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542A - Bellows type collar for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Bellows type collar for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6542A KR20060126542A KR1020067014352A KR20067014352A KR20060126542A KR 20060126542 A KR20060126542 A KR 20060126542A KR 1020067014352 A KR1020067014352 A KR 1020067014352A KR 20067014352 A KR20067014352 A KR 20067014352A KR 20060126542 A KR20060126542 A KR 20060126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ar
- bellows
- type collar
- bellows type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개시된 것은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 1)과 그 속에 배치된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 2)와 그리고 라이 컨테이너(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캔틸레버식 드럼(3)과 그리고 전면 적재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기용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이다. 상기 벨로우즈 타입 칼라(20)는 내부 칼라링(21)과 중앙 칼라링(22)과 그리고 외부 칼라링(23)이 제공되어지며, 충전 개구부의 부위 내에서 장치 하우징(1)과 라이 컨테이너(2) 모두에 씰링되게 고정되어진다. 내부 칼라링(21)은 하우징 측면 상에서 위치된 액서스 구멍의 불스-아이(bull's eye) 타입 유리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 컨테이너(2)의 움직임 과정 동안 내부 칼라링(21)이 가능한 주름이 없이 남아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고리모양의 강성요소(stiffening element, 28)를 가시적인 내부 칼라링(21)에 할당함에 의해서 달성되어지며, 상기 강성요소(28)는 둘레부 칼라링(22,23)으로부터 시작하는 내부 칼라링(21)의 변형시킬 수 있는 힘을 차단하는 것이다. Disclosed herein is a machine housing (1), a lye container (2) disposed therein, and a cantilevered drum (3) rotatably disposed in the lye container (2) and front loaded. A bellows-type collar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oor. The bellows type collar 20 is provided with an inner collar 21, a central collar 22 and an outer collar 23, both in the device housing 1 and in the lie container 2 in the region of the filling opening. It is fixed to be sealed. The inner collar 21 can be seen through the bull's eye type glass of the access hole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that the inner collaring 21 remains as free as possible during the movement of the lie container 2. This object is achieved by assigning an annular stiffening element 28 to the visible inner collar 21, which stiffening element 28 starts from the peripheral collars 22, 23. It is to block the deformable force of the collar ring 21.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과 그 속에 배열된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 라이 컨테이너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캔틸러버식 드럼(cantilevered drum)과 그리고 전면 적재 개구부(frontal loading opening)로 구성된 세탁기(washing machine)를 위한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벨로우즈 타입 칼라는 외부(outer), 중앙(central) 그리고 내부(inner) 칼라 링(collar ring)을 포함하며,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영역 내에서 장치 하우징과 라이 컨테이너 모두에 밀봉되게(sealingly) 고정되어지고, 내부 칼라링은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덮개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consists of a machine housing, a lye container arranged therein, a cantilevered drum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lye container, and a frontal loading opening. A bellows-type collar for a washing machine, wherein the bellows-type collar includes an outer, central and inner collar ring and is loaded. It is sealingly fixed to both the device housing and the lie container in the region of the loading opening, wherein the inner coloring is visible through the lid of the loading opening.
이러한 타입의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는 예를 들어 독일 DE 1 707 526 U1호 및 독일 DE 43 04 009 C2호에서 개시되어진다. 이들은 고정된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과 라이 컨테이터(lye container) 사이의 간격(gap)에 걸쳐져 있다. 세탁기의 작동과정 동안, 만일 특히 회전(spinning)하는 동안 불 균일하게 분포된 세탁물의 결과로서 드럼(drum)이 흔들리고(wobble) 드럼과 라이 컨테이너의 공통의 마운팅(common mounting)을 통해서 라이 컨테이너 상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전달되어진다면,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는 진동(vibration)을 받게 된다. 벨로우즈 타입의 칼라는 라이 컨테이너와 장치 하우징 사이의 결과적인 상대적인 움직임을 흡수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칼라(collar)는 탄성재료, 대부분 고무(rubber)로 만들어지며, 드럼의 회전축에 평행한 단면으로 볼 때, 두개의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평행한 칼라 링(collar ring), 외부 및 내부 칼라링과 그리고 상기 두개를 연결하는 중앙 칼라링을 포함하는 Z 또는 S 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외부 및 내부 칼라링이 회전축의 방향 및 이를 가로지르는 방향 모두에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되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라이 컨테이너와 장치 하우징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relative movement)은 칼라(collar)에 의해서 흡수되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특정한 경우에서 주름(crease)을 형성하면서, 중앙 칼라링은 그 원래의 위치로부터 편향되어지고, 칼라 링들은 변형되어진다. 주름(creasing)은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둘레부 라인에 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Bellows-type collars of this type are disclosed, for example, in German DE 1 707 526 U1 and German DE 43 04 009 C2. They span the gap between the fixed machine housing and the lye contain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e drum wobbles as a result of unevenly distributed laundry, especially during spinning, and onto the lie container through common mounting of the drum and the lie container. If this movement is to be transmitted, the lye container is subjected to vibration. The bellows-type collar must absorb the resul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lie container and the device housing. For this purpose, the colla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ostly rubber, with two substantially axially parallel collar rings, external in view of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um. And a Z or S-shaped structure including an inner collar and a central collar connecting the tw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lie container and the device housing is absorbed by the collar, in that the outer and inner collars can be displaced relative to each other in both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direction across it. In this case, in certain cases, forming a crease, the central collar is deflec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ollar rings are deformed. Creasing is formed mainly parallel to the circumference line of the loading opening.