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2211A -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 - Google Patents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211A
KR20060112211A KR1020060034591A KR20060034591A KR20060112211A KR 20060112211 A KR20060112211 A KR 20060112211A KR 1020060034591 A KR1020060034591 A KR 1020060034591A KR 20060034591 A KR20060034591 A KR 20060034591A KR 20060112211 A KR20060112211 A KR 2006011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substrate
tool
slide member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치 쿠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ublication of KR2006011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1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42F13/1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with clamp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체결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하고,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견고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착탈 조작도 용이한 바인더를 얻는 것이다.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 부분을 배표지(11)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자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3)를 가지는 바인더이다. 체결 부재(3)는 베이스 부재(6)와, 그 베이스 부재(6)에 장착하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7)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6)는 배표지(11) 및 기판(21)을 관통하여 기판(21) 상에 돌출하는 돌출부(62)와, 돌출부(6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걸어맞춤부(63)를 가진다. 슬라이드 부재(7)는 베이스 부재(6)에의 장착시에 각 걸어맞춤부(63)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71)을 가지고, 각 걸어맞춤편은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과 걸어맞춤부(63)의 사이에 삽입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 박형화, 착탈 조작, 바인더, 기판, 배표지, 베이스 부재, 슬라이드 부재, 돌출부, 걸어맞춤부,

Description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BINDER AND ITS FASTEN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철하는 도구를 배표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 (a)는 확대 단면도, (b)는 돌출부의 형상을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이면의 위치 결정편과 배표지의 빼냄 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철하는 도구의 이면의 위치 결정편과 배표지의 빼냄 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는 도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의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표지 부재
11 배표지(背表紙)
11a 배표지의 빼냄 구멍
2 철하는 도구
21 기판
21a 구멍
3 체결 부재
6 베이스 부재
61 빠짐 방지부
62 돌출부
62a 슬릿
63 걸어맞춤부
7 슬라이드 부재
71 걸어맞춤편
71a 보조 걸어맞춤편
72 오목한 곳
73 돌출 스트립(strip)
8 걸림 수단
81 볼록부
82 오목부
83 지지편
84 평면형 노치(planar notch)
일본 특허공개 2003-276375호 공보
본 발명은 서류 등을 철하기 위한 철하는 도구의 기판 부분을 배표지(背表紙 : shelfback)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바인더류에 있어서는, 표지 부재의 배표지의 내면측에 철하는 도구가 고정되어 있다. 이 철하는 도구로서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다수매의 서류 등을 철할 수 있는 두꺼운 바인더(binder)에서는, 예를 들면, 기판 부분과, 이 기판 부분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철하는 플레이트(plate)와, 이 철하는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어 뻗어 있는 철하는 로드(rod)를 구비하는 철하는 도구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철하는 도구의 기판 부분을 배표지의 내면측에 고정하는 경우, 배표지와 기판에 서로 합치하는 복수의 구멍을 뚫어 두고, 이 구멍을 이용하여 리벳으로 표지부재를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리벳을 이용한 고정 방법에서는, 표지 부재에 철하는 도구를 한 번 고정해 버리면 양자를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일반적으로, 표지 부재는 판지나 합성수지제 시트(sheet)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연성 물질이고, 철하는 도구는 주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불연성 물질이다. 그 때문에 최근의 쓰레기 처리 문제나 자연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요구되고 있는 분리 폐기에 대해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내구성을 구비한 철하는 도구의 재이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기술이 특허문헌(일본 특허공개 2003-27637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기재의 바인더는 배표지의 내면측에 베이스 고정구(체결 부재)를 개재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된 철하는 도구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고정구는 전체가 수지제로서, 배표지 및 베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부재와, 이 관통 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우고 뽑기 가능한 삽입축부와, 이 삽입축부의 인접 위치에 설치된 후크부(hook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축부가 관통 부재의 구멍에 삽입된 경우에 베이스가 배표지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착탈이 자유로운 철하는 도구를 구비한 바인더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있다.
