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0940A - A knob - Google Patents

A kno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940A
KR20070000940A KR1020050056619A KR20050056619A KR20070000940A KR 20070000940 A KR20070000940 A KR 20070000940A KR 1020050056619 A KR1020050056619 A KR 1020050056619A KR 20050056619 A KR20050056619 A KR 20050056619A KR 20070000940 A KR20070000940 A KR 2007000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oupling
lens
present
len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940A/en
Publication of KR2007000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40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6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브(3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34)의 이면에 결합돌기(38)가 다수개 형성된 전면부(32)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8)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8)이 다수개 형성된 렌즈부(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부(50)는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에 결합보스(54)가 구비되고, 결합보스(54)는 상기 몸체부(50)의 내면에 지지레그(5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결합보스(54) 선단에 구비되는 지지판(58)에는 결합공(6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38)가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노브는 전면부, 렌즈부,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렌즈부를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노브 자체에서 발광이 가능하여 노브의 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노브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부품중 일부를 공용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노브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금형의 게이트 포인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노브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The knob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front portion 32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8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34 forming a front surface thereof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38 may pass through. The lens unit 4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8 formed therein. And, the body portion 5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54 therein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upling boss 54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0 by a support leg 56, the coupling A coupling hole 60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58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ss 54 to allow the coupling protrusion 38 to penetrat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the front portion, the lens portion, the body portion to allow ligh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portion is possible to emit light from the knob itself,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knob accurately Since the kno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 part of the parts can be shared so that various types of knobs can be easily designed, and the gate point of the mol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facilitating the appearance of the knob.

Description

노브{A knob}Knob {A knob}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o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nob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요부를 보인 부분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부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or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렌즈부를 보인 사시도.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ens unit configur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부를 보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전면판넬 22: 관통홀20: front panel 22: through hole

24: 기판 26: 엔코더24: substrate 26: encoder

27: 엔코더몸체 28: 샤프트27: encoder body 28: shaft

30: 노브 32: 전면부30: Knob 32: Front

34: 전면판 36: 돌출턱34: front panel 36: protruding jaw

38: 결합돌기 39: 지지리브38: engaging protrusion 39: support rib

40: 렌즈부 42: 단차턱40: lens unit 42: stepped jaw

44: 요입부 46: 경사부44: recessed portion 46: inclined portion

48: 관통공 50: 몸체부48: through hole 50: body

54: 결합보스 56: 지지레그54: combined boss 56: support leg

58: 지지판 60: 결합공58: support plate 60: coupling hole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외부로 노출되어 당겨지고 눌러짐과 동시에 회전되어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는 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ob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pulled and pressed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to select a predetermined function.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구조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ob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nob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전면을 전면판넬(2)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의 일측에는 관통공(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은 전면판넬(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의 가장자지를 둘러서는 지지링(6)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링(8)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인쇄회로기판(8)에 실장된 발광부(12)의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the front panel 2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One side of the front panel 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 The through hole 4 is formed through the front panel 2. A support ring 6 surroundi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4 is provided. The support ring 8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12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8 to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전면판넬(2)의 후방에는 인쇄회로기판(8)이 구비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8)에는 전자제품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엔코더(10)가 설치된다. 상기 엔코터(10)의 엔코더몸체(10a)에는 그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샤프트(10b) 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10b)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14)의 결합보스(15)에 결합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8)의 일측에는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12)가 마련된다. A printed circuit board 8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 The printed circuit board 8 is provided with an encoder 10 to which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duct is input. The encoder body 10a of the encoder 10 is provided with a shaft 10b extending forward from the center thereof. The shaft 10b is coupled to the coupling boss 15 of the knob 14 to be described below.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8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12 for emitting light.

노브(14)는 상기 엔코더(10)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노브(14)의 노브몸체(14')는 대략 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이다.Knob 14 allows the user to operate the encoder 10. The knob body 14 ′ of the knob 14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with the back open.