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는 세탁기의 작동과정 동안 드럼 속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컨테이너(container)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덮혀진다. 관찰자의 응시(viewer's gaze)는, 실질적으로 내부 칼라링(inner collar ring)인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가시적인 부분(visible part) 상으로 필연적으로 떨어진다. 결과적으 로, 회전(spinning)하는 동안, 칼라 특히 내부 칼라링의 어떠한 변형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보기흉한 자국(ugly impression)을 만들며, 특히 드럼의 흔들림 움직임(wobbling movement) 동안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대응되는 변형을 만들며, 사용자는 세탁기자 정확하게 작동하지 않고 세탁물의 적재에 대처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소위 내부 칼라링의 주름(creasing)에 의해서 야기되는 소위 칼라 플래핑(collar flapping)으로 알려진 소음이 투명한 컨테이너에 인접하여 발생하며, 사용자가 종종 아주 곤란함을 발견할 수 있다. The loading opening is generally covered by a transparent container which allows the inside of the drum to be visibl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e viewer's gaze inevitably falls onto the visible part of the bellows type collar, which is substantially an inner collar ring. As a result, during the spinning, any deformation of the collar, especially the inner collaring, can be clearly seen. This creates a ugly impression, in particular a corresponding deforma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during the wobbling movement of the drum, and the user may feel that the washing machine does not operate correctly and cannot cope with the loading of the laundry. Can be. In addition, noise, known as collar flapping, caused by the so-called crease of the inner collaring, occurs adjacent to the transparent container, and the user often finds it very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작동상태 과정 동안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 type collar)의 변형과 이에 수반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and the accompanying noise that are visible to the user during the cours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이러한 목적은 가시적인 내부 칼라링에 고리모양 강성 요소(annular stiffening element)를 할당하고, 강성 요소(stiffening element)가 중앙 및 외부 칼라링으로부터 내부 칼라링 상으로 변형력(deformation force)의 어떠한 전파(spreading)를 감소시킴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되어진다. This aim is to assign an annular stiffening element to the visible inner coloring and the stiffening element to reduce any spreading of deformation force from the central and outer coloring to the inner coloring. B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작동과정 동안 벨로우즈 타입의 칼라가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항상 전체적으로 변형을 겪어야만 한다는 아이디어(idea)를 포기한다. 이러한 것은, 세탁드럼(laundry drum)의 드럼 넥(drum neck)이 벨로우즈 타입의 칼레에 대해서 아직 실행되지 않는 평균적인 흔들림 움직임(wobbling movement)에서,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의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가장자리와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의 가장자리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displacement)가 칼라의 외부 폴드(outer fold), 즉 중앙 및 외부 칼라링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흡수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가시적인 내부 칼라링은, 적어도 세탁 드럼의 평균적인 흔들림 움직임(wobbling movement) 동안에는 어떠한 주름(creasing)도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강성화(stiffened) 되어진다. 다만, 주름은 칼라의 비-가시적인 외부 폴드(outer fold)의 영역 내에서 발생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bandons the idea that the bellows-type collar must always undergo a total deformation to perform its func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his is the loading opening of the lye container in an average wobbling movement in which the drum neck of the laundry drum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for a bellows type calle. This is because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edge of the edge and the edge of the machine housing can generally be absorbed by the outer fold of the collar, ie the central and outer collaring. The visible internal coloring of the bellows type collar is thus stiffened to the extent that no creases are visible, at least during the average wobbling movement of the washing drum. However, wrinkles occur in the region of the non-visible outer fold of the collar.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내부 칼라링을 완전히 강성화(stiffening) 하는 정도까지는 가지 않는다. 로딩 피크(loading peak)의 경우에 내부 칼라링의 변형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세탁 드럼의 흔들림 움직임이 너무 심해서 드럼 넥(drum neck)이 벨로우즈 타입 칼라에 대해서 실행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회전(spinning) 과정 동안 전체 진동 시스템이 과도하게 큰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어떠한 경우에서도 발생한다. 칼라는 이러한 로딩(loading)에 전체적으로 자연적으로 항복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칼라링은 강성(stiff)으로서 구성되어질 수 없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상기 내부 칼리링의 영역 내의 주름(creasing)은 완전히 방지되어져서는 안 된다. Nevertheles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o to the extent of fully stiffening the inner coloring. In the case of a loading peak,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of the internal coloring is not excluded. This can occur in any case where the drum drum shakes too much so that the drum neck runs against the bellows type collar or the entire vibration system performs excessively large relative movements, for example during the spinning process. do. The collar must naturally surrender to this loading as a whole. As a result, the internal coloring cannot be configured as stiff. Under these conditions, creases in the area of the internal kalliing should not be completely prevented.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즉, 한편으로는 칼라가 평균 응력(stressing)을 받을 때 주름을 상쇄하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로딩 피크(loading peak)의 경우에 칼라의 변형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강성 요소(stiffening element)는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둘레부 라인(circumferential line)에 평행한 링 형상으로 배열되어진다. 따라서 적재 개구부 둘레의 벨로우즈 타입 칼라 상에서 강성효과를 보장한다. To meet these requirements, i.e. to offset wrinkles on the one hand when the collar is under average stress and to allow deformation of the coll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oading peak. For this purpose, the stiffen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ring shape 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loading opening. This ensures a rigid effect on the bellows type collar around the loading opening.
