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505A - Formwork for girder - Google Patents
Formwork for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2505A KR20060112505A KR1020050035024A KR20050035024A KR20060112505A KR 20060112505 A KR20060112505 A KR 20060112505A KR 1020050035024 A KR1020050035024 A KR 1020050035024A KR 20050035024 A KR20050035024 A KR 20050035024A KR 20060112505 A KR20060112505 A KR 200601125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formwork
- block
- girder
- bo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제작대 양측 상면에 설치된 양 측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거더제작대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 상기 하부제작대 상면에 설치된 하부거푸집판의 양 측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한쌍의 연결블럭; 상기 연결블럭 상면에 설치된 측면거푸집판; 및 상기 연결블럭 외측면과 측면거푸집판 하부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연결판 및 상기 측면거푸집판 하부와 연결블럭과의 연결부를 회전지지점(A)으로하여 측면거푸집판이 바깥쪽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판을 연결시켜주는 회전힌지를 포함하는 측면거푸집 회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합성빔 제작에 있어 품질관리가 용이한 거더용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installed on the girder fabrication platform including both side supporters installe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lower production table, a pair of connection block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lower formwork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production table; A side mold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so that the side die plate is rotated outwar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ide die plate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die plate, respectively, to the rotation support point (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die rotating device including a rotating hinge to make excellent workability, relates to a girder formwork for easy quality control in the production of composite beams.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거더용 거푸집장치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formwork for a conventional girder.
도 2a는 본 발명의 거더용 거푸집장치를 도시한 것이고,Figure 2a shows the formwork device fo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회전구동장치를 확대도시한 것이고,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tary dr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연결블록, 측면지지판 및 고정블럭을 발췌 도시한 것이다.Figure 2c shows an excerpt of the connecting block, the side support plate and the fix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Signs>
100:본 발명의 양생시스템 110:하부거푸집판100: curing
120:연결블록 130:측면거푸집판120: connecting block 130: side formwork
140:측면거푸집 회전장치 141a,141b:연결판140: side die
142:회전힌지 200:거더제작대142: rotating hinge 200: girder production stand
210:하부제작대 220:측면지지대 210: lower production stand 220: side support
300:고정블록 400:회전구동장치300: fixed block 400: rotary drive device
A:회전지지부 B:측면거푸집 회전장치의 연결체결부A: Rotating support part B: Connection part of the side die-rotating device
본 발명은 거더용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용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거푸집을 설치, 해체함에 있어서, 시공성이 뛰어나면서도 조작이 간편한 교량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for girders. More specifically, in the manufacture and dismantle of the formwork to accommodate the concrete in the manufacture of bridge girders, it relates to a bridge formwork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easy to operate.
도 1은 종래의 프리플렉스 합성빔 또는 리프리스트레스 프리플렉스 합성빔과 같이 강형의 하부플랜지를 감싸도록 하부플랜지콘크리트가 형성되는 거더제작용 거푸집장치(10)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상기 거푸집장치(10)는 지반에 지지되어 설치된 수직지지대(20)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설치된 하부제작대(30) 상면에 설치된다.The
상기 하부제작대(30)는 통상 철골(I 형강)로 제작되어 합성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되며, 하부제작대(30)의 양 측 상면에는 수직판 형태로 측면지지대(40)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The lower production stand 30 is usually made of steel (I-shaped steel) is install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the
하부제작대(30)에 설치되는 거푸집장치(10)는 프리플렉스 합성빔 또는 리프리스트레스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하부플랜지(51) 주위에 형성되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 제작을 위한 것으로서, 통상 강재를 이용한 하부거푸집판(11) 및 측면거푸집판(12)으로 구분되어 제작된다.The