상기 노브몸체(14')의 내측면 중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결합보스(1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15)의 내부에는 결합홈(1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5')에는 상기 엔코더(10)의 샤프트(10b)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5')에는 상기 엔코더(10)의 샤프트(10b)가 삽입되어, 상기 노브(14)의 회전이 상기 엔코더(1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Coupling boss 15 is provide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nob body (14 '). A coupling groove 15 ′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boss 15. The shaft 10b of the encoder 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5 '. Therefore, the shaft 10b of the encoder 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5 ', so that the rotation of the knob 14 can be transmitted to the encoder 10.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노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knob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빛이 없는 곳에서 노브(14)를 조작하는 경우, 노브(14)의 지지링(6)을 통하여 빛이 노출되어 노브(14)의 위치와 조작상태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지지링(6)은 상기 전면판넬(2)에 고정된 상태여서, 노브(1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노브(1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어둠속에서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when operating the knob 14 in the absence of light, the light is exposed through the support ring 6 of the knob 14 to know the posi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knob 14. However, since the support ring 6 is fixed to the front panel 2, the support ring 6 does not move even if the knob 14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may not detect the state in which the knob 14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ark.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노브(14) 전체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그 일부를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조를 변경할 수 없고, 만약 노브(14)자체를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려면, 전체를 통해 동시에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야 하고, 이렇게 되면, 노브(14)의 외면에 도금처리나 스프레이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nd, in the prior art, the entire knob 14 is composed of one part, and the structure cannot be changed so that ligh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art thereof, and if the ligh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knob 14 itself, At the same time, the light must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hol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plating or spraying is not possi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nob 14.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노브(14) 전체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제품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 각각의 제품 개발시에 노브(14)도 별도로 설계하여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since the entire knob 14 is composed of one component, there is no room to apply it to various products in comm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nob 14 must be designed and applied separately in each product development.

마지막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노브(14)를 사출성형함에 있어서 금형의 게이트 포인트(gate point)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다. 따라서, 노브(14)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Finally, in the prior art, the gate point of the mold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knob 14.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of the knob 14 is relatively po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의 일부분을 통해 빛이 외부로 발산되는 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that th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 portion of itsel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한 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capable of sharing compon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형의 게이트 포인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b in which the gate point of the mol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브의 전면을 형성하고, 판상으로 형성된 전면판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전면부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는 결합부가 지지레그에 의해 내부에 지지되어 구비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knob, the fron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 lens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can pass,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a body part having a coupling part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be supported therein by a support le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전면부의 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돌출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어 결합되게 단차턱이 형성된다.A protruding jaw protruding around the rear edge of the front part protrudes, and a stepped jaw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lens part to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jaw.

상기 렌즈부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단차턱에 의해 둘러싸이게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에는 상기 전면부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바닥면에 지지된다.A concave indenta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unit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stepped jaw, and a support ri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렌즈부의 요입부의 가장자리는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지지레그의 전면은 상기 경사부의 이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ens portion is formed as an inclined inclined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leg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노브는 전면부, 렌즈부, 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렌즈부를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노브 자체에서 발광이 가능하여 노브의 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노브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부품중 일부를 공용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노브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금형의 게이트 포인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노브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the front portion, the lens portion, the body portion to allow ligh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portion is possible to emit light from the knob itself,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knob accurately Since the kno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 part of the parts can be shared so that various types of knobs can be easily designed, and the gate point of the mol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facilitating the appearance of the knob.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자제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렌즈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 electronic product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art which comprises is shown, and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ens part which comprise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shown by FIG. 6A and FIG. 6B.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판넬(20)은 전자제품의 적어도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30)가 설치되는 위한 관통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20)의 배면에는 기판(24)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24)은 일반적으로 전면판넬(20)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기판(24)에는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노브(30)에 의해 조작되는 엔코더(26)도 실장된다. 상기 엔코더(26)는 엔코더몸체(27)에 샤프트(28)가 회전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엔코더몸체(27)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엔코더(26)를 구성하는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기판(24)의 일측에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29)가 실장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panel 20 forms at least part of the front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One side of the front panel 2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2 for installing the knob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substrate 24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substrate 24 is generally installed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24, and an encoder 26 operated by the knob 30 to be described below is also mounted. The encoder 26 has a shaft 28 rotatably protrudes from the encoder body 27. Inside the encoder body 27 is substantially provided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encoder (26). One side of the substrate 24 is mounted with a light emitting portion 29 for generating light.

노브(30)는 상기 엔코더(26)를 통해 조작하여 필요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브(30)는 전면부(32), 렌즈부(40) 및 몸체부(50)로 구성된다.The knob 30 is for inputting a required signal by operating through the encoder 26 and is a part held by a user by hand. In this embodiment, the knob 30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32, a lens portion 40 and the body portion 50.

