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9744A -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 Google Patents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744A
KR20060119744A KR1020060023294A KR20060023294A KR20060119744A KR 20060119744 A KR20060119744 A KR 20060119744A KR 1020060023294 A KR1020060023294 A KR 1020060023294A KR 20060023294 A KR20060023294 A KR 20060023294A KR 20060119744 A KR20060119744 A KR 20060119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digital broadcast
display siz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9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7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7Calendar blocks in which the calendar sheet or sheets are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6Suspension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1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paper articles, e.g. booklets, news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발신번호를 입력할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분할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essage writing request from a user during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And dividing it into an area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area.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rites a message or inputs a calling number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the user can easily create a message or input a telephone number while watching the digital broadcast by splitting the screen,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addition, the display size of the divided scree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 CAST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data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BROAD CAST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표시부 화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n area of a display screen in detail in the operation of FIG. 2.

도 4는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소정 키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iz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in the operation of FIG. 2;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5 (a) to 5 (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which allows a user to easily compose a message or input a telephone number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will be.

통상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라 함은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을 대체하여 고화질과 고음질, 그리고 보다 높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차량용 수신기 및 가정용 수신기 등을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에 장착이 가능하다. In general,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a broadcasting service that provides a user with high quality, high sound quality, and higher service in place of a conventional analog broadcasting. The digital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ehicle receiver, a home receiver, and the like, and can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for allowing digital broadcasting to be watched on the go has increased. In particular, interest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이러한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고화질의 QVGA(Quater Video Graphic Arry) 사이즈로 수신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도 320*240 픽셀 사이즈를 지원할 수 있는 와이드 타입(Type) 표시부나 그 이상의 픽셀 사이즈(예컨대, 320*320 픽셀 사이즈)를 지원할 수 있는 대형 액정을 가진 표시부를 채용하는 추세이다.Since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is received in a high quality video video graphic (QVGA) siz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can also support a wide type display unit or larger pixel size (320 * 240 pixel size). For example, there is a trend to employ a display unit having a large liquid crystal capable of supporting 320 * 320 pixel size).

한편,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걸 경우나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할 경우 메시지 작성창이나 발신번호 입력창이 전면에 위치하고, 방송 화면은 후면에 위치하게 되어 디지털 방송의 음성 청취만 가능하고 실제 방송 화면은 볼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calls or writes a message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the message composition window or caller ID input window is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broadcast screen is located at the rear so that only the voice of the digital broadcast can be heard. The actual broadcast screen was uncomfortable.

때문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간단하게 메시지나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면 사용자 편리성은 크게 증대될 것이다.Therefore, if the user can simply enter a message or call number while watching digital broadcasting, user convenience will be greatly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compose a message or input a telephone number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메시지를 작성할 때 화면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changing and displaying a screen display size when a user composes a message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in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message is made by a user during display of digital broadcast data; and receiving the digital broadcast when the message is written. Dividing a display screen of the device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first region,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region. do.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호 발신 요청이 있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호 발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발신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call origination request of a user is displayed during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And dividing the first area into the second area,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call number input window in the second are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는 통신에 필요한 모듈을 구비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장착 가능하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includes a module for communication,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may also be configured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b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10), 키입력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비디오 신호처리부(150), 표시부(160), 오디오 신호처리부(170) 및 스피커(180)를 포함한다.The illustrate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includes a data receiver 110, a key input unit 120, a controller 130, a memory 140, a video signal processor 150, a display unit 160, and an audio signal processor 170. And a speaker 180.

데이터 수신부(110)는 소정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The data receiver 110 receives predetermined digital broadcast data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30.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입력이나 음성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표시부(160)의 화면 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정키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한 키와 축소하기 위한 키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는 표시부(160) 화면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풀 사이즈로 확대하기 위한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20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such as a key input or a voice input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ler 130.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display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stages.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ke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key for enlarging and reducing the display size.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key for enlarging the display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to a full size.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10)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처리부(150) 및 오디오 신호처리부(170)를 통해 표시부(160) 및 스피커(180)로 출력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demodulates and decodes the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iver 110, and outputs the demodulated and decoded data to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speaker 180 through the video signal processor 150 and the audio signal processor 170.

제어부(130)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160) 및 스피커(180)를 통해 출력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60) 화면을 분할한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의 상단을 제1영역, 하단을 제2영역으로 분할한다.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when a user writes a message while outputting digital broadcast data through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speaker 18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divides an upper end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to a second area.

