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4250A -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250A
KR20060124250A KR1020050046071A KR20050046071A KR20060124250A KR 20060124250 A KR20060124250 A KR 20060124250A KR 1020050046071 A KR1020050046071 A KR 1020050046071A KR 20050046071 A KR20050046071 A KR 20050046071A KR 20060124250 A KR20060124250 A KR 20060124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il
greening
pva
polymer pv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817B1 (ko
Inventor
정복덕
Original Assignee
정복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복덕 filed Critical 정복덕
Priority to KR102005004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3Wood, e.g. wood chips o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80Soil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3Solu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의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법면 녹화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법면의 녹화에 있어서 식물의 발아 및 성장에 필수적인 물을 법면에 적기에 적정량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종자가 흡수할 수 있는 유효수분을 대폭 증가시키고 쉽게 발아토록 하며, 토양의 고결화를 방지하여 식물의 성장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 녹화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 녹화재는 마사토와 점질토, 유기질 비료, 질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법면 녹화기반재와 피트머스, 코코피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양생재와 소정량의 향토혼합초종과 농업용수와 더불어 지속적인 보습이 가능토록 흡습력과 보습력이 강한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토양안정제로서 첨가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의 뛰어난 보습 및 흡습효과로 장시간동안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을 머금어 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종자의 초기 발아를 수월케 하고 발아 후에도 식물의 성장속도를 높인다.
또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접착성을 가져 부착망 없이도 법면에 접착되어 응고될 수 있게 하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간의 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펌핑(pumping)에 의한 살수 부착이 가능하며, 강우 시에도 유실이 방지되고 발아된 씨앗이 고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녹화재, 법면녹화재, 배양토, 녹화 공법.

Description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A artificial seed growing soil for slope applies Polymer PVA}
본 발명은 절개지의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법면 녹화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법면의 녹화에 있어서 식물의 발아 및 성장에 필수적인 물을 법면에 적기에 적정량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종자가 흡수할 수 있는 유효수분을 대폭 증가시키고 쉽게 발아토록 하며, 토양의 고결화를 방지하여 식물의 성장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 녹화재에 관한 것이다.
PVA(Polyvinyl Alcohol)는 합성고분자 중에서 수용성이라는 특이한 성질을 갖고 있다. 백색분말로 비중은 0.3~0.7이고 열안정성 및 열가소성은 100~140℃, 단시간의 가열로는 외관의 변화가 없으나 151℃ 전후에서 구조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해 그 이상에서는 서서히 착색된다. 300℃ 부근에서 분해된다. 온수(75℃ 이상)에서는 녹지만 냉수에서는 팽윤만 되는 난용성이다. 산, 알칼리에는 팽윤 또는 용해한다. 박막의 기계적 성질은 다른 합성수지 보다 항장력, 인장강도, 신장도,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가스 투과성은 우수하지만 수증기는 예외적으로 잘 투과된다. 흡습성을 가지며 보습력이 뛰어나고 기계적 성질, 전기적 성질 등은 외부의 습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PVA 수용액은 저장 중에 변질되지 않는다.
