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32988A -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 Google Patents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988A
KR20060132988A KR1020067020542A KR20067020542A KR20060132988A KR 20060132988 A KR20060132988 A KR 20060132988A KR 1020067020542 A KR1020067020542 A KR 1020067020542A KR 20067020542 A KR20067020542 A KR 20067020542A KR 20060132988 A KR20060132988 A KR 2006013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network
handover
mobile station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리 빅베르그
토마스 니란더
매그너스 할렌스톨
토마스 왈딘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to KR102006702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2988A/ko
Publication of KR2006013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8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및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는 인가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과 통신하고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고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미니-셀이 진입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셀 식별자를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더 적응된다. 셀 식별자는 핸드오버를 위해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제2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미니-셀을 식별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셀 식별자를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통신하도록 적응된다.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셀 식별자, 액세스 포인트, 이동국.

Description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본 발명은 공중 이동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인가 액세스 네트워크 둘 모두를 결합한 이동 통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공중 이동 네트워크 및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GSM과 같은 임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및 기지국 사이에 행해진 활성 호출은 이동국이 여러 커버리지 에어리어들, 또는 셀들 사이를 이동할 때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셀이 규정되는 방법에 따라서, 핸드오버는 활성 호출이 단순히 상이한 기지국 송수신기(BTS), 상이한 기지국 제어기(BSC) 또는 상이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CS)를 통하여 재-라우팅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또한 임의의 한 셀에서 용량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필요로 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이웃하는 셀 뿐만 아니라, 기지국 제어기(BSC) 및 셀을 제어하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룰 규정하는 것,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하여 어떤 임계 값이 사용될지 및 어느 셀 주파수가 측정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일정한 양의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GSM 네트 워크에서, 기지국 제어기(BSC)는 측정될 주파수의 리스트를 이동국에 송신한다. 두 개의 리스트가 송출될 수 있는데, 제1 리스트는 이동국(MS)이 로밍하고 있는 경우와 같은 유휴 모드를 위해 사용되며, 제2 리스트는 호출이 진행중인 경우인 활성 모드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2 리스트는 이동국이 어느 주파수를 측정하여 보고하는지를 규정한다. 이러한 리스트는 이웃하는 셀의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라 칭하는 한 세트의 값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파수 채널 번호 이외에, 기지국 제어기(BSC)는 또한 모든 이웃하는 셀의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인지한다. 이동국은 이러한 채널 번호에 의해 규정된 주파수를 측정하여 이러한 측정치를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한다. 실제로, 이동국은 단지 여섯 개의 가장 양호한 측정 값에 대해서만, 그리고 단지 이동국이 동기화되고, 결과적으로 기지국에 관한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수신할 수 있는 그러한 셀 주파수에 대해서만 보고한다.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제어기(BSC)로 역 송신된 측정치 보고는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 및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 세기의 표시에 대한 기준을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보고는 정확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번호가 측정 리스트에서 점유된 위치와 관련된다. 이 보고를 토대로 하여, 기지국 제어기(BSC)는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지 및 어느 셀로 핸드오버할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의 개시는 각각의 벤더(vendor)를 위한 표준 GSM 메커니즘에 따라 수행된다. 특히,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로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이동 국가 코드, 이 동 네트워크 코드, 위치 에어리어 코드 및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 셀에 대한 셀 식별자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셀 글로벌 식별자(CGI)를 포함한 셀 식별자를 포함한다. 셀 글로벌 식별자(CGI)는 셀에 대해 획득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및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사용하여 리스트로부터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페칭(fetching)된다. 이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의하여,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어느 다른 MSC가 CGI 값에 의해 규정된 셀을 핸들링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인 셀룰러 네트워크는 이동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저전력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표준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와 함께 사용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 스위칭 세터(MSC)와 같은 핵심 요소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상적인 기지국 제어기(BSC)로서 간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및 이 액세스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은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EP-A-1 207 708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액세스 제어기 및 다수의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로 이루어진다. 액세스 포인트는 광대역 패킷-교환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제어기에 접속된다. 낮은 전력 및 결과적인 낮은 범위의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는 여러 이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당히 근접하게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사무실 건물의 층당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제어기를 접속하기 위하여 기존의 광대역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가 용이해져서, 가입자가 예를 들어, 자신의 집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설치하게 된다. 