수신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구동 중인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으로 수신한 특정 내역 항목 키값을 넘겨주고,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은 넘겨받은 특정 내역 항목 키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부(108)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내역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내역 항목을 기준으로 관련 내역들을 묶어서 분류한다(S250).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LCD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된다(S260). 따라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커서 이동키 등을 이용하여 LCD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용 내역 목록의 검색을 진행 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용 내역 목록의 검색을 진행하는 도중 특정 내역 항목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검색 작업을 진행한다(S270).
분류된 이용 내역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이 진행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로부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280)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280에서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해제한다(S290). 여기서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해제는 이용 내역 검색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대기 모드, 음성 통화 모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단계 S280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용 내역 검색 모드가 해제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의 통화 내역 검색 모드의 플래그값을 전환될 모드의 플래그값으로 변경한다.
그렇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280에서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240으로 진행하여 다른 내역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도 3A의 예시 화면은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서 보여지는 이용 내역 목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에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음성 통화 내역 목록 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내역까지 사용자가 검색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A의 여러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항목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이동키와 기능키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
도 3B는 도 3A 예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특정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에 LCD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 중 하나의 특정 항목을 선택하면 도 3B에 보이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명을 이용한 날짜, 시각 및 통화 시간 등의 정보가 최근에 이용한 것부터 아래 방향으로 나열되므로 사용자가 음성 통화 내역 뿐만 아니라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에 대해서도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종래의 음성 통화 내역 검색 모드에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은 제공하지 않는 부분을 개 선하여, 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가 제공함으로써, 점차 증가하고 있는 무선 데이터 사용량에 대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사용 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현재 제공되는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접속 관련 서비스 요금 및 이동통신 요금의 부과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자신의 사용 패턴 및 이동통신 요금을 예측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이용 내역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 및 상기 특정 항목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일정 갯수만큼의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상기 착신 내역, 상기 발신 내역,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및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는 상기 착신 내역, 상기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의 검색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는 상기 착신 내역, 상기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각 전화번호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명별로 분류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이용 내역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항목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내역, 발신 내역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상기 착신 내역, 상기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LCD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 키값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b) 상기 이용 내역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항목 키값을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c)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특정 항목 키값에 따라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이용 내역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d)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의 해제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이용 내역 검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상기 특정 항목 키값은 상기 착신 내역, 상기 발신 내역 및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 중에 하나의 항목을 지칭하며, 상기 특정 항목으로서의 동일한 전화번호, 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명별로 각 착신 내역, 각 발신 내역, 각 무선 데이터 송수신 내역을 분류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 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206A KR20070001625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7206A KR20070001625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1625A true KR20070001625A (ko) | 2007-01-04 |
Family
ID=3786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7206A KR20070001625A (ko) | 2005-06-29 | 2005-06-29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1625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3214B1 (ko) * | 2007-11-21 | 2008-12-10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
KR100884652B1 (ko) * | 2007-05-02 | 2009-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단말기의 통신 데이터 관리 방법 |
KR101371062B1 (ko) * | 2012-01-27 | 2014-03-1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통합 히스토리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7146299A1 (ko) * | 2016-02-24 | 2017-08-31 | 삼성전자(주) |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05
- 2005-06-29 KR KR1020050057206A patent/KR200700016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652B1 (ko) * | 2007-05-02 | 2009-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단말기의 통신 데이터 관리 방법 |
KR100873214B1 (ko) * | 2007-11-21 | 2008-12-10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usim카드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
KR101371062B1 (ko) * | 2012-01-27 | 2014-03-1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통합 히스토리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7146299A1 (ko) * | 2016-02-24 | 2017-08-31 | 삼성전자(주) |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5750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27718B1 (ko) |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US20030022697A1 (en) | Dialing method for effecting international call in intelligent cellular phone | |
KR20040048275A (ko) |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70001625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및 음성 통화내역을 검색하는 방법 | |
KR100771160B1 (ko) |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 |
JP2007257238A (ja) | 電話機 | |
KR100590590B1 (ko) | 투넘버 인식 번호를 자동으로 처리해 주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
KR100277070B1 (ko) |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 |
KR100977993B1 (ko) |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 |
KR100651937B1 (ko) | 두 개의 발신번호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83465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 |
WO2007055990A2 (en) |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 |
KR20060061032A (ko) | 단문 메시지의 이름별 정렬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
JP2000244977A (ja) | 無線通信機 | |
KR101176661B1 (ko) |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1134829B1 (ko) | 메시지 검색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 |
KR100863040B1 (ko) |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 |
KR20020056987A (ko) |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 |
KR20060136243A (ko) | 착발신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60097281A (ko) |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 |
KR20070065752A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다이얼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070000273A (ko) | 착발신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60037905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 |
KR20060034013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연속된 전화 번호 자동 발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9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