또한, 완전 비누와 요소-포르말린, 멜라민-포르말린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혼합해서 이들 열경화성 수지의 내절목 등의 결점을 개량하는데도 이용한다. 제지공업의 경우, PVA수용액을 종이의 표면에 코팅하면 종이의 표면특성, 예를 들면 평활성, 마모성, 내유성, 통기성, 인쇄적성이 개선된다. 종이용 접착제로서도 종래의 전분 대신에 이용되고 있다. 완전비누화인 필름은 물에 녹지 않으며 내유성인 점을 이용해서 식물, 유지 약품 등의 포장에 이용된다. 투습성 및 강도를 이용해 직물, 섬유의 포장에 이용되며 부분 비누화 PVA필름은 수용성을 이용해서 세제, 농약, 염료의 포장에 이용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토목공사의 경우 공사의 목적성과 예산상의 제반 여건에 따라 등고선을 따라 도로를 건설하기 보다는 법면을 발생시키는 상황을 감수하고 직선화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이러한 법면은 더욱 더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절개지가 황토, 마사, 호박돌섞인 토양 등의 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강우에 의하여 세골 현상과 풍화 현상으로 붕괴 및 토사에 의한 사고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외관적으로도 보기 흉한 상태가 되며 절개지가 풍화암, 석회암 등의 암반인 경우 절개과정에서 폭약 등의 발파와 부레카 작업 등의 진동을 이용함으로 충격에 의한 균열 및 발생된 균열로 인한 낙석, 붕괴 등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법면의 경우 그 대부분이 지반여건이나 토양의 형태상 초목이 자생하기에는 상당히 불리한 여건을 지니고 있어 조기에 자생적으로 초지가 조성되거나 수목이 지반에 견고히 활착, 번식하여 주변과 같이 푸른 숲으로 가꾸어질 기대는 현실적으로 기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법면 중 절토나 성토에 의한 토사면의 경우에는 초목종자가 혼합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그대로 살포하여 취부하거나, 크랙이 심하게 발생하고 접착이 불안정한 작업조건을 지니는 암반 절개지와 같은 경우에는 암반 절개면에 망을 치고 앵커를 박아 식생재의 유실에 대비한 다음에 망 위에서 초목종자를 혼합한 인공토양으로 되는 식생재를 취부하는 방법으로 인공녹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한파가 심할 시에는 균열이 생겨 수분의 증발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장기간의 가뭄이 계속될 때는 얇게 시공된 부분에 수분이 빨리 증발되어 건조한 상태가 되는 등 발아된 씨앗이 고사해버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법면녹화의 기본적인 문제해결의 중심은 수분의 공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식물의 생장조건인 태양열과 공기 중 이산화탄소는 무궁무진하지만 물공급은 경사도가 급한 법면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그리 쉽지가 않으며, 법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적합한 토양과 비료를 취부하는 기술 등은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식물이 발아하고 성장하는데 필요불가결한 물을 어떻게 법면에 붙들어 두어 식물에게 필요충분한 양을 공급해 줄 것인가 관한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제적이고 보비력이 우수한 마사토, 점질토, 유기질 비료, 질석, 피트머스, 코코피트, 톱밥, 향토혼 합초종, 화학비료와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물과 혼합하여 식물에 흡수되는 유효수분을 대폭 증가시키고 수분을 장시간 공급할 수 있는 법면 녹화재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PVA의 흡습효과로 종자가 발아되도록 하고 발아 후에도 성장속도를 높이도록 한다.
더하여, 부착망 없이도 법면에 접착되어 응고될 수 있게 하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간의 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펌핑(pumping)에 의한 살수 부착이 가능하며, 강우 시에도 유실이 방지되고 발아된 씨앗이 고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는 마사토와 점질토 및 유기비료와 질석으로 이루어진 녹화기반재와 피트머스와 코코피트, 톱밥과 화학비료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양생재와 더불어 토양안정제로서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첨가해 토양 속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고 식물에 흡수되는 유효수분을 대폭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경사가 급한 법면이거나 자재의 유실 방지를 위해 토양단립제로서 시멘트 응집제를 사용하고 향토혼합초종과 농업용수를 포함해 구성한다.
