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302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5302A KR20060125302A KR1020050047272A KR20050047272A KR20060125302A KR 20060125302 A KR20060125302 A KR 20060125302A KR 1020050047272 A KR1020050047272 A KR 1020050047272A KR 20050047272 A KR20050047272 A KR 20050047272A KR 20060125302 A KR20060125302 A KR 20060125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discharge
- powder
- unit
- discharg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와, 상기 얼음저장부내의 얼음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와;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형성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로 토출된 각얼음을 받아 가루 얼음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가루 얼음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루 얼음 장치가 얼음 얼음저장용기에 함께 마련되므로 냉동실 측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ing tray, an ice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ice iced in the ice making tray, and a dispenser unit for receiving and using the ice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The ice storage unit, the ic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ice iced from the ice tray; A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discharge the stored ice to the outside; A conveying member for conveying ice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der ice devic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to receive the ice cube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ion made of powdered ice. As a result, since the powder ice device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ice ice storage container, the design and manufacturing of the freezer compartment are easy,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an open stat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실 측 단면도, Figure 2 is a freezer compartment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부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얼음저장부의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storag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가루 얼음 장치에서 가루 얼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king powdered ice in the powder i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10 : 냉장실 1: body 10: refrigerator
20 : 냉동실 40 : 제빙실 20: freezing chamber 40: ice making chamber
50 : 디스펜서부 100 : 얼음 저장부 50: dispenser 100: ice storage
110 : 얼음저장용기 111 : 이송부재 110: ice storage container 111: transfer member
113 : 구획판 120 : 토출부 113: partition plate 120: discharge part
121 : 제 1 토출부 123 : 제 2 토출부121: first discharge portion 123: second discharge portion
130 : 가루 얼음 장치 130: powder ice devic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루 얼음을 만들어 공급할 수 있는 가루 얼음 장치를 구비한 냉장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and, more particularly, to refrigeration having a powder ice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powdered ic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로부터 열 교환된 공기를 이용하여 각종 식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기, 생선과 같이 결빙온도 이하의 냉동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과, 과일, 야채와 같이 결빙온도 이상의 냉장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이 구획되어 마련된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a variety of foods fresh for a long time by using the heat exchanged air from the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cycle, a freezer compartment for storing frozen food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such as meat, fish, fruits, vegetables As described abov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refrigerated food above the freezing temperature is provided in a compartment.
냉동실에는 외부의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일정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마련되며, 제빙기의 하부에는 제빙기로부터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가 마련된다. 얼음 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은 용도에 따라 각얼음 또는 조각얼음으로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얼음 저장부의 얼음 배출 구조에 관하여는 한국실용출원 제1997-003500호 및 한국특허출원 제1998-004961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The freezer is provided with an ice maker for making ice of a predetermined size by receiv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device, and an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ice iced from the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ice maker.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s crushed into ice cubes or flake ice according to the us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the ice discharge structure of the ice storage unit, Korean Utility Application No. 1997-003500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8-0049615 And the like.
최근에는 가정에서 팥빙수와 같은 식품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가루 얼음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가루 얼음 장치는 얼음 저장부로부터 각얼음을 공급받아 칼날등을 이용하여 가루 얼음으로 분쇄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Recently, a refrigerator having a powder ice device has been developed for making and using food such as red bean shaved ice at home. The powder ice device is a device that receives ice cubes from the ice storage unit and grinds them into powder ice using a blade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는 가루 얼음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가정에서 가루 얼음을 얻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루 얼음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냉동실 도어에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가루 얼음 장치의 부피 만큼 냉동실 도어의 내상이 냉동실 측으로 돌출 하게 되어 냉동실내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obtain powdered ice at home because the powdered ice device is not provided. In addition, even when the powder ice apparatus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it must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the inner phas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protrudes toward the freezer compartment by the volume of the powder ice apparatus, thereby reducing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freezer compartment.
또한, 종래의 얼음저장부는 토출되는 얼음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정량공급이 요구되는 가루 얼음 장치에는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ce storage unit h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ice discharged is not constant,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powder ice apparatus requiring a quantitative supp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 측의 설계 및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가루 얼음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powder ice apparatus which is easy to design and manufacture on the freezer compartment side and has improved space utiliz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루 얼음 장치로 정량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upplying a fixed amount of ice to the powder ice apparatu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와, 상기 얼음저장부내의 얼음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와;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형성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로 토출된 각얼음을 받아 가루 얼음으로 만들어 배출하는 가루 얼음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ing tray, an ice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ce iced in the ice making tray, and a dispenser unit for receiving and using the ice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The ice storage unit, the ice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ice iced from the ice tray; A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discharge the stored ice to the outside; A conveying member for conveying ice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It is achieved by a refrigerator including a powder ice device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for receiving the ice cube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ortion to make the powder ice discharged.
