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1508A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508A
KR20060121508A KR1020050043732A KR20050043732A KR20060121508A KR 20060121508 A KR20060121508 A KR 20060121508A KR 1020050043732 A KR1020050043732 A KR 1020050043732A KR 20050043732 A KR20050043732 A KR 20050043732A KR 20060121508 A KR20060121508 A KR 20060121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4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508A/ko
Publication of KR20060121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5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system for wireless information forwarding and teledistribution [SW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MB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에 DMB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위성;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난시청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성에서 송출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 상기 DMB 수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위성 및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로부터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및 상기 DMB 수신 모듈은 내장하고 있지 않고 무선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DMB 수신 모듈이 있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B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MB,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이동통신 단말기, 근거리 무선 통신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도 1은 종래의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DMB 방송을 요청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위성 DMB 시스템 110: 위성 DMB 방송 센터
120: DMB 송신단 130: DMB 위성체
140: 음영 지역 중계기 150: 이동통신 단말기
200: 위성 DMB 시스템 210: 위성 DMB 방송 센터
220: 위성 230: 음영 지역 중계기
240: 이동통신 단말기 A 250: 이동통신 단말기 B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DMB 수신을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서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3X, EV-DO, WCDMA(WideBand CDMA)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동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상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방송 서비 스를 이동통신 환경에서도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증하게 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이 대두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방송은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고정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이동 중에도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로 CD(Compact Disk)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DMB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송과는 달리 이동 통신망과 결합하며, 원격 구매나 원격 진료, 원격 교육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DMB 방송 서비스는 음성·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고정 또는 휴대용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손 안의 TV'라 불린다.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 멀티미디어 방송 개념이 추가되어 동영상과 날씨·뉴스·위치 등 데이터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즐길 수 있어 차세대 방송으로 주목받고 있다.
DMB는 지상파 DMB와 위성 DMB 두 종류가 있다. 지상파 DMB는 지상에서 주파수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현재 비어 있는 VHF 12번 채널과 군사용인 8번 채널을 이용한다. 또 위성 DMB와 달리 지상의 기지국을 통해 방송 신호가 송출 된다. 지상파 DMB는 보통의 방송처럼 방송국에서 쏘는 전파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지상파 DMB는 전국에서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 방송이 가능한 위성 DMB와는 달리 지금의 텔레비전 방송처럼 지역에 따라 다른 주파수로 방송된다. 애당초 이동 수신이 되지 않는 미국식 디지털 TV 방송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상파 DMB는 유럽의 표준안인 디지털라디오방송(DAB)에 비디오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된 방식이다. 이 새로운 방식은 현재 DAB의 본산인 유럽에서 기술표준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점쳐질 만큼 시선을 끌고 있다.
위성 DMB는 위성을 이용한다. 위성 DMB용 방송 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면 위성은 이를 전파를 통해 전국의 DMB 단말기에 뿌려주는 형식이다. 위성 DMB는 지상파 DMB와는 달리 위성체를 이용해 방송을 하며 수신율이 낮은 도심지역은 음영 지역 중계기라는 일종의 중계기를 활용해 수신을 하는 방식이다. 위성방송은 일반 공중에 의해 방송이 직접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위성에 탑재된 우주국에 의해 신호를 전송 또는 재송신하는 방송 방식이며 방송 위성은 수신 측이 개별 수신이냐 공동 수신이냐에 따라 고출력형과 중출력형으로 대별되며 세계 각국의 위성방송은 개별 수신 형태인 전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공동 수신 형태인 CATV(유선TV) 등에의 분배를 목적으로 한 중출력형의 통신 위성도 있다. 위성 DMB는 위성으로부터 직접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에 화질의 첨화가 적고 화상이 깨끗하다. 적도 상공에서 한반도를 향해 전파를 송신하기 때문에 제주도나 울릉도까지도 포함하는 전국 일제 방송이 가능하며 난시청 지역에도 음영 지역 중계기를 이용해서 깨끗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PCM(펄스부호변조)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음질의 방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성 DMB는 위성을 중계 매체로 하여 방송을 하기 때문에 지구상에서 발생하는 자연 또는 전쟁 등의 재해를 입지 않고 긴급시에도 전국에 일제히 방송할 수 있다. 위성 DMB 방송은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있는데 그 전송 모드에는 A 모드와 B 모드의 두 종류가 있으며 이 모드는 각각 방송국 측 프로의 내용에 따라 선택해 사용한다. A 모드는 14 비트, 샘플링 주파수 32 KHz라고 하는 포맷으로 FM 방송과 동등의 음질을 갖는다. 이에 비해 B 모드는 16 비트, 샘플링 주파수 48 KHz라고 하는 CD 정도의 음질을 실현한다.  