식생복원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을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것으로 잔디종이 있고, 복원하고자 하는 토양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초본류와 목본류가 사용된다. 상기의 복원용 식물들은 그 자체로도 뛰어난 생장능력을 가진 것들이 사용되나 대체로 복원하고자 하는 대상 토층이 척박한 환경인 경우가 많으므로 복원 후 집중적으로 관리하며, 특히 식물의 빠른 정착을 위하여 시공 단계부터 녹화기반제, 토양안정제, 배합비료 등을 집중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법면녹화재에 흡습의 효과를 반영구적으로 발휘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첨가하여 수분의 증발을 늦추는 한편 상기 수분을 종자 식물에 전달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토양속의 유효수분을 대폭 증가시키고 취부면에 접착이 쉽게 한다. 상기 폴리머 PVA의 첨가에 따라 PVA가 토양에 섞여 골고루 퍼져 혼합되므로 상기 PVA의 특성상 장시간동안 물을 머금어 식물종자에 공급하여 초기 식물의 발아와 성장에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는 상기 PVA가 접착의 효과를 가져 취부장소에 살포할 때 공극이 없이 법면에 접착되고 식물의 씨앗이 강우 등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표 1 >>
명칭 녹화기반재 양생재 토양안정제 토양단립제
혼합재료 마사토 20중량% 피트머스 10중량% 화합물 1㎏/㎥ 화합물 0.3㎏/㎥
점질토 10중량% 코코피트 14.5중량%
유리비료 20중량% 톱밥 10중량%
질석 15중량% 화학비료 0.5중량%
혼합비율 65중량% 35중량%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는 크게 녹화기반재와 양생재, 토양단립제(응집제) 그리고 식물종자인 향토혼합초종을 사용하며 농업용수를 이용해 혼합하고 토양안정제로서 흡습력과 보습력이 뛰어난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녹화기반재는 녹화기반재와 양생재의 총 중량의 합을 100%로 보았을 때, 마사토 20중량%, 점질토 10중량%, 유기질 비료 20중량%, 질석 15중량%의 혼합으로 구성하는데, 상기 식물이 직접 자라는 식양토로 사용하는 마사토와 점질토는 현지 토양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마사토와 점질토 성분이 30~50중량부이면 가능하다. 마사토는 돌이 부식되거나 마모링에 의해 생긴 알갱이이고 점질토는 0.002mm 이하의 토양이 뭉쳐져 있는 것이다. 점질토 성분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점질토나 모래를 추가하여 비율을 맞추어 사용하는데 이는 경제적이며 자체 부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식물의 발아와 성장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상기 유기질 비료는 돈분이나 우분을 최소 6개월 이상 발효시킨 제품으로 유기물이 장시간 유지되므로 식물의 후기 생육을 좋게 한다. 복합비료는 유기물질이 부족한 무기질 비료를 첨가함으로서 식물이 안정되게 생육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질석은 다공질이며 흡수 능력이 좋은 운모, 특히 흑운모의 변질생성물로 규산염광물의 하나로서 채굴한 암석을 잘게 부수어 가열한 물질로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자신 무게의 10배 이상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어 언제라도 필요한 양만큼 식물에게 수분을 보충해 줄 수 있다.
상기 양생재는 녹화기반재와 양생재의 중량의 합을 100%로 보았을 때, 피트머스 10중량%, 코코피트 14.5중량%, 톱밥 10중량%, 화학비료 0.5중량% 의 혼합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피트머스는 습지의 이끼가 오랜 세월동안 퇴적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고압증기로 완전 소독하여 멸균 처리하고 자연 유기섬유질이 풍부하여 보습 보비력이 우수하며 통기성도 탁월하여 뿌리의 발육이 왕성하게 되고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며 하동절기에는 지온의 변화를 적게 하여 건조나 냉해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코코피트는 천연 코코넛 열매중 껍질 부분에서 섬유질을 빼고난 부위에서 추출한 완전 무공해 입자성 유기질 성분으로 리그닌과 셀룰로오스 성분이 많아 흙대용의 원예용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자체에 많은 영양소들을 함유하고 있어서 훌륭한 기반재로 사용가능하다. 환경공해가 없는 재료로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좋아 뿌리 성장이 우수하며, 값이 타용토에 비해 저렴하고 취급이 간편하다. 또한, 토양을 암갈색이나 흑색으로 변화시켜 태양열의 흡수율을 높이고 토양을 산도 5.5 ~ 6.5사이에 고정시키는 중화물질로 구성되며 토양의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여 토양에 유용한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장기간 부패하지 않아 물리성을 개선시킨다.
그리고, 상기 톱밥은 토양에서 식물근계의 호흡증진 및 토양 내 적정 수분 유지하고 토양내 비료효과와 토착미생물 활동촉진을 도우며 토양 산성화 및 토사유실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상기 화학비료는 무기질 원료에 화학적 방법을 가해 제조된 비료로 적 절한 비율로 복합해서 사용한다.