적절한 비인가-무선 포맷은 디지털 강화 무선 전기통신(DECT), 무선 LAN 및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표준 공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m 인터페이스) 및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적응형 이동 핸드셋은 가입자가 모든 환경에 대해 단지 하나의 전화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SM,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통상적인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에 하나 이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시킬 때의 문제점은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을 매우, 일부 경우에는 수용 불가능하게 높은 레벨로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존재하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수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의 수는 수천 또는 수만 개에 달할 수 있다.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의 관련 요소에서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를 규정하는 것은 시간을 소모하며 고가의 태스크일 것이다. 게다가, 여러 비인가-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 셀에 위치될 수 있다.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에 인접한 셀의 측정에 필요한 주파수의 수 이외에, 그 셀 내에서의 측정에 필요한 주파수의 수는 너무 많아서 통상적인 측정 보고에 포함시킬 수 없다. 게다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개별적인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의 용이성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 및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변화는 갱신될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의 구성이 액세스 포인트의 새로운 위치를 고려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GSM,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통상적인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로의 그리고 상기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통상적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매우 간소화하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분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에 따른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이동국 및 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 적어도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 및 적어도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은 인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과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된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미니-셀에 위치된 이동국과 통신하도록 적응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및 소정의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미니-셀로 진입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국에 셀 식별자를 통신하도록 더 적응된다. 셀 식별자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제2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미니-셀을 식별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셀 식별자를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통신하도록 적응된다.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미니-셀을 나타내는 셀 식별자를 이동국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통신함으로써,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시에 기지국에서 구성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셀 식별자는 단지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서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새로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시에 운영 및 유지보수 기능을 매우 간소화한다. 더구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변위, 부가 또는 제거는 공중 인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부가적으로 변경할 필요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 식별자는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모든 미니-셀에 대하여 동일하다. 이것은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서 구성되어야 하는 식별자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구성 오버헤드를 더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예로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갖는 GSM 네트워크의 파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GSM과 같은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호출의 핸드오버를 위한 시그널링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1은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의 파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및 액세스 부분(10)으로 분할된다. 도면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의 요소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s)(202), 관련된 홈 위치 등록기(HLR)(201)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204)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GSM 아키텍처 요소의 기능 및 구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를 지원하고, 이로 인해,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다른 이동국 및 ISDN과 PSTN 네트워크와 같은 고정-라인 네트워크,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한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및 인터넷과 같은 패킷 및 회선 교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액세스 부분은 본질적으로 그 중 하나가 도1에 도시되어 있고, 규정된 고정 표준 A 및 G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각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내의 MSCs(202) 및 SGSNs(203)와 통신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들(BSS)(1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은 규정된 Abis 공중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 송수신기(BTS)(101)와 통신하는 기지국 제어기(BSC)(103)를 포함한다. 기지국 송수신기(101)는 GSM 표준 Um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MS)(1)과 통신한다. BTS(101) 및 BSC(103)가 BSS(10) 내에서 단일 엔티티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BSC(103)는 종종 BTSs(101)로부터 분리되며,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에도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BSS(10)에 의해 제공된 표준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 이외에,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도면의 하부 절반에서 도시되는 변경된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이것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으로서 설명될 것이다.
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또한 이동 국(1)이 GSM 코어 네트워크 부분, 및 이를 통해, 양방향성 화살표(31)로 도1에 표시된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X)를 경유하여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인가-무선은 이동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운영자가 적절한 조절 체로부터 인가를 획득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임의의 무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비인가-무선 기술은 저전력이므로, 인가된 이동 무선 서비스에 비하여 제한된 범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이동국의 배터리 수명이 더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범위가 적기 때문에, 비인가-무선은 광대역 무선이므로, 개선된 음성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적절한 비인가-무선 프로토콜, 예를 들어, 무선 LAN 프로토콜 또는 디지털 강화 무선 전기통신(DECT)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 크 무선보다 더 낮은 전력 소모 및 고대역폭을 갖는 블루투스 무선이 사용된다.