(1) 베이스 고정구의 구성 부재인 쐐기 부재의 본체로부터 돌출된 후크부가 삽입축부의 인접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후크부가 쐐기 부재 본체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후크부(hook portion)의 저항이 크고, 후크부를 구부려 쐐기 부재(wedge member)를 관통 부재로부터 떼어내거나 장착하거나 하는데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떼어내기가 곤란하다.
(2) 2개의 삽입축부의 외측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 공정에서의 조립시 및 관통 부재로부터 떼어낼 때, 삽입축부가 외부와 접촉하기 쉽고, 변형 및 파손이 생기기 쉽다. 변형 및 파손에 대해서는 후크부를 외측에 설치하여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 삽입축부와 삽입축부의 인접 위치에 후크부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축 직경을 작게 하여 베이스(base) 고정구의 박형화를 도모하려고 하 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축의 갯수를 늘릴 필요가 있고, 축 직경을 작게 하면 변형 및 파손이 보다 생기기 쉽게 된다고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베이스 고정구에 대응하는 체결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견고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착탈 조작도 용이한 바인더 및 이에 이용하는 체결 부재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은 철하는 도구의 기판 부분을 배표지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로서, 베이스 부재와, 그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는 배표지 및 철하는 도구의 기판을 관통하여 그 기판상에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슬라이드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각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표지 및 기판을 관통하여 기판상에 돌출하는 돌출부의 양측에 걸어맞춤부를 각각 설치하고, 각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을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체결 부재 전체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돌출부에 대해서 두개의 걸어맞춤부가 존재하고, 그에 대응하는 걸어맞춤편도 적어도 두개 존재하므로, 개개의 걸어맞춤편을 얇게 하여도 전체로서의 걸어맞춤편의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걸어맞춤 편은 단면 L자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축 구조에 비해 변형 및 파손에 강하다. 이에 의해 체결 부재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단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편의 표면에는 걸어맞춤편의 삽입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 스트립이 형성되고, 걸어맞춤부에는 돌출 스트립의 진입을 허용하는 가이드 홈(guide groove)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어맞춤편에 그 길이 방향에 따른 돌출 스트립을 설치한 경우, 걸어맞춤편 자체를 보강하는 기능과 가이드 기능의 양쪽 모두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편의 돌출 스트립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서류에 의한 과도의 하중이 걸린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의 걸어맞춤편이 외측으로 변형하고 철하는 도구가 탈락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는 배표지의 폭이 좁으면(예를 들면, 5cm 미만) 하나이어도 좋고, 이 경우의 슬라이드 부재에는 돌출부의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2개의 걸어맞춤편이 설치된다. 배표지의 폭이 넓어지면(예를 들면, 5cm 이상), 상기 배표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각 돌출부의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4개의 걸어맞춤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4개의 걸어맞춤편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각 걸어맞춤편을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전체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설계로 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와 기판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와 기판의 마주 대하는 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볼록부와, 타방에 설치되어 볼록부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걸림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 끼워맞춤으로 한 경우, 후크 부재를 설치하는데 비해 걸림 수단을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 및 파손이 생기기 어렵다.
또, 슬라이드 부재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이 설치되고, 그 지지편에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에 볼록부를 설치한 경우, 지지편의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볼록부의 출몰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 또는 이탈시킬 때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걸림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철하는 도구의 기판 부분을 배표지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로서, 체결 부재는 베이스 부재와, 그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는 배표지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빠짐 방지부와, 배표지 및 철하는 도구의 기판을 관통하여 기판상에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슬라이드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각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을 가진다.