상기 하부거푸집판(11)은 하부제작대(3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철골 및/또는 앵글을 이용한 판 형태로 제작되고, 합성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The lower formwork plate 1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roduction table 3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ate using a plurality of steel and / or angle, and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상기 측면거푸집판(12)은 하부거푸집판(11) 상면에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이 설치되는데, 그 외측하부면이 하부연결볼트(60)에 의하여 수직지지대(20)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하부연결볼트(60)의 길이조정에 의하여 측면거푸집판(12)의 하부가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또한 측면거푸집판(12) 외측상부면과 측면지지대(40) 상부 사이에는 턴버클(70)에 의하여 상부연결볼트(80a,80b)로 연결되어, 역시 상기 턴버클의 조정에 의하여 측면거푸집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장치(10)를 이용한 합성빔의 제작공종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beam using the
먼저 수직지지대(20)에 설치된 하부연결볼트(60) 및 턴버클(70)에 연결된 상부연결볼트(80a,80b)를 조정하여 합성빔의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보다 넓게 이격되도록 측면거푸집판(12)을 하부거푸집판(11) 상면에 위치되도록 한다.First, adjust the lower connecting
다음으로는, 합성빔용 I형 강형을 하부거푸집판(11) 상부에 위치시키고, 철근 및/또는 PC 강재를 I형 강형의 하부플랜지(51) 주위에 배치한 후, 다시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를 조정하여 측면거푸집판(12)이 합성빔의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에 대응하도록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Next, the I-beams for the composite beams are positioned on the lower formwork plate 11, and the reinforcing bars and / or PC steels are arranged around the
다음으로는 측면거푸집판(12) 및 하부거푸집판(1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빔의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를 형성시키게 된다.Next, concrete is poured into the
상기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가 양생되면, 측면거푸집판(12)을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로부터 탈형시켜 합성빔을 거푸집장치(10)으로부터 해체시키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측면거푸집판(12)을 탈형시키는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At this time, various problems occur in the process of demolding the
측면거푸집판(12)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거푸집장치(10)에서는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의 조정작업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측면거푸집판(12)이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로부터 횡방향으로 탈형되도록 한다.In order to separate the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합성빔의 품질관리도 어렵고,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work is not only poor construction, but also difficult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composite bea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large number of workers, which is uneconomical.
즉, 측면거푸집판(12)은 통상 3M 정도의 길이(1 스팬)로 제작되어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도 1 스팬에 3개조씩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That is, the
이에 측면거푸집판(12)을 탈형시키기 위해서 일시에 측면거푸집을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하지 못하고, 1 스팬 마다 수명의 작업자가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를 조작하면서 측면거푸집판(12)을 탈형시키다 보니 시공성 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Therefore, in order to demould the
또한 이러한 분리과정에서 작업자가 무리하게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를 조작하다보면 측면거푸집판(12)이 뒤틀어 지는 등 손상이 누적되어 결과적으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52)의 종방향 선형에 영향을 주면서 합성빔 품질관리에 적지않은 영향을 끼치게 될 수 밖에 없었으며,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forcibly manipulates the
손상된 측면거푸집판(12) 및 하부연결볼트(60) 및 상부연결볼트(80a,80b)의 교체 작업 등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damaged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측면거푸집 탈형작업에 있어서 시공성이 뛰어나면서 도, 제작되는 합성빔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보다 적은 인원으로도 측면거푸집판 탈형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합성빔 제작이 가능한 교량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bridge construction that can be economically synthesized beam production is possible in the formwork demoulding work, but also easy to control the quality of the composite beam to be produced, the side mold plate can be demoulded with fewer personnel To provide the formwork.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첫째, 거더용 거푸집장치를 구성하는 측면거푸집판의 탈형을 위하여 종래와는 달리 힌지회전 방식으로 측면거푸집판을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그 탈형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였다.First, in order to demold the side formwork plate constituting the formwork device for girder, the side formwork plate is rotated outward by a hinge rotation method so that the formwork is very easily removed.
둘째, 측면거푸집판의 회전을 위하여 조작이 간편한 회전구동장치를 추가시켜 보다 적은 인원으로 측면거푸집판의 탈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Second, it was possible to demould the side formwork plate with fewer personnel by adding a rotary driving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for the rotation of the side formwork plate.