상기 토양단립제는 본 발명에 따른 법면녹화재를 살포할 때 0.3㎏/㎥당을 사용한다. 상기 토양단립제는 시멘트 응집제를 사용하는데 고착성시멘트 10~80중량부, 응회암의 풍화토 20~85중량부, 제오라이트 1~10중량부, 규조토 1~10중량부, 반수석고 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착성 시멘트는 일반시멘트보다 흡수력이 강하고 공극성 및 강도유지를 좋게 하는 제품이며 응회암의 풍화토, 석고, 제오라이트, 규조토 등과 수화 반응하여 접촉성과 응고성이 용이하게 한다. 응회암의 풍화토는 구입이 쉬우며 시멘트의 수화 발열을 저하시키고 유동성의 개선용으로 적합하다. 규조토는 물과 반응하여 응집을 촉진한다. 반수석고는 물에 용해하여 해리하고 응회암의 풍화토 성분과 응집을 일켜 칼슘수화물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녹화기반재와 양생재 그리고 토양단립제에 더하여 토양안정제로서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사용하는데, 취부하는 법면에 1㎏/㎥당을 첨가한다.
상기 PVA는 화학식이 (CH2CHOH)n으로 포리초산비닐의 메탄올 용액에 가성소다를 가해 겔화하여 얻어지는 수용성 수지로서 백색의 입상 또는 분말의 형태이다. 원료인 초산비닐의 초산기 일부를 반응하지 않은 상태로 남겨 유기용제에는 가용이며 물에는 불용으로 되는데 일부 초산기를 남긴 것이 물에 녹기 쉬워 수용액으로 만들어 접착제, 유화제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매우 안정하여 습기가 없는 곳에서 반영구적으로 보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흡수성이 뛰어나 수분을 장시간 포함하여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분이 증발하 면 다시 고체로 변하는데 이때 적절한 양의 물을 재공급하면 다시 토양내에서 적정 수분을 유지하여 식물의 뿌리를 통해 수분을 공급한다.
또한, 접착성이 있기 때문에 녹화재의 조성물이 법면에 응고될 때 접착성을 부여하여 법면에 잘 부착되게 하고 상기 녹화기반재와 양생재의 조성물들이 서로간에 접착성을 가지며 골고루 섞여 법면녹화재로서의 원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설명하지 않은 향토혼합초종은 법면의 녹화를 이루는 기초이며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잔디종이 있고 25g/㎡당을 사용하는데 복원하고자 하는 토양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초본류와 목본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의 재료들의 혼합을 위해 농업용수를 500ℓ/㎥당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토양안정제로서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와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PVA분말 1㎏을 영상 20℃정도의 깨끗한 물 0.1㎥에 뿌려 넣으면서 서서히 저어 1% 용액을 만든다.
2) 상기 1% 용액을 4ton의 깨끗한 물에 부어 넣으면서 충분히 섞이도록 젓는다.
3) 2)에서 생성한 용액에 녹화자재인 녹화기반재와 양생재 및 향토혼합초종과 농업용수를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한다.
4) 젤리 상태가 된 재료를 피스톤 펌프와 호스를 이용하여 취부 장소로 이송 한다.
5) 별도 호스에 의해 이송된 1부피%의 토양단립제(시멘트응집제)와 4)상태의 묽은 녹화자재를 동시에 분사노즐(몰탈펌프와 콤프레샤)에 의해 분사하여 법면에 취부한다.
6) 경사가 급한 법면인 경우에는 토양단립제인 시멘트응집제 1~3부피%를 더 혼합하여 자재의 유실을 방지한다.
7) 시공후 5일정도 건조상태가 계속되어 법면위의 물이 증발된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 추가로 급수하여 PVA가 계속 물을 흡습하여 식물의 생장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접착성이 있어 상기 녹화기반재 및 양생재의 자재들과 더불어 골고루 혼합되어 겔 상태를 이루어 존재하고, 보습력과 흡습력이 뛰어나므로 공급된 수분을 포함하며 혼합된다.
일부 지표층의 수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발하지만 PVA에 의해 포함된 수분은 장시간 법면녹화재의 다른 재료들과 더불어 장시간 존재하게 되고 초기 발아 및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뿌리로 흡수되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상기와 같은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와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방법에 따라 법면에 나타난 작용과 소기의 목적하는 바의 효능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규격이 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공에서 중요한 특성을 자체로 설정하여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시공직후의 부착상태와 보습상태.