도 1은 종래의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위성 DMB 시스템(100)은 위성 DMB 방송 센터(110), DMB 송신단(120), DMB 위성체(130), 음영 지역 중계기(140) 및 이동통신 단말기(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DMB 시스템(100)은 DMB 위성체(130)를 통하여 DMB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DMB 서비스 지역의 구역(Coverage)이 매우 넓어 전국망 서비스가 가능하다.
위성 DMB 방송 센터(110)는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 Program Provider)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아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 13 ~ 14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Ku Band 대역을 통해 DMB 위성체(1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110)에서 전송되는 위성 DMB 신호는 DMB 송신단(120)에서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DMB 위성체(130)로 전송된다. 위성 DMB 신호가 전송되는 에어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구성된다. 방송 컨텐츠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오디오 채널 및 비디오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데이터 채널은 방송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로 이용할 수 있다.
DMB 위성체(130)는 지상으로부터 36,000 km 정도의 정지 궤도에 안착하고 있으며, 지구 자전 속도와 같은 시속 11,000 km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DMB 위성체(130)는 DMB 송신단(120)에서 송신되는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50) 또는 음영 지역 중계기(140)로 전송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DMB 위성체(130)는 25 MHz Ku Band 중계기 4기와 위성 DMB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의 S -Band 중계기 36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MB 위성체(130)는 약 2.6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S Band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와 11 ~ 12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Ku Band TDM(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동시에 송신한다. S Band 대역의 CDM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전송되며, Ku Band 대역의 TDM 신호는 음영 지역 중계기(140)로 전송된다.
음영 지역 중계기(140)는 전파를 수신하기 어려운 지하 공간, 빌딩 안, 주택 밀집 지역 등에 설치되어 DMB 신호를 중계한다. 음영 지역 중계기(140)는 DMB 위성체(130)로부터 Ku Band 대역의 TDM 신호를 수신하여 S Band 대역의 CDM 신호로 변환한 후에 변환된 CDM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50)로 송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50)는 D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위성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안테나, 위성 DMB 신호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는 DMB 튜너, DMB 튜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MPEG 복호부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이 가능한 A/V(Audio/Video) 신호로 분리하는 A/V 스위치부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에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DMB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50)가 DMB 수신 모듈이 있어야 하므로, DMB 수신 모듈이 없는 단말기에서는 DMB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DMB 수신을 지원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DMB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MB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에 DMB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 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위성;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난시청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성에서 송출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 상기 DMB 수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위성 및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로부터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및 상기 DMB 수신 모듈은 내장하고 있지 않고 무선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가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B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DMB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MB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위성 DMB 방송 센터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DMB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가 변환한 상기 무선통신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 상 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A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게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 요청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수신하고자 하는 DMB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DMB 방송의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및 지그비 통신을 포함한다.
블루투스는 이동전화, 컴퓨터, PDA 등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가정이나 회사의 전화나 컴퓨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및 통신 산업계의 규격이다. 인텔, IBM, 노키아, 에릭슨 등 5개의 업체가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셀룰러폰, 무선호출기 및 PDA 사용자들은 세 가지가 하나에 들어 있는 전화기를 살 수 있을 것이며, 이 전화기는 가정과 사무실의 휴대용 전화기로서 두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컴퓨터 내에 있는 정보와 신속하게 동기화할 수 있으며, 팩스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고, 프린트 출력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모든 휴대용 및 고정식 컴퓨터 장치들과 완전한 공동 작업이 가능하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장치마다 저가의 트랜시버 칩이 장착되어야 한다. 블루투스의 동작 원리는, 각 장치는 전 세계적으로 가용 주파수 대역인 2.45 GHz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 트랜시버를 장착한다. 데이터 외에도 음성 채널을 최대 3 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각 장치는 IEEE 802 표준으로부터 나온 고유한 48 비트 주소를 가지고 있다. 접속은 점대점이나 멀티포인트가 가능하다. 통신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10 m이다. 데이터 전송은 1 Mbps의 속도에서 이루어진다. 주파수 홉 설계는 장치들이 엄청난 양의 전자기 장애가 있는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내장 암호화 및 검증 기능이 제공된다.
