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7926A - 추간판 이식물 - Google Patents

추간판 이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926A
KR20060117926A KR1020067008392A KR20067008392A KR20060117926A KR 20060117926 A KR20060117926 A KR 20060117926A KR 1020067008392 A KR1020067008392 A KR 1020067008392A KR 20067008392 A KR20067008392 A KR 20067008392A KR 20060117926 A KR20060117926 A KR 20060117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ertebral disc
members
disc implant
parallel
pi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하트만
아민 스튜더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to KR102006700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926A/ko
Publication of KR2006011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92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간판 이식물(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간판 이식물(1)은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중간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40)는 중심축(38), 중심축(38)과 교차하는 제 1단부(47)와 상기 중심축(38)과 교차하는 제 2단부(48)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각각의 종축(18,19)과,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의 두 개의 가시돌기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각각의 병렬면(14,15)을 가진 두 개의 종방향 부재(10,11)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부재(10,11)는 병렬면(14,15)이 서로에 대하여 마주볼 수 있도록 상기 중간부(40)의 단부(47,48)와 연결된다.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을 따라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추간판, 이식물, 인공보철물, 톱니

Description

추간판 이식물{INTERVERTEBRAL IMPLANT}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추간판 이식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식물은 결함이 있는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의 경우에 두 개의인접한 척추몸통을 위한 스페이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결함이 있는 추간판에 의해 줄어든 척추몸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식물에 의해 다시 늘여질 수 있으므로, 후관절(facet joints) 상의 스트레스 또한 다시 경감된다.
일반적인 추간판 인공보철물(prosthesis)은 MATHIEU의 WO 03/015645 에 공개된다. 이 공지된 추간판 인공보철물은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종단 충수는 중간부의 왼쪽과 오른쪽에 머리와 꼬리쪽으로 돌출되는 중간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중간부는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의 가시돌기 사이의 충수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공지된 인공보철물은 팽창될 수 없는 중간부를 포함하므로, 인접한 척추몸통의 연장된 위치는 인공보철물 자체에 의해 제조될 수 없다.
SCHAR의 WO 98/46173 는 래치트(ratchet) 기구에 의해 짧아질 수 있는 척추 인공보철물을 공개한다. 그러나, 그것은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되어야만 하므로, 추간판 공간이 비워져 있는 것은 필연적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동시에 인접하는 척추몸통이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유지되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추간판 이식물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가진 추간판 이식물로 달성된다.
본 발명으로 달성되는 장점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식물에 기인한 것이고, 그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추간판 공간이 비워질 필요가 없다.
- 원하고 연장된 위치에 인접하는 척추몸통을 연장하고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인대, 특히 가시끝인대(supraspinal ligament)를 제거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 연장은 이식을 통해서 직접 실행한다.
- 무한정 변하는 연장은 가능하다. 그리고,
- 단지 하나의 이식물이 요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간판 이식물의 중간부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제 1부재의 후단과 제 2부재의 전단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두 핀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핀은 그것들이 이식을 위해 서로 가까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핀은 종축에 직교하는 반원의 횡단면과,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편평한 면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장점은 상기 핀이 삽입될 때, 특히 핀이 인대를 통과할 때 인대와 그 주변 조직이 단지 미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핀의 단부는 그것들의 연장과 고정이 끝난 후 상기 핀의 어떤 예상치 못한 이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두 부재에서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부재는 각각 그것의 병렬면에서 외면으로 연장하고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종축에 평행하는 장축을 가진 장공을 포함한다. 상기 핀의 단부는 상기 장공의 상기 장축에 수직한 방향의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장공의 긴 측면벽에 의해 장공에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핀 중에 오직 하나는 상기 장공에서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종축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으나, 다른 핀은 이식하기 전에도 상기 두 부재 중 하나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추간판 이식물의 다른 성분들의 몇 가지 적당한 치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바람직하게, 각 부재는 그것의 종축에 평행하게 10㎜와 30㎜ 사이의 높이 H 를 가진다;
- 바람직하게, 각 핀은 2㎜와 5㎜ 사이의 최대지름치수를 가진다.
