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7087A - 방사선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087A
KR20060127087A KR1020067014996A KR20067014996A KR20060127087A KR 20060127087 A KR20060127087 A KR 20060127087A KR 1020067014996 A KR1020067014996 A KR 1020067014996A KR 20067014996 A KR20067014996 A KR 20067014996A KR 20060127087 A KR20060127087 A KR 2006012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ntillator
crystal
bacl
light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토시 무라카미
켄고 시부야
하루오 사이토
케이수케 아사이
츠네오 혼다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Publication of KR2006012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0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2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the detector being a crystal
    • G01T1/2023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1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fluorine, chlorine, bromine, iodine or unspecified haloge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2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the detector being a crys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발광 효율이 높고, 감쇠 시간이 짧은 형광성분을 가지고, 또한 그 발광 파장이 가시광역, 또는 그것에 보다 가까운 곳에 있는 신틸레이터 결정, 및 그것을 이용한 높은 시간분해능을 가지는 방사선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신틸레이터 결정으로서, 염화바륨(BaCl2)을 이용한다. 신틸레이터로서 염화바륨 결정을 이용하고, 신틸레이터로부터의 수광에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한 방사선 검출장치로서, 상기 신틸레이터로부터의 발광으로서 파장이 250∼350nm인 광을 이용하고, 상기 신틸레이터를 저습도 분위기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장치이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출장치{RADIATION DET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방사선, 특히 감마선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분해능이 극히 빠른 감마선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마선 검출기, 특히 양전자 소멸 감마선(0.511MeV)의 수명측정(Positron Annihilation Lifetime;PAL)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반드시 충분한 시간분해능이 얻어진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실제의 응용에 있어서 시간분해능은 대단히 중요하다. 예컨대, 의료에 있어서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양전자 단층촬영)의 시간분해능이 향상함으로써, 시간정보로부터 양전자의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상승하고, 그 결과, 측정 시간의 단축ㆍ선원강도의 저감 등이 초래되고, 피험자의 부담 저감으로 이어진다. 또한 재료과학에 있어서는, 양전자의 수명측정은 격자결함의 검출에 이용되고 있으므로, 시간분해능의 향상은 검출 감도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감마선 검출기의 시간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래보다도 감쇠시간이 짧은 형광성분을 가지는 신틸레이터 결정이 불가결하지만, 지금까지 실용화되어 있는 신틸레이터 결정의 대부분은, 발광 양자수율이 크지만 형광의 감쇠 시 정수가 수백 나노초로 느린 것(Nal(Tl), Csl(Tl), Csl(Tl), Csl(Na), BGO, CdWO4 등), 또는 감쇠시 정수가 수 나노초 내지 30나노초 정도로 빠르지만 발광 양자수율이 작은 것(CsF, CeF3, CsI, 유기신틸레이터 등)이다.
실용화되어 있는 신틸레이터 중에서는 불화바륨(BaF2)만이 유일하게 서브나노초의 감쇠시 정수(600피코초)를 가지고 있지만(비특허문헌 1), 그 빠른 형광성분의 파장은 225nm로 매우 짧고, 고가의 자외용 검출기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그 취급은 대단히 어렵다.
한편, BaCl2에 관해서 X선 조사후의 규소광 수명이 측정된 적은 있었지만 (비특허문헌 2), 방사선 측정 분야에 있어서는 고속이고 또한 발광량이 큰 재료가 요구되어 왔기 때문에, 또한 이 재료에는 조해성이 있어 사용이 곤란했기 때문에, 신틸레이터의 재료로서는 거의 검토가 행해지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상적인 신틸레이터를 찾아내기 위해서, 높은 발광 강도와 짧은 감쇠시 정수를 더불어 가지고, 또한 저렴한 검출기를 사용할 수 있는 가시광역에서 발광하는 재료의 연구를 행하였다(비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국 특원 2003-106277).
