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9630A -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630A
KR20060129630A KR1020050050212A KR20050050212A KR20060129630A KR 20060129630 A KR20060129630 A KR 20060129630A KR 1020050050212 A KR1020050050212 A KR 1020050050212A KR 20050050212 A KR20050050212 A KR 20050050212A KR 20060129630 A KR20060129630 A KR 20060129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seases
skin
mushrooms
health supple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원식
Original Assignee
민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원식 filed Critical 민원식
Priority to KR102005005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9630A/ko
Publication of KR2006012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63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표고버섯, 차가버섯, 유근피, 호초나무, 갈근, 인동덩굴, 선퇴, 형게, 원방풍, 백렴, 백급, 하고초, 승마, 감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질환이나 각종 알레르기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장기능 및 성인병 등에도 뛰어난 효능을 안출할 수 있으며, 암예방제 및 수술 후 회복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다.
피부미용, 건강보조식품, 표고버섯, 피부질환, 알레르기

Description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 with excellent effect on skin beauty}
본 발명은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 표고버섯, 차가버섯, 유근피, 호초나무, 갈근, 인동덩굴, 선퇴, 형게, 원방풍, 백렴, 백급, 하고초, 승마, 감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일반인들은 피부미용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피부미용을 받거나 각종 기능성 화장품 등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피부노화는 노화에 미치는 요인에 따라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구조와 생리기능이 환경변화와는 무관하게 감퇴하는 것이고, 외인성 노화는 태양광선 등의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광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하며 그 중 자외선은 피부노화의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변화의 주된 원인이 된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환경호르몬 및 새집증후군 등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질환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치료제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는 의약품으로써 피부에 바르거나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해 피부질환을 해소케 하는 것으로 예방적인 차원에서의 피부미용법으로 볼 수 없었다.
이에 각종 피부질환에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예방력을 키워주면서 인체에 유용한 미용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아토피성 피부질환이나 각종 알레르기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오장기능 및 성인병 등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예방이나 수술 후 회복제로서 뛰어난 효능이 있으며,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황버섯 15~20 중량%, 표고버섯 5~10 중량%, 차가버섯 5~10 중량%, 유근피 5~10 중량%, 호초나무 5~10 중량%, 갈근 5~10 중량%, 인동덩굴 5~10 중량%, 선퇴 2~3 중량%, 형게 2~3 중 량%, 원방풍 2~3 중량%, 백렴 2~3 중량%, 백급 2~3 중량%, 하고초 2~3 중량%, 승마 2~3 중량%, 감초 1~2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황버섯은 20 중량%이고, 표고버섯, 치가버섯, 유근피, 호초나무, 갈근 및 인동덩굴은 10 중량%이고, 선퇴, 형게, 원방품, 백렴, 백급, 하고초, 승마는 2.6 중량%이고, 감초는 1.8%일 때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의학에서는 피부 미용과 관련되어 한약을 내복과 외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용모에 손상을 주는 질병 치료 또는 질병 예방, 피부 보호 및 자양, 항노화 효과 등을 추구한다. 한약을 이용한 미용 치료는 한방 미용의 다양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이며, 특히 내복법을 통한 전신의 조리를 통하여 국부를 치료하거나 신체를 보익하는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심신의 건강은 국부적인 미로서 표현되는데, 이건은 치본제근의 치법으로서 전신 건강과 노쇠를 억제하며 안면의 미용을 유지하는 수단이 된다(황리 미용중의학).