블루투스 표준은 상이한 장치들 간의 단-거리 접속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무선 링크를 규정한다. 장치는 2.45GHz 주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하는 송수신기를 가지고 있다. 이 대역은 국가에 따른 일정 대역폭 변화에 의해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데이터 이외에, 세 개까지의 음성 채널이 이용 가능하다. 각각의 장치는 IEEE 802 표준으로부터 특정한 48-비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내장 암호화 및 검증이 또한 이용 가능하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으로의 액세스 포인트는 로컬 또는 홈 기지국(HBS)(301)이라 칭해진다. 단지 하나의 홈 기지국(HBS)(301)이 도1에 도시되어 있지만, 수백 개의 이러한 요소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요소는 이동국(MS)(1)과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핸들링하고, 통상적인 GSM 기지국 송수신기(BTS)(103)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셀을 규정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홈 기지국(HBS)(301)은 코너 네트워크 부분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 GSM 표준 A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와 통신하고, 표준 G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와 또한 통신하는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의해 제어된다.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MSC(202) 또는 SGSN(203) 및 이동국(1) 사이의 접속을 제공한다.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의 조인트 기능은 SGSN(203) 및 MSC(202)를 향한 BSS(10)의 동작을 모방한다. 즉,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 터(MSC)(202) 및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20)의 요소에서 볼 때,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의해 구성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은 통상적인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10)인 것처럼 보인다.
공중 이동 네트워크 무선 인터페이스에 더하여 이동국(MS1)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이동국(1) 및 홈 기지국(HBS)(301) 사이의 블루투스 무선에서도 실행된다.
도1에서 Y로 지정된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고정된 네트워크일 수 있는 패킷-교환 광대역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다. 홈 기지국(301)은 이동 네트워크로의 고정된 액세스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입자가 구매하고 가정 또는 사무실 환경과 같은 희망하는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장치이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트래픽 핫스펏(traffic hotspot)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의 파트에서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홈 기지국(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303)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네트워크(302)에 의해 제공된 접속을 이용한다. 적절한 네트워크는 ADSL, 이더넷, LMDS, 등을 토대로 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로의 홈 접속이 점점 가입자에게 이용 가능해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을지라도, 홈 기지국(HBS)(301)은 네트워크(302)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단자에 접속되는 반면,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네트워크(302)를 인트라넷 및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또한 링크하는 네트워 크(302)의 에지 라우터(ER)에 접속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IP)은 네트워크(302)를 통한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사이의 통신이 네트워크 유형과 무관하게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 사이의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개방되어, 이러한 접속이 채널을 예약할 필요 없이 항상 이용 가능하게 된다. 네트워크(302)는 바람직하게는 IP-기반 네트워크이지만, ATM-기반 네트워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DSL 기술이 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 기술들은 ATM 층 상부에 직접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ATM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ATM 기반 네트워크는 또한 기저 층의 역할을 하는 IP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홈 기지국(HBS)(301)은 고정된 네트워크(302)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ADSL 또는 CATV 모뎀과 같은 적절한 모뎀의 포트로 자신을 플러그 인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포트는 IP 레벨로 브리징되거나 라우팅되는 인트라넷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IP, DHCP, DNS 등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홈 기지국(HBS)(301)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전용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홈 기지국(HBS)(301)은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X)를 통하여 이동국(10)과 또는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Y)를 통하여 액세스 제어기(303)와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홈 기지국(HBS)(301)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지신이 어느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접속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 이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와의 접속을 또한 설정하는 기능을 한 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홈 기지국(301)은 액세스 제어기(303) 및 이동국(10) 둘 모두에서 볼 때, 본질적으로 투명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한다. 즉, 이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10) 또는 액세스 제어기 중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정보를 IP 레벨 및 그 이상에서 중계한다. 이것은 OSI 기준 모델 층 1과 2 비인가-무선 및 지상 액세스 층 서비스 간의 변환을 간단히 행한다. 따라서, 이동국(10)은 접속에서의 노드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인식함이 없이 액세스 제어기(303)와의 접속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액세스 제어기(303)는 이동국(1)과의 접속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인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10) 및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 둘 모두 내의 기지국(101 및 301)은 6각형 셀(104, 304)에 의해 도1에 도시된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규정한다. 