셋째, 상기 측면거푸집판의 횡방향 이동이 용이하도록 측면거푸집판의 하면에 연결블럭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블록을 하부거푸집판에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가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블록을 하부거푸집판의 단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Third, the connection block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formwork plate to facilitate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ide formwork plate, and the fixing block can be fixed to the lower formwork plate by changing the position freely. It was installed at the end.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의 거더용 거푸집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mwork apparatus for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회전구동장치를 확대도시한 것이고,Figure 2b is an enlarged view of the rotary dr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연결블록, 측면지지판 및 고정블럭을 발췌 도시한 것이다.Figure 2c shows an excerpt of the connecting block, the side support plate and the fix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 의한 본 발명의 거더용 거푸집장치(100)는 The
하부제작대(210) 양측 상면에 설치된 양 측면지지대(220)를 포함하는 거더제작대(200)에 설치되는 거푸집으로서,As a formwork installed on the
상기 하부제작대(210) 상면에 설치된 하부거푸집판(110)의 양 측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된 한쌍의 연결블럭(120);A pair of
상기 연결블럭(120) 상면에 설치된 측면거푸집판(130); 및A
상기 연결블럭(120) 외측면과 측면거푸집판(130) 하부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연결판(141a,141b) 및 상기 측면거푸집판(130) 하부와 연결블럭(120)과의 연결부를 회전지지점(A)으로하여 측면거푸집판이 바깥쪽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판(141a,141b)을 연결시켜주는 회전힌지(142)를 포함하는 측면거푸집 회전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제작대(210)는 도 2a와 같이 종래와 같이 지반에 지지되어 설치된 수직지지대(20)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철골(I 형강)로 제작되어 합성빔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부제작대(210)의 양 측 상면에는 수직판 형태로 측면지지대(220)가 역시 길이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The
하부제작대(210) 및 측면지지대(220) 내측에 본 발명의 거더용 거푸집장치(100)가 설치된다.The
거더용 거푸집장치(100)는 하부거푸집판(110), 연결블럭(120), 측면거푸집판(130) 및 측면거푸집 회전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상세하게 살펴본다.The
상기 하부거푸집판(110)도 종래와 같이 하부제작대(210)의 상면에 고정 설치 되며, 다수의 철골 및/또는 앵글을 이용한 판(PLATE) 형태로 제작되고, 합성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The
하부거푸집판(110)의 양 측 상면에는 본 발명의 연결블럭(120)이 설치되는데, 통상 "면끼"라고 지칭되는 블럭형태의 강재로 제작된 부재로서, 한 쌍이 하부거푸집판(110)의 상면에 이격되어 고정,설치된다. 후술되는 측면거푸집판(130)의 하부면을 지지하면서 측면거푸집판(130)이 도 2b와 같이 회전힌지(142)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종의 회전지지부재 기능을 가진다.The connecting
이때 상기 연결블럭(120)의 횡방향 이격거리는 합성빔의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에 해당하는 거리로 세팅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측면거푸집판 탈형을 위해서는 연결블럭(120)의 위치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측면거푸집판(130)이 연결블럭(120)에 지지되어 바깥쪽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탈형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단지, 합성빔에 따라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경에 따른 연결블록(120)의 위치 조정은 필요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lower flange concrete width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mposite beam,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block 120 according to this change.
따라서 하부거푸집판(110)에 고정 설치된 연결블록(120)의 위치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거푸집판의 양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고정블록(300)을 이용하여 연결블록(120)이 하부거푸집판(110)에 고정설치 되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block 120 fixed to the
도 2c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블록(300)은 연결블록(120)의 외측면에 긴결볼트에 의하여 상부고정블록(310)이 연결되고, 측면지지블록(320)이 상기 상부고정블록(320)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측면지지블록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고정블록(330)에 의하여 고정블록(300)이 하부거푸집판(110)의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부고정블록, 측면지지블록 및 하부고정블록은 고정볼트(도 2c에는 3개로 도시되어 있다.)에 의하여 하부거푸집판에 체결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2c, the fixing
이로서 연결블록(120)의 고정 위치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고정블록(300)의 고정볼트들을 풀고, 연결블록과 함께 그 위치를 조정한 후, 다시 고정볼트를 조여 연결블록이 하부거푸지판 상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한다.Thus, when adjustment of the fixed position of the