이 때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이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인지 확인하고, 표시부(160) 화면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이면 상기 가로보기 화면을 세로보기 화면으로 회전시켜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320*240 사이즈의 가로보기 화면을 240*320 사이즈의 세로보기 화면으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display unit 160 has a horizontal view screen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f the display unit 160 is in the horizontal view screen, rotates the horizontal view screen to the vertical view screen.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That is, the horizontal view screen of 320 * 240 size is rotated and displayed on the vertical view screen of 240 * 320 size.

이어 제어부(130)는 상기 회전된 세로보기 화면의 상단을 제1영역, 하단을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30 preferably divides the upper end of the rotated portrait view screen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한편,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이 세로보기 화면 상태이면 화면을 회전시킬 필요 없이 화면을 분할한다.Meanwhile,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in the portrait view screen,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screen without having to rotate the screen.

제어부(130)는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 고, 상기 제2영역에는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o display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in the first area and to display a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area.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출력 중에 사용자의 호 발신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2영역에 발신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a call number input window in the second area when a call request from a user is requested while the digital broadcast data is output.

제어부(130)는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요청이 있으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로 전환한다.The controller 13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to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when the user requests a display size change request for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부(120)에 구비된 소정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소정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변경(즉,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메모리(140)는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예컨대, 240*130, 240*153, 240*180)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provided to the user input unit 120 in the display size changing mode,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step by step (that is, enlarges or reduces the size). Control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In this case, the memory 140 preferably stores display size information (eg, 240 * 130, 240 * 153, 240 * 180) for each step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소정키 입력 시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이 불가능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시지는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when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cannot be changed when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At this time, the message can be output by voice or text.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소정키 입력이 있으면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표시부(160) 화면의 풀 사이즈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역시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풀 사이즈 정보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 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in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be immediately enlarged and displayed to the full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without going through several steps. Of course, in this case, the full size informa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40.

메모리(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 및 표시부(160) 화면의 풀 사이즈(Full-Size)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40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display size information for each stage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full-size informa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비디오 신호 처리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디코딩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비디오 처리하여 표시부(160)로 출력한다. The video signal processor 150 receives the digital broadcast data decod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processes the video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outputs the processed video to the display unit 160.

표시부(160)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가 QVGA 사이즈로 수신되므로 이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는 표시부(160)의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 사이즈가 320*320 사이즈라고 가정한다. 즉, 상기 표시부(160)는 최대 320*320 디스플레이 사이즈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320*240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가진다. Since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is received in the QVGA size, the display unit 160 may be configured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that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pixel size constitut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320 * 320 size. That is, the display unit 160 can display data with a maximum display size of 320 * 320, and the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ed normally has a 320 * 240 display size.

표시부(160)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6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60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display unit 16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오디오 신호 처리부(17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디코딩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오디오 처리하여 스피커 (180)로 출력한다. The audio signal processor 170 receives the digital broadcast data decod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processes the audio signal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outputs the audio data to the speaker 180.

그러면 상기 도 1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데이터 수신부(110)로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S120). 이 때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통상 가로/세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320*240 이다. 1 and 2, the controller 130 displays digital broadcast data received by the data receiver 110 through the display 160 (S120). In this case, the display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s 320 * 240.

제어부(130)는 표시부(160)에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120). 사용자는 메뉴를 통해 메시지 작성 요청을 하거나 별도의 단축키를 입력하여 메시지 작성 요청을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writing request from the user while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on the display unit 160 (S120). The user can request to create a message through a menu or enter a separate shortcut to request a message.

제어부(130)는 상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60)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한다(S130).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분할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there is a message creation request,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S130). The division process of the display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제어부(130)는 상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표시부(160) 화면이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인지 확인한다(S210). If there is a message writing request,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display unit 160 screen is in a horizontal viewing screen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S210).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이면 상기 가로보기 화면을 세로보기 화면으로 회전시켜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S220). 즉, 표시부(160) 화면에 출력되는 사이즈는 240*320 이 된다.I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in the landscape view state, the controller 130 rotates the landscape view screen to the portrait view scree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60 (S220). That is, the siz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240 * 320.

제어부(130)는 상기 회전된 세로보기 화면의 상단을 제1영역, 하단을 제2영역으로 분할한다(S240).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upper end of the rotated portrait view screen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in step S240.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S210 과정에서 표시부(160) 화면이 세로보기 화면 상태이면 화면의 회전시킬 필요 없이 S240 과정을 통해 화면을 분할한다.Meanwhile, i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s in the vertical view screen in step S210, the controller 130 divides the screen through step S240 without having to rotate the screen.