이러한 셀의 상대적인 치수가 도면에서 정확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BTS(101)의 커버리지가 비교적 저전력 HBS(301)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리고, HBS(301)가 HBSC(303)에 접속되는 고정된 광대역 네트워크로의 포트가 존재하는 경우마다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HBS(301)에 의해 발생된 하나 이상의 미니-셀(304)은 통상적인 BTS(101)의 셀(104)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셀들 간의 호출의 핸드오버는 이동 국가 코드, 이동 네트워크 코드, 위치 에어리어 코드와 셀 식별자, 및 어느 BSC(103) 및MSC(202)(또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하다면, SGSN(203))가 이러한 셀을 제어하 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의해 이웃하는 셀의 아이덴티피케이션(identification)을 현재 접속된 액세스 네트워크(10)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통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BSC(103)는 모든 이웃하는 셀로 할당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자신에 접속된 이동국(1)으로 통신하여, 이동국(1)이 관련 주파수를 측정하고 가장 강한 주파수를 다시 보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채널 번호(ARFCN) 이외에, 이 메시지는 또한 식별된 채널 주파수 상에서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그 에어리어에서 특정한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포함한다.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설치로 인한 많은 수의 미니-셀(304)의 도입에 의하여, 이 종류의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은 특히, 미니-셀의 위치가 시간에 걸쳐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해지고 성가셔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셀 식별자를 할당하기보다는 오히려, 기지국 식별자 및 각각의 미니-셀(304)에 대한 주파수 채널 번호, 동일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미니-셀(304)이 동일한 아이덴티피케이션에 의해 GSM 네트워크에 대해 식별된다. 실제로, 전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 더 정확하게는 이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단일 특정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을 할당받는다.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은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코어 네트워크가 GSM인 경우,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등가이다. 상기 예의 목적을 위하여, 셀 식별자는 HBSC-CGI라 칭해질 것이다. 하나 이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은 단 일 관련 셀 식별자(HBSC-CGI)를 가질 것이다.
통상적인 인가된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에서의 부가적인 이탈(departure)에서, 각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단일 셀 섹별자(HBSC-CGI)는 단지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에서만 구성된다.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에서 이웃하는 비인가 무선 셀(304)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 및 이동국(MS)(1)은 통상적인 이동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특히,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1)은 자신들이 우선 액세스 네트워크(30)와의 접속을 설정할 때, 할당된 셀 식별자(HBSC-CGI)를 수신한다. 그 후, 이러한 정보는 활성 호출을 핸들링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브시스템은 차례로 이 식별자(HBSC-CGI)를 핸드오버에 대한 목표 셀로서 통과시킬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부분(10)은 셀 식별자(HBSC-CGI)를 홈 기지국 제어기(303)에 의해 핸들링되는 셀로서 인식하고 핸드오버 요청을 이 노드에 지향시킨다.
도2는 통상적인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을 통하여 이동국(1) 사이에 행해진 활성 호출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홈 기지국(HBSC)(301)으로 핸드오버될 때 이동국(MS)(1),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 홈기지국 제어기(HBSC)(303) 및전용 홈 기지국(HBS)(301) 사이에 행해진 시그널링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2에서, 시그널링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가 도면의 최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MS)은 도면의 양측에 두 번 표시되어 있다. 좌측 이동국(MS-Um)은 표준 GSM Um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우측 이동국(MS-X)은 동일한 이동국의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X-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제 도2의 이벤트 1을 참조하면, GSM 호출이 표준 Um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MS) 및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사이에 설정되었다고 가정된다. 이벤트 2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시스템 정보를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유형 5 메시지로 이동국(MS)에 송신한다. 이것은 이동국(MS)이 핸드오버 목적을 위하여 측정해야 하는 주파수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 리스트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할당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포함한다. 이벤트 3에서, 리스팅된 주파수에 대한 측정 보고가 이동국(MS)으로부터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송신된다. 이벤트 4에서, 이동국은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홈 기지국(HBS)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또는 미니-셀 내로 돌아다닌다. 이동국은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X)를 통하여 홈 기지국(HBS)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한다. 그 후, 이벤트 5에서, 이동국(MS)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식별자(HBSC-CGI)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홈 기지국(HBS)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정보 3-유형 메시지로 송신된다. 그 후, 이벤트 6에서, 이 식별자는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로 송신된다. 이벤트 7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HANDOVER-REQUIRED 메시지(GSM 08.08)를 이동국(MS)에 의해 통신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식별자(HBSC-CGI)를 식별하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로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이벤트 8에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HANDOVER-REQUIRED 메시지를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송신한다. 셀 식별자(CGI) 이외에, 이 메시지는 이제 핸드오버가 성공적인 경우, A-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회로 식별 코드(CIC)를 또한 포함한다. 회로 식별 코드(CIC)는 HBSC-CGI와 함께 코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다. 이 메시지를 수신 시에,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필요한 로컬 자원을 예약하고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이 핸드오버에 할당한다. 이 핸드오버 요청이 어느 홈 기지국(HBS) 및 관련 미니-셀에 관한 것인지를 이 단계에서 홈 기지국 제어기(HBSC)가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이벤트 9에서,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REFERENCE)를 포함한 무선 자원 층(RR)에 관한 필요로 되는 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 후, 이 HANDOVER COMMAND 메시지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 송신되는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HANDOVER-REQUEST-ACK)에 포함된다. 그 후,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이벤트 10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 송신된 HANDOVER COMMAND 메시지로 확인되고, 이벤트 11에서 이동국(MS)에 송신된 HANDOVER COMMAND 메시지로 확인된다.