상기 측면거푸집판(130)은 통상 강판을 가공하여 소정의 두께로 제작되며, 위에서 살펴본 연결블록(120)의 상면에 지지되어 설치된다.The
이때, 측면거푸집판(130)은 미도시되었지만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종방향 연결볼트와 같은 연결재에 의하여 조립되어 합성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이에 본 발명의 연결블록(120)도 측면거푸집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부재로서 역시 합성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Therefore, the connecting
이러한 측면거푸집판(130)은 연결블록(120)과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블록(120)에 지지되어 바깥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측면거푸집 회전장치(140)이다.The
상기 측면거푸집 회전장치(140)는 도 2c를 기준으로 설명하면,The side die
상기 연결블럭(120) 외측면과 측면거푸집판(130) 하부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 연결판(141a,141b); 및 상기 측면거푸집판(130) 하부와 연결블럭(120)과의 연결부를 회전지지점(A)으로 하여 측면거푸집판이 바깥쪽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연결판 (141a,141b)을 연결시켜주는 회전힌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종의 경첩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Connecting
연결판(141a,141b)은 일종의 강플레이트로서, 하나의 연결판(141a)는 연결블록(120)의 바깥쪽 외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고, 다른 연결판(141b)은 측면거푸집판 하부 바깥쪽 외측면에 부착된다.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판(141a,141b)은 서로 상기 회전힌지(14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서 측면거푸집판(130) 하부와 연결블럭(120)과의 연결부를 회전지지점(A)으로 하여 측면거푸집판(130)이 연결블록(120)에 지지되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이러한 회전에 의한 측면거푸집판의 탈형방법과 종래의 방법과를 비교해보면,When comparing the demolding method of the side formwork plate by such a rotation and the conventional method,
첫째, 본 발명에서는 도 2a와 같이 연결블록(120)이 고정블록(300)에 의하여 하부거푸집판(11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면거푸집판(130)만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탈형시킬 수 있지만, 도 1a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측면거푸집판(12)을 탈형시키기 위하여 하부연결볼트 및 상부연결볼트의 조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해야 하기 때문에 그 시공성에 있어 매우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a in the state in which the
둘째, 본 발명의 측면거푸집판(130)이 다수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회전구동장치(400)를 사용하여 각 측면거푸집판을 동시 또는 미도시된 종방향 연결볼트를 풀면서 차례로 회전시켜 그 탈형이 용이한 반면, 종래의 방법은 상,하부연결볼트 및 턴버클을 함께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한꺼번에 많은 측면거푸집판을 동시 또는 일시에 탈형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어, 이러한 차이점은 결국, 합성빔의 품질관리 및 거푸집 내구성과 관련되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큰 차이점을 발휘하게 된다.Second, even if the
상기 측면거푸집판(140)에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회전구동장치(400)이다.It is the
상기 회전구동장치(400)는 거더제작대의 측면지지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410); 상기 유압실린더(410)에 내삽된 길이조정볼트(420); 측면지지대에 연결된 고정볼트(430); 및 상기 길이조정볼트(420)와 고정볼트(430)의 연결체결부(B)에 설치된 회전조절키(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도 2b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유압실린더(410)는 길이조정볼트(420)가 내삽되면서 부드러운 측면거푸집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유압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측면거푸집판이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410)의 좌측단부는 도 2a와 같이 거더제작대의 측면지지대(220) 상부에 고정핀 홀에 끼워진 핀으로 연결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B, the
유압실린더의 다른 단부는 상기 길이조정볼트(420)가 내삽되어 설치되며, 마주보도록 고정볼트(430)가 회전조절키(440)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상기 고정볼트(430)는 도 2a와 같이 측면거푸집판(130) 외측상면에 역시 고정홀에 끼워지는 핀으로 연결되도록 한다.The fixing
회전조절키(440)는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정볼트와 고정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회전조절키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구동장치(4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The
이에 회전조절키의 회전을 통해 측면거푸집판이 바깥쪽으로 회전되면서 벌어지게 되어 측면거푸집판 탈형이 가능하게 된다.The side die plate is rot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ontrol key to the side form plate can be demoulded.
측면거푸집판 탈형이 완료되면, 합성빔을 타 위치로 반입시키고, 회전되어 탈형된 측면거푸집판을 원 위치로 회전시키고, 다시 하부플랜지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합성빔을 반복제작하게 된다.When the side die plate demolding is completed, the synthetic beam is repeatedly produced by bringing the composite beam to another position, rotating the demolded side die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placing the lower flange concrete again.