이러한 요구조건은 강성요소(stiffening element)에 의해서 만족되어지는데, 상기 강성요소는 한편으로는 특정 힘까지는 내부 칼라링의 고리모양 형상이 지지되게 유지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힘이 초과되어질 때, 탄성적인 방식(elastic manner)으로 항복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요소(stiffening element)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두꺼운 영역(thickened are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모양 두껍게 된 부분은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제작과정 동안 어떠한 주된 비용의 증가 없이도 생산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칼라 내에서 일체로 되어질 필요가 있는 추가적인 부분이 아니며, 따라서 칼라와 그리고 별개의 강성요소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interaction)과 관련한 어떠한 어려움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그 치수(dimension)는 매우 가변적일 수 있고, 그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서 요구조건에 따라서 간단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This requirement is met by a stiffening element, which on the one hand keeps the annular shape of the inner collaring up to a certain force, while on the other hand it is elastic when this force is exceeded. Surrender in an elastic manner.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an advantageou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tiffening element can consist of a thickened area of the bellows type collar. This annular thickened portion can be produced without any major increase in cos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ellows type collar. This is not an additional part that needs to be integrated within the collar and therefore does not present any difficulty with undesirable interaction between the collar and the separate rigid elements. In addition, the dimensions can be very variable and can be simply appli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by changing the dimensions.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성 금속링(flexible metal ring)이 강성요소(stiffening element)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은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고무(rubber) 상에서 또는 내에서 가황처리(vulcanized) 되어진다. 이러한 변형예는 강성요소가 공간적인 이유로 작은 단면적만을 가질 때 선호되어진다.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metal ring can be used as a stiffening element, which is vulcanized on or in a bellows type collar rubber. It is done. This variant is preferred when the rigid element has only a small cross-sectional area for spatial reasons.
마지막으로, 유연성 금속링은 고리모양 두꺼운 부위 상에 또는 내에서 추가적으로 배열되어질 수 있고, 따라서 강성요소의 양 변형들의 장점들은 세 번째 변형예로서 조합되어질 수 있다. Finally, the flexible metal ring can be further arranged on or in the annular thick portion, so that the advantages of both variants of the rigid element can be combined as a third variant.
강성요소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전체 가시적인 영역 상에서, 즉 전체 내부 칼라링 상에서 가능한 멀리 작용할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벨로우즈 타입 칼라와 내부 칼라링은 하우징 측면 상에서 장치 하우징의 적재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에서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점적인 또 다른 전개는 드럼의 드럼 넥(drum neck)에 가까이 놓인 내부 칼라링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지는 강성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칼라링은 한편으로는 장치 하우징 상에서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고정부(fixing)와 다른 한편으로는 드럼 넥에 가까운 강성요소 사이에서 연장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두개의 카운터 베어링(counter-bearing) 사이에서 연장구성되며, 슬리브의 가시적인 부위를 실질적으로 덮는다. 내부 칼라링의 관찰면(viewing surface)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강성요소는 내부 칼라링의 비-가시적인 측면 상에서 장점적으로 배치되어진다. The rigid element is expected to have the best effect when acting as far as possible on the entire visible area of the bellows type collar, ie on the entire inner coloring. Since the bellows type collar and the inner collar are fixed on the edge of the loading opening of the device housing on the housing side, another advantageous develo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area of the inner collar located close to the drum neck of the drum. Loss is composed of rigid elements. The inner collaring thus extends between the fixing of the bellows type collar on the device housing on the one hand and the rigid element close to the drum neck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it extends between two counter-bearings and substantially covers the visible portion of the sleeve. The rigid elements are advantageously placed on the non-visible side of the inner coloring so as not to damage the viewing surface of the inner coloring.
