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33532A -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 Google Patents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532A
KR20060133532A KR1020067008836A KR20067008836A KR20060133532A KR 20060133532 A KR20060133532 A KR 20060133532A KR 1020067008836 A KR1020067008836 A KR 1020067008836A KR 20067008836 A KR20067008836 A KR 20067008836A KR 20060133532 A KR20060133532 A KR 2006013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fiber
fiber cables
test
hanger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시바타
토시유키 오카야스
츠토무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Publication of KR2006013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53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0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tester configuration
    • G01R31/31905Interface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e.g. arrangements between the test head and the DUT, mechanical aspects, fi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킬 수 있는 케이블 부설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험 장치 100은, 피시험 디바이스에 테스트 패턴을 인가하는 복수의 테스트 보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헤드 102와, 테스트 헤드 102에 의한 테스트 시퀀스를 제어하는 메인 프레임 104와, 테스트 헤드 102와 메인 프레임 104를 광접속하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 및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과,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과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접속하는 댐 107과,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포함하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 간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하는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과, 메인 프레임 104가 포함하는 테스트 보드 612에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 108을 만곡시켜 유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를 포함한다.
시험 장치, 광섬유 케이블, 플랫형 케이블, 곡률 제한, 테스트 헤드, 행거 부재, 클램프 부재

Description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TEST EQUIPMENT AND CABLE GUIDE UNIT}
본 발명은,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키는 케이블 부설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문헌의 참조에 의한 편입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하기의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편입하여, 본 출원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일본 특원 2003-376139   출원일 2003년 11월 5일
최근의 전자 디바이스의 고속화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를 시험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도, 동작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 시험 신호나 제어 신호의 고속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 피시험 디바이스에 테스트 패턴을 인가하는 테스트 헤드와, 테스트 헤드의 테스트 시퀀스를 제어하는 메인 프레임을 광섬유 케이블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현시점에서 선행 기술 문헌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지 않으므로, 선행 기술 문헌에 관한 기재를 생략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신호 전송로로서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특히 테스트 헤드와 같은 움직이는 기기에 접속되는 경우에 중대한 문제가 된다. 또, 테스트 헤드처럼 좁은 공간에서 부설되는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키는 것이 과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범위에 있어서의 독립항에 기재된 특징의 조합에 의해 달성된다. 또 종속항은 본 발명의 한층 더 유리한 구체예를 규정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하면, 피시험 디바이스를 시험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피시험 디바이스에 테스트 패턴을 인가하는 테스트 헤드와, 테스트 헤드의 테스트 시퀀스를 제어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과 테스트 헤드를 광접속하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을 포함한다. 광섬유 케이블 유닛은,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이, 포갬 방향으로 복수 적층된 케이블군과, 적층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포갬 방향을 향해 만곡 가능한 케이블 수납 체인을 포함한다. 케이블 수납 체인의 최소 굽힘 반경은,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커도 된다.
광섬유 케이블 유닛은, 적층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딩 시트를 더 포함해도 된다. 케이블군은,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층과,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고, 포갬 방향을 따라 제1 케이블층에 적층된 제2 케이블층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시트는, 제1 케이블층과 제2 케이블층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케이블 수납 체인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간의 둘레길이 차를 조정해,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하는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를 더 포함해도 된다.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는, 케이블 수납 체인을 고정하고,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케이블 수납 체인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각각 휘게 해서 유지하고,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휨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간에 간극을 형성해 둠으로써,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광섬유 케이블 접속 보드가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접속 커넥터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만곡시켜 유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 최소 곡률 반경이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고,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각각 만곡시켜 유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한다. 케이블 행거 부재는,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반경의 실질적으로 1/4 원호의 형상이며, 광섬유 케이블을, 접속 커넥터로부터 광섬유 케이블로의 접속 방향으로부터 배열 방향으로 만곡시켜 유지해도 된다.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는, 배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 간격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는, 접속 방향에 있어서,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배열 간격보다도 좁은 간격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어도 된다.