특허문헌 1 : 일본국특개 2003-215251
비특허문헌 1 : M. Laval et al., Nucl. Instm. Meth., 206(1983) 169
비특허문헌 2 : S. E. Derenzo et al., IEEE Nuclear Science Symposium Conference Record 91CH3100-5, vol.1, pp.143-147, 1991
비특허문헌 3 : H. Saito et a1.,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487(2002) 612-617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효율이 높고, 감쇠 시간이 짧은 형광성분을 가지고, 또한 그 발광 파장이 가시광역, 또는 그것에 보다 가까운 곳에 있는 신틸레이터 결정, 및 그것을 이용한 높은 시간분해능을 갖는 방사선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신틸레이터 결정으로서, 염화바륨(BaCl2)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은, 신틸레이터로서 염화바륨(BaCl2) 결정을 이용하고, 신틸레이터로부터의 수광에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한 방사선 검출장치로서, 상기 신틸레이터 로부터의 발광으로서 파장이 250~350nm인 광을 이용하고, 상기 신틸레이터를 저온도 분위기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장치이다. 이 신틸레이터 결정은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신틸레이터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대형의 단결정을 제작할 수 있는 수직 브리지먼법이 적절하다. 이것은, 결정의 원료를 넣은 세로길이의 도가니를, 소정의 온도구배를 갖는 세로형 화로(결정 성장로) 중에서 천천히 강하시키고, 도가니내의 용액의 하단으로부터 고착화시켜서 결정을 얻을 수 있다.
염화바륨(BaCl2)은, 물에 녹기 쉽고(36g/100gH2O at 20℃), 융점 962℃, 단사정계, 923℃에서 상전이하여 입방결정으로 된다. 통상 이수화물로서 알려져 있고, 121℃에서 무수물로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함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바륨(BaCl2) 결정은 조해성이 있기 때문에, 이 신틸레이터를 저습도 분위기에 둘 필요가 있다. 저습도 분위기로 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이 결정을 밀폐환경에 두고 진공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그곳을 질소나 희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로 충만시키거나, 또는 불활성 가스를 플로우시켜도 좋다. 또한, 단시간의 측정의 경우에는, 단지 그 근방에 흡습제를 두는 것 만으로도 좋다.
염화바륨(BaCl2) 결정은 방사선, 특히 감마선을 조사하면 파장 300nm 근방, 즉 250~350nm의 광을 방사하기 때문에, 이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해서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한다.
광전자 증배관은, 광을 전자로 변환하기 위한 광전면과, 그 전자를 증폭하는 증폭부로 구성된다. MCP 내장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해도 좋다. MCP(마이크로 채널 플레이트)는, 유리에 미세한 구멍(채널)이 비어 있는 소자이며, 이 양면에 전압(수kV)을 걸면, 음전위의 측으로부터 입사한 전자가 채널의 벽에 부딪치면서 2차 전자를 방출하여 증폭된다. MCP 내장 광전자 증배관은, 이와 같은 소자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 싱글 폰트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고, 응답 시간을 고속으로 한 광전자 증배관이다. 이와 같은 MCP 내장 광전자 증배관은 시판되고 있고, 예컨대, 하마마쯔호토닉스 주식회사로부터 R3809U 시리즈나 R5916U 시리즈로서 입수가능하다.
또한 BaCl2로부터의 발광량은, 냉각을 행하므로써 증가한다. 그 때문에 결정을 냉각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시간분해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BaCl2의 고속 발광 성분은, 파장 300nm 근방에 나타난다. BaF2 신틸레이터 에서는 그 빠른 발광 성분이 225nm로 매우 짧고, 사용하는 광전자 증배관은, 창재에 고가의 UV유리나 합성 석영을 사용한 것이 아니면 안되지만, 300nm이면 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붕규산 유리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광전면 재료에서도, 225nm 부근에서도 감도가 높은 것은 한정되어 있지만, 300nm이면 근자외~가시역에서 잘 사용되고, 고감도ㆍ저암전류의 바이알칼리를 이용한 광전자 증배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BaCl2는, BaF2에 비해서 사용가능한 광전자 증배관의 종류가 많다. 또한 BaF2 정도가 아니라 하여도, 충분히 짧은 감쇠시 정수를 가지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므로써 높은 시간분해능을 갖는 방사선 검출장치의 실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선 검출장치는, 상기의 염화바륨 결정과 광전자 증배관 이외에, 이들 부품을 결합하여,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해서 적당히 필요한 스펙을 갖는 장치를 조합시켜 이용해도 좋다. 예컨대, 염화바륨 결정과 MCP 내장 광전자 증배관에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조합시키거나, 이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외부 트리거 회로에서 동작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더욱이, 검출된 파형의 처리를 위해 적절하게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는 동시계수법을 이용한 방사선 시간계측에는, 콘스탄트 프랙션 디스크리미네이터(CFD), 시간 1진폭 변환회로(TAC), 멀티채널 애널라이저(MCA)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장치 대신에, 광전자 증배관으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을 고속의 디지털 오실로스코프에서 보존ㆍ수치화하고,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해서 시간차이의 해석을 행한다. 이것은, 우리들이 개발한 수법이다(비특허문헌 1). 이것에 의해, 매우 높은 시간분해능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방사선 검출장치의 측정 대상은, 양전자 소멸 감마선이 바람직하고, 선원은 PET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C-11, N-13, O-15, F-18, 양전자 수명측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Na-22, Ge-68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이용한 측정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로축은 채널 수(시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카운트 수를 나타낸다.
