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536U -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Google Patents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0536U KR20070000536U KR2020070006348U KR20070006348U KR20070000536U KR 20070000536 U KR20070000536 U KR 20070000536U KR 2020070006348 U KR2020070006348 U KR 2020070006348U KR 20070006348 U KR20070006348 U KR 20070006348U KR 20070000536 U KR20070000536 U KR 2007000053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tter
- fixture
- drip
- trough
- dou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72—Hanging means
- E04D13/0722—Hanging means extending mainly under the g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으로 이중(2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철 및 좁게 절삭한 철판 등으로 제작 되었던 종래의 물받이 홈통고정구에 비해 두께는 얇으나 강성(剛性)과 내구력(耐久力)을 지니게끔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을 'S'자 모양이 되게끔 2중으로 절곡하여 물받이홈통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하여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력을 높이고 양측의 2중 절곡부에 의해 형성된 상하부의 오목한 홈으로 인하여 곡면이 있는 슬레이트지붕 및 기타 기와지붕과의 부착력을 강화시키며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소재를 내식성에 강한 아연도금강판이나 아연도금칼라도색강판 또는 스텐인리스 등을 사용함으로써 얇아진 두께와 도색의 필요성을 없애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물받이 홈통고정구, 이중절곡부, 고정구몸체, 물받이홈통, 나사못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몸체(A)와 실시예(A')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홈통고정구와 지붕과의 결합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이 물받이 홈통고정구와 슬레이트지붕과의 결합시 상호간의 접촉면을 보여주는 상태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홈통고정구와 슬레이트지붕과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3A'는 3A의 접촉 상태를 보이는 확대도
3B는 종래의 물받이 홈통고정구와 슬레이트지붕과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3B'는 3B의 접촉 상태를 보이는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받이 홈통고정구와 물받이홈통의 결합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5는 종래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몸체(A)와 실시예(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홈통고정구 2, 2'. 고정구몸체
3. 이중절곡부 4. 물받이홈통
5, 5'. 나사못 6, 6'. 나사못 홀
7. 슬레이트지붕 8. 고정걸이
본 고안은 몸체의 길이방향 양측을 2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물받이 홈통고정구는 건물의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구쪽으로 흐르도록 해주는 물받이홈통을 외벽이나 지붕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물받이 홈통고정구를 제작함에 있어서 그 소재를 일정한 두께를 가진 평철이나 철판등을 일정폭으로 절삭가공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평판상의 철판을 이용하고 있어서 물받이홈통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버팀력을 높이기 위해선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었고 슬레이트지붕이나 기와지붕처럼 곡면이 있는 면과의 결착(結着)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였으며 고정력이 약하였다. 또 평철이나 철판 같은 경우엔 장기사용시 부식과 재질의 약화를 막기 위해서 도색작 업을 추가로 하는 등 재료비 부담 비용이 크고 번거로울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두께를 얇게하면서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몸체 구조를 강성(剛性)과 내구력(耐久力)이 강하고 고정력을 가지는 구조로 변형하여 물받이홈통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버팀력을 강화시키고, 고정구몸체의 상하부에 생기는 오목한 홈으로 인하여 슬레이트지붕 및 기와지붕과의 굴곡면에 대하여 평판보다 탄력성 있게 지붕에 고정되며, 또한 내식성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도색이 필요 없게 되어 재료비 절감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물받이 홈통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물받이 홈통고정구는 아연도금강판이나 아연도금칼라도색강판 또는 스텐인리스 등의 내식성이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고정구몸체의 두께를 종래의 물받이 홈통고정구보다 얇게하여 재료사용 단위면적을 줄이되, 상기 고정구몸체는 양측면이 2중으로 절곡된 이중절곡부를 형성하여 물받이 홈통고정구의 강성과 내구력을 높이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1)는 금속재질의 고정구몸체(2)와 2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이중절곡부(3)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몸체(2)는 물받이홈통(4)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굴곡면으로 되어있어 물받이홈통(4)을 밑에서 감싸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나사못(5)(5')이 삽입되는 나사못 홀(6)(6')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나사못 홀(6)(6')에 나사못(5)(5')을 삽입하고 슬레이트지붕(7)이나 기와지붕에 체결하여 상기 물받이홈통(4)이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중절곡부(3)는 고정구몸체(2)를 얇은 금속재질로 제조됨으로써 