드럼 넥(drum neck)에 가까운 강성요소의 배열은 또 다른 장점을 가지는데, 강성요소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 내에서 두꺼운 부위(thickened area), 즉 재료의 집중부로서 구성되어지고, 회전하는 드럼 넥(drum neck)이 시작하는 작동과정 동안 심각한 응력에 받을 수 있는 칼라의 위치에서 배치되어지기 때문에, 강성요소는 이러한 지점에서 칼라가 마찰(chafing)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며 어떠한 마모로 유발된 씰링의 부족을 방지한다. The arrangement of rigid elements close to the drum neck has another advantage: the rigid element is constructed as a thickened area, ie, a concentrating part of the material, within the bellows type collar, and is a rotating drum neck. Since the drum neck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collar may be subjected to severe stress during the starting operation, the rigid element simultaneously prevents the collar from chafing at this point and eliminates the lack of sealing caused by any wear. prevent.
내부칼라 슬리브의 강성으로서, 주름(crease)의 형성은 요구되는 대로 벨로우즈 타입칼라의 외부 폴드(outer fold) 속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효과는 이러한 부위 내에서 주름의 형성을 조장함에 의해서 더욱 촉진되어진다. 본 발명의 장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관절된 섹션(articulated section)은 이러한 부위 내에서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변형을 촉진하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덮혀진 섹션 내에서 배치되어진다. 따라서 강성요소의 효과는 증가되어지고, 가시적인 부위는 평균 응력 하에서 주름의 형성으로부터 신뢰가능하게 보호되어진다. As the rigidity of the inner collar sleeve, the formation of creases migrates into the outer fold of the bellows type collar as required. This effect is further facilitated by promoting the formation of wrinkles within these sites. According to an advantageou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articulated section is arranged in a covered sec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which facilitates the deforma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within this area. The effect of the rigid element is thus increased and the visible area is reliably protected from the formation of wrinkles under average stress.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섹션은 그 둘레부(surrounding) 이전에 변형을 허용하자마자 관절된 조인트(articulated joint)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폴드(outer fold)내의 특별한 성형(shaping)에 의해서 아주 간단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의 두꺼운 재료들, 선호적으로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두꺼워진 부위들 사이의 더 얇은 재료의 부위에 의해서 형성되어진 관절된 섹션에 의해서 달성되어진다. 관절된 섹션(articulated section)의 실시예에서, 치수(dimensioning)와 제작은 특히 간단하다. 관절된 섹션은 벨로우즈 타입 칼라 속으로 용이하게 통합되어질 수 있고, 외부 폴드(outer fold)의 대부분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제작되게 배열되어질 수 있다. The sec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acts as an articulated joint as soon as it allows deformation prior to its surrounding. In this case, it can be formed very simply by special shaping in the outer fol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is is achieved by an articulated section formed by two thick materials, preferably a thinner material area between the thickened areas of the bellows type collar. In embodiments of the articulated section, dimensioning and fabrication are particularly simple. The articulated section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bellows type collar and can be arranged to be manufactured at most of the locations of the outer fold.
그 기능에 따르면, 관절된 섹션(articulated section)은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의 가장자리와 주름(creasing)에 의한 변형을 위하여 허용되는 장치 하우징의 가장자리 사이에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길이를 한정한다. 비-균일한 하중 분포와 이로 인해서 야기되는 재료의 불필요한 응력을 대부분 회피하도록, 평균 하중(average loading) 하에서 변형되어질 수 있는 칼라의 부위는 가능한 길게 되어져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만일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덮혀진 섹션 내의 관절된 섹션이 강성요소의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다면, 본 발명의 장점적인 추가적인 전개사항이 된다. 따라서 가능한 가장 큰 칼라의 길이는, 즉 외부 폴드(outer fold)의 전체적인 길이는 평균 하중(average loading) 하에서 변형을 위하여 이용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재료와 제작비용이 공지된 칼라의 비용과 현저하게 다르지 않도록, 크기(dimension)는 통상적인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크기와 다를 필요는 없다. According to its function, the articulated section defines the length of the bellows type collar between the edge of the lye container and the edge of the device housing that is allowed for deformation by creases. In order to avoid most of the non-uniform load distribution and thus the unnecessary stress of the resulting material, the area of the collar that can be deformed under average loading should be as long as possible. As a result, if the articulated section in the covered section of the bellows type colla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rigid element, this is an advantageous further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The largest possible collar length, ie the overall length of the outer fold, becomes available for deformation under average loading. As a result, the dimensions need not be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bellows type collars, so that th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cos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known collars.