제어부(130)는 상기 분할된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한다(S140).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divided first region, and displays a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region (S140).

다시 도 2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분할된 영역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및 메시지 작성창 디스플레이 중에 상기 분할된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Size) 변경 요청이 있는지 검사한다(S150).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요청을 메뉴 키 입력을 통해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요청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키를 입력하여 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re is a display size change request for the divided area dur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and message creation window display in the divided area (S150). The user may request the display size change through a menu key input or may input a key provided separately for the display size change request.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요청이 있으면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로 전환한다(S160).If there is a display size change request, the controller 13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to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S160).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소정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소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150). 여기서 상기 소정 키는 상기 분할된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기 설정된 키를 의미한다.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in the display size changing mode,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display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key input (S150). Here, the predetermined key refers to a predetermined key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display size of the divided area in stages.

한편, 상기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디지털 방송 데이 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호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작성창은 발신번호 입력창으로 치환 가능함은 당연하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2, a case in which a user writes a message while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user calls out during the digital broadcasting data display.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call origination request, the message creation window may be replaced with a call number input window.

도 4는 상기 도 2의 동작 과정에서 소정 키 입력에 따라 해당 영역(즉, 분할된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즉, 도 4는 상기 도 2의 S170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의 분할 영역에 대한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이 때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는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데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nd displaying a display size of a corresponding area (ie, a divided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in the operation of FIG. 2. That is,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S170 of FIG. 2 in detai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ler 130 previously stores display size information for each divis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in the memory 140. At this time, the display size information for each step stored in the memory 140 may be stored in a table form.

[표 1]      TABLE 1

단계step 1One 22 33 사이즈 정보Size information 240*130240 * 130 240*153240 * 153 240*180240 * 180

상기 표 1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는 총 3단계로 나누어지며, 1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240*130, 2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240*153, 3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240*180임을 알 수 있다. In Table 1, the display size step is divided into three step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Referring to Table 1, the display size stag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display size is 240 * 130, the second stage is 240 * 153, and the third stage is 240 * 180.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소정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S310).1 and 4,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in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S310).

제어부(130)는 소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키가 해당 영역 즉, 제1영역 또 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해 설정된 키인지 체크한다(S315). 상기 소정키는 사용자 입력부(12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the predetermined key is a key set to enlarge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that is,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S315). The predetermined key may be any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user input unit 120.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해 설정된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체크한다(S320). 이 때 제어부(130)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When the key set to enlarge the display size is input,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display size step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S3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easily check the display size step of the corresponding area by using the display siz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40.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확장 가능한 단계인지 판단한다(S325). 이 때 제어부(130)는 예컨대, 상기 과정(S320)에서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240*130인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통해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1단계임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확대 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an expandable step (S325). At this time, if the display size checked in step S320 is 240 * 13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know that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one step through the display size information for each step stored in the memory 140.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cked display size can be enlarged.

제어부(130)는 상기 과정(S325)에서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확대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330). 이 때 상기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로 출력 가능하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is impossible to enlarge in step S325,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message informing of this. At this time, the message may be output as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제어부(130)는 상기 S325과정에서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확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335). 즉,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1단계일 때 소정키가 입력되면 2단계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로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can be enlarged in step S325,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display size of the digital broadcast data step by step (S335). That is, if a predetermined key is input when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step 1, the controller 130 enlarges and displays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with the display size of step 2.

이 때 제어부(130)는 상기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때 표시부(160)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들(예컨대, 320*320 사이즈로 구성된 픽셀들) 중 예컨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세로 픽셀 수를 단계별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즉,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을 구성하는 가로 픽셀들과 세로 픽셀들 중 240개의 가로 픽셀들과 130개의 세로 픽셀들이 확대되기 이전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했었다면, 상기 과정(S335)에서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130개의 세로 픽셀 수를 예컨대, 157개로 증가시킨 것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for example, digital broadcast data among pixe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eg, pixels of 320 * 320 size) when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enlarged and displayed. Displa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vertical pixels step by step. That is, if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digital broadcast data before the 240 horizontal pixels and the 130 vertical pixels of the horizontal pixels and the vertical pixel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160 screen are enlarged, the process (S335) In this case, the number of 130 vertical pixels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is increased to, for example, 157.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S315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소정키가 해당 영역 즉,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해 설정된 키가 아니면, 상기 입력된 소정키가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 설정된 키인지 체크한다(S340).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 설정된 키 역시 사용자 입력부(120)에 구비된 키들 중 어느 하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determined key is not set to enlarge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that is,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in step S315,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inputted predetermined key on the corresponding area. It is checked whether the key is set to reduce the size (S340). The key set to reduce the display size is also preferably one of the keys provided in the user input unit 120.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하기 위해 설정된 키가 입력되면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체크한다(S345). When a key set to reduce the display size is input, the controller 130 checks the display size step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S345).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축소 가능한지 판단한다(S350). 이 때 제어부(130)는 상기 S325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예컨대, 상기 과정(S345)에서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7*240인 경우, 메모리(140)에 저장된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통해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2단계임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축소 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can be reduced (S35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tep in step S325, for example, if the checked display size in step S345 is 157 * 240, the checked through the step-by-step display siz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As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size step is two steps,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cked display size can be reduced.