한의학에서는 허증을 기허, 양허, 혈허, 음허로 나누고 있으며, 보허약은 보기, 보양, 보혈, 보음으로 분류하게 된다. 현대 연구에서 말하는 허증은 신체의 면역기능저하를 공통점으로 수반하고 있고, 또한 신경과 내분비 조절계통의 기능 이상을 공통 특징으로 표현하는 질환이다. 허증과 용모를 손상시키는 질환과의 관계는 밀접하여 보허약은 미용 임상의 치료에 상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한의학에서는 노쇠해지는 현상을 음양 기혈의 허쇠로 인한 결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보허약은 미용과 관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미용 개선을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활성성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황버섯은 다년생으로 뽕나무 등에 겹쳐서 나는 목재부후균으로서, 초기에는 진흙 덩어리가 뭉쳐진 것처럼 보이다가 다 자란 후에는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약용하기 위해 달이면 노란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다.
차가버섯은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 지방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으로 암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뛰어나다. 바이러스에 의해 착생하여 수액을 먹고 자라는데, 대개 15∼20년 동안 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표고버섯은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참나무류 ·밤나무 ·서어나무 등 활엽수에 발생한다. 갓 지름 6∼10cm이고 표면은 다갈색이며 흑갈색의 가는 솜털 모양의 비늘조각이 덮여 있고 때로는 터져서 흰 살이 보이기도 한다.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점차 펴져서 편평해지며 갓둘레는 어렸을 때는 안쪽으로 말려 백색 또는 담갈색의 피막으로 덮여 있다가 터지면 갓둘레와 자루에 떨어져 붙는다. 한편, 표고버섯은 기를 보충하고, 기갈을 없애며, 풍을 다스리고, 혈을 뚫는다
유근피는 느릅나무껍질로서, 성분이 평범하고 맛이 달며, 대소변의 불통을 통리하고 관절을 이롭게 하고 장위의 습열과 부종과 오림을 다스린다.
호초나무는 위와 대장경의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속이 냉할 때와 담을 없앨 때, 위기능쇠약, 곽란과 가슴앓이에 냉체에 의하여 이질이 있을 때, 토증과 복만감이 있을 때 치아동통 등에 응용케 된다. 또한, 양중의 양성으로 대열하여 미량으로도 식욕증진은 물론 소화작용과 구풍작용이 있어 한풍에 몸이 상풍상한했을 경우에 적효를 거둘 수 있다.
갈근은 겉은 회백색의 섬유성이고 맛이 좀 쓰다. 성분은 녹말이며 한방에서는 발한 ·해열 ·완하제(緩下劑)로서 고열 ·두통 ·고혈압 ·심부전 ·설사 ·어깨가 결릴 때 등에 처방한다.
인동덩굴은 약성이 차고 맛은 달며 약간 쓰다.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경맥을 잘 통하게도 한다. 여러 가지 염증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창상과 종기, 부스럼을 치료한다. 또한, 열로 인하여 생긴 병이나 감기, 호흡기 질병, 매독 등에 효과가 있으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삭이며 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갖가지 옹종 .악창 .옴 .이질 .열병 .연주창 같은 데에 효과가 있고,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두염 .편도선염 .결막염 등 여러 가지 염증질병에도 효과가 크다.
선퇴는 성분이 청량하고 맛이 달며 짜다. 눈이 어두워 물건을 보지 못하는 증세를 다스리며, 충사, 두현, 목혼, 옴, 문둥병, 피부 가려움증, 밤으로 우는 야제증, 말하지 못하는 증 등 소아의 제질환을 전부 치료한다.
형게는 성분이 따뜻하고 약간 매우며 독이 없다. 감기, 두통, 피부의 풍열과 표한을 풀어주고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풍창, 제종을 제거하며 모든 출혈을 멈추는 효능이 있다.
원방풍은 성분이 따뜻하며 맛이 약간달고 맵다. 풍과습으로 인하여 전신의 골절이 아프고 저린것과 머리가 어지럽고 입을 꼭 다물고 열지 못하는 중풍증을 다스린다.
백렴은 성분이 약간 차며 맛이 쓰고 달다. 청열, 해독, 진통약으로 창상, 담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고, 나력, 화상 먹거나 바르면 곪지 않으며, 염창을 치료하는데 많이 쓰이고, 여자의 자궁안이 헐고 붓고 염증이 심한 것과 대하증에 내복하며 소아의 경간증과 학질에 쓴다.
백급은 성분이 약간 차고 맛이 쓰다. 종기의 독과 부스럼을 다스리며 거두어 들이는 수렴공이 많아 주로 외과약으로 쓰이며 특히 여자의 자궁내막염, 대하증, 임신 촉진약으로 백렴과 병용한다.
하고초는 성분이 타고 약간 쓰다. 나력연주창을 고치고 맺힌 기운이 응결된 것을 풀어주며 습으로 저린 것과 한열을 다스린다. 순양의 기를 품었으므로 음기를 만나게 되면 마르게 된다.
승마는 성분이 차고 맛이 달고 쓰며 독이 없다. 위열을 맑게하고 능히 백가지 독을 풀며 약기운을 위로 올리고 목구멍이 아프고 입안이 헐고 이가 아픈 것을 다스린다.
감초는 성분이 따듯하고 맛이 달다. 모든 약을 화해주고 백가지 독을 풀어주며 생으로 쓰면 화를 사해주고 구어서 쓰면 속을 덥게 한다.
본 발명인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물 2000~3000㏄에 넣고 6시간 끓인 후 식히는 작업을 4회 반복한 후 살균처리된 100㏄의 개별 포 장지에 넣어 제공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아토피성 피부질환이나 각종 알레르기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장기능 및 성인병 등에도 뛰어난 효능을 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예방제 및 수술 후 회복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소화기 계통의 질환에도 뛰어난 효능을 가진다.