본 발명의 원리는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진다.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connection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기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1 and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hrough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타입 칼라의 실시예를 가진 세탁기의 단면을 통과하는 단면도2 is a cross sectional view through a cross section of a washing machine with an embodiment of a bellows type coll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 2 :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1: machine housing 2: lye container
3 : 세탁 및 회전 드럼 4 : 방출 펌프(discharge pump)3: washing and rotating drum 4: discharge pump
5 : 라이 컨테이너(2) 및 드럼(3)의 베어링5: bearing of the
6 :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7 : 유리 윈도우(glass window)6: loading opening 7: glass window
8 : 칼라(collar) 9 : 칼라(8)의 벨로우즈(bellows)8: collar 9: bellows of collar 8
10 : 내부 칼라링 11 : 중앙 칼라링10: internal coloring 11: center coloring
12 : 외부 칼라링 13 : 드럼 넥(drum neck)12: outer collaring 13: drum neck
1 : 벨로우즈 타입 칼라 2 : 내부 칼라링1: Bellows type collar 2: Internal coloring
3 : 중앙 칼라링 4 : 외부 칼라링3: center coloring 4: outer coloring
5 : 내부 칼라링(21)의 자유 가장자리 6 : 외부 칼라링(23)의 자유 가장자리5: free edge of inner collaring 21 6: free edge of outer collaring 23
8 : 내부 칼라링(21)의 고정 가장자리 9 : 외부 칼라링(23)의 고정 가장자리8: fixed edge of
9 : 노우즈(nose) 10 : 관절된 섹션9: nose 10: articulated section
11 : 비드(bead)11: bead
A : 장치 하우징(1)과 라이 컨테이너(2)의 거리A: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 housing 1 and the
D : 드럼(3)의 회전축(axis of rotation)D: axis of rotation of th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washing machine)는 일반적으로 수평한 세탁 및 회전 드럼(3)을 담고있는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 2)가 그 내부에 위치되어진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 1)을 포함한다. 라이 컨테이너(2)는 요구되는 대로 라이 컨테이너(2)로부터 세척액(washing solution)을 펌프해 내는 방출펌프(discharge pump, 4)에 섬프(sump)를 통해서 연결되어진다. 라이 컨테이너(2)와 드럼(3)은 베어링(bearing, 5) 내의 드럼(3)의 전면 측면에서 서로에 대해서 장착되어진다. 비록 라이 컨테이너(2)는 거기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지는 않지만, 드럼(3)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대략적인 수평 회전축(D)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캔틸레버(cantilever)되어질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다. 베어링(5)은 다시 장치 하우징(1) 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방사적으로 응력받은 인장 스프링(tension spring)에 의해서 회전축(D)에 수직하게 장착된 수직면(vertical plane) 내에서 유지되어진다. As shown in FIG. 1, a washing machine generally comprises a machine housing 1 in which a
드럼(3)의 베어링(5)에 반대되는 전면 측면 상에서, 세탁기는 장치 하우 징(machine housing, 1)을 통해서 지나가는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6)와 라이 컨테이너(lye container, 2)와 그리고 드럼(drum, 3)을 가지며, 세탁기가 적재(load) 되어지도록 한다.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6)는 한쪽 측면 상에서 힌지 연결되어지는, 도어와 같이 피벗가능한 불스아이(bull's eye)에 의해서 덮혀지며, 이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윈도우(window, 7)를 포함하며, 세탁기의 작동과정 동안 드럼(3) 속을 볼 수 있도록 한다. On the front side opposite the
세탁기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 8)에 의해서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6)의 부위 내에서 씰링(seal)되어지며, 상기 벨로우즈 타입 칼라는 장치 하우징(1)과 라이 컨테이너(2) 사이의 거리(A)를, 장치 하우징(1) 및 라이 컨테이너(2) 뿐만 아니라 로딩 개구부(6)로의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씰링되게 걸쳐져 있고, 로딩 개구부(6) 둘레부 주위에서 구성된다. The washing machine is sealed in the area of the loading opening 6 by means of a bellows-type collar 8, the bellows-type collar being the device housing 1 and the