본 발명의 거더용 거푸집장치에 의하여 많은 작업인원이 없어도 측면거푸집판 탈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품질관리측면에서도 측면거푸집판의 비틀림 또는 파손이 방지되므로 합성빔의 길이방향 선형에 있어 오차발생확률이 낮아지게 되며,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 보다 효율적인 합성빔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The formwork for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emoulding the side formwork plate without a large number of workers, and also prevents twisting or damage of the side formwork plate in terms of quality control. And the workability is very excell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ore efficient composite beam.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5024A KR100650549B1 (en) | 2005-04-27 | 2005-04-27 | Form Apparatus for Girder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5024A KR100650549B1 (en) | 2005-04-27 | 2005-04-27 | Form Apparatus for Girder Constr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2505A true KR20060112505A (en) | 2006-11-01 |
KR100650549B1 KR100650549B1 (en) | 2006-11-27 |
Family
ID=3762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5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50549B1 (en) | 2005-04-27 | 2005-04-27 | Form Apparatus for Girder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0549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2025B1 (en) * | 2007-06-27 | 2008-10-08 | (주)국민유로폼 | Concrete remover attached to formwork |
KR101124692B1 (en) * | 2011-06-21 | 2012-03-22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Beam making apparatus using prefabricated moulding frame and beam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145292B1 (en) * | 2009-09-28 | 2012-05-14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Form for foundation structure of bridge |
KR101531329B1 (en) * | 2014-10-14 | 2015-06-24 |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 Strechable steel forms |
KR101695627B1 (en) * | 2015-10-26 | 2017-01-1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Panel for possible without fully dismantilng the beam frame during construction demolition |
KR102003025B1 (en) * | 2018-10-24 | 2019-07-24 |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 Beam structural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110341026A (en) * | 2019-08-05 | 2019-10-18 | 盈创新材料(苏州)有限公司 | Beams of concrete and decorative layer Integral molding device for insoles |
CN113152286A (en) * | 2021-03-19 | 2021-07-23 | 山东博远大数据集团有限公司 | Steel web bridge side form and die block connection structure |
KR102329831B1 (en) * | 2021-01-13 | 2021-11-22 | 강도현 | Manufacturing method of pre-flex introduction type casing composite girder using formwork weigh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1615B1 (en) | 2016-02-05 | 2017-03-02 | 철우테크 (주) | Mold for girder |
KR101732453B1 (en) * | 2016-10-13 | 2017-05-08 | (주) 대현이엔씨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plex composite beam girder |
-
2005
- 2005-04-27 KR KR1020050035024A patent/KR1006505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2025B1 (en) * | 2007-06-27 | 2008-10-08 | (주)국민유로폼 | Concrete remover attached to formwork |
KR101145292B1 (en) * | 2009-09-28 | 2012-05-14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Form for foundation structure of bridge |
KR101124692B1 (en) * | 2011-06-21 | 2012-03-22 | 브릿지테크놀러지(주) | Beam making apparatus using prefabricated moulding frame and beam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531329B1 (en) * | 2014-10-14 | 2015-06-24 | 피씨에스솔루션 주식회사 | Strechable steel forms |
KR101695627B1 (en) * | 2015-10-26 | 2017-01-16 | 삼성물산 주식회사 | Panel for possible without fully dismantilng the beam frame during construction demolition |
KR102003025B1 (en) * | 2018-10-24 | 2019-07-24 |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 Beam structural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N110341026A (en) * | 2019-08-05 | 2019-10-18 | 盈创新材料(苏州)有限公司 | Beams of concrete and decorative layer Integral molding device for insoles |
KR102329831B1 (en) * | 2021-01-13 | 2021-11-22 | 강도현 | Manufacturing method of pre-flex introduction type casing composite girder using formwork weight |
CN113152286A (en) * | 2021-03-19 | 2021-07-23 | 山东博远大数据集团有限公司 | Steel web bridge side form and die block connectio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0549B1 (en) | 2006-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0549B1 (en) | Form Apparatus for Girder Construction | |
KR102144400B1 (en) | Psc girder for precast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06517B1 (en) | Mould system for manufacturing non-uniform precast concrete floor slab | |
JP5221474B2 (en) | Extruder beam rear support device and extrusion installation method | |
KR101711615B1 (en) | Mold for girder | |
KR102089758B1 (en) | Formwork structure supported by column unit | |
KR101396434B1 (en) | Movable mold device | |
KR20020035038A (en) | mould form apparatus for box girder of ILM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box-girder | |
KR100631029B1 (en) | PC Plate Assembly and PC Plat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PC Plate Assembly | |
US6416258B1 (en) | Ground advance shoring system | |
KR102597401B1 (en) | Precast slab deck mold using adjustable shear pocket device and precast slab deck using thereof | |
KR100565361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continuous extrusion method using transverse movement means | |
JP3933674B2 (en) | External formwork structure | |
KR20160145892A (en) | Ca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n-situ Concrete Pile | |
KR101542045B1 (en) | Constructing pier for method and apparatus(WALKING FORM) | |
KR100631030B1 (en) |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of a bridge using a PC plate and a PC plate thereof | |
CN208072217U (en) | A kind of portable paves track | |
JPH08333723A (en) | Manufacture of precast concrete floor slab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 |
JP3824242B2 (en) | Viaduct-free support construction method | |
KR200428295Y1 (en) | Steel formwork of arched tunnel | |
JPH10252016A (en) | Method for replacing bearing device | |
KR200279232Y1 (en) | mould form apparatus for box girder of ILM | |
KR20070082435A (en) | Crosslinking installation method using slab integrated synthetic girder | |
CN211541673U (en) | Bridge prefabricated steel mould convenient to dismantle | |
KR100278118B1 (en) | Cross beam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eam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