-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종축에 평행하게 상기 두 핀의 변위성은 서로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7㎜와 15㎜ 사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종축에 평행한 측면에 형성된 각각의 장공은 3차원의 거시구조(macroscopic structure)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톱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부재는 티타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두 핀은 좀더 부드러운 물질로 제조되므로, 상기 두 핀의 좀더 부드러운 물질은 축상으로 상기 핀을 밀어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장공의 측면에서 거시적으로 구성되어 눌러질 수 있다. 상기 핀은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장공에서 상기 핀과 완전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도록 소성 변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핀 중에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척추몸통의 가시돌기에 대하여 방향을 향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므로, 인접한 가시돌기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상기 핀은 그것의 종축에 가로질러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장점은 그것이 척주(spinal column)의 종축에 평행하게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 사이에 이식된 후에, 상기 추간판 이식물이 원하는 범위 내에서 탄성변형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탄성부는 핀의 원주면에 배치되는 판스프링으로서 구성되고, 스프링 처짐은 0.1㎜와 4.0㎜ 사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부재는 상기 추간판 이식물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패널형상을 띤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개선안은 몇몇 예의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설명을 참조로 다음의 좀더 상세한 세부항목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연장된 핀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이식물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연장된 핀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이식물의 실시예의 사시단면도이 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식물의 실시예의 제 2핀의 중심축에 수직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의 가시돌기 사이의 본 발명에 의한 이식물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추간판 이식물(1)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종축(18,19)과 상기 종축(18,19)과 교차하는 두 단부(41,42,43,44)를 각각 가진 패널로서 구성되는 두 부재(10,11)를 포함한다. 상기 두 부재(10,1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중간부(40)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방법에 의해 상기 두 부재(10,11) 사이에 배치되고, 그것의 중심축(38)은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가로질러 연장하고, 두 부재(10,11)는 상기 중간부(40)의 각각의 단부(47,4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두 부재(10,11)는 각각 상기 두 단부(41,42,43,44)에 의해 측면으로 경계 짓는 병렬면(14,15)을 가지고, 각각은 가시돌기(도 4)의 한쪽 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부재(10,11)는 상기 대응하는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한 장축을 가진 장공(20,21)을 가지고, 상기 두 부재(10,11)는 각각 상기 병렬면(14,15)에서 마주하는 외면(16,17)으로 상기 대응하는 장공(20,21)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병렬면(14,15)에 가로질러 연장하는 종축(4,5)을 가진 두 핀(2,3)에 의해 형성된다. 상 기 두 장공(20,21)은 각각 상기 대응하는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과 교차하는 제 1단부(6,7)와, 상기 대응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과 또한 교차하는 제 2단부(8,9)를 가진다.