상기 전면부(32)는 노브(30)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대략 원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32)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판상의 전면판(34)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34) 이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돌출턱(3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36)은 렌즈부(40)의 단차턱(42)에 맞물리게 되어, 전면부(32)와 렌즈부(40)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돌출턱(36)은 2단금형 적용을 위 한 것이고, 게이트 포인트를 회피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front portion 32 is a portion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knob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The front part 32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front plate 34 formed in a circular shape. Protruding jaw 36 surrounding the edge of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late 34 is formed to protrude. The protruding jaw 36 is engaged with the stepped jaw 42 of the lens portion 40,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ront portion 32 and the lens portion 40.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 jaw 36 is for the two-stage mold applic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to avoid the gate point.

상기 전면판(34) 이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돌기(38)와 지지리브(3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8)는 렌즈부(40)의 관통공(48) 및 몸체부(50)의 결합공(6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8)는 원통형상이다. 이는 융착결합시 수축되어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39)는 렌즈부(40)의 요입부(44) 바닥에 밀착되어 노브(30)의 전면부(32)가 눌러질 때,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8 and support ribs 39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34. The coupling protrusion 38 is formed long enough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48 of the lens portion 40 and the coupling hole 60 of the body portion 50. The coupling protrusion 38 is cylindrical in shape. This is to prevent defects from shrinking during fusion bonding. In addition, the support rib 3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cave part 44 of the lens part 40 and serves to prevent deformation when the front part 32 of the knob 30 is pressed.

상기 렌즈부(40)는 상기 노브(30)에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렌즈부(40)는 빛이 투과될 수 있어야 하므로, 투명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부(40)는 전면이 상기 전면부(32)의 이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40)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전면부(32)의 이면에 형성된 돌출턱(36)에 맞물릴 수 있도록 요입된 단차턱(42)이 형성된다. The lens unit 40 is to allow the light from the knob 3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lens unit 40 must be able to transmit light, the lens unit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lens unit 40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correspo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32. A stepped jaw 42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unit 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ding jaw 36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32.

상기 렌즈부(40)의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40)의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요입된 요입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44)의 가장자리는 경사지도록 경사부(46)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32)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리브(39)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4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6)의 발광부(29)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골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In the center of the lens unit 40 is formed a recessed portion 44 that is relatively recessed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unit 40. An edge of the concave portion 44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portion 46 to be inclined,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rib 39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32.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46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29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6.

상기 요입부(44)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관통공(48)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관통공(48)은 상기 전면부(32)의 결합돌기(38)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여, 전면부(32)와 렌즈부(40)가 결합되게 한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48 surrounding the edge of the recess 44 is provided. The through hole 48 allows the coupling protrusion 38 of the front portion 32 to penetrate, thereby allowing the front portion 32 and the lens portion 4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렌즈부(40)는 상기 전면부(32)의 이면에 결합되어 노브(30)의 선단 테두리를 형성하여 이 부분을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렌즈부(40)는 노브(30) 자체의 일부를 통해 빛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The lens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32 to form a leading edge of the knob 30 so that ligh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portion. That is, the lens unit 40 allows the ligh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art of the knob 30 itself.

상기 몸체부(50)는 원통형상으로 노브(30)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50)는 원통형상이다. 상기 몸체부(50)의 내부에는 상기 엔코더(26)의 샤프트(28)에 결합되는 결합보스(5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54)의 후단으로 개구되게 결합홈(5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4')에는 상기 샤프트(28)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50)와 엔코더(26)가 서로 일체로 연동되게 한다.The body portion 5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knob 30 in a cylindrical shape. The body portion 50 is cylindrical in shape. Inside the body portion 5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54 coupled to the shaft 28 of the encoder 26. A coupling groove 54 'is formed to open to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boss 54. The shaft 28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4 ′ so that the body part 50 and the encoder 26 are integral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상기 결합보스(54)는 상기 몸체부(50)의 내측면에 지지레그(56)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지지레그(56)의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56)의 전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상기 렌즈부(40)의 경사부(46)의 이면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oupling boss 5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5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0.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leg 56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leg 56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46 of the lens portion 40.