상기 가루 얼음 장치는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owder ice devic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바닥면 및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토출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며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veying member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된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 내의 얼음을 상기 토출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나선날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nsfer member includes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a transfer shaf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transfer shaft to rotat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t may be to include a spiral wing for conveying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이송축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eed shaft may be increased in diameter from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가루얼음장치에서 배출된 가루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or guiding the powder ice discharged from the powder ice apparatus to the dispenser.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제빙된 얼음을 받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와, 상기 얼음저장부내의 얼음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사용하기 위한 디스펜서부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제빙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용기와; 저장된 얼음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얼음을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부재와; 상기 복수의 토출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로 토출된 얼음을 공급받아 가루얼음을 만들어 배출하는 가루 얼음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frigerator having an ice tray, an ice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ce iced in the ice tray, and a dispenser unit for receiving and using the ice in the ice storage unit from the outside The ice storage unit may include an ice storage container configured to store ice iced from the ice making tray; A plurality of discharge parts form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discharge the stored ice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conveying members for conveying ice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It is also achieved by a refrigerator including a powder ice devic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units to receive the ic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to form and discharge powder ice.
상기 토출부는 상기 가루 얼음 장치로 각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제 1 토출부와, 상기 디스펜서부로 각얼음을 그대로 토출하거나 각얼음을 조각얼음으로 분쇄하여 토출하기 위한 제 2 토출부를 가지며, 상기 가루 얼음 장치는 상기 제 1 토출부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has a first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ice cubes with the powder ice device, and a second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ice cubes with the dispenser portion as it is or by crushing ice cubes into pieces of ic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scharge part.
상기 얼음저장용기는 상기 가루 얼음 장치로 각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공급부와, 상기 디스펜서부로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공급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급부의 바닥면은 사기 제 1 토출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 1 토출부를 향하여 상향경사되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divided into a first supply part for supplying ice cubes to the powder ice device and a second supply part for supplying ice to the dispenser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ly part is opposite to the first discharge part of the fryer. It can be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ion from.
상기 제 1 공급부와 상기 제 2 공급부 사이에는 구획판이 마련되도록 할 수있다. A partition plat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ly part and the second supply part.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연장형성된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 내의 얼음을 상기 토출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나선날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nsfer member includes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a transfer shaf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transfer shaft to rotate ice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t may be to include a spiral wing for conveying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이송축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을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eed shaft may be increased in diameter from the one side toward the other side.
상기 가루 얼음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공급부의 바닥면 하부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powder ice apparatus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pply unit.