세탁기의 작동과정 동안 특히 회전(spinning) 과정 동안, 라이 컨테이너(2)와 함께 드럼(3)은 상당한 진동을 겪게 되나, 장치 하우징(machine housing, 1)은 고정된다. 진동은 라이 컨테이너(2)에 영향을 끼치는데, 왜냐하면 라이 컨테이너와 드럼(3)은 베어링(bearing, 5) 내에서 공통적으로 장착되어지기 때문이다. 칼라(8)는 장치 하우징(1)과 라이 컨테이너(2) 사이의 이러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보상해야만 한다. 벨로우즈 타입 칼라(8)는 한편으로는 그 재료에 관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형상에 관해서 이러한 목적에 대해 적합하게 되어진다. 이러한 벨로우즈 타입 칼라 는 우선 탄성 재료, 선호적으로는 고무(rubber)로 구성되어지며, 다음으로는 회전축에 평행한 단면으로 고려되어질 때 벨로우즈(9)를 가진 Z-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칼라(8)의 팽창(expansion)에 어떠한 손상을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벨로우즈(9)는 또한 장치 하우징(1)과 라이 컨테이너(2) 사이의 영구적으로 큰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한다. 이러한 것은 유리 윈도우(glass window, 7)를 통해서 가시적인 내부 칼라링(10)과 감추어진 외부 폴드(outer fold)를 포함한다. 외부 폴드(outer fold)는 중앙 칼라링(central collar ring, 11)과 외부 칼라링(outer collar ring, 12)으로 구성된다. 외부 칼라링(12)은 내부 칼라링(1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구성되나, Z형상의 벨로우즈에서 내부 칼라링(10)에 외부 칼라링(12)을 연결시키는 중앙 칼라링(central collar ring, 11)은 각을 이루면서 이들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during the spinning process, the
만일 드럼(3)이 비-균일하게 적재되어져서 드럼(3) 내의 세탁물 하중(laundry load)이 불균형을 생성하게 된다면, 드럼(3)은 결과적으로 작동하는 동안 진동을 시작한다. 진동(vibration)은 드럼(3)과 라이 컨테이너(2)의 공통의 마운팅(common mounting, 5)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container)에 전달되어진다. 라이 컨테이너(2)는 거리(A)가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어떤 경우에서 더 크게 되고 더 작게 되는 장치 하우징(1)과 관련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겪게 된다. If the
이러한 움직임은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 8)에 의해서 흡수되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것은 수평하게 뿐만 아니라 수직하게 서로에 대해서 두 개의 칼라 링(10,12)의 변위의 결과가 된다. 상기 링들은 장치 하우징(1) 또는 라이 컨테이너(2) 상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면하는 가장자리에서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거리(distance)의 길이에서의 변화는 중앙 칼라링(11)의 꼬임(twist)에 의해서 보상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칼라링(10,12)들의 각각의 자유로운 가장자리(free edge)들은 꼬임(twisting)으로써 변형되어진다. This movement must be absorbed by the bellows-type collar (8). This results in the displacement of the two collar rings 10, 12 with respect to each other not only horizontally but also vertically. Since the rings are fixed at the edges facing away from each other on the device housing 1 or the
벨로우즈 타입 칼라(9)의 이러한 변형(deformation)은 고리모양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6)를 따라서 볼 때 반드시 균일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것은 라이 컨테이너(2)와 드럼(3)이 회전축(D)의 방향으로 공통적으로 베어링(5)의 스프링 장착된 서스펜션(suspension)의 결과로서 먼저 진동하기 때문이며,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 6)의 둘레의 모든 측면들 상에서 거리(A)가 상기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되어진다. 이러한 움직임은 너무 강해서 드럼 넥(drum neck, 13)을 가진 드럼(3)이 벨로우즈 타입 칼라(9)에 대해서 실행되며, 특히 대략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인 내부 칼라링(10)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라이 컨테이너(2)와 드럼(3)은 하우징(1) 내의 (도시되지 않은) 진동 유닛(vibrating unit)의 서스펜션에서 회전의 중심점으로서 마운팅(mounting, 5)과 함께 흔들거려서(wobble), 적재 개구부의 위치에서 거리(A)는 증가하지만, 다른 위치, 예를 들어 회전축(D)에 대한 반대편 위치에서는 감소하도록 한다. This deformation of the
고정된 장치 하우징(1)에 대한 라이 컨테이너(2)의 이러한 부분적으로 중첩 된 움직임은 벨로우즈 타입 칼라(8)의 동일한 변형의 결과로 된다. 이미 기술되어진 개별적인 칼라링(10,11,12)의 변형 이외에도, 이들은 유리 윈도우(7)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관찰되어질 수 있는 주름(crease)의 결과가 된다. This partially overlapping movement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타입 칼라(bellows-type collar, 20)의 실시예를 가진 세탁기의 섹션을 통한 단면도이다. 이는 외부에서 가시적인 내부 칼라링(21)과 그리고 중앙 칼라링(22)과 외부 칼라링(23)으로 구성된 비-가시적인 외부 폴드(outer fold)로 구성되어진다. 중앙 칼라링(22)은 외부 칼라링(23) 및 내부 칼라링(21)과 그 자유단부들(24,25)을 따라서 결합한다. 공지된 칼라와 같이, 칼라(20)는 장치 하우징(1) 상에서 내부 칼라링(21)의 고정된 가장자리(fixed edge, 26)와 라이 컨테이너(2) 상의 외부 칼라링(25)의 고정된 가장자리(27)에 의해서 고정되어진다. 드럼 넥(drum neck, 13)이 내부 칼라링(21)의 자유 가장자리(free edge, 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지는 통상적인 드럼(3)이 라이 컨테이너(2) 내에 위치되어진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through a section of a washing machine with an embodiment of a bellows-
드럼 넥(13)을 향하여 방향화된 노우즈(nose, 28)의 형태로 된 두꺼운 부위는 내부 칼라링(21)의 중앙 칼라링(22)으로의 전이부에서 자유 가장자리(24)에서 형성되어진다. 중앙 칼라링(22)에서, 이러한 두꺼운 부위는 중앙 칼라링(22)의 단면의 재료 테이퍼링(tapering)에 의해서 형성된 관절된 섹션(articulated section, 29) 속으로 들어간다. 재료적으로 두꺼운 부위로서 구체화되어지는 비드(bead, 30) 가 이에 인접하게 된다. A thick portion in the form of a
노우즈(nose, 28)는 장치 하우징(1) 상의 고정부와 내부 칼라링 상에서 노우즈를 둘러싸는 내부 칼라링(21) 상에서 강성요소(stiffening element)를 형성한다. 상기 노우즈(nose)는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둘레부 라인을 따라서 내부 칼라링(21) 상에서 균일하게 구성되며, 자유 가장자리(24)의 일부로서 구성되어지다. 따라서 자유 가장자리(24)의 고리모양 강성부(annular stiffening)를 형성한다. 이러한 노우즈(nose)는 관찰표면(viewing surface)으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내부 칼라링(21)의 측면 상에서 팽창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확인되어질 수 없고, 벨로우즈 타입 칼라(20)는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통상적인 느낌을 전달한다. The