케이블 가이드 유닛은,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과,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을 더 포함한다.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은,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보다, 배열 방향을 따라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은,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의 옆을 지나서, 당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끌어져도 된다.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포함되는 케이블 행거 부재는,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포함되는 케이블 행거 부재보다 폭이 좁고,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은,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의 옆을 지나서, 당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끌어져도 된다.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및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묶어 당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끄는 클램프 부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의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며, 이들 특징군의 서브콤비네이션도 역시 발명이 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킬 수 있는 케이블 부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험 장치 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시험 장치
102 테스트 헤드
104 메인 프레임
106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7 댐(dam)
108 광섬유 케이블
110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2 케이블 가이드 유닛
200 플랫형 케이블
202 플랫형 케이블군
204 케이블 수납 체인
206 피스
208 홈
210 클로(claw)
212 갈라짐부
550 클램프 부재
600 케이블 행거 부재
602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4 케이블 행거 부재
606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8 클램프 부재
610 케이블 행거 유지판
612 테스트 보드
614 접속 커넥터
700 광섬유 케이블
702 케이블층
704 슬라이딩 시트
706 케이블군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험 장치 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는 시험 장치 100에서는, 테스트 헤드 102와 메인 프레임 104의 사이에서 신호 전송을 실시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키는 것, 곡률 제한을 만족시킴으로써 광섬유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특히 테스트 헤드 102와 같은 움직이는 기기에 접속되는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간의 둘레길이 차를 조정하는 것, 메인 프레임 104처럼 좁은 공간에서 부설되는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시험 장치 100은, 피시험 디바이스에 테스트 패턴을 인가하는 복수의 테스트 보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헤드 102와, 테스트 헤드 102에 의한 테스트 시퀀스를 제어하는 메인 프레임 104와, 테스트 헤드 102와 메인 프레임 104를 광접속하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 및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과, 다른 구조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과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접속하는 댐(dam) 107과,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포함하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 간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하는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과, 메인 프레임 104가 포함하는 테스트 보드 612에 접속되는 광섬유 케이블 108을 만곡시켜 유지하 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험 장치 100에 의하면, 테스트 헤드 102에 대한 테스트 보드의 탈착시, 피시험 디바이스의 핸들링 장치와의 탈착시 등에 있어서의 테스트 헤드 102의 움직임에 의해,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 간에 둘레길이 차가 발생하는 경우라 해도,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에 의해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 간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 메인 프레임 104가 포함하는 테스트 보드 612에 접속된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 108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켜 파손의 방지, 전송 신호 레벨 손실의 저감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a) 및 (b)에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c)에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AA'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a)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만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만곡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은, 플랫형 케이블 200이 포갬 방향 B로 복수 적층된 플랫형 케이블군 202와, 적층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포갬 방향 B를 향해 만곡 가능한 케이블 수납 체인 204를 포함한다. 케이블 수납 체인이란,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의 주위를 덮음으로써 케이블을 보호해, 케이블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도 2(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복수의 피스 206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구성된다. 복수의 피스 206은, 좌우에 각각 설치된 홈 208 및 클로(claw) 210을 각각 가져, 인접하는 한 피스 206의 홈 208과 다른 피스의 클로 210이 서로 끼워진다. 그리고, 한 피스 206의 클로 210의 움직임이 다른 피스 206의 홈 208의 범위로 제한됨으로써, 인접하는 피스 206 간의 곡각(曲角)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 수납 체인 204의 최소 굽힘 반경이 제한된다. 케이블 수납 체인 204의 최소 굽힘 반경은,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수용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의 굽힘 반경을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게 유지할 수 있다. 플랫형 케이블 200의 허용 굽힘 반경은, 예를 들면 50mm이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형 케이블 200은, 배열 방향 C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이 배열 방향 C로 복수 연결되어 있다. 또,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포갬 방향 B의 케이블 수납 체인 204의 측면에, 케이블 수납 체인 20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라진 갈라짐부 212를 갖는다. 이에 의해,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뒤틀림에 대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플랫형 케이블 200이 적층되지 않는 공간을 포갬 방향 B에 남겨, 플랫형 케이블 200을 적층시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예를 들면 케이블 수납 체인 204가 포갬 방향 B으로 갖는 공간의 폭의 약 60% 이하까지 플랫형 케이블 200을 적층시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수납 체인 204가 포갬 방향 B에 여유를 갖고 플랫형 케이블 200을 유지함으로써, 플랫형 케이블 200을 자유롭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또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에 그 뒤틀림에 의해 플랫형 케이블 200이 받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은,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 간의 둘레길이 차를 조정해,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한다.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은, 케이블 수납 체인 204의 단부를 고정하고,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를 케이블 수납 체인 204로부터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의 내부로 이끈다. 