상기 결합보스(54)의 선단에는 지지판(58)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58)은 상기 렌즈부(40)의 요입부(44) 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는데, 지지판(58)은 몸체부(50)의 후단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상기 렌즈부(40)로 최대한 많이 보내기 위해 그 크기가 최소로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부(50)의 내부를 차폐하는 면적이 최소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지지판(58)이 커지면, 상기 몸체부(50)의 내부에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기판(24)에 실장된 발광부(29)에서 나온 빛이 제대로 상기 렌즈부(40)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A support plate 58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upling boss 54. The support plate 58 is formed fla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44 of the lens unit 40, the support plate 58 receives the light coming through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50 of the lens unit ( The size should be minimized to send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area shielding the inside of the body part 50 should be minimized. This is because when the support plate 58 is large, the area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in the body 50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9 mounted on the substrate 24 is properly received.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transferred to the lens unit 40.

상기 지지판(58)에는 다수개의 결합공(60)이 마련된다. 상기 결합공(60)에는 상기 전면부(32)의 결합돌기(38)가 삽입되어 상기 전면부(32)가 몸체부(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38)는 상기 지지판(58)에 융착에 의해 결합된다.The support plate 5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60). The coupling hole 6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60 to allow the front portion 32 to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50. The coupling protrusion 38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58 by fus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노브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노브(30)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전면부(32)와 렌즈부(40)를 결합한다. 즉, 상기 전면판(34)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8)가 상기 렌즈부(40)의 관통공(48)을 관통한다. 상기 결합돌기(38)가 상기 관통공(48)을 관통함에 따라, 전면부(32)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리브(39)는 상기 요입부(44)의 바닥면에 밀착된다.First, a process of assembling the knob 30 will be described. The front portion 32 and the lens portion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38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34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8 of the lens unit 40. As the coupling protrusion 38 penetrates the through hole 48, the support rib 39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 44.

상기 지지리브(39)의 선단이 상기 요입부(44)의 바닥면에 밀착될 때, 물론 상기 전면판(34)의 이면이 요입부(44)의 주변에 해당되는 상기 렌즈부(40)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전면부(32)의 돌출턱(36)이 렌즈부(40)의 단차턱(42)에 맞물리게 된다. When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rib 3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44, of cours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34 of the lens portion 4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oncave portion 44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the protruding jaw 36 of the front portion 32 is engaged with the stepped jaw 42 of the lens portion 40.

다음으로, 상기 렌즈부(40)가 결합된 전면부(32)를 몸체부(50)와 결합한다. 상기 렌즈부(40)의 관통공(48)을 관통한 결합돌기(38)가 결합부(54)의 지지판(58)에 형성된 결합공(60)을 관통하여 이에 융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렌즈부(40)의 요입부(44)에 상기 전면부(32)의 지지리브(39)가 지지되고, 상기 렌즈부(40)의 경사부(46)의 이면이 상기 지지레그(56)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요입부 (44)의 이면이 지지판(58)의 전면에 밀착된다.Next, the front portion 32 to which the lens portion 40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50. The coupling protrusion 38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48 of the lens unit 40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60 formed in the support plate 58 of the coupling unit 54 and is fused thereto. In this state, the support rib 39 of the front part 32 is supported by the recess 44 of the lens part 4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inclined part 46 of the lens part 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b 39. I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leg 56, and the back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4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58.

다음으로, 상기 노브(30)를 엔코더(26)와 결합되게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기판(24)에 엔코더(26)를 실장한다. 상기 엔코더(26)는 기판(24)에 납땜 또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26)의 샤프트(28)에 상기 노브(30)의 몸체부(50)에 구비되는 결합보스(54)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노브(30)가 상기 엔코더(26)에 결합된다.Nex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knob 30 to be coupled to the encoder 26 will be described. The encoder 26 is mounted on the substrate 24. The encoder 26 may be fixed to the substrate 24 by soldering or screwing. A coupling boss 54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50 of the knob 30 is coupled to the shaft 28 of the encoder 26. In this case, the knob 30 is coupled to the encoder 26.

상기와 같이 노브(30)가 엔코더(26)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24)을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판(24)에 실장된 노브(30)는 상기 전면패널(20)의 관통홀(22)로 전면패널(20)의 배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24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while the knob 30 is installed on the encoder 26. In this case, the knob 30 mounted on the substrate 24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of the front panel 20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부(29)에서 나온 빛은 상기 몸체부(5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렌즈부(40)로 전달된다. 특히, 상기 경사부(46)의 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빛을 받아 골고루 전달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29 is transmitted to the lens part 40 through the interior of the body part 50. In particular,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46 is formed to be inclined, it is possible to evenly receive relatively much light.