적외선 통신은 무선통신의 특별한 형태로서, 테라 헤르츠 또는 트릴라온 헤르츠에서 측정되는 적외선 주파수 스펙트럼 내의 모인 광선이, 정보로 변조되어 송신기로부터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 있는 수신기로 보내어진다. 적외선 방사는 리모 컨으로 TV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술이다. 적외선 통신에서는 쌍방의 장치에 모두 송수신기가 있어야 한다. 특별한 마이크로칩이 이 기능을 위해 제공된다. 그 외에도, 통신을 동기화시켜주는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하나 또는 모든 장치들에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계에서 IR에 관한 특별한 지원이 그 예이다. IrDA-1.1 표준에서, 전송될 수 있는 가장 긴 데이터의 길이는 2048 바이트이며, 최대 전송속도는 4 Mbps이다. 적외선 통신은 어느 정도 먼 거리의 상호연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 내의 상호연결 가능성도 있다. 최장 유효거리는 약 1.5 마일 정도이며, 계획되는 최고의 대역폭은 16 Mbps이다.
지그비는 IEEE 802.15.4 무선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가정, 사무실, 산업 현장 등에서의 10 ~ 20 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반 기술로서, 블루투스나 위피가 제공하지 못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IEEE는 저렴한 저전력 무선 PAN 기술을 정의하는 802.15.4 규격을 발표하고, 868 MHz(BPSK/1채널/유럽), 902 ~ 908 MHz(BPSK/10채널/미국), 2.4 GHz(OQPSK/16채널/전세계) 등 3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DSSS 변조 방식으로 최대 100 m까지 20 ~ 250 K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또한, 주소에 64 비트를 할당함으로써 최대 65,000 개의 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지그비는 무선 센서, 산업 제어, 무선 스위치 및 공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고, 산업, 가정, 의료 및 군사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동화된 센서 네트워크를 창조하는 데 뛰어난 활용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200)은, 위성 DMB 방송 센터(210), 위성(220), 음영 지역 중계기(Gap Filler)(230), 이동통신 단말기 A(240) 및 이동통신 단말기 B(250)를 포함한다.
위성 DMB 방송 센터(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여 위성(220)에 신호를 송출한다.
위성(22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수신하고, 이동방송 송수신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위성 DMB만을 위한 방송 전용 위성이다.
음영 지역 중계기(230)는 지하, 터널 등의 난시청 지역에 DMB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위성(220)에서 Ku 밴드의 주파수를 수신하여 S 밴드의 주파수를 송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DMB 수신 모듈이 있어 위성(220)으로부터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무선통신 단말 모듈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DMB 수신 모듈 가지고 있지 않아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없고, 무선통신 단말 모듈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 A(240)으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하여 DMB 신호를 수신한다.
위성(220)은 위성 DMB 방송 센터(210)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송신 받는 이동방송 수신에 적합하도록 제작된 위성 DMB만을 위한 방송 전용 위성이다. 고도 3만 5800 km의 적도 상공에 세계 최초의 DMB 위성인 '한별'이 있다. 위성(220)은 지구의 자전 속도와 똑같은 시속 1만 1000 km의 빠른 속도로 돌아 지구에서 정지된 것처럼 여겨지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위성(220)이 정지궤도라 해도 지구 자전 속도와의 미세한 차이, 지구 중력의 영향 등으로 그 위치가 조금씩 변하게 마련이기 때문에 이를 조정하기 위해 하루에 4 번씩 궤도 조정을 한다. 이처럼 위성(220)이 다른 정지궤도 위성에 비해 궤도 조정을 자주 하는 이유는 이동수신을 하는 DMB 특성상 선명한 영상 화질을 얻기 위해서이다.
인공위성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1 ㎓에서 30 ㎓ 사이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텔레비전의 주파수 대역을 VHF 또는 UHF라고 부르는 것처럼 인공위성에서도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L 밴드, S 밴드, C 밴드, X 밴드, Ku 밴드, K 밴드, Ka 밴드 등의 이름으로 부른다.