또,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은,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의 내부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를 각각 다른 곡률로 휘게 해서 유지한다. 또,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은,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를 클램프 부재 550에 의해 묶어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의 외부로 이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 104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를 고정한다.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은,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휨 부분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 간에 간극을 형성해 둠으로써,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갖는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굽힘 반경의 차이에 기인하는 둘레길이 차를 흡수한다. 여기서,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의 간극의 간격 D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이 굽어질 가능성이 있는 굽힘 각도에 의거해 산출된다. 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굽힘 각도가 180도인 경우, 플랫형 케이블 200a 및 200b는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간격 D를 플랫형 케이블 200a와 200b의 둘레길이 차의 50% 떨어지게 함으로써, 플랫형 케이블 200a와 200b가 접근해도 서로 부딪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a)에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에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c)에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는, 테스트 보드 612가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커넥터 614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동일 방향으로 만곡시켜 유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와,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에 의해 각각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묶어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외부로 이끄는 클램프 부재 608과,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와 클램프 부재 608을 유지해 테스트 보드 612에 접속되는 케이블 행거 유지판 610을 포함한다. 테스트 보드 612는, 본 발명의 광섬유 케이블 접속 보드의 일례이며, 배열 방향 E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접속 커넥터 614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 104는, 테스트 보드 612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테스트 보드 612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최소 곡률 반경이 광섬유 케이블 108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고, 광섬유 케이블 108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광섬유 케이블 108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반경의 원통으로부터 잘라낸 실질적으로 1/4 원호의 형상이며, 광섬유 케이블 108을, 접속 커넥터 614로부터 광섬유 케이블 108로의 접속 방향 F로부터 배열 방향 E로 만곡시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의 허용 굽힘 반경이 30mm인 경우,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반경 30mm 이상의 실질적으로 1/4 원호의 형상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배열 방향 E에 있어서, 복수의 접속 커넥터 6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 및 604는, 접속 방향 F에 있어서, 배열 방향 E에 있어서의 배열 간격보다 좁은 간격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의 접속 방향 F에 있어서의 부설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와,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4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을 포함한다.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는,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이 만곡하는 곳인 클램프 부재 608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되고, 제2 케이 블 행거 부재군 606은, 클램프 부재 608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는, 배열 방향 E를 따라,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는,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의 2배의 높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4(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에 포함되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0에 의해 각각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은,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에 포함되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 604의 옆을 지나서,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외부로 이끌어진다. 그리고, 클램프 부재 608은,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 및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에 의해 만곡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묶어 고정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의 외부로 이끈다. 클램프 부재 608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광섬유 케이블 108을 누름으로써,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킨 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6에 포함되는 케이블 행거 부재 604는,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에 포함되는 케이블 행거 부재 600보다, 광섬유 케이블 108을 유지하는 부분의 폭이 좁다. 이에 의해, 광섬유 케이블 108의 부설에 필요로 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복수의 테스트 보드 612가 나란히 배치되는 좁은 환경에 있어도, 다수의 광섬유 케이블 108을 적절하게 부설할 수 있다. 또,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 602에 포함되는 케이블 행거 부재 600의 폭은, 테스트 보드 612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양 옆 의 테스트 보드 612를 끼우고 빼는 것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는 것이 없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험 장치 100에 의하면, 상술한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에 의해, 플랫형 케이블 200 및 광섬유 케이블 108의 곡률 제한을 만족시킬 수 있어, 케이블의 균열이나 꺾임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 전송 신호 레벨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에 있어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 간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함으로써 케이블 수납 체인 204 내에서 복수의 플랫형 케이블 200을 자유롭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므로, 플랫형 케이블 200에서의 응력 집중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 110 및 케이블 수납 체인 204는, 한정된 자유 공간 내에서 케이블의 자유도를 제한하여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고, 또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2는 좁은 공간에서 굴곡률을 만족시켜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광섬유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부설에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본 변형예에 따른 광섬유 유닛 106은, 도 2에 도시한 광섬유 유닛 106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은, 배열 방향 C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 700이, 포갬 방향으로 복수 적층된 케이블군 706과, 적층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포갬 방향 B를 향해 만곡 가능한 케이블 수납 체인 204와, 적층된 복수의 광 섬유 케이블 7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딩 시트 704를 포함한다.