상기 가루 얼음 장치에서 배출된 가루얼음과 상기 제 2 토출부에서 토출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powder ice discharged from the powder ice apparatus and the ic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to the dispenser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방식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by-side refrigerator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실 측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얼음 저장부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도 2의 얼음 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eezer compartmen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refrigerator of Figure 1, Figure 3 is the ice of Figure 2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unit.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중간격벽에 의해 냉장실(10) 및 냉동실(20)이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각 냉장실(10) 및 냉동실(20)의 전면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 도어(21)가 마련되어 있고, 각 도어(11, 21)의 내측에는 병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 가이드(23)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냉장고 본체(1)의 우측에 형성된 냉장실(10) 내에는 상부에 냉장실(10) 내를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13)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수납서랍이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ing
냉동실(20)에는 상부에 제빙을 위한 제빙장치가 설치된 제빙실(40)이 구획되어 있고, 냉동실(20)의 중 하부에는 냉장실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선반(13)과 수납서랍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동실 도어(21)의 전면에는 제빙실(40)에서 제빙된 얼음과, 물탱크(미도시)에 저장된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부(50)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펜서부(50)에는 식수의 공급을 위한 워터 디스펜서(51)와,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아이스 디스펜서(53)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펜서부(50)의 상부에는 복수의 버튼키를 갖는 조작패널(55)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분쇄된 조각얼음, 분쇄되지 않은 각얼음 또는 빙수용 가루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In the
제빙실(40) 내에는 외부의 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제빙트레이(41)가 설치되어 있고, 제빙트레이(41)의 하부에는 제빙트레이(41)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10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빙트레이(41)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는 제빙된 얼음을 제빙트레이(4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이빙모터(45)가 마련되며, 제빙트레이(41)의 하부에는 얼음저장부(30)에 저장된 얼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만빙감지레버(43)가 부착되어 있다. A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부(100)는 각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용기(110)와, 저장된 각얼음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얼음저장용기(110)에 형성된 토출부(120)와, 토출부(120)를 향하여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11, 112)와, 토출부(120)에 결합되어 토출부(120)에서 토출된 얼음을 받아 가루 얼음을 만드는 가루 얼음 장치(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얼음저장용기(110)는 제빙트레이(41)에서 이빙된 얼음을 저장한다. 얼음저장용기(110)에는 저장된 각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부(120)가 마련된다. 한편, 얼음저장용기(110)는 용기 내의 각얼음을 토출부(12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재(111, 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토출부(120)는 저장된 각얼음의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로 토출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루 얼음 장치(130)로 토출하기 위한 제 1 토출부(121)와, 저장된 각얼음을 분쇄하지 않고 그대로 토출하거나, 조각 얼음으로 분쇄하여 토출하기 위한 제 2 토출부(122)의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용도를 위하여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토출부(12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 얼음저장용기(110)에는 각 토출부 (121, 122)에 대응하여 용기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13)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음저장용기(110)는 제 1 토출부(121)를 포함하며 구획판(113)에 의해 구획되는 제 1 공급부(115)과, 제 2 토출부 (123)를 포함하며 구획판(113)에 의해 구획되는 제 2 공급부(117)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공급부(115) 및 제 2 공급부(117)에는 각 공급부에 포함된 토출부(121, 122)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11, 11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판(113)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구획판(113)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the
토출부(12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토출부(121)는 대략 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 2 토출부 (123)는 대략 반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토출부(120)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토출부(121)는 하부에 가루 얼음 장치(130)가 마련되므로, 용기 바닥으로부터 가루 얼음 장치(130)의 높이 만큼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도 3참조). 여기서, 가루 얼음 장치(130)를 얼음저장용기(110)의 용기 바닥보다 하측에 마련하는 경우에는 가루 얼음 장치(130)가 얼음 저장부(10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냉동실 도어(21)의 내상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루 얼음 장치(130)가 얼음 저장부(100)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가루 얼음 장치(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바닥보다 같거나 약간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제 1 토출부(121)가 가루 얼음 장치(130)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 1 공급부(115)의 바닥면은 제 1 토출부(121)를 향하여 상향 경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 1 공급부(115)의 바닥면이 제 1 토출부(121)를 향하여 상향 경사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송부재(111)의 작동 정지시 또는 외부 충격 등 진동에 의하여 얼음저장용기(110)에서 가루 얼음 장치(130)로 각얼음이 불필요하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루 얼음 장치(130)내에 각얼음이 고여 발생하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when the