제어부(130)는 상기 과정(S350)에서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축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355). 이 때 상기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로 출력 가능하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cannot be reduced in step S350, the controller 130 outputs a message informing of this. At this time, the message may be output as a voice message or a text message.

제어부(130)는 상기 S350과정에서 표시부(160)의 해당 영역에 대한 디스플레이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한다(S360). 즉, 제어부(130)는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2단계이면 1단계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로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can be reduced in step S350,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display size step by step and displays it. That is, if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two steps,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display the display size of step 1 and displays the same.

이 때 제어부(130)는 상기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할 때 표시부(160)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들(예컨대, 320*320 사이즈로 구성된 픽셀들) 중 예컨대,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세로 픽셀 수를 단계별로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한다. 즉, 제어부(130)는 표시부(160) 화면을 구성하는 가로 픽셀들과 세로 픽셀들 중 240개의 가로 픽셀들과 157개의 세로 픽셀들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했었다면, 상기 과정(S360)에서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157개의 세로 픽셀 수를 예컨대, 130개로 감소시킨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for example, digital broadcast data among pixe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eg, pixels having a size of 320 * 320) when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reduced and displayed. Display the number of vertical pixels by decreasing them step by step. That is, if 240 horizontal pixels and 157 vertical pixels of the horizontal pixels and the vertical pixe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display the digital broadcast data,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step S360. The number of 157 vertical pixels displaying the display is reduced to 130, for example.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에서 소정키 입력이 있으면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표시부(160) 화면의 풀 사이즈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역시 상기 표시부(160) 화면의 풀 사이즈 정보는 메모리(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in the display size change mode,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size of the corresponding area to be immediately enlarged and displayed to the full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without going through several steps. In this case, the full size informa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140.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들이다.5 (a) to 5 (d)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를 설명하면, 도 5(a)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가 최대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320*320인 표시부(160) 화면에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320*240 디스플레이 사이즈 즉, 가로보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5 (a) to 5 (d), FIG. 5 (a) shows that the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100 displays 320 * 240 digital broadcast data o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having a maximum display size of 320 * 320.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size, that is, a landscape view, is shown.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상기 도 5(a)에서 가로보기 화면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도 5(b)와 같이 표시부 화면을 240*320의 세로보기 화면으로 회전한 후, 제1영역(10)과 제2영역(20)으로 분할한다.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100 rotates the display screen to a vertical view screen of 240 * 320 as shown in FIG. 5 (b) when the user writes a message on the landscape view screen in FIG. The area 10 is divided into the second area 2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1영역(10)에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2영역(20)에는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도 5(b)에서 제1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240*160 이고, 제2영역(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240*160 임을 알 수 있다.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100 displays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first region 10 and displays a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region 20. In FIG. 5B,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region is 240 * 160 and the display size of the second region 20 is 240 * 160.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5(b)의 화면에서 제1영역(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제1영역(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한 도 5(c)의 화면을 도시한다. 이 때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1영역(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한 만큼 제2영역(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key for enlarging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10 is input on the screen of FIG. 5B,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enlarges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10. Shows the screen. In this case,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preferably reduces the display size of the second area 20 by increasing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10.

한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상기 도 5(b)의 화면에서 제2영역(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제2영역(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한 도 5(d)의 화면을 도시한다. 이 때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2영역(2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확대한 만큼 제1영역(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축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the key for enlarging the display size of the second area 20 is input on the screen of FIG. 5B,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enlarges the display size of the second area 10. The screen of (d) is shown. In this case, th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100 preferably reduces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region 10 by increasing the display size of the second region 2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며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발신번호를 입력할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면서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rites a message or inputs a calling number while watching a digital broadcast, the user can easily write a message or input a telephone number while watching the digital broadcast by splitting the screen,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

또한 상기 분할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size of the divided scree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user convenience.