케이블군 706은, 배열 방향 C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포함하는 복수의 케이블층 702를 포함한다. 복수의 케이블층 702는, 포갬 방향 B를 따라 적층된다. 슬라이딩 시트 704는, 복수의 케이블층 702의 사이에 설치되며, 케이블 수납 체인 204와 함께 복수의 케이블층 702를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슬라이딩 시트 704의 표면의 마찰계수는, 광섬유 케이블 700의 표면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딩 시트 704의 최소 굽힘 반경은, 광섬유 케이블 700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것, 즉 슬라이딩 시트 704는, 광섬유 케이블 700보다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한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은, 광섬유 케이블이 배열 방향 C로 복수 연결된 플랫형 케이블 200을, 포갬 방향 B로 적층해 구성되었는데, 도 5에 도시한 광섬유 케이블 유닛 106은,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연결하지 않고 배열 방향 C로 배열시키고, 또한 슬라이딩 시트 704를 사이에 끼워 포갬 방향 B로 적층시킨다. 이렇게, 포갬 방향 B에 있어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의 사이에 슬라이딩 시트 704를 설치함으로써, 플랫형 케이블 200이 아닌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케이블 수납 체인 204에 삽입한 경우라도,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의 배열을 무너뜨리지 않고 유지하면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7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를 사용해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할 수 있다.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Claims (13)

  1. 피시험 디바이스를 시험하는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 디바이스에 테스트 패턴을 인가하는 테스트 헤드와,
    상기 테스트 헤드의 테스트 시퀀스를 제어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테스트 헤드를 광접속하는 광섬유 케이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 유닛은,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광섬유 심선을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이, 포갬 방향으로 복수 적층된 케이블군과,
    적층된 복수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포갬 방향을 향해 만곡 가능한 케이블 수납 체인,
    을 포함하는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 유닛은, 적층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딩 시트를 더 포함하는 시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군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층과,
    상기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포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블층에 적층된 제2 케이블층,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시트는, 상기 제1 케이블층과 상기 제2 케이블층의 사이에 설치되는 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납 체인의 최소 굽힘 반경은,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시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상기 케이블 수납 체인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간의 둘레길이 차를 조정해, 상 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하는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를 더 포함하는 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길이 차 흡수 장치는, 상기 케이블 수납 체인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상기 케이블 수납 체인에 수용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각각 휘게 해서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휨 부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간에 간극을 형성해 둠으로써,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의 둘레길이 차를 흡수하는 시험 장치.
  7. 광섬유 케이블 접속 보드가 포함하는 배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접속 커넥터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만곡시켜 유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에 있어서,
    최소 곡률 반경이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각각 만곡시켜 유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행거 부재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큰 반경의 실질적으로 1/4 원호의 형상이며,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상기 접속 커넥터로부터 상기 광섬유 케이블로의 접속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만곡시켜 유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는,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 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 간격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는, 상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간격보다도 좁은 간격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과,
    상기 복수의 케이블 행거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은, 상기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보다,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의 옆을 지나서, 당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끌어지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포함되는 상기 케이블 행거 부재는, 상기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포함되는 상기 케이블 행거 부재보다 폭이 좁고,
    상기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의 옆을 지나서, 당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끌어지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행거 부재군에 의해 만곡된 상기 복수의 광섬유 케이블을 묶어 당 해 케이블 가이드 유닛의 외부로 이끄는 클램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 유닛.
KR1020067008836A 2003-11-05 2004-10-27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Ceased KR200601335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6139 2003-11-05
JPJP-P-2003-00376139 2003-11-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382A Division KR20110092321A (ko) 2003-11-05 2004-10-27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532A true KR20060133532A (ko) 2006-12-26

Family

ID=345671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836A Ceased KR20060133532A (ko) 2003-11-05 2004-10-27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KR1020117014382A Ceased KR20110092321A (ko) 2003-11-05 2004-10-27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382A Ceased KR20110092321A (ko) 2003-11-05 2004-10-27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286742B2 (ko)
EP (2) EP2081037A3 (ko)
JP (1) JP4354458B2 (ko)