본 발명의 체결 부재에 의하면, 종래의 베이스 고정구보다 두께를 얇게 하여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 부재를 설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성이 우수하고, 성형 후의 변형도 작다고 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배표지의 폭이 좁으면(예를 들면, 5cm 미만) 하나라도 좋고, 이 경우의 슬라이드 부재에는 돌출부의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2개의 걸 어맞춤편이 설치된다. 배표지의 폭이 넓어지면(예를 들면, 5cm 이상), 배표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한 쌍 설치되고, 슬라이드 부재에는 각 돌출부의 걸어맞춤부에 대응하는 4개의 걸어맞춤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 부재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철하는 도구의 기판에 설치한 오목부에 끼워맞춰 슬라이드 부재를 그 장착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한 경우, 볼록부를 필요한 돌출량으로 하는 성형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철하는 도구의 기판에 대해서는 단순한 천공 가공으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걸림 수단을 간이하게 하고, 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또한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이 설치되고, 그 지지편에 볼록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에 볼록부를 설치한 경우, 지지편의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볼록부의 출몰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베이스 부재에 장착 또는 이탈시킬 때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걸림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바인더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평면도이다. 도 5 (a), (b)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철하는 도구를 배표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 실시 형태의 바인더(B)는 표지 부재(1)의 배표지(11)의 내면측에 금속제의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 부분을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체결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표지 부재(1)는 판지나 합성수지제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철하는 도구(2)는 체결 부재(3)에 의해 배표지(11)에 고정되는 기판(21)과, 기판(21)의 좌우(배표지(11)의 폭 방향) 양측 부분에 배치되어 바깥쪽으로 펼치는 조작이 가능한 한 쌍의 조작 부재(22, 22)와, 양 조작 부재(22, 22) 사이에 뻗어 있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철하는 부재(23)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21)은 금속판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 5(a)에 나타내듯이, 기판(21)의 좌우 양측에 기립부(24, 24)가 설치되어 있다. 기립부(24, 24)의 상단에는 베어링(25, 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부(25, 25)에 대해서 한 쌍의 조작 부재(22, 22)가 힌지 핀(hinge pin)(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다.
철하는 부재(23)는 일방의 조작 부재(22)에 장착된 지지판(23a)으로부터 뻗어 있는 금속봉으로 이루어지는 삽입 로드(23b)와, 타방의 조작 부재(22)에 장착된 지지판(23c)으로부터 뻗어 있는 금속 파이프로부터 이루어지는 수용 로드(23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서류 등을 꺼내거나 철할 때에는 조작 부재(22, 22)를 외측으로 벌리도록 조작함으로써 철하는 부재(23)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21)과 배표지(11)에는 체결 부재(3)의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6)의 돌출부(62)를 관통시키는 평면 사각형의 구멍(21a)과 빼냄 구멍(11a)이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기판(21)의 구멍(21a)과 배표지(11)의 빼냄 구멍(11a)은 배표지(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한 쌍, 또한 배표지(11)의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한 쌍, 합계 2쌍(4개) 설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5 (a) 참조).
또, 이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의 이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배표지(11)의 빼냄 구멍(11a)과 기판(21)의 구멍(21a)을 서로 동축으로 합치시켜 위치 결정하고, 철하는 도구(2)가 탈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편(21b)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에서, 각 위치 결정편(21b)은 기판(21)의 구멍(21a)의 마주 대하는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기판(21)의 이면측으로 잘라 일으켜진 잘라 일으킴 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21b)의 잘라 일으킴 각도는 기판(21)의 이면에 대해서 거의 90도로 설정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21b)의 높이는 배표지(11)의 두께를 넘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21b)의 선단은 설편(舌片) 형상으로 둥글게 되고, 배표지(11)의 빼냄 구멍(11a)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21b)은 기판(21)의 구멍(21a) 하나당 4개 설치되고, 각각이 구멍(21a)의 네 귀퉁이 근처에 배치되고 배표지(11)의 빼냄 구멍(11a)의 내측 가장자리에 끼워맞춰진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각 위치 결정편(21b)을 배표지(11)의 대응하는 빼냄 구멍(11a)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기판(21)은 배표지(11)에 대해서 그 전후좌우(배표지의 폭 방향 및 높이 방향)로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게 위치 결정된다.