그 후, 이동국은 홈 기지국(HBS)을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쪽으로 필요한 접속을 설정한다. 이것은 이벤트 12에서 "비인가 핸드오버 액세스"라 칭해지는 적절한 메시지의 송신에 의해 달성된다. 이 메시지는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이벤트 13에서 고정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을 설정한 이후에, 홈 기지국은 이벤트 14에서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 및 광대역 네트워크(302)를 통한 접속을 위한 IP 관련 데이터와 같은 접속에 필요한 부가적으로 모든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 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이 송신되어야 하는 홈 기지국(HBS)의 IP-어드레스 및 UDP를 포함할 수 있다.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메시지를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사용하여 이전 핸드오버 요청과 관련시킬 수 있다. 그 후,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자신에게 이전에 통신된 CIC 값을 사용하여, 할당된 회로를 A-인터페이스를 통하여 IP 자원과 접속시킨다. 마찬가지로,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벤트 15에서 양방향성 음성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음성 IP 어드레스 및 UDP-포트와 같은 필요한 IP 정보를 홈 기지국(HBS)에 송신한다. 그 이후에,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벤트 16에서 성공적인 핸드오버의 확인 시에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 HANDOVER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후,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서 사용된 오래된 음성 경로를 해제할 수 있다.
도3은 홈 기지국(HBS)이 기지국 제어기 및/또는 이동국으로 전달되는 전용 홈 기지국(HBS)의 기능을 갖는 투명한 액세스 포인트인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광대역 네트워크 및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와 직접 통신한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이동국(MS-X) 및 홈 기지국(HBS) 사이의 통신과 관련된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특히, 이벤트 4는 이동국(MS)이 홈 기지국(HBS)과의 비인가 무선 통신을 설정하는 제1 이벤트(4a) 및 이동국이 광대역 IP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부속되는 제2 이벤트(4b)를 포함한다. 이벤트 12에서, 이동국(MS)은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X) 및 광대역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와 직접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한다. 이벤트 13에서 Y-핸드오버 액세스(HO-REFERENCE)는 이동국에 의해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송신되고, 이벤트 14에서 이동국(MS)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사이의 음성 경로가 설정된다. 그 후, 이벤트 15에서 HANDOVER COMPLETE-메시지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신된다.
양 실시예에 대한 시그널링에서, 이벤트 6에서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송신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새로운 유형의 메시지이거나, 대안적으로, 기존 메시지 유형, 예를 들어, 이벤트 3에서 송신된 측정 보고 메시지의 변형일 수 있다. 양 경우에,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이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해야 한다. 이벤트 7에서 송신된 HANDOVER-REQUIRED-메시지는 표준 GSM 메시지여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로 되는 변경을 존재하지 않는다.
베이스 서브시스템(BSS)가 표준 측정 보고 메시지 대신에 변경된 측정 보고 또는 특정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2 및 3의 이벤트 3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된 시스템 정보 유형 5 메시지 내에 이 기능을 표시한다.