위성(220)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S 밴드(2 ∼ 3 ㎓)와 Ku 밴드(12 ∼ 14 ㎓)인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더 작은 지름의 안테나 사용이 가능하다. 높은 주파수 대역은 직진성이 강해서 장애물이 있거나 비가 올 때 세기가 약해지는 감쇠 현상이 두드러지는 반면 낮은 주파수대로 갈수록 장애물을 돌아서 가는 회절 특성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위성(220)은 25 MHz Ku Band 중계기 4기와 위성 DMB 신호를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의 S -Band 중계기 36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성 DMB 방송 센터(210)에서 위성(220)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신호를 쏘아 올릴 때는 높은 주파수 대역인 Ku 밴드를 이용하지만, 위성(220)이 수신한 신호를 다시 지상으로 보낼 때는 이동통신 단말기 A(240)가 직접 수신할 수 있는 낮은 주 파수 대역인 S 밴드를 사용한다. 대신 위성(220)에는 S 밴드를 송출하는 지름 12 m짜리의 커다란 안테나와 Ku 밴드용의 작은 안테나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처럼 두 가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곳곳에 음영 지역 중계기(Gap Filler)(230)를 설치해 지하나 터널 등의 난시청 지역도 커버할 수 있다. 위성(220)에서 Ku 밴드로 수신한 신호를 음영 지역 중계기(230)에서 S 밴드로 바꾸어 단말기 A(240)로 보내주어 난시청 지역을 커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위성(220)이나 음영 지역 중계기로(230)부터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DMB 수신 모듈이 있다. DMB 수신 모듈을 통해 DMB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 B(250)에게 송신하기 위해 DMB 데이터를 무선통신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안테나, DMB 신호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는 DMB 튜너, DMB 튜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MPEG 복호부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할 수 있는 A/V(Audio/Video) 신호로 분리하는 A/V 스위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아 위성(220)에서 송출하는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없지만, DMB 수신 모듈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240)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A(240) 및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무선통신을 이 용할 수 있도록,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RF 신호에서 무선통신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통신 RF 모듈, 무선통신 규격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호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뎀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DMB 수신 모듈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이동통신 단말기 B(250)에게 DMB를 송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모듈이 있어서 무선통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B(250)에 연결한다(S300).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B(250)로부터의 DMB 수신 요청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0). S310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B(250)가 DMB 수신을 요청하지 않으면 무선통신 연결을 해제한다(S360).
S310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B(250)가 DMB 수신을 요청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위성(220)을 통해 위성 DMB 발송 센터(210)에 연결한다(S320).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 A(240)가 지하, 터널 등의 난시청지역에 위치할 경우에는 음영 지역 중계기(230)를 거쳐 위성(220) 및 위성 DMB 발송 센터에 연결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A(240) 는 이동통신 단말기 B(250)가 수신하기 원하는 DMB 컨텐츠를 위성 DMB 발송 센터(210)로부터 수신한다(S330).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DMB 컨텐츠를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 말기 A(240) 에게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위성 DMB 발송 센터(210)로부터 수신한 DMB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 B(250)에게 송출하기 위해, DMB 데이터를 무선통신 데이터로 형태를 변환한다(S35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DMB 방송을 요청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DMB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A(240)와 연결한다(S400). 이동통신 단말기 B(250)와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통신 모듈이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B(250)는 DMB를 수신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A(240)에 무선통신을 통해 DMB 수신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S410). 이동통신 단말기 B(250) 이 요청한 DMB 수신 요청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S420).
