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8206A -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206A
KR20060118206A KR1020050040753A KR20050040753A KR20060118206A KR 20060118206 A KR20060118206 A KR 20060118206A KR 1020050040753 A KR1020050040753 A KR 1020050040753A KR 20050040753 A KR20050040753 A KR 20050040753A KR 20060118206 A KR20060118206 A KR 2006011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tream data
analog
signa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판기
이천성
임풍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206A/ko
Priority to US11/331,092 priority patent/US20060257103A1/en
Priority to CNA2006100794482A priority patent/CN1867054A/zh
Priority to EP06113871A priority patent/EP1725029A1/en
Publication of KR2006011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20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록 요구시부터 실제 기록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발생가능한 초기 기록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는 선국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복조한 신호와,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AV(Audiovisual)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 ADC의 출력을 MPEG 부호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MPEG 인코더, 소정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 및 독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재생부, 스트림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백그라운드 메모리, 그리고 기록명령 입력시 백그라운 메모리에 버퍼링된 스트림 데이터와 이 스트림 데이터 이후 MPEG 인코더에서 부호화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결합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기록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 스트림 데이터, MPEG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f digital video signal}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일 예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 기록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MPEG 스트림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 : 입력부 114 : ADC
116 : MPEG 인코더 118 : 기록재생부
120 : 드라이브 122 : 제1 메모리
124 : 백그라운드 메모리 126 : MPEG 디코더
128 : 제2 메모리 130 : 먹스
132 : DAC 134 : 키입력부
136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록 요구시부터 실제 기록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기록 데이터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나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AV(Audiovisual)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MPEG 인코딩하여 광디스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일 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는, 입력부(12),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4), MPEG 인코더(MPEG encoder)(16), 기록재생부(18), 드라이브(drive)(20), 제1 메모리(22), MPEG 디코더(MPEG Decoder)(26), 제2 메모리(28), 먹스(MUX)(3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32), 키입력부(34), 및 제어부(36)를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선국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AV 신호를 입력받는다.
ADC(14)는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MPEG 인코더(16)는 ADC(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MPEG 부호화하여, MPEG 스트림 데이터(stream data)를 출력한다.
드라이브(20)는 광디스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이러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기록재생부(18)는 드라이브(20)를 제어하여, MPEG 인코더(16)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드라이브(20)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메모리(22)가 데이터 버퍼링 장소로 이용된다.
MPEG 디코더(26)는 기록재생부(18)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제2 메모리(28)가 데이터 버퍼링 장소로 이용된다. 먹스(22)는 ADC(14)와, MPEG 디코더(26)의 출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DAC(32)에 전달하고, DAC(32)는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34)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며, 제어부(36)는 키입력부(3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설정하거나, 외부 입력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입력부(12)에는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된다. 입력부(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ADC(14)에서 아날로 그-디지털 변환된다. ADC(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는 먹스(30)를 통하여 DAC(32)에 입력되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현가능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다른 입력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먹스(30)는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재생 모드가 아닌 경우, ADC(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DAC(32)에 입력되도록 하며, 만일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인 경우이면, MPEG 디코더(26)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가 DAC(32)에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ADC(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MPEG 인코더(16)에 동시에 입력되는데, 키입력부(30)를 통해 레코드 키(record key)가 입력되어 제어부(36)에 전달되면, MPEG 인코더(16)에 입력되는 신호가 부호화(Encoding)되기 시작하면서, 기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 동작의 수행을 위해서, 기록재생부(18)가 접근가능한 제1 메모리(22) 영역에서 스트림 데이터가 버퍼링(buffering) 되며, 버퍼링된 스트림 데이터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트림 정보 (stream information)를 추출해내는 과정을 수행한 후에, 스트림 데이터를 드라이브(20)를 통해 기록매체에 기록하게 된다. 이때, 스트림 정보는, 스트림 데이터와 별도로 기록되는 정보로써, 스트림 데이터를 재생하고 편집하거나, 트릭 플레이(Trick play)를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은 기록 작업이 정지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기록 작업이 정지되면, 스트림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기록하고, 기록 동작을 마치게 된다.