더욱이, 상기 두 부재(10,11)는 각각 상기 장공(20,21)에서 축상으로 분리되는 개구부(30,31)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30,31) 중에 하나는 상기 병렬면(14,15)에서 상기 외면(16,17)으로 상기 두 부재(10,11) 중에 하나를 통과시킨다. 상기 두 개구부(30,31)는 상기 제 1핀(2)의 상기 종축(4)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핀(2)의 후단(24)은 상기 제 1개구부(30)로 삽입되고 상기 제 1부재(10)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식을 하는 동안에, 상기 제 1핀(2)은 상기 제 2부재(11)의 상기 제 2개구부(31)를 통과할 수 있고 거기에 고정된다. 상기 제 2핀(3)은 일단을 통해 상기 장공(20,21)의 상기 두 단부(8,9)로 통과되고, 상기 두 장공(20,21)의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한 연장도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한 상기 장공(20,21)의 측면(26,27)에 톱니(28)가 배치되므로, 상기 제 2핀(3)은 축방향 삽입에 의해 상기 장공(20,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핀(2,3)은 그것들의 종축(4,5)에 직교하는 원형인 횡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핀(2,3)의 평평한 측면은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며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두 핀(2,3)은 그것들의 전단(22,23)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도 2는 추간판 인공보철물(1)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제 2핀(3) 이 탄성부(34)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다. 더욱이,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과 교차하는 두 부재(10,11)의 측단부(41,42,43,44)에서 상기 병렬면(14,15)은 해부시에 상기 병렬면(14,15)의 좀더 나은 접합이 달성될 수 있도록 구부러진다. 상기 외면(16,17) 쪽에서 관통하는 도구의 끝(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제 1수단(45)은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제 1단부(41,43)에 장착된다. 이 제 1수단(45)은 여기에서 상기 도구의 끝을 수용하기 위한 6각형 소켓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두 부재(10,11)는 각각 상기 도구의 끝에 대하여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없게 하는 이식을 위한 도구의 끝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구의 끝(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제 2수단(46)은 상기 두 핀(2,3)에 장착된다. 그것들은 여기에서 상기 두 핀(2,3)의 상기 후단(24,25)에서 관통하는 보어홀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 1핀(2)에 대하여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제 2핀(3)에 의해 상기 연장도구의 끝은 도구의 끝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 2수단(46)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핀(3)은 척추몸통의 가시돌기와 인접하는 표면에서 이식후에 상기 핀(2,3)의 가시돌기가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는 탄성부(3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4)는 본질적으로 상기 제 2핀(3)의 두 개의 방사형 홈(36)에 상기 두 병렬면(14,15) 사이에 클램프되고 방사상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아크형상(arc-shaped)의 판스프링(36)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제 2핀(3)의 상기 종축(5)에 직교하는 상기 핀(3)의 횡단면은 상기 판스프링(36)의 영역에서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판스프링(36)의 처짐이 가능하다.
[이식 과정의 상세한 설명]
침습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시돌기의 측면에서 바로 근육이 제거된 후에, 상기 추간판 이식물(1)이 이식될 수 있다. 상기 전단(22,23)에서 상기 핀(2,3)의 뾰족한 형상 때문에, 치료된 척추몸통의 영역에서 인대의 제거는 이식을 위해 불필요하다. 이식에 있어서, 상기 두 핀(2,3)은 그것들이 최소로 가능한 횡단면을 가진 중간부(40)를 형성할 때까지, 상기 제 1부재(10)로 그것들의 후단(24,25)과 함께 삽입되고, 상기 제 1부재(10)의 상기 종축(18)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하여 이동된다. 상기 두 핀(2,3)과 함께 상기 제 1부재(10)는 도구의 첫 번째 클램핑조(clamping jaw)와 연결되고, 반면에 상기 제 2부재(11)는 같은 도구의 두 번째 클램핑조와 연결된다. 상기 추간판 이식물(1)은 상기 제 1부재(10)와 연결된 상기 핀(2,3)이 가시돌기와 가시사이인대의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2부재(11)는 상기 가시돌기의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추간판 이식물은 배쪽으로 가능한 한 멀리 위치된다. 상기 핀(2,3)은 인대를 통해 도구에 의해 삽입되고, 상기 전단(22,23)은 상기 장공(21)과 상기 제 2부재(11)의 상기 제 2개구부(31) 각각을 통해 통과된다. 연속적으로, 상기 핀(2,3)은 제 2도구에 의해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연장하는 동안에 상기 핀(2,3)은 인접한 가시돌기와 이것들과 접촉하면서 들어오는 상기 두 핀(2,3)이 더 연장됨에 의해 연장되는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두 인접한 척추몸통의 원하는 만큼의 연장이 달성될 때, 상기 두 핀(2,3)은 상기 장공(20,21)과 상기 두 개구부(30,31) 각각의 안에서 함께 도구의 클램핑조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제 2핀(3)의 상기 전후단(23,25)은 각각 상기 톱니(28)로 눌러지고, 상기 핀(2,3)은 상기 두 부재(10,11)와 완전하게 연결된다. 상기 핀(2,3)이 상기 두 부재(10,11)에 고정된 후에, 상기 도구는 제거될 수 있고, 상처부위는 봉합된다.