S420 단계에서 DMB 수신 요청이 실패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B(250) 는 무선통신을 통해 DMB 수신을 재요청한다(S430). S430 단계에서 DMB 수신 재요청이 실패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B(250) 와 이동통신 단말기 A(240) 사이의 무선통신 연결은 해제된다(S450). S430 단계에서 DMB 수신 재요청이 성공하면 S420 단계로 돌아가 DMB 수신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S420 단계에서 DMB 수신 요청이 성공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B(250) 는 위성 DMB 방송 센터(210)에 접속하여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S440). 위성 DMB 방송 센터(210)는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DMB 데이터를 위성(220)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 A(240)에 송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A(240)는 수신한 DMB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B(250)에 송신한다(S4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B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수신 모듈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DMB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DMB 컨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신호로 압축 및 변조한 후에 DMB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 DMB 방송 센터;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에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위성;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기 어려운 난시청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위성에서 송출된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중계하는 음영 지역 중계기;
    상기 DMB 수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위성 및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로부터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및
    상기 DMB 수신 모듈은 내장하고 있지 않고 무선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DMB 컨텐츠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 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는 상기 DMB 신호를 13 ~ 14 GHz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Ku Band 대역을 통해 상기 위성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은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 Ku Band 중계기 4기와 상기 DMB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25 MHz의 S Band 중계기 36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은 S Band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Ku Band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는 상기 위성으로부터 상기 Ku Band TD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S Band CDM 신호로 변환한 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위성 및 상기 음영 지역 중계기로부터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DMB 신호를 수신하는 DMB 안테나;
    상기 DMB 신호 중에서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선택하는 DMB 튜너;
    상기 DMB 튜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방송용 MPEG 규격에 적합하게 디코딩하는 MPEG 복호부; 및
    상기 MPEG 복호부에서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영상 출력 및 음성 출력이 가능한 A/V(Audio/Video) 신호로 분리하는 A/V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RF 신호에서 무선통신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통신 RF 모듈, 무선통신 규격에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호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통신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및 지그비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9.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가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B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DMB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MB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위성 DMB 방송 센터에 연결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위성 DMB 방송 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DMB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f)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가 변환한 상기 무선통신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가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 A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상기 DMB 수신 모듈을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MB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에게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 요청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수신하고자 하는 DMB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A는 상기 (d) 단계에서 선택한 상기 DMB 방송의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상기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 요청이 실패하면 상기 DMB 데이터의 수신을 재요청하고 재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상기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데이터의 재요청이 실패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043732A 2005-05-24 2005-05-24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1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32A KR20060121508A (ko) 2005-05-24 2005-05-24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32A KR20060121508A (ko) 2005-05-24 2005-05-24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08A true KR20060121508A (ko) 2006-11-29

Family

ID=3770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32A KR20060121508A (ko) 2005-05-24 2005-05-24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50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68B1 (ko) 2006-01-02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 재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20019B1 (ko) * 2007-04-04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1148321B1 (ko) * 2010-06-23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컨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3068B1 (ko) * 2009-06-25 2013-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듀얼 모드 단말기, 기지국, 컨텐츠 제어기 및 그들의 컨텐츠 전송 방법, 그리고, 단말기 크래들
CN103841447A (zh) * 2012-11-20 2014-06-04 杭州云链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数字广播信道实现移动终端视频播放的方法和系统
US9521457B2 (en) 2014-09-25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68B1 (ko) 2006-01-02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컨텐츠 재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20019B1 (ko) * 2007-04-04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1273068B1 (ko) * 2009-06-25 2013-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듀얼 모드 단말기, 기지국, 컨텐츠 제어기 및 그들의 컨텐츠 전송 방법, 그리고, 단말기 크래들
KR101148321B1 (ko) * 2010-06-23 2012-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컨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41447A (zh) * 2012-11-20 2014-06-04 杭州云链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数字广播信道实现移动终端视频播放的方法和系统
US9521457B2 (en) 2014-09-25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267B2 (en) Method for delivering cable channels to handheld devices
US796209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gration of broadcast transmission with access infrastructure of a public network for mobile communications
JPH10506517A (ja) 移動式無線情報配布構成およびプロトコル
AU2002239678A1 (en) Communique system for combined cellular and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70759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output combining
EP1152552A2 (en) System and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s using a high altitude communication device
JP2008079312A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及びそれにおいて放送通信とデータ通信を実現する方法
KR20060121508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dmb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U2002251391A1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method and apparatuses
KR20050003715A (ko) 위성 디엠비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예약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3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dmb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및 방법
KR20060066022A (ko) 지상파 및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통합 수신 시스템
KR100669899B1 (ko) 양방향 성층권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계 장치 및그 방법
US20020086638A1 (en) Internet backbone packet radio
JPH10308941A (ja) 衛星放送システムと衛星放送受信装置
KR100723692B1 (ko) 광 코어 공유를 통한 위성 dmb 서비스 음영 지역 제거방법 및 시스템
KR101104711B1 (ko) 위성 dmb 망에서 와이브로 망을 인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179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47855B1 (ko) 근거리 무선 송수신과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복합형 dmb수신기
KR20060099966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수신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그 방법
Kondo et al.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for ITS
Karampiperis et al. Toward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digital audio broadcasting platform capable of analogue, digital and internet broadcasting of multiplexed multimedia signals
WO1998025411A1 (en) Terrestrial communication system
Ossfeldt RVK99: MEMO Brings DAB into Interactive Mobile Multimedia
KR20050108286A (ko) 디지털 전송기술과 지상파 방송주파수를 이용한 다채널모바일 방송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송망구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