도 3은 BaCl2 신틸레이터와 BaF2 신틸레이터의 측정 파형이 일어서는 시간을 비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BaCl2 신틸레이터의 냉각 측정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리 블록은 액체질소를 이용해서 냉각하지만, 결정 근방에 설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 히터 를 컨트롤하고, 소정의 온도로 유지한다.
도 5는 실시예 3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예증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염화바륨(BaCl2) 결정을 이하의 순서로 작성했다.
내경 60mm의 카본로에 BaCl2(Aldrich제, 순도 99.999%, 성분비 Ba:Cl=1:2, 결정구조 입방정계, 비중 3.096, 굴절율 1.646)를 850g 넣고, 화로에 세트한다. 로터리 펌프와 오일 확산 펌프를 이용해서 화로내를 진공상태로 한다(진공도:~10-5Pa). 이것을 히터로 가열하여 저온건조(120℃, 24시간)한다.
이 화로를 온도승온 프로그램을 따라서 970℃까지 승온후, 24시간 유지한다. 도가니를 내림 속도 0.3mm/h로, 105mm 끌어내린다(약 350시간). 실온까지 냉각하고(96시간), 서서히 냉각후, 취출하고, 성형ㆍ연마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BaCl2 결정을, 실리콘 그리스(grease)를 이용해서 직접 광전자배증관(하마마쯔호토닉스 H3378)의 수광면에 붙이고, 방사선 검출장치로 했다. BaCl2에는 알루미늄제 반사판을 덮어서 발광을 효율 좋게 광전자 증배관으로 유 도하도록 했다. 또한 측정은 단시간이었으므로, BaCl2 근방에 흡습제를 두었다.
한편, 비교를 위해 신틸레이터 결정에 불화바륨(응용광연공업주식회사)을 이용한 동일한 방사선 검출장치를 준비했다.
이들 신틸레이터 결정인 BaCl2는 10mm각의 입방체, BaF2는 직경 30mm, 두께 10mm의 원주상이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측정계에 있어서, 한쪽의 방사선 검출장치에 신틸레이터 결정으로서 염화바륨(BaCl2) 결정을 이용한 것을 이용하고, 또 한쪽에는 불화바륨을 이용한 것을 이용했다.
선원으로서 68Ge를 이용하여, 양전자 소멸 감마선(0.511MeV)의 시간차 측정을 행하였다. 광전자 증배관으로부터의 출력은 2개로 나누어지고, 한쪽을 고속인 디지털 오실로스코프(LeCroy WavePro 7100)에 직접 입력하고, 또 한쪽을 파고식별 기, 및 코우인시던스 회로에 입력하고, 오실로스코프 헤트리거를 걸었다. 측정 데이터는 퍼스널컴퓨터에 받아들이고, 해석을 행하였다.