재생 모드인 경우에는, 기록재생부(18)에서 드라이브(20)에 장착된 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제1 메모리(22)에서 버퍼링한 후, MPEG 디코더(26)로 출력하고, MPEG 디코더(26)에서 복호화된 데이터를 먹스(3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을 보고 있다가, 갑자기 녹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레코드 키를 누를 때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녹화하고자 하는 장면부터 일정 시간 지나서 디스플레이 되는 장면부터 녹화가 될 수 있다. 레코드 키를 누르는 시간은 개인별로 반응하는 속도의 차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고, 그 당시의 상황에 따라 지연되는 시간이 차이는 존재하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녹화 지연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기록을 원하는 장면부터 기록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초기 기록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는, 선국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복조한 신호와,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AV(Audiovisual)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 상기 ADC의 출력을 MPEG 부호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MPEG 인코더, 소정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 및 독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재생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 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백그라운드 메모리, 및 기록명령 입력시, 상기 백그라운 메모리에 버퍼링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 이후 상기 MPEG 인코더에서 부호화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소정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상기 기록제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재생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MPEG 디코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DAC,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ADC부와, 상기 MPEG 디코더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DAC부에 출력하는 먹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 단위는, MPEG에서의 GOP(Group Of Picture)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광디스크 및 하드디스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은, 선국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복조한 신호와,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AV(Audiovisual)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MPEG 부호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단계, 및 기록명령 입력시, 상기 버퍼링된 스트림 데이터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 이후 상기 MPEG 부호화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정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 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는, 입력부(112),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14), MPEG 인코더(116), 기록재생부(118), 드라이브(120), 제1 메모리(122), 백그라운드 메모리(background memory)(124), MPEG 디코더(126), 제2 메모리(128), 먹스(MUX)(13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32), 키입력부(134), 및 제어부(136)를 포함한다.
입력부(1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중에서 사용자가 선국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AV (Audiovisual) 신호를 입력받는다.
ADC(114)는 입력부(11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MPEG 인코더(116)는 ADC(1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MPEG 부호화하여, MPEG 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한다.
드라이브(120)는 광디스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이러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기록재생부(118)는 드라이브(120)를 제어하여, MPEG 인코더(116)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드라이브(120)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1 메모리(122)가 데이터 버퍼링 장소로 이용되고, 백 그라운드 메모리(124)는, 후술하는 백그라운드 기록 작업의 수행시 버퍼링 장소로 사용된다.
MPEG 디코더(126)는 기록재생부(118)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제2 메모리(128)가 데이터 버퍼링 장소로 이용된다. 먹스(MUX)(130)는 ADC(114)와, MPEG 디코더(126)의 출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DAC(132)에 전달하고, DAC(132)는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34)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며, 제어부(136)는 키입력부(13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시청을 원하는 채널로 튜너를 설정하거나 외부 입력을 설정한다(S200). 이에 따라, 입력부(112)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 ADC(114)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S205).
일반적인 시청 모드인 경우, ADC(11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먹스(130)를 통하여 DAC(124)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DAC(132)는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215). 이후 다른 입력으로 변경되지 않으면, S205 단계 및 S210 단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출력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변화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며, 먼저 사용자는 시청을 원하는 채널로 튜너를 설정하거나 외부 입력을 설정한다(S300). 이에 따라, 입력부(112)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를 ADC(114)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S305).