체결 부재(3)는 도 2∼도 5 (a)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6)와, 그 베이스 부재(6)에 장착하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6)는 배표지(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빠짐 방지부(61)와, 빠짐 방지부(61)로부터 돌출하고, 배표지(11) 및 기판(21)을 관통하여 기판(21) 상에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62, 62)와, 각 돌출부(6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걸어맞춤부(63, 6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7)에는 베이스 부재(6)에 대한 장착시에 각 걸어맞춤부(63)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4개의 걸어맞춤편(71)과, 슬라이드 조작용의 오목한 곳(72)이 설치되어 있다.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과 슬라이드 부재(7)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7)의 베이스 부재(6)에의 장착시에 서로 걸어맞춰져 슬라이드 부재(7)를 그 장착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걸림 수단(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수단(8)으로서는, 슬라이드 부재(7) 또는 기판(21)의 마주 대하는 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볼록부(81)와, 타방에 설치되고, 볼록부(81)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8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7)에 볼록부(81)를 설치하고, 기판(21)에 오목부(82)를 설치하여 걸림 수단(8)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요철 끼워맞춤으로 하여, 종래와 같이 후크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걸림 수단을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 및 파손이 생기기 어렵다.
특히, 슬라이드 부재(7)에 볼록부(81)를 설치한 경우, 볼록부(81)를 필요한 돌출량으로 하는 성형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단순한 천공 가공으로 오목부(8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걸림 수단(8)을 간이하게 하여도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7)에 설치한 오목한 곳(72)의 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는 점을 이용하여, 그 오목한 곳(72) 부분에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83)을 설치하고, 그 지지편(83)에 볼록부(8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지지편(83)은 오목한 곳(72)의 부분에 U자 형상의 평면형 노치(planar notch)(84)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83)에 볼록부(81)를 설치한 경우, 지지편(83)의 탄성 변형 작용에 의해 볼록부(81)의 출몰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7)를 베이스 부재(6)에 장착 또는 이탈시킬 때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걸림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걸림 수단은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U자 형상의 평면형 노치(84)를 형성하여 설치하여도 좋고, 도 8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드 부재(7)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U자 형상의 평면형 노치(84)를 형성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또, 걸림 수단은 도 16에 나타내듯이 U자 형상의 평면형 노치(84)를 복수 형성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걸어맞춤부(63)는 돌출부(62)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한 단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걸어맞춤편(71)은 기판(21)과 걸어맞춤부(63)의 사이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편(71, 71)의 간격(α)은 돌출부(62)의 폭 방향(배표지(11)의 폭 방향)의 두께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71)은 단면 L자 구조를 하고 있어서 전체로서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설계로 되어 있다.
걸어맞춤편(71)의 표면에는 걸어맞춤편(71)의 삽입 방향(걸어맞춤편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 스트립(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걸어맞춤부(63)의 하면에는 돌출 스트립(73)의 진입을 허용하는 가이드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걸어맞춤편(71)에 그 길이 방향에 따른 돌출 스트립(73)을 설치함으로써 걸어맞춤편 자체의 보강 기능과 서류에 의한 과도의 하중이 걸린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의 걸어맞춤편(71)이 외측으로 변형하고 철하는 도구가 탈락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막는 기능의 양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돌출 스트립(73) 및 가이드 홈(64)을 설치함으로써 상술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지만, 체결 부재로서의 본질적인 기능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도 5 (b)에 나타내듯이 걸어맞춤부(63)의 하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걸어맞춤편(71)의 상면도 그에 대응하여 평탄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판 형상으로 형성된 빠짐 방지부(61)에는 걸어맞춤부(63)를 향하여, 돌출부(62)와 평행하게 한 쌍의 벽부(wall portion)(65)를 기립시키고, 벽부(65)의 선단 주변을 돌출부(62)와는 반대측으로 절곡하여 발톱부(claw portion)(66)를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부재(6)를 배표지(11)의 빼냄 구멍(11a)에 가고정할 수 있다.
또, 돌출부(62)의 단변측 측면에는, 베이스 부재(6)를 표지의 빼냄 구멍(11a)에 세팅(setting)한 경우에, 베이스 부재(6)의 표지의 단변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부(6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체결 부재(3)를 이용하여 철하는 도구(2)를 표지 부재(1)의 배표지(11)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데는, 예를 들면 다음의 작업을 하면 좋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배표지(11)의 내측으로부터 그 배표지(11)에 설치한 빼냄 구멍(11a)에 대해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에 설치한 각 위치 결정편(21b)을, 대응하는 빼냄 구멍(11a)에 삽입하여 배표지(11)에 철하는 도구(2)를 세팅한다. 다음에, 배표지(11)의 외측으로부터 그 배표지(11)에 설치한 빼냄 구멍(11a) 및 기판(21)의 구멍(21a)에 대해 베이스 부재(6)의 각 돌출부(62)를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 부재(7)를 두개 모두 각각 삽입하여 장착한다(도 1 참조).