관절된 섹션(29)과 노우즈(nose, 28)에 인접한 비드(bead, 30)는 중앙 칼라링(22) 상에서 위치되어지고, 따라서 사용자를 향하여 감추어진 부위 내에 위치되어진다. 이들은 적재 개구부(loading opening)의 전체 둘레부 라인을 따라서 균일하게 구성된다. 관절된 섹션(29)은 세탁기의 회전하는 부품 또는 세탁 물품에 의한 기계적인 응력으로부터 보호된 외부 폴드(outer fold) 내의 부위 내에 위치되어지고 노우즈(28)와 비드(30) 사이에 위치되어진 외부 폴드(outer fold)의 특히 탄성적인 부위이다. The
재료적인 두께의 결과로서, 노우즈(28)와 비드(30) 모두는 어떠한 변형력(deformation force)에 대해서 저항을 제공한다. 노우즈(28)와 관절된 섹션(articulated section, 29)과 비드(30) 모두는 라이 컨테이너(2)에 의해서 벨로우즈 타입 칼라(20)에 힘(force)이 있는 경우에 변형을 겪게 되는 외부 폴드 내의 부위를 특별히 한정하게 되나, 나머지 부위는 처음에는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게 남아있다. 힘(force)의 작용이 증가할 때, 단면 형상과 내부 칼라링(210과 비교하여 더 큰 길이의 결과로서, 외부 폴드(outer fold)는 처음에는 변형되어지며, 내부 칼라링(23)은 자유 가장자리(25)를 따라서 중앙 칼라링(22)에 대해서 죄어지고, 외부 칼라링(23) 또는/및 중앙 칼라링(22)은 주름지게 된다. 강성적인 방식으로 어떠한 주름에 대해서 대항하는 노우즈(nose, 28)는 내부 칼라링(21)을 이에 따라서 유도되는 어떠한 주름(creasing)으로부터 특히 보호한다. As a result of the material thickness, both the
라이 컨테이너(2)가 편향되어져서 드럼 넥(drum neck, 13)이 자유 가장자리(24)에 대해서 실행되고 이를 장치 하우징(1)을 향하도록 강제하게 되는 로딩 피크(loading peak)의 경우에 있어서만, 내부 칼라링(21)은 압축을 겪게 되며, 이는 관찰표면의 골(corrugation)의 결과가 된다. 만일 드럼 넥(13)이 라이 컨테이너(2)의 흔들림 움직임의 결과로서 자유 가장자리(24)에 대해서 운영되어져서 드럼 넥(13)이 그 둘레부의 일부 부위에서 자유 가장자리(24)와 단지 접촉하게 된다면, 고리모양 노우즈(annular nose, 28)는 탄성적 변형가능성의 결과로서 대응되는 부위에서 항복되며, 벨로우즈 타입 칼라(20)가 움직여 버리도록 하고 따라서 내부 칼 라링(21)이 변형을 겪도록 한다. Only in the case of a loading peak where the
강성효과(stiffening effect)는 기술되어진 두꺼운 부위(28,30) 내에서 또는 그 위에서 각각 또는 요구되는 대로 유연성 금속링(flexible metal ring)을 가황처리(vulcanising)함에 의해서 달성되어진다. 이러한 것은 재료의 두꺼운 부위에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The stiffening effect is achieved by vulcanizing the flexible metal ring, respectively or as required, within or on the
자유 가장자리(free edge, 24)는 이에 대해서 구동되는 회전하는 드럼 넥(drum neck, 13)의 결과로서 상당한 마모(wear)에 노출되어진다. 만일 노우즈(nose, 28)가 강성적인 방식으로 드럼(13)의 출발력(starting force)에 대해서 대항한다면, 마모는 증가되어진다. 어떠한 마모가 유발하는 벨로우즈 타입 칼라(20)의 씰링의 부족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우즈(28)의 치수는 세탁기의 정상적인 수명동안 연마(abrasion)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계되어져야만 한다. The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59614.3 | 2003-12-18 | ||
DE10359614A DE10359614A1 (en) | 2003-12-18 | 2003-12-18 | Bellows sleeve for washing machin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6542A true KR20060126542A (en) | 2006-12-07 |
KR100778189B1 KR100778189B1 (en) | 2007-11-22 |
Family
ID=3467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4352A KR100778189B1 (en) | 2003-12-18 | 2004-12-16 | Bellows-type collar for washing machines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277559A1 (en) |
EP (1) | EP1697574B1 (en) |
KR (1) | KR100778189B1 (en) |
CN (1) | CN100489181C (en) |
AT (1) | ATE398699T1 (en) |
DE (2) | DE10359614A1 (en) |
ES (1) | ES2308290T3 (en) |
WO (1) | WO2005059228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119B1 (en) * | 2005-10-06 | 2013-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DE102006043922B4 (en) * | 2006-09-14 | 2009-12-10 | Miele & Cie. Kg | Bellows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such as washing machine or washer-dryer |
DE102007010214B3 (en) * | 2007-02-28 | 2008-01-31 | Miele & Cie. Kg | Seal for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has S-shaped cross-section with internal bracing cups |
DE102007012136B4 (en) | 2007-03-12 | 2010-07-01 | Miele & Cie. Kg | Bellows seal for a washing machine |
BRPI0923839B1 (en) * | 2008-12-30 | 2019-06-2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MACHINE |
KR20100129157A (en) | 2009-05-28 | 2010-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US8127464B2 (en) * | 2009-07-31 | 2012-03-06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Front ring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
DE102011005889B4 (en) | 2011-03-22 | 2020-07-23 | BSH Hausgeräte GmbH | Front loading washing machine with a cuff |