ADC(1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먹스(122) 및 MPEG 인코더(116)에 동시에 전달된다.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인 경우, 먹스(122)는 ADC(11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DAC(312)에 입력이 되도록 하고, 재생모드인 경우에는, MPEG 디코더(126)의 출력이 DAC(132)에 입력되도록 한다. 즉, ADC(1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먹스(130)를 통하여 DAC(132)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되며, 동시에 MPEG 인코더(116)에서 MPEG 부호화되어 기록재생부(118)에 전달되어, 드라이브(120)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ADC(114)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면, 백그라운(background) 기록 과정을 수행한다. 백그라운 기록 과정은, 사용자의 기록 명령과 무관하게 진행되며, MPEG 인코더(114)에서 백그라운 MPEG 인코딩이 수행되고(S310), 인코딩된 스트림 데이터가 기록재생부(118)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기록재생부(118)는 접근가능한 백그라운 메모리(124) 영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록 명령과 무관하게 입력되는 스트림 데 이터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15). 이 과정은, 실제로 드라이브(116)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하지 않고, 백그라운드 메모리(120) 영역에서 수행되며, 이후 백그라운드 인코딩된 스트림 데이티의 정보 추출 과정이 진행된다(S320).
이때, 백그라운드 메모리(124)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FIFO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백그라운드 메모리(124) 영역이 다 차게 되면, 다시 처음에 기록했던 영역에 오버라이트(overwrite)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일정크기로 설정된 백그라운 메모리(124) 크기만큼 항상 백그라운드 기록 과정이 진행되어, 백그라운드 메모리(124) 영역에는 항상 최근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었던 데이터가 존재하도록 한다.
S310 단계 내지 S320 단계의 백그라운드 기록 과정을 수행하면서, 키입력부(13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레코드 키가 입력되었는이 여부를 점검한다(S325). 만일 레코드 키의 입력이 없다면 S310 단계 내지 S320 단계의 백그라운드 기록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달리, 백그라운드 기록 동작 중에, 키입력부(134)를 통해 레코드 키가 입력되면, 기록재생부(118)는 백그라운드 메모리(124)에 기록된 데이터를 드라이브(120)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하고(S330), 이후 MPEG 인코더(116)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이어서 기록하기 위하여 기록재생부(118)가 접근가능한 제1 메모리(118)에 버퍼링하고(S340), 버퍼링된 데이터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내는 과정을 수행하고(S345), 버퍼링된 스트림을 드라이브(120)를 통 해 기록매체에 기록한다(S350). 이러한 과정은 기록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기록 작업이 정지 되면, S345 단계에서 추출된 스트림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정보를 기록하고(S360), 기록 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때, 기록하는 정보는 기록되는 모든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백그라운 메모리(124) 영역에 기록된 백그라운 스트림 데이터와 이후 기록된 스트림 데이터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에서 백그라운드 기록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레코드 키를 누르게 되면, 수행하던 모든 동작을 부호화의 일정한 단위, 예컨대 MPEG에서의 GOP가 끝날 때까지 수행한 후에, 정상적인 MPEG 인코딩, 버퍼링, 정보 추출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MPEG 스트림의 특징으로 모든 MPEG 스트림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 픽처(Picture)가 있어야 뒤따라오는 B, P 픽처를 복호화하여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I 픽처로 시작되는 GOP(Group Of Picture) 단위로 기록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레코트 키를 누르는 순간부터 실제 기록 작업이 수행되는 시간 사이에 초기 기록 데이터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코드 키를 누르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장면부터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선국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복조한 신호와,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AV(Audiovisual)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
    상기 ADC의 출력을 MPEG 부호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MPEG 인코더;
    기록매체에 데이터가 기록 및 독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재생부;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백그라운드 메모리; 및
    기록명령 입력시, 상기 백그라운 메모리에 버퍼링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 이후 상기 MPEG 인코더에서 부호화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기록매체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MPEG 디코더;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ADC부와, 상기 MPEG 디코더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DAC부에 출력하는 먹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단위는, MPEG에서의 GOP(Group Of Picture)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광디스크 및 하드디스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6. 선국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복조한 신호와,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AV(Audiovisual)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MPEG 부호화하여 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버퍼링하는 단계; 및
    기록명령 입력시, 상기 버퍼링된 스트림 데이터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 이후 상기 MPEG 부호화하여 생성된 스트림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정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단위는, MPEG에서의 GOP(Group Of Picture) 단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광디스크 및 하드디스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에서의 기록방법.