표지 부재(1)와 철하는 도구(2)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7)의 오목한 곳(72)을 이용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7)를 두개 모두 뽑아내면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8∼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부재(7)의 걸어맞춤편(71)에 설치하는 돌출 스트립(73)과, 걸어맞춤부(63) 하면의 가이드 홈(64)의 단면 형상을 바꾸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돌출 스트립(73)에 대해서는 단면 볼록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부분적으로 깎아내어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홈(64)도 돌출 스트립(7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각 부분을 부분적으로 깎아내어 매끄러 운 곡면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에 의해, 서류에 의한 과도의 하중이 걸릴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7)의 걸어맞춤편(71)이 외측으로 변형하고 철하는 도구가 탈락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막을 수 있음과 아울러 성형이 용이하고, 가이드(guide)로서의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수단(8)을 한 쌍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7)에 설치한 오목한 곳(72)의 부분이 얇게 형성되어 있는 점을 이용하여, 그 오목한 곳(72) 부분에 탄성 변형 가능한 지지편(83)을 오목한 곳(72)의 좌우(배표지의 폭 방향)로 가까이 댄 위치에 2개소 설치함과 아울러, 양 지지편(83)의 하면에 볼록부(81)를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양 지지편(83)도 오목한 곳(72)의 부분에 U자 형상의 평면형 노치(84)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지지편(83)을 2개소 설치한 관계로, 철하는 도구(2)의 기판(21)에도, 돌기부(81)가 각각 끼워맞춰지는 오목부(83)를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걸림 수단(8)을 한 쌍 설치한 경우 그 만큼 걸림 수단(8)의 기능이 높아진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5∼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다. 또한, 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앞의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 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걸어맞춤부(63)와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 면적을 증가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돌출부(62)는 걸어맞춤편(71)의 삽입 방향과 마주 대하는 측면에 설치된 슬릿(62a)을 포함하고, 슬라이드 부재(7)의 인접하는 걸어맞춤편(71, 71) 사이에, 슬라이드 부재(7)의 베이스 부재(6)에의 장착시에 슬릿(62a)에 끼워지는 보조 걸어맞춤편(71a)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슬릿(62a)은 1개소이어도 좋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에 편리함을 고려하여, 걸어맞춤편(71)의 삽입 방향과 마주 대하는 측면에 1개소, 그와 반대측의 측면에 1개소, 합계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슬릿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6)를 배표지의 구멍에 관통시킬 수 있다.
보조 걸어맞춤편(71a)은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편(71, 71)을 포함하여 평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걸어맞춤편(71)의 삽입 방향의 전측으로 가까이 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걸어맞춤편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여지고, 보조 걸어맞춤편(71a)을 부가한 부분만 걸어맞춤 면적이 증가하고, 체결 부재로서의 기능이 더 높아진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6)에 돌출부(62)를 한 쌍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배표지의 폭에 따라 그 이상 또는 하나만 설치하여도 좋다. 하나의 경우에는 빠짐 방지부(61)의 중앙에 설치하게 된다. 하나의 돌출부(62)로 하여도 그 좌우에 걸어맞춤부(63)가 존재하고, 걸어맞춤편(71)도 두 개 존재하게 되므로, 이 경우도 충분한 강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하고,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견고하여 강도적으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착탈 조작도 용이한 바인더 및 그에 이용하는 체결 부재가 얻어진다.