- 1차적으로 흡습력과 보습력이 강한 고흡수성 폴리머 PVA에 의하여 겔상태의 재료가 법면인 취부장소에 공극이 없이 접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 20여분 후 토양단립제(응집제)의 응집 작용의 결과로 PVA에 의하여 흡수된 물 이외의 맑은 물이 배출되어 더욱 견고하게 취부된 상태를 유지한다.
2. 시공 3일 후.
- 보습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법면에 균열이나 절리가 보이지 않고 재료가 젖은 스폰지같이 부드럽고, 초장 1~2㎝ 정도의 발아된 향토혼합초종(양잔디)와 2입의 콩과류 떡잎이 군데군데 확인된다.
3. 시공 7일 후.
- 초장 3㎝ 정도의 양잔디가 가는 실처럼 올라와서 푸른빛을 띠며 취부장소인 법면에는 다소 마른상태를 보이는 곳이 있느나 대부분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4. 시공 15일 후.
- 초장 3~5㎝의 많은 양의 양잔디가 가는 실같이 성장해 있고 취부장소 대부분의 표면은 건조되어 딱딱하고 하얗게 되어 법면의 안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5. 시공 30일 후.
- 가느다란 실같은 양잔디의 풀잎이 넓어지며 취부장소 전체에 녹색기운이 보이며 초장 6~7㎝로 시각적으로 전체 법면에 녹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와 같은 비탈진 법면의 녹화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에 의해 충분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법면 녹화에 있어서 식물의 초기 발아가 특히 중요한데, 초기발아는 15℃ 이상의 온도와 습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속적인 온도와 습도의 유지는 조기 발아가 가능한데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는 PVA가 지속적인 보습을 가능케 하므로 적당온도가 되는 봄부터 가을까지 조기 발아하며 단립화한 재료의 내부구조의 생육 활성화 때문에 조기녹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의 흡습력과 보습력으로 종자가 발아되는 시기 동안 충분히 수분을 공급해주고 발아 후에도 재차로 법면에 물을 살수하여 PVA가 수분을 충분히 머금어 식물에 공급함으로 성장속도를 높인다.
더하여, PVA의 접착성에 의해 부착망 없이도 법면에 접착되어 응고될 수 있게 하고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간의 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 펌핑(pumping)에 의한 살수 부착이 가능하며, 강우 시에도 유실이 방지되고 발아된 씨앗이 고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마사토와 점질토 등의 녹화기반재와 화학비료 등의 양생재를 포함하여 경사면등의 법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토양의 복원에 사용하는 법면 녹화재에 있어서,
    식생식물인 향토혼합토종 및 물과 함께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토양안정제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법면에 취부하여;
    상기 토양안정제인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법면녹화재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지속적인 물의 공급이 없이도 초기 식물의 발아에 필요한 물을 식물에 공급하며, 겔상태가 되어 상기 법면에 부착망이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공지된 기술의 PVA분말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섞은 용액상태로 주변의 물을 장시간동안 포함하여 증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3. 절개지의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토양의 복원에 사용되는 법면 녹화재에 있어서,
    마사토 20중량%, 점질토10중량%, 유기비료 20중량%, 질석 15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는 녹화기반재와;
    피트머스 10중량%, 코코피트 14.5중량%, 톱밥 10중량%, 화학비료 0.5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는 양생재와;
    식생식물로서 향토혼합토종 25g/㎡당과 물 500ℓ/㎥당을 사용하고;
    상기 녹화기반재, 양생재, 향토혼합토종 및 물과 함께 고흡수성 폴리머 PVA 1㎏/㎥당를 토양안정제로서 첨가하여 함께 혼합함으로써, 상기 토양안정제인 폴리머 PVA는 법면녹화재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지속적인 물의 공급이 없이도 초기 식물의 발아에 필요한 물을 식물에 공급하며, 겔상태가 되어 상기 법면에 부착망이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PVA는 공지된 기술의 PVA분말 1㎏을 영상 20℃정도의 깨끗한 물 0.1㎥에 서서히 저어 1% 용액을 만든 후;
    상기 1% 용액을 4ton의 물에 부어 충분히 섞인 상태로 장시간동안 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토양단립제로 시멘트응집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PVA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KR1020050046071A 2005-05-31 2005-05-31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Active KR10092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71A KR100925817B1 (ko) 2005-05-31 2005-05-31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71A KR100925817B1 (ko) 2005-05-31 2005-05-31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50A true KR20060124250A (ko) 2006-12-05