도 2에 본 장치에서 행한 양전자소멸 감마선의 시간차 측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시간차 측정의 시간분해능(그래프의 반치전폭)은 205ps이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1의 측정 결과로부터, BaCl2 신틸레이터와 BaF2 신틸레이터 의 측정 파형이 일어나는 시간을 비교했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BaF2에서는 900~1300ps의 사이에 분포하지만, BaCl2에서는 이것보다 약간 늦은 1000~1600ps의 사이에 분포하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BaCl2는 BaF2에 육박하는 시간응답성을 갖는 신틸레이터 결정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BaCl2 신틸레이터를 냉각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측정을 행하였다. 도 4는 그 결정의 냉각의 모양을 나타낸다. BaCl2 결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10mm각의 입방체에서, 광전자 증배관의 관면에 실리콘 그리스를 이용해서 직접 첩부하고, 그 반대측의 면에 결정을 냉각하기 위한 구리 블록을 접촉시켰다. 결정과 구리 블록의 사이에도 실리콘 그리스를 도포했다. 결정과 접촉하는 부분의 구리 블록은, 결정에 입사하는 감마선의 감쇠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한 얇게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0.5mm로 했다. 또한 결정이 결로(結露)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정의 주위를 진공으로 했다. 이 장치에서, BaCl2 결정을 -100℃까지 냉각하고, 측정을 행하였다. 도 5는 그 측정 결과이다. 그래프로부터, 시간분해능은 198ps까지 향상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의 비교를 위해, 2개의 신틸레이터 양쪽에 BaF2를 이용해서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 BaF 신틸레이터는 모두 직경 30mm, 두께 10mm의 원주상인 것이다. 얻어진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 시간분해능은 174ps이었다.
이상과 같이, BaCl2 신틸레이터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조합시킨 시간차 측정을 행하면, 실용화되어 있는 기존의 신틸레이터 중에서 가장 빠른 감쇠 정수를 갖는 BaF2와 동일한 정도의 시간분해능을 얻는 것이 가능해서, 양전자 수명측정 등, 고시간 분해능이 필요한 방사선 계측에도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신틸레이터로서 염화바륨(BaCl2) 결정을 이용하고, 신틸레이터로부터의 수광에 광전자 증배관을 이용한 방사선 검출장치로서, 상기 신틸레이터로부터의 발광으로서 파장이 250~350nm인 광을 이용하고, 상기 신틸레이터를 저습도 분위기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틸레이터 결정이 냉각된 방사선 검출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감마선 검출을 위한 방사선 검출장치.
KR1020067014996A 2004-01-19 2005-01-12 방사선 검출장치 Ceased KR20060127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0449 2004-01-19
JP2004010449 2004-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087A true KR20060127087A (ko) 2006-12-11

Family

ID=3479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996A Ceased KR20060127087A (ko) 2004-01-19 2005-01-12 방사선 검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99684A1 (ko)
EP (1) EP1720042A1 (ko)
JP (1) JPWO2005069039A1 (ko)
KR (1) KR20060127087A (ko)
CN (1) CN1910473A (ko)
RU (1) RU2324204C1 (ko)
WO (1) WO20050690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20A3 (ko) * 2011-04-11 2013-0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마선 검출 방법
KR20140064524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이 방출된 위치의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4895A2 (en) * 2007-08-22 2009-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flector and light collimator arrangement for improved light collection in scintillation detectors
CN102472824B (zh) * 2009-07-07 2015-02-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同位素污染物补偿的动态pet成像装置及方法
CN102985848B (zh) * 2010-07-26 2016-03-16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检测面板
KR101265260B1 (ko) 2011-03-22 2013-05-16 한국원자력연구원 제논 및 크립톤 흡착용 냉각액 자동충전 장치
JP5138104B2 (ja) 2011-03-30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多孔質シンチレータ結晶体
US9091768B2 (en) * 2011-06-06 2015-07-28 Canon Kabushiki Kaisha Scintillator material and radiation detector using same
US8751039B1 (en) 2013-02-22 2014-06-10 Remedev, Inc. Remotely-executed medical therapy device
CN103235330A (zh) * 2013-04-25 2013-08-07 贝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钢铁厂用放射性检测装置
CN103344983B (zh) * 2013-06-19 2015-11-25 田志恒 核反应堆蒸汽发生器泄漏监测系统及方法
US11994427B2 (en) * 2018-09-27 2024-05-28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Silicon photomultiplier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the same