가루 얼음 장치(130)는 얼음저장용기(110)에 마련되어 용기 내의 각얼음을 받아 가루 얼음을 만들어 공급한다. 가루 얼음 장치(13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가루 얼음 배출부 및 분쇄부가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얼음을 분쇄부를 향해 이송시키는 회전체와, 회전체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7)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가루 얼음 장치(130)가 제 1 토출부(121)의 하측에 마련되고, 제 1 공급부(115)의 바닥면이 제 1 토출부(121)를 향하여 상향경사 되어 있는 경우, 제 1 공급부(115)의 하부에는 바닥면의 상향 경사로 인한 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루 얼음 장치(130)의 구동부(137)를 상기 공간에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37)가 가루 얼음 장치(130)와 가까이 마련됨으로써 구동 효율이 좋아지고, 얼음저장용기(110)의 후방에 별도로 구동부(137)를 위한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되어, 얼음저장용기(110) 후방의 공간을 다른 용도, 예를 들면, 냉동실(20) 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When the
이송부재(111, 112)는 얼음저장용기(11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11c, 112c)와, 일측이 구동모터(111c, 112c)에 결합되고 타측이 토출부(121, 122)를 향하여 연장형성된 이송축(111a, 112a)과, 이송축(111a, 112a)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얼음저장용기(110) 내의 얼음을 토출부(121, 122)를 향해 이송시키는 나선날개(111b, 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급부(115)에 마련되는 이송축(111a)는 구동모터(111c) 측으로부터 토출부(121)측을 향할 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송축(111a)의 직경이 점점 커지는 경우에는 나선날개(111b)가 차지하는 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되므로, 토출부(121)에 가까워질수록 이송되는 얼음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가루 얼음 장치(130)로 일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한편, 제 2 토출부(122) 측에는 얼음저장용기(110) 내의 각얼음을 조각얼음으로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구조를 갖는 냉장고에서 가루 얼음이 만들어 지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of making powdered ice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냉동실(20)에 마련된 얼음저장용기(110)에는 제빙트레이(41)에서 이빙된 얼음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부(50)에 마련된 조작패널(55)를 이용하여 가루 얼음을 선택하고,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아이스디스펜서(53)를 누르면 얼음저장용기(110)의 제 1 공급부(115)에 있는 이송부재(111)가 구동되어 제 1 공급부(115)에 있는 얼음을 제 1 토출부(121)를 향하여 토출시킨다. 이송부재(111a)의 회전과 동시에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가루 얼음 장치(130)의 구동부(137)가 구동되며, 제 1 토출부(121)로 토출된 각얼음을 받아 가루얼음으로 만들어 디스펜서부(50)로 배출하게 된다. First, ice iced from the
각얼음 및 조각얼음을 토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패널(55)를 통하여 각얼음 또는 조각얼음을 선택하면, 제 2 공급부(117)에 있는 이송부재(112)가 구동되어 제 2 공급부(117)의 얼음을 제 2 토출부(123)로 토출시킨다. 이때, 각얼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각얼음이 그대로 토출되며, 조각얼음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 2 토출부 (123)에 마련된 칼날(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조각얼음으로 분쇄하여 토출하게 된다. In the case of discharging ice cubes and ice cubes, when the user selects ice cubes or ice cubes through the
따라서,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는 가루 얼음 장치가 냉동실 도어측에 마련되지 않고 얼음 저장부에 마련됨으로써, 냉동실 도어의 설계가 용이해지고, 내상 발포전에 가루 얼음 장치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며, 냉동실 도어측 내상이 가루 얼음 장치의 부피때문에 냉동실 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냉동실의 공간효율이 향상된다. Therefore, in the refrigerato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owder ice device is not provided at the freezer door side, but is provided in the ice storage unit, so that the design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is easy,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powder ice device before foaming.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eezing chamber door-side inner image from protruding to the freezing chamber side due to the volume of the powder ice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of the freezing chamber.
또한, 이송축(111b)의 직경을 제 1 토출부(121)측을 향하여 증가하도록 마련하는 경우에는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량의 얼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convey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가루 얼음 장치가 얼음 얼음저장용기에 함께 마련되므로 냉동실 측의 설계 및 제조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다. 또한, 가루 얼음 장치로 일정량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어 가루 얼음 장치의 과부하 및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der ice device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ice ice storage container, the freezer compartment is easy to design and manufactur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ice can be supplied to the powder ice apparatus, thereby preventing overload and failure of the powder ice apparatus.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272A KR20060125302A (en) | 2005-06-02 | 2005-06-02 | Refrigerator |
US11/431,020 US20060272347A1 (en) | 2005-06-02 | 2006-05-10 | Refrigerator |
CNA2006100887010A CN1873353A (en) | 2005-06-02 | 2006-06-01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272A KR20060125302A (en) | 2005-06-02 | 2005-06-02 |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5302A true KR20060125302A (en) | 2006-12-06 |
Family
ID=3748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7272A Ceased KR20060125302A (en) | 2005-06-02 | 2005-06-02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272347A1 (en) |
KR (1) | KR20060125302A (en) |
CN (1) | CN1873353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248B1 (en) * | 2007-05-28 | 2013-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
KR101415760B1 (en) * | 2007-05-28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extraction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KR101479860B1 (en) * | 2013-10-15 | 2015-01-09 | 이기춘 | A complex ice mak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54454A3 (en) * | 2008-08-13 | 2017-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N101749907B (en) * | 2008-12-19 | 2015-03-25 |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 Refrigerator |