상기 렌즈부(40)로 전달된 빛은 노브(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렌즈부(40)의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를 상기 관통홀(22)을 따라 전면판넬(22)에서 전후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면, 노브(30)의 렌즈부(40)도 함께 이동하면서 발광부(29)의 빛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 있더라도 노브(3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Light transmitted to the lens unit 40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tion of the lens unit 40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knob 30. Accordingly, when the knob 30 is moved or rotated back and forth in the front panel 22 along the through hole 22, the lens unit 40 of the knob 30 moves together with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29. Expose Therefore, even if it is dark, the position of the knob 30 can be grasped correctly.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노브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노브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렌즈부를 통하여 빛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노브의 움직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ligh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ns unit provided in the knob itself,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moved position of the knob,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의 노브는 전면부, 렌즈부 및 몸체부로 구성되므로, 상기 몸체부를 공용화하고 나머지 전면부와 렌즈부만을 교체하면 전체 구성이 달라질 수 있어 다양한 구성의 노브를 보다 용이하게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다.And, since the knob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ront portion, the lens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f the common to the body portion and replace only the remaining front portion and the lens portion can be changed the overall configuration can be more easily designed and produced knobs of various configurations have.

또한, 본 발명의 노브는 전면부, 렌즈부 및 몸체부로 분리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게이트 포인트가 노출되지 않도록 2단 금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노브의 외관에 게이트 포인트가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노브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no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front portion, the lens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apply a two-stage mold so that the gate point is not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Therefor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knob is more beautiful because the gate point is not exposed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knob.

Claims (4)

노브의 전면을 형성하고, 판상으로 형성된 전면판의 이면에 결합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전면부와;A front portion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knob and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렌즈부; 그리고A lens uni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can pass, and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And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구비되는 결합부가 지지레그에 의해 내부에 지지되어 구비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노브.A body part having a coupling part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be supported therein by a support le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knob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부의 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돌출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어 결합되게 단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The protrusion jaw surrounding the rear edge of the front portion is formed protruding, and the front step of the len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jaw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jaw.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렌즈부의 전면 중앙에는 상기 단차턱에 의해 둘러싸이게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에는 상기 전면부의 이면에 형성된 지지리브가 바닥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A kno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ens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stepped jaw, the support rib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렌즈부의 요입부의 가장자리는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지지레그의 전면은 상기 경사부의 이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The edg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lens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inclined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leg of the body portion is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back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KR1020050056619A 2005-06-28 2005-06-28 A knob Withdrawn KR200700009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19A KR20070000940A (en) 2005-06-28 2005-06-28 A kno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19A KR20070000940A (en) 2005-06-28 2005-06-28 A kno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40A true KR20070000940A (en) 2007-01-03

Family

ID=3786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19A Withdrawn KR20070000940A (en) 2005-06-28 2005-06-28 A kno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9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1031B1 (en) * 2012-08-22 2022-11-30 BSH Hausgeräte GmbH Opera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1031B1 (en) * 2012-08-22 2022-11-30 BSH Hausgeräte GmbH Oper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2463B2 (en) Switch unit with click feeling
JP451389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TWI607466B (en) Key device
US20100065642A1 (en) Bar code reader
US20230354531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JP2001155573A (en) switch
KR20070000940A (en) A knob
JP4888815B2 (en) Electronics
JP5040819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components
JP4609247B2 (en) Luminescent switch
JP2006278248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operation button
JP2009050362A (en) Button switch
WO2010106728A1 (en) Display device with light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with lighting function
JP2006270885A (en) Electronic device
CN100452265C (en) Controller assembly
JP5340882B2 (en) Operation panel body
JP2021028865A (en) Switching arrangement
KR200309332Y1 (en) Optical mouse having luminous body in its transparent case
JP4992749B2 (en) Elastic material for pressure switch and operation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9990013903U (en) Illuminated power button on the monitor
KR100458445B1 (en) Button structure for combined use of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483990B1 (en) Switiching apparatus for electronic instrument
KR20080019921A (en) Rotary switch assembly
KR100797153B1 (en) Control panel assembly of home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85368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