Claims (14)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user writes a message while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상기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Dividing a display scree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when the message creation request is made;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문자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composition window in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rocess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요청이 있으면 디스플레이 사이즈 변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Switching to a display size change mode when a user requests a display size change for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소정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And changing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step by step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단계별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And storing step-by-step display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in adv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키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key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 기 설정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And a preset key to enlarge or reduce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step by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소정키가 입력되면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체크하는 단계와,Checking a display size step of a corresponding area when the predetermined key is input;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확대가 가능한 단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an enlargeable step;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사이즈 확대가 가능하면 상기 소정키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if the display size is enlar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siz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key input.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사이즈 확대가 불가능하면 이를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if the display size cannot be enlar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utputting it as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소정키가 입력될 때마다 해당 영역의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들 중 세로 픽셀 수를 단계별로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And displaying the number of vertical pixels among the pixe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area step by step each time the predetermined key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ing step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기 위해 설정된 소정키가 입력되면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를 체크하는 단계와,Checking a display size step of a corresponding area when a predetermined key is set to reduce the display size step by step; 상기 체크된 디스플레이 사이즈 단계가 축소가 가능한 단계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the checked display size step is a step that can be reduced;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면 상기 소정키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단계별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if the display size is reduc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duc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siz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redetermined key.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사이즈 축소가 불가능하면 이를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if the display size cannot be reduc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utputting it as one of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ing step 상기 소정키가 입력될 때마다 해당 영역의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들 중 세로 픽셀 수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displaying the number of vertical pixels among the pixels constituting the screen of a corresponding area every time the predetermined key is inpu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소정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표시부 화면의 풀 사이즈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And expanding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to the full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if there is a predetermined key inpu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키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edetermined key is 상기 제1영역 또는 제2영역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를 표시부 화면의 풀 사이즈로 확대하기 위해 기 설정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a preset key to enlarge the display size of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to the full size of the display unit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process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상기 표시부 화면이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더 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When the user writes a message, checking whether the display screen is in a horizontal viewing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표시부 화면이 가로보기 화면 상태이면 상기 가로보기 화면을 세로보기 화면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와,Rotating the horizontal view screen to a vertical view screen when the display unit screen is in a horizontal view screen; 상기 세로보기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dividing the vertical view screen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A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호 발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a call request is made by the user during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상기 호 발신 요청이 있으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표시부 화면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Dividing a display scree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when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is made;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발신번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And displaying the digital broadcast data in the first area, and displaying a call number input window in the second area.
KR1020060023294A 2005-05-17 2006-03-13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2006011974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36 2005-05-17
KR20050041236 2005-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744A true KR20060119744A (en) 2006-11-24

Family

ID=3770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294A KR20060119744A (en) 2005-05-17 2006-03-13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7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40B1 (en) * 2006-03-28 2008-04-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ortable terminal with multitask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40B1 (en) * 2006-03-28 2008-04-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ortable terminal with multitask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469B2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changing display screen using the same
KR100539871B1 (en) How to Display Received Messages on a Television Cell Phone
US7057621B2 (en)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utilizing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in a mobile terminal
CN100576889C (en) AV stream playback device, decoder switch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5100993A (en) Display frame rat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 process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60240873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77463B1 (en) Screen composi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324544A (en) Mobile phone equipment
WO2005055594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CN101375580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142762A (en) Mobile terminal device
JP2009198952A (en) Portab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method
KR20060119744A (en) Digital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10039140A (en) Portable terminal
KR100762613B1 (en) Digital broadcasting output method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KR100692182B1 (en) Additional service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01313699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displaying its regulated picture
JP2008072574A (en) Mobile phone terminal apparatus
KR100547706B1 (en) How to register wallpaper on TV
KR100584414B1 (en) How to register wallpaper on TV
KR20090052732A (en) Video cal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060105893A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mage display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JP5033073B2 (en) Broadcast receiver
JP2009081483A (en) Mobile phone with tv function and image display method of mobile phone with tv function
KR20060098601A (en) Personal mobile device and DM based TV device based on h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3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507

Appeal identifier: 2007101009849

Request date: 200709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17

Effective date: 20080507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0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917

Decision date: 20080507

Appeal identifier: 2007101009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