KR1020050040753A 2005-05-16 2005-05-16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Withdrawn KR20060118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53A KR20060118206A (ko) 2005-05-16 2005-05-16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US11/331,092 US20060257103A1 (en) 2005-05-16 2006-01-13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A2006100794482A CN1867054A (zh) 2005-05-16 2006-04-29 数字视频记录装置及其记录方法
EP06113871A EP1725029A1 (en) 2005-05-16 2006-05-12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53A KR20060118206A (ko) 2005-05-16 2005-05-16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206A true KR20060118206A (ko) 2006-11-23

Family

ID=3660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53A Withdrawn KR20060118206A (ko) 2005-05-16 2005-05-16 디지털 비디오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57103A1 (ko)
EP (1) EP1725029A1 (ko)
KR (1) KR20060118206A (ko)
CN (1) CN18670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751A (ko) * 2006-10-10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US20080225940A1 (en) * 2007-03-16 2008-09-18 Chen Ma Digital video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video playing and recording
US8571384B2 (en) 2007-03-16 2013-10-29 Realtek Semiconductor Corp.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system, and video playback method thereof
US8860779B2 (en) * 2011-05-23 2014-10-14 Broadcom Corporation Two-way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utilizing segment-based adaptive streaming techniques
US10025787B2 (en) * 2011-08-17 2018-07-17 Bevara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digital data for archival
EP2939419A1 (en) 2012-12-31 2015-11-04 Arçelik Anonim Sirketi A video recording device
WO2015176009A1 (en) * 2014-05-16 2015-11-19 Bevara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digital data for archival
CN105575409A (zh) * 2015-12-16 2016-05-11 天津天地伟业数码科技有限公司 在嵌入式主机下光盘刻录mp4文件的方法
CN112866604B (zh) 2019-11-27 2022-06-14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视频文件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3192211A1 (en) 2022-03-28 2023-10-05 Bevara Technologies, Llc Modular pipelines for accessing digital d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551A (en) * 1992-10-29 1994-12-06 Logan; James Time delayed digital video system using concurrent recording and playback
US6163508A (en) * 1999-05-13 2000-12-19 Ericsson Inc. Recording method having temporary buffering
US6678463B1 (en) * 2000-08-02 2004-01-13 Opentv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previously broadcast content into program recording
US7072393B2 (en) * 2001-06-25 2006-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parallel encoder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reof for encoding a video sequence
DE10248587A1 (de) * 2002-10-17 2004-04-29 Atanas Salabaschew Mitschneiden von empfangenen Beiträ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5029A1 (en) 2006-11-22
US20060257103A1 (en) 2006-11-16
CN1867054A (zh)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427B1 (ko) 정보수신기록 재생장치, 정보수신기록 재생방법
EP1725029A1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6937813B1 (en) Digital video storage and replay system
WO2007137481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transformation multimédia
JP3952504B2 (ja) 録画再生装置及びその録画再生方法
JP3911508B2 (ja) 記録されたデータを再圧縮して書き直す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の再圧縮記録方法
US5926608A (en) Multi-picture processing digital video disc player
JP4322378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591443B2 (ja) 番組信号記録再生装置
JP4289253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60032191A (ko) 방송 콘텐츠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1998049832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e signaux video et audio
KR100615242B1 (ko) 타임 쉬프트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 및 동작 방법
US8442376B2 (en) Image data recording/playback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2218393A (ja) 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9076175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4007118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5444722B2 (ja) ダビング装置
KR100664489B1 (ko) 비디 레코더 및 이를 이용한 동시 녹화재생 방법
JP4187610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7266651A (ja) データ記録装置
KR100254602B1 (ko) 광디스크재생방법
KR20060118215A (ko) 디지털방송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KR20020062752A (ko) 오디오의 피치 왜곡 없는 사전-기록된 비디오의 가변 속도재생을 위한 비디오 재생 장치
JP2003143526A (ja) Dvd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