Claims (5)

  1. 철하는 도구의 기판 부분을 배표지(背表紙)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로서,
    베이스 부재와, 그 베이스 부재에 장착하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배표지 및 철하는 도구의 기판을 관통하여 그 기판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상기 각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철하는 도구의 기판과 상기 걸어맞춤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표면에는 걸어맞춤편의 삽입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 스트립(strip)이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부에는 상기 돌출 스트립의 진입을 허용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하는 도구의 기판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 의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서로 걸어맞춰져 슬라이드 부재를 그 장착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걸림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어맞춤편의 삽입 방향과 마주 대하는 측면에 설치된 슬릿(slit)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서로 인접하는 걸어맞춤편 사이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베이스 부재에의 장착시에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보조 걸어맞춤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결 부재와, 그 체결 부재에 의해 배표지의 내면측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된 철하는 도구를 구비한 바인더.
KR1020060034591A 2005-04-26 2006-04-17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 Ceased KR20060112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8024A JP4647381B2 (ja) 2005-04-26 2005-04-26 バインダー及びその締結部材
JPJP-P-2005-00128024 2005-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11A true KR20060112211A (ko) 2006-10-31

Family

ID=3719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591A Ceased KR20060112211A (ko) 2005-04-26 2006-04-17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47381B2 (ko)
KR (1) KR20060112211A (ko)
CN (1) CN100484775C (ko)
SG (1) SG126891A1 (ko)
TW (1) TWI3507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86A (ko) * 2019-06-26 2021-01-06 문건호 파일 폴더의 바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2005B2 (ja) * 2006-01-31 2012-09-12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具、及びバインダー
HK1123930A2 (zh) * 2008-05-07 2009-06-26 Lion Share International Limited 紙張維持器的蓋
JP5042915B2 (ja) * 2008-05-12 2012-10-03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込ファイル
JP2012148413A (ja) * 2011-01-14 2012-08-09 King Jim Co Ltd 樹脂製の綴じ具
CN107531083B (zh) * 2015-05-01 2019-07-05 株式会社锦宫事务 装订件与封皮的固定构造及文件夹
JP6475587B2 (ja) * 2015-07-30 2019-02-27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じ具と表紙との固定構造、及びファイル
JP6558944B2 (ja) * 2015-05-01 2019-08-14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じ具と表紙との固定構造、及びファイル
JP2016210055A (ja)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キングジム 綴じ具と表紙との固定構造、及びファイ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494A (ja) * 1999-02-12 2000-08-22 Plus Property Corp ファイルの綴じ具取付け装置
JP2000296689A (ja) * 1999-04-15 2000-10-24 Yutaka Ito ファイル及びファイル用取付具
JP2004255604A (ja) * 2003-02-24 2004-09-16 Yamanoi Seiki Kk ファイル用バインダの綴金具
JP4276508B2 (ja) * 2003-10-02 2009-06-10 山野井精機株式会社 ファイル用バインダの綴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86A (ko) * 2019-06-26 2021-01-06 문건호 파일 폴더의 바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47381B2 (ja) 2011-03-09
JP2006305764A (ja) 2006-11-09
CN1853952A (zh) 2006-11-01
HK1095567A1 (zh) 2007-05-11
TW200702208A (en) 2007-01-16
CN100484775C (zh) 2009-05-06
SG126891A1 (en) 2006-11-29
TWI350796B (en)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2211A (ko) 바인더 및 그 체결 부재
US20180154842A1 (en) Cover for onboard electronic device
CA1170141A (en) Document holders
US8422242B2 (en) Structure for fixing circuit board
CN109404384B (zh) 卡扣组件
JPH11101469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US7483263B2 (en) Computer enclosure
WO2021221079A1 (ja) 留め具
EP1975354A1 (en) Case latch assembly
US20070247035A1 (en) Computer enclosure with removable side panel
JP2011103714A (ja) バンドクリップ
JP4937348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KR950003306Y1 (ko) 조립라인에 있어서의 생산지시서 부착구
EP1148771A1 (en) Circuit board holder
JP4604720B2 (ja) 操作盤のロック装置
JP3073478B2 (ja) ファイル
JP2003056532A (ja) クランプ
CN215321584U (zh) 一种记事本锁扣结构
JPH0630467Y2 (ja) スライドファイル
CN210832489U (zh) 空调壳体和移动式空调
JP3105933U (ja) 綴じ金具
JP4937349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HK1095567B (en) Binder and its fastening member
JP4879659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
JP4767764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4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