US20110138836A1 (en) * | 2009-12-14 | 2011-06-16 | Whirlpool Corporation | Three functions in a single well |
US20120204592A1 (en) * | 2011-02-11 | 2012-08-16 | General Electric Company | Ice dispenser for dispensing cubed and crushed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
CN102226615B (en) * | 2011-05-31 | 2013-04-17 |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 Refrigerator |
WO2013183890A1 (en) * | 2012-06-07 | 2013-12-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US20140033758A1 (en) * | 2012-08-01 | 2014-02-06 | Whirlpool Corporation | Oscillating and gyrating stir stick for an ice container |
CN102798182B (en) * | 2012-08-03 | 2014-12-10 | 任俊 | Ice storage device of dynamic energy storage device |
KR102465860B1 (en) | 2015-12-24 | 2022-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KR102573774B1 (en) * | 2016-07-13 | 2023-09-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
TR201612397A2 (en) * | 2016-09-01 | 2018-03-21 | Arcelik As | A COOLING DEVICE WITH ICE DISTRIBUTION EQUIPMENT |
US11525615B2 (en) | 2017-12-08 | 2022-12-13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
US10837690B2 (en) | 2017-12-08 | 2020-11-17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
CN109708346B (en) * | 2018-09-28 | 2021-08-24 |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 Door ice-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10852046B2 (en) | 2018-12-10 | 2020-12-01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
US11293680B2 (en) | 2019-06-14 | 2022-04-05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
CN110645748B (en) * | 2019-09-25 | 2021-08-17 | 安徽苏立新能源科技研究院有限公司 | Muddy ice slurry with high ice cont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89888A (en) * | 1973-04-09 | 1975-06-17 | Gen Electric | Combination ice cube and crushed ice dispenser |
US3824805A (en) * | 1973-04-09 | 1974-07-23 | Gen Electric | Combination ice cube and crushed ice dispenser selector means |
US4189063A (en) * | 1977-11-07 | 1980-02-19 | Matthiesen Ralph F | Ice dispenser |
US5050809A (en) * | 1990-03-23 | 1991-09-24 | Rupp Carl A | Flavored shaved cube ice machine |
KR100577184B1 (en) * | 2003-05-28 | 2006-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0565606B1 (en) * | 2003-08-26 | 2006-03-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ice maker |
KR20050077660A (en) * | 2004-01-30 | 2005-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transfer device for refrigerator |
KR20050105315A (en) * | 2004-04-28 | 2005-1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circuit for ice transfer device in refrigerator |
KR20050114109A (en) * | 2004-05-31 | 2005-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Ice feeding device &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7278275B2 (en) * | 2005-03-15 | 2007-10-09 | Whirlpool Corporation | Mechanism for dispensing shaved ice from a refrigeration appliance |
-
2005
- 2005-06-02 KR KR1020050047272A patent/KR20060125302A/en not_active Ceased
-
2006
- 2006-05-10 US US11/431,020 patent/US2006027234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6-01 CN CNA2006100887010A patent/CN1873353A/en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248B1 (en) * | 2007-05-28 | 2013-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
KR101415760B1 (en) * | 2007-05-28 | 2014-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extraction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KR101479860B1 (en) * | 2013-10-15 | 2015-01-09 | 이기춘 | A complex ice mak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272347A1 (en) | 2006-12-07 |
CN1873353A (en) | 2006-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72347A1 (en) | Refrigerator | |
US7797961B2 (en) |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 |
US9261303B2 (en) | Ice-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246586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20060059939A1 (en) | Refrigerator having a shaved ice supplying device | |
US9212841B2 (en) | Refrigerator | |
US7934389B2 (en) | Ice 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 |
US20080034779A1 (en) | Refrigerator | |
EP2154454A2 (en) |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EP2808627B1 (en) | Refrigerator | |
EP3534094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00020897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50058756A (en) | Ice bin and ice cru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US7360377B2 (en) | Refrigerator | |
KR101555756B1 (en) | Ice bin and ice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60115306A (en) | Refrigerator | |
KR20110072393A (en) | Refrigerator | |
KR10172176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JP2007093195A (en) | refrigerator | |
KR20110072436A (en) | Refrigerator | |
KR20060128071A (en) | Refrigerator | |
KR20070009945A (en) | Refrigerator | |
KR20070034394A (en) | Refrigerator | |
KR20070034396A (en) | Refrigerator | |
KR20070034395A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