KR100925817B1 KR100925817B1 (ko) 2009-11-06

Family

ID=377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71A Active KR100925817B1 (ko) 2005-05-31 2005-05-31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8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14B1 (ko) * 2008-04-11 2010-09-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해안토양개량용 토양개량재 및 이를 이용한 해안토양개량방법
KR101054689B1 (ko) * 2008-08-29 2011-08-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개량제
KR101412522B1 (ko) * 2014-03-25 2014-07-01 (주) 대현이엔씨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1418739B1 (ko) * 2013-11-30 2014-07-11 신일에코텍(주) 이끼를 포함한 비탈면 녹화용 혼합토양
KR101518426B1 (ko) * 2014-07-29 2015-05-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비탈면 녹화용 식생기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424B1 (ko) 2010-03-04 2010-12-28 김규흠 식생네트와 녹화토혼합물을 이용한 법면 녹화구조
WO2014017799A1 (ko) * 2012-07-23 2014-01-30 (주)에이피더블유 사막화 지역의 식생생태계 회복을 위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026A (ja) * 1992-06-01 1994-06-14 Pub Works Res Inst Ministry Of Constr 土壌傾斜面の保護方法
KR970011206A (ko) * 1995-08-21 1997-03-27 이은실 법면녹화기반 조성방법
JP3388309B2 (ja) * 1996-12-27 2003-03-17 ライト工業株式会社 植生基盤
KR20020002116A (ko) * 2000-06-29 2002-01-09 차동천 녹화용 인공토양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14B1 (ko) * 2008-04-11 2010-09-0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해안토양개량용 토양개량재 및 이를 이용한 해안토양개량방법
KR101054689B1 (ko) * 2008-08-29 2011-08-0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개량제
KR101418739B1 (ko) * 2013-11-30 2014-07-11 신일에코텍(주) 이끼를 포함한 비탈면 녹화용 혼합토양
KR101412522B1 (ko) * 2014-03-25 2014-07-01 (주) 대현이엔씨 사면 녹화용 식생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101518426B1 (ko) * 2014-07-29 2015-05-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비탈면 녹화용 식생기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817B1 (ko) 200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038B1 (en) Mulch composition and method
KR20020065909A (ko) 멀치 조성물 및 방법
CN103348831A (zh) 改性沙体
CN109626950A (zh) 生态护坡混凝土及其施工方法
KR100735686B1 (ko) 경사면 식재용 토양 조성물을 이용한 녹화공법
KR100925817B1 (ko) 고흡수성 폴리머 피브이에이를 활용한 법면녹화재
CN103352459A (zh) 利用改性沙体治理沙漠的方法
KR101085352B1 (ko) 사면녹화용 뿜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US3600852A (en) Hardenable plant-seed-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lant growth
KR101231817B1 (ko) 비탈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녹화토양조성물.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N103351868A (zh) 改性沙土
KR100733917B1 (ko) 절토 및 성토면 안정을 위한 녹화공법
KR100765909B1 (ko) 인공 식생기반토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친환경적 녹화방법
KR200331843Y1 (ko) 식물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식생매트
KR100353923B1 (ko) 수화반응물질을 이용한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4258B1 (ko) 잔디종자를 이용한 법면 초지조성방법
KR101606545B1 (ko) 경사면 녹화공법
KR20090045803A (ko) 시드 스프레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990856B1 (ko) 친환경 멀칭제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886675B1 (ko) 습식 인공토양
KR20030081983A (ko) 단립화 식생기반재
KR100508388B1 (ko) 법면 녹화를 위한 습식용 토양 안정화 조성물
JPH09313049A (ja) マルチング材ならびにマルチング方法
CN103348837A (zh) 改性沙体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9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