물받이홈통(4)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운 점을 보완하도록 상기 고정구몸체(2)의 양측을 'S'자 모양이 되게끔 2중으로 절곡하여 물받이 홈통고정구(1)의 강성과 내구력을 증강시키도록 되어 있되, 물받이 홈통고정구(1)를 만들기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홈통(4)의 외측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부릴 경우 상기 이중절곡부(3)에서 벌어지거나 꺽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부분이 안으로 말려있는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몸체(2) 및 2중으로 절곡된 이중절곡부(3)는 재료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재질로 되어 있고 물받이 홈통고정구를 완성 후 부식방지를 위해 도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부담을 없애기 위해 아연도금강판이나 아연도금칼라도색강판 또는 스텐인리스 등의 내식성이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1)의 두께(a)는 통상의 물받이 홈통고정구(1')의 두께(a')보다 1/3정도로 얇은 0.8 ~ 1.2mm의 두께로 하고, 홈통고정 구(1)의 폭(b)은 통상의 물받이 홈통고정구(1')의 폭(b')과 같은 정도인 20 ~ 3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중으로 절곡된 이중절곡부(3)는 홈통 고정구(1) 폭(b)의 1/4 정도로 되고 상부(c)와 하부(d)의 높이를 4:6의 비율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구몸체 양측을 2중으로 절곡한 이중절곡부에 의해 형성된 하단부의 오목한 홈으로 인하여 곡면이 있는 슬레이트지붕 및 기와지붕과의 볼록부의 요철결합을 통해 결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홈통고정구의 두께가 종래의 물받이 홈통고정구보다 얇아짐으로 인해 재료비를 낮출 수 있고 재료를 내식성이 강한 아연도금강판이나 아연도금칼라도색강판 또는 스텐인리스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도색의 필요성이 없어 제조의 원가를 절감하면서 내구성과 미감을 증진 시킬 수 있다.
Claims (3)
- 통상의 물받이홈통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굴곡면으로 되어 있어 물받이홈통을 밑에서 감싸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구몸체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금속재질로 되어 있으며 물받이홈통(4)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과 내구력을 지니도록 고정구몸체(2)의 양측을 2중으로 절곡한 이중절곡부(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홈통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절곡부는 'S'자 모양이 되게끔 2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홈통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금속재질은 아연도금강판, 아연도금칼라도색강판, 스텐인리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홈통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6348U KR20070000536U (ko) | 2007-04-18 | 2007-04-18 |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6348U KR20070000536U (ko) | 2007-04-18 | 2007-04-18 |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0536U true KR20070000536U (ko) | 2007-05-08 |
Family
ID=4365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6348U Ceased KR20070000536U (ko) | 2007-04-18 | 2007-04-18 |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0536U (ko) |
-
2007
- 2007-04-18 KR KR2020070006348U patent/KR20070000536U/ko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9114B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 |
US20090235604A1 (en) | Architectural material | |
US8196367B2 (en) | Support bracket for anchoring overlapping cladding tiles to a wall structure | |
JP7023599B2 (ja) | 端部構造 | |
KR20070000536U (ko) | 이중절곡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
KR200384980Y1 (ko) | 말림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
KR20070000535U (ko) | 철심을 구비한 말림부가 형성된 물받이 홈통고정구 | |
US7377082B1 (en) | Insulative panel incorporating a support beam | |
RU68034U1 (ru) |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ой панели на наружную стену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 |
KR200268380Y1 (ko) |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 | |
JP2007186872A (ja) | 軒先の雨仕舞の構造 | |
JP6045021B2 (ja) | 屋根上設置物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設置物の取付方法 | |
CN106948552A (zh) | 金属屋瓦组 | |
KR200422988Y1 (ko) | 건축용 결속편형 조립식 판넬 | |
JP5743126B2 (ja) | 軒先唐草を用いた軒先構造 | |
KR200367661Y1 (ko) | 빗물받이 홈통 | |
JP7399523B2 (ja) | 外装材取付用保持部材 | |
CA2893937A1 (en) | Gutter hangers | |
KR20070000541U (ko) | 물받이홈통 고정구 | |
KR20130080514A (ko) | 기와, 지붕 구조 및 지붕 시공 방법 | |
JP7144985B2 (ja) | 屋根構造及び屋根板 | |
CN217680735U (zh) | 一种既有卷边c型钢檩条的增大截面加固结构 | |
KR200434879Y1 (ko) | 물받이 홈통 고정 장치 | |
JP5555800B1 (ja) | モルタル用水切材 | |
KR200216780Y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4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22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