Claims (2)

  1. 상황버섯 15~20 중량%, 표고버섯 5~10 중량%, 차가버섯 5~10 중량%, 유근피 5~10 중량%, 호초나무 5~10 중량%, 갈근 5~10 중량%, 인동덩굴 5~10 중량%, 선퇴 2~3 중량%, 형게 2~3 중량%, 원방풍 2~3 중량%, 백렴 2~3 중량%, 백급 2~3 중량%, 하고초 2~3 중량%, 승마 2~3 중량%, 감초 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은 20 중량%이고, 표고버섯, 치가버섯, 유근피, 호초나무, 갈근 및 인동덩굴은 10 중량%이고, 선퇴, 형게, 원방품, 백렴, 백급, 하고초, 승마는 2.6 중량%이고, 감초는 1.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KR1020050050212A 2005-06-13 2005-06-13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Ceased KR20060129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12A KR20060129630A (ko) 2005-06-13 2005-06-13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12A KR20060129630A (ko) 2005-06-13 2005-06-13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30A true KR20060129630A (ko) 2006-12-18

Family

ID=3781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212A Ceased KR20060129630A (ko) 2005-06-13 2005-06-13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96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7290A1 (fr) * 2007-07-20 2009-01-21 Caster Extrait polysaccharidique de Lentinu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smétiques ou nutraceutiques comprenant un tel extrait.
CN105768079A (zh) * 2016-03-17 2016-07-20 南京多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硒保健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17290A1 (fr) * 2007-07-20 2009-01-21 Caster Extrait polysaccharidique de Lentinu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smétiques ou nutraceutiques comprenant un tel extrait.
FR2918988A1 (fr) * 2007-07-20 2009-01-23 Caster Soc Par Actions Simplif Extrait polysaccharidique de lentinu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smetiques ou nutraceutiques comprenant un tel extrait.
US8383127B2 (en) 2007-07-20 2013-02-26 Caster Polysaccharide extract of Lentinus and pharmaceutical, cosmetic or nutr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CN105768079A (zh) * 2016-03-17 2016-07-20 南京多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硒保健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Guarino et al. Ethnobotanical study of the Sannio area, Campania, southern Italy
KR100404979B1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222682A1 (en) Nutraceutical Moringa composition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76816B1 (ko) 숙취해소 및 간장과 신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3416534B (zh) 一种富硒养胃茶及其生产方法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Kumar et al. Green blood therapy of wheat grass-Nature’s finest medicine’-A literature review
KR100731160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생약재 조성물
US20100086656A1 (en) Noni juice composition and process therefor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CN104247913A (zh) 一种保健米粉
KR20120058117A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756A (ko) 굼벵이를 포함하는 간 및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25376A (zh) 一种面膜洁颜粉及其制备方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Ariharan et al. Mahavilva-a sacred tree with immense medicinal secrets: a mini review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981853A (zh) 一种营养功能丰富的温和的暖茶饮料配方
KR20060129630A (ko) 피부미용에 탁월한 건강보조식품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