CN109405926A (zh) * 2018-12-06 2019-03-01 北京金德创业测控技术有限公司 放射性仪表、利用放射性仪表测量料位、密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8141A (en) * 1984-04-03 1987-04-14 Harshaw/Filtrol Partnership Inorganic scintillator crystal having a highly reflective surface
US4631409A (en) * 1984-04-03 1986-12-23 Harshaw/Filtrol Scintillator crystal having a highly reflective surface
JPH0731370B2 (ja) * 1986-12-27 1995-04-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像変換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放射線像変換体
US5134293A (en) * 1988-07-12 1992-07-28 Universities Research Association, Inc. Scintillator material
US5629515A (en) * 1994-03-23 1997-05-13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ation measuring system having scintillation detectors coupled by optical fibers for multipoint measurement
US5714761A (en) * 1996-05-01 1998-02-03 Phi Applied Physical Sciences Scintillator apparatus
US6534771B1 (en) * 1999-06-08 2003-03-18 Saint Gobain Industrial Ceramics, Inc. Gamma camera plate assembly for PET and SPECT imaging
JP3779596B2 (ja) * 2001-11-16 2006-05-3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ポジトロンエミッショントモグラフィ装置
US7041508B2 (en) * 2002-02-06 2006-05-09 Alerttechsystems, Llc Positron annihilation monitor and method for detecting hazardous materi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20A3 (ko) * 2011-04-11 2013-0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마선 검출 방법
US8993975B2 (en) 2011-04-11 2015-03-31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Gamma ray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gamma ray using the same
KR20140064524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이 방출된 위치의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0473A (zh) 2007-02-07
RU2324204C1 (ru) 2008-05-10
US20080099684A1 (en) 2008-05-01
WO2005069039A1 (ja) 2005-07-28
EP1720042A1 (en) 2006-11-08
JPWO2005069039A1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regor Materials for gamma-ray spectrometers: Inorganic scintillators
Shah et al. CeBr/sub 3/scintillators for gamma-ray spectroscopy
JP4606457B2 (ja) 高計数率シンチレーター
KR20060127087A (ko) 방사선 검출장치
Giaz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scintillator materials properties: SrI2: Eu, CeBr3 and GYGAG: Ce for gamma rays up to 9 MeV
Csáthy et al. Development of an anti-Compton veto for HPGe detectors operated in liquid argon using silicon photo-multipliers
Choi et al. Improving the light collection using a new NaI (Tl) crystal encapsulation
Bloser et al. Scintillator gamma-ray detectors with silicon photomultiplier readouts for high-energy astronomy
JP7097998B2 (ja) 残光を低減するためのアンチモン及びその他のマルチバランスカチオンを含むCsI(Tl)シンチレータ結晶、ならびにシンチレーション結晶を含む放射線検出装置
Belousov et al. Scintillation γ spectrometers for use at nuclear power plants
JP6117490B2 (ja) 高計数率放射線検出器用シンチレータ及び高計数率放射線検出器
Fraile et al. Study of the time response of a LuAG (Pr) crystal for fast timing applications
Otak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liquinert-processed CeBr₃ crystals coupled with a multipixel photon counter
Cherepy et al. Bismuth-loaded plastic scintillator portal monitors
Kling et al. Scintillation properties of cerium-doped gadolinium-scandium-aluminum garnets
JP4137121B2 (ja) 放射線検出装置
Shwartz Scintillation detectors in experiments on high energy physics
Shibuya et al. Outstanding timing resolution of pure CsBr scintillators for coincidence measurements of positron annihilation radiation
Kapusta et al. Avalanche photodiodes in scintillation detection for high resolution PET
Zhu et al.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e-doped Gd 3 Al 2 Ga 3 O 12 scintillator
McConnell Scintillation detectors for x-ray and γ-ray astronomy
Saha Scintillation and semiconductor detectors
MITRA SIMULATION BASED OPTIMIZATION OF INDIGENOUSLY DEVELOPED INORGANIC SCINTILLATORS AND VARIOUS LIGHT SENSORS TO DEVELOP GAMMA SPECTROMETER SYSTEMS
Roberts 12 Lanthanum Halide and Cerium Bromide Scintillators
RU2262722C1 (ru) Световолоконный сцинтилляционный дете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