불필요한 코어 네트워크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의 부가적인 변경은 이동국(MS)에 의해 제안된 목표 셀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도록 이 기능을 지원할 수 있지만, 핸드오버가 실패하였던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이 리스트는 기지국 제어기(103) 내의 메모리에 유지되고,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의 수신 시에 기지국 제어기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목표 셀로의 핸드오버가 상당한 회수로 실패하면, 목표 셀 식별자(HBSC-CGI)는 리스트에 부가될 것이다. 그 후, 이와 같은 셀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동국에 의한 임의의 갱신된 시도가 부정될 것이다.
핸드오버의 상술된 설명은 단지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서 GSM 네트워크에 관련된다. 그러나,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유사한 방식으로 핸들링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모든 경우에, 셀 식별자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인식되는 형태를 갖도록 선택되어, 이러한 요소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Claims (15)

  1.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포함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로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은 인가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국(1)과 통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기지국(1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각각의 미니-셀에 위치된 이동국(1)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 소정의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와 접속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는 미니-셀로 진입하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고 있을 때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대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의 하나 이상의 미니-셀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셀 식별자를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는 동일한 셀 식별자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미리-셀로 진입하는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는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는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요청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할당하며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포함한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1)으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6.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은 상기 셀 식별자를 단일 셀 어드레스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대역 패킷-교환 네트워크(302)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와 접속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8. 제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 시에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자신의 성능을 이동국에 통지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9.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핸드오버가 소정 회수로 실패하였던 미니-셀을 식별하는 셀 식별자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10)은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메 모리를 참고하고 상기 셀 식별자가 상기 메모리에 포함되는 경우 핸드오버를 부정하도록 더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10. 인가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가된-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20)의 액세스 네트워크(10)와 통신하고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가된-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와 통신하도록 적응된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1)은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면서, 상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비인가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대한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하나 이상의 미니-셀을 식별하고,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인가된-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로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1. 이동국으로 공중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의 셀로부터 상기 공중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미니-셀로 행해진 활성 호출을 핸드오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중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는 상기 셀을 규정하는 액세스 부분(10) 및 상기 액세스 부분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을 포함하며,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고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1)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를 포함하는, 상기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활성 호출을 행하지만, 상기 미니-셀 내에 위치되는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적어도 상기 미니-셀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목표 셀로서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으로 통신하는 단계,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와 관련시키고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고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로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10)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가 상기 로컬 기지국(301)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레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 결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단일 공통 셀 식별자를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모든 미니-셀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14. 제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핸드오버가 소정 회수로 실패하였던 미니-셀을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저장된 셀 식별자를 참고하고 상기 메시지가 저장된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핸드오버를 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15. 제 11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 시에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자신의 성능을 상기 이동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KR1020067020542A 2006-09-30 2004-03-30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Withdrawn KR20060132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0542A KR20060132988A (ko) 2006-09-30 2004-03-30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0542A KR20060132988A (ko) 2006-09-30 2004-03-30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88A true KR20060132988A (ko) 2006-12-22

Family

ID=3781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542A Withdrawn KR20060132988A (ko) 2006-09-30 2004-03-30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29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9B1 (ko) * 2007-05-31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모드 휴대단말기의 셀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9B1 (ko) * 2007-05-31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모드 휴대단말기의 셀 관리 방법 및 장치
US8265636B2 (en) 2007-05-31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ells of multi-mode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76B1 (ko) 모든 액세스 지점에 대해 단일 식별자를 사용하는 인가되지않은 무선 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버
US20070264996A1 (en)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US20070293222A1 (en) Mobile Communications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EP3462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icensed-radio acces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1111035B1 (ko) 이동 전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인증되지 않은 무선액세스 네트워크
EP1786222B1 (en) Access network, gateway and management server for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76262B2 (en) Self-configuring cellular basestation
US2010009335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therein
US20110182243A1 (en) Messaging for paging a mobile station in an unlicensed mobile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80125120A1 (en) Registration Messaging in an Unlicensed Mobile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06012909A1 (en)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EP1827047A1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terminal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corresponding equipment
JP4499783B2 (ja) 免許不要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コアネットワークへ移動機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60019450A (ko) 이종 무선망을 이용한 셀룰라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32988A (ko)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
US20060056395A1 (en) Handover for packet switched data
HK1102056A (en)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WO2005104590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unlicensed radio access networks
KR2006012677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HK1104140A (en) Mobile communications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KR20060040463A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