본 발명은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동시에 인접하는 척추몸통이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유지되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추간판 이식물을 만들어 손상된 추간판을 치료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A) 중심축(38), 상기 중심축(38)과 교차하는 제 1단부(47)와 상기 중심축(38)과 교차하는 제 2단부(48)를 가진 추간판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중간부(40)와;
    B)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각각의 종축(18,19)과, 두 개의 인접한 척추몸통의 두 개의 가시돌기와 접촉하기 위한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각각의 병렬면(14,15)을 가진 두 개의 종방향 부재(10,11)와;
    C) 상기 병렬면(14,15)이 서로에 대해 마주보는 방식으로 상기 중간부(40)의 단부(47,48)와 연결되는 각각의 부재(10,11)에 있어서,
    D)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을 따라 상기 중심축(38)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40)는 상기 중간부(40)의 상기 중심축(38)에 평행하는 각각의 종축(4,5)을 가지고,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두 핀(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핀(2,3)은 각각 전후단(22,23,24,25)을 가지고, 상기 제 1부재(10)에는 상기 후단(24,25)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2부재(11)에는 상기 전단(22,23)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핀(2,3)은 상기 두 부재(10,11)에서 완전하게 상기 전후단(22,23,24,25)과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부재(10,11)는 각각 상기 병렬면(14,15)과 마주하는 외면(16,17)을 가지고, 상기 병렬면(14,15)에서 상기 외면(16,17)으로 연장하고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한 장축을 가진 장공(20,21)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2,3)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공(20,21)에서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2,3)은 각각 2㎜와 5㎜ 사이의 최대지름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8. 제 2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핀(3)은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상기 제 1핀(2)에 대하여 7㎜와 15㎜ 사 이의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20,21)은 각각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한 측면(26,27)을 가지고, 3차원의 거시구조(macroscopic structure)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의 거시구조는 톱니(28)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1. 제 2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부재(10,11)는 상기 두 핀(2,3)의 물질보다 딱딱한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핀(2)은 상기 두 부재(10,11) 중에 하나와 그 후단(24)에서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핀(2,3)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핀(2,3)이 상기 종축(4,5)을 가로질러 탄성변형될 수 있는 것을 이용한 탄성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4)는 적어도 하나의 핀(2,3)의 원주면에 배치된 판스프링(36)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34)는 상기 두 부재(10,11)의 상기 종축(18,19)에 평행하게 0.1㎜와 4.0㎜ 사이에서 탄성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부재(10,11)는 패널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이식물(1).
KR1020067008392A 2006-04-28 2003-10-30 추간판 이식물 Withdrawn KR20060117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8392A KR20060117926A (ko) 2006-04-28 2003-10-30 추간판 이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8392A KR20060117926A (ko) 2006-04-28 2003-10-30 추간판 이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926A true KR20060117926A (ko) 2006-11-17

Family

ID=3770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392A Withdrawn KR20060117926A (ko) 2006-04-28 2003-10-30 추간판 이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9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591B2 (en) Intervertebral implant
JP4559482B2 (ja) 棘突起間インプラント
US6187009B1 (en) Osteosynthesis implant
JP5345144B2 (ja) 横方向脊椎連結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5441997B2 (ja) 拡張可能な椎骨間インプラント
JP4902539B2 (ja) デュアル・ロッド・クロスコネクタおよび挿入用工具
EP1009337B1 (en) Spinal implant and cutting tool preparation accessory for mounting the implant
KR101033969B1 (ko) 기능성 척추간 임플란트
US6482207B1 (en) Efficient assembling modular locking pedicle screw
KR100977192B1 (ko) 점진적 접근형 골접합 장치 및 조립 방법
US20080058805A1 (en) Spinal fusion implant
EP2767263A1 (en) Intervertebral implant
JPH08503876A (ja) 椎間腔のための植接体
JP2008500085A (ja) 脊椎関節形成システム
KR20010075607A (ko) 강성이 향상된 척추 골봉합 시스템
US20080154312A1 (en) Active settling plate with elastomeric members and method of use
JP2014502866A (ja) 棘状突起固定装置および方法
CA2368251A1 (en) Shape memory alloy staple
JP2009502234A (ja) 融合構造体を伸長させるためのロッド伸長体
EP1786369A1 (de) Chirurgisches instrument
JP2001502572A (ja) 少なくとも2つの椎骨を固定する器具
JP2009511128A (ja) 横方向のロッドコネクタ
KR20110067044A (ko) 긴 부재를 뼈에 부착시키는 수술 커넥터
JP2014138857A (ja) 保持機構、移植片、および工具
MXPA02000178A (es) Jaula intercorporal para la estabilizacion de la columna verteb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