DE102011006783B4 (en) | 2011-04-05 | 2019-08-14 | BSH Hausgeräte GmbH | Front-loadable laundry care with a cuff |
CN105821627B (en) * | 2016-06-03 | 2017-09-22 | 康红宾 | Roller washing machine observation window pad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711436C1 (en) * | 1987-04-04 | 1988-07-21 | Goetze Ag | Mounting device for valve stem seals |
DE3843386C2 (en) * | 1988-12-23 | 1996-04-25 | Aeg Hausgeraete Gmbh | Front loading drum washing machine |
DE4304009C2 (en) * | 1993-02-11 | 1999-07-01 | Miele & Cie | Laundry treating appliance |
DE19637206A1 (en) * | 1996-09-12 | 1998-03-19 | Bosch Siemens Hausgeraete | Connecting sleeve for washing machine |
IT1289393B1 (en) * | 1996-09-24 | 1998-10-02 |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 WASHING MACHINE OR SIMILAR WITH HORIZONTAL AXIS ROTATING BASKET |
WO2003012185A2 (en) * | 2001-07-28 | 2003-02-13 | John Herbert North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
KR100484838B1 (en) * | 2002-11-29 | 2005-04-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gasket of drum washer |
-
2003
- 2003-12-18 DE DE10359614A patent/DE1035961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12-16 US US10/582,927 patent/US200702775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12-16 AT AT04804896T patent/ATE398699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16 DE DE502004007408T patent/DE502004007408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16 WO PCT/EP2004/053550 patent/WO2005059228A2/en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16 CN CNB2004800376847A patent/CN10048918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16 KR KR1020067014352A patent/KR10077818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16 ES ES04804896T patent/ES2308290T3/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16 EP EP04804896A patent/EP169757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489181C (en) | 2009-05-20 |
ATE398699T1 (en) | 2008-07-15 |
EP1697574A2 (en) | 2006-09-06 |
KR100778189B1 (en) | 2007-11-22 |
US20070277559A1 (en) | 2007-12-06 |
WO2005059228A3 (en) | 2005-08-11 |
WO2005059228A2 (en) | 2005-06-30 |
CN1894459A (en) | 2007-01-10 |
DE10359614A1 (en) | 2005-07-14 |
EP1697574B1 (en) | 2008-06-18 |
ES2308290T3 (en) | 2008-12-01 |
DE502004007408D1 (en) | 2008-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8189B1 (en) | Bellows-type collar for washing machines | |
EP1960581B1 (en) | Washing machine having a gasket | |
EP2435612B1 (en) | Laundry machine | |
EP2435615B1 (en) | Laundry machine | |
AU2008203387B2 (en) | Suspens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EP1309748A2 (en) | Drum washing machine | |
CA2748841C (en) | Laundry machine | |
CN101387061B (en) | Suspension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 |
AU2008203385B2 (en) | Washing machine | |
EP1522623A1 (en) | Front load laundry washing-machine | |
CN102428223A (en) | Supporting Rack For Laundry Machine | |
WO2001071087B1 (en) | Laundry appliance | |
EP0672778A1 (en) | Washing machine | |
CN100532681C (en) | Gasket of drum washing machine | |
CN214089065U (en) | Clothes nursing machine | |
WO2007091742A1 (en) | Washing machine | |
CN100455710C (en) | Seal gasket of external cylinder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 |
CN218291352U (en) | Outer barrel of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adopting outer barrel | |
ES2334270T3 (en) | BELLOW FOR A COLADA TREATMENT MACHINE AS A WASHING MACHINE OR CLOTHING DRYER. | |
JP5379771B2 (en) | Washing machine | |
CN208649703U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and vibration damping device thereof | |
CN117552222A (en) | Door seal for clothes treatment equipment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 |
JP2024043607A (en) | washing machine | |
JP2005152419A (en) | Inner lid structure of washing machine | |
JPS589568Y2 (en) | A washing tub equipped with a washing rod that can be rotated at w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7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