KR (2) KR20060133532A (ko)
CN (1) CN100526898C (ko)
MY (1) MY136700A (ko)
TW (1) TW200521454A (ko)
WO (1) WO2005045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532A (ko) * 2003-11-05 2006-12-26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US7260302B2 (en) * 2005-02-16 2007-08-21 Panduit Corp.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JP5328297B2 (ja) * 2008-11-05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US9891121B2 (en) * 2012-05-24 2018-02-1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ttachment method to keep optical fiber in tension
JP6434931B2 (ja) * 2016-04-06 2018-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ケーブル配索構造
CN113224724A (zh) * 2021-04-30 2021-08-0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操控台的电缆布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79128A (fr) * 1960-03-03 1961-12-15 Ericsson Telefon Ab L M Agencement de câble-chaîne
US4858424A (en) * 1988-08-15 1989-08-22 Magnetek Controls Variable radius cable carrier
JPH02148103A (ja) 1988-11-29 1990-06-07 Omron Tateisi Electron Co ファジィ制御装置
JPH02148103U (ko) * 1989-05-18 1990-12-17
US5332865A (en) * 1992-10-02 1994-07-26 W. L. Gore & Associates, Inc. Line guiding assembly
US5240209A (en) * 1992-11-17 1993-08-31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multiple cable carrier
US5335349A (en) * 1992-12-14 1994-08-02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overhead cable distribution assembly
GB9318654D0 (en) * 1993-09-08 1993-10-27 Raychem Sa Nv Optical fibre organizer
JPH0792331A (ja) * 1993-09-22 1995-04-07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端末内光ファイバ余長処理機構
US6586953B1 (en) * 1998-02-05 2003-07-01 Advantest Corporation Optically driven driver, optical output type voltage sensor, and IC testing equipment using these devices
JP2000089038A (ja) * 1998-09-16 2000-03-31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ホルダ
US6243526B1 (en) * 1999-10-26 2001-06-05 Avaya Technology Corp. Storage spool assembly for optical fiber
US6760530B1 (en) * 2000-06-09 2004-07-06 Cisco Technology, Inc. Fiber cable connector clip
US6546181B1 (en) * 2000-11-28 2003-04-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mixed media
JP2002189037A (ja) * 2000-12-21 2002-07-05 Advantest Corp サンプリングデジタイザ及びこのサンプリングデジタイザを備えた半導体集積回路試験装置
JP2003043935A (ja) * 2001-07-27 2003-02-14 Shizuki Electric Co Inc 画像表示装置
US6554483B1 (en) * 2001-10-15 2003-04-29 Molex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cross-connecting optical fibers
US6793259B2 (en) * 2002-03-29 2004-09-21 Yazaki Corporation Electric wire excess length absorbing device and sliding door-use power fee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147896B2 (ja) * 2002-10-28 2008-09-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配索構造
US6915058B2 (en) * 2003-02-28 2005-07-05 Corning Cable Systems Llc Retractable optical fiber assembly
US20060188209A1 (en) * 2003-03-31 2006-08-24 Barker Philip J 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frame
KR20060133532A (ko) * 2003-11-05 2006-12-26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시험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 유닛
US7130522B2 (en) * 2004-01-13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wo-dimensional optical fiber ferrule
US7218827B2 (en) * 2004-06-18 2007-05-15 Adc Telecommunications, Inc.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JP4328713B2 (ja) * 2004-11-30 2009-09-0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試験装置、光接続部、及び製造方法
US7194181B2 (en) * 2005-03-31 2007-03-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Adapter block including connector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6898C (zh) 2009-08-12
US7349617B2 (en) 2008-03-25
WO2005045452A1 (ja) 2005-05-19
MY136700A (en) 2008-11-28
EP1720025A4 (en) 2008-04-09
US20070258694A1 (en) 2007-11-08
JP4354458B2 (ja) 2009-10-28
US7286742B2 (en) 2007-10-23
EP2081037A2 (en) 2009-07-22
EP1720025A1 (en) 2006-11-08
CN1875282A (zh) 2006-12-06
KR20110092321A (ko) 2011-08-17
JPWO2005045452A1 (ja) 2007-11-29
EP2081037A3 (en) 2010-03-17
EP2081037A8 (en) 2010-06-23
US20060257093A1 (en) 2006-11-16
TW200521454A (en)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284B2 (en) Device for furcating fiber optic cables
AU2009350790B2 (en) Flat energy cable
KR102359615B1 (ko) 광섬유 케이블
US8290326B2 (en) Flexible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wiring device
US7286742B2 (en) Test apparatus and cable guide unit
CN1131989A (zh) 带枢转盒的用于连接光导纤维的组件
SE439694B (sv) Optisk kabel med stodorgan for de optiska fibrerna
US20130266265A1 (en) Optical Fiber Track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JP2001051128A (ja)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
KR200456289Y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WO2015028619A2 (en) Cable fixation device and method
JP4328713B2 (ja) 試験装置、光接続部、及び製造方法
JP4795270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820379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6584299B2 (ja) ケーブル保持部材
JPH1048491A (ja) コネクタ付光ケーブルの端末構造
JP5074939B2 (ja) 光ファイバ分岐モジュール
JP2025085878A (ja) ケーブル誘導部材、およびケーブル誘導システム
KR20230128808A (ko) Ojc 랙 고정용 폴더블 레일 지지대
WO2003016973A3 (en) Optical fibre management devices
WO2018168364A1 (ja) 光ファイバ配線部材
JP2003087947A (ja) ハーネス配線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434101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4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