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998A - 스크류 - Google Patents
스크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0998A KR20060110998A KR1020050033272A KR20050033272A KR20060110998A KR 20060110998 A KR20060110998 A KR 20060110998A KR 1020050033272 A KR1020050033272 A KR 1020050033272A KR 20050033272 A KR20050033272 A KR 20050033272A KR 20060110998 A KR20060110998 A KR 200601109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tool
- tool groove
- groove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755266 Kathetostoma gigante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을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몸체부(21)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23)와, 상기 머리부(23)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23)와 몸체부(21)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1공구홈(25)과, 상기 제1공구홈(25)의 내부 영역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구홈(25)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23)와 몸체부(21)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공구홈(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에 의하면 사용자나 생산자가 한가지의 스크류를 다양한 드라이버로 풀고 죌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생산자의 편의성 및 관리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스크류, 머리, 공구홈, 드라이버
Description
도 1은 별표 공구홈을 가진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
도 2는 십자 공구홈을 가진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몸체부 23: 머리부
25: 제1공구홈 25': 제2공구홈
26: 보조홈 31: 몸체부
33: 머리부 35: 제1공구홈
35': 제2공구홈 36: 보조홈
본 발명은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여 죄고 풀 수 있는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는 원기둥이나 원추형의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홈(이하 '나사부'라 한다)을 파서 2개의 물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부가 물체를 관통하여 죄어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머리부에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홈이 형성된다.
도 1에는 별표 공구홈을 가진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원기둥형상 또는 원추형상의 몸체부(1)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는 그 용도에 따라 삼각형의 나사산을 가지는 삼각나사와 사각형의 나사산을 가지는 사각나사 등이 있다.
상기 몸체부(1)의 상단에는 머리부(3)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3)는 상기 몸체부(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그 상단면에 공구홈(5)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홈(5)은 별표, 즉, '*'표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별표 공구홈(5)에는 이에 대응되는 구성이 선단이 형성된 드라이버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2에는 십자공구홈을 가진 종래 기술에 의한 스크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원기둥형상 또는 원추형상의 몸체부(11)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상단에는 머리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머리부(13)는 상기 몸체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머리부(13)에는 십자, 즉 '+'자 모양의 공구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십자 공구홈(15)에는 소위 말하는 십자드라이버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스크류가 서로 다른 형상의 공구홈(5,15)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들은 각각의 공구홈(5,15)에 맞는 드라이버를 각각 가지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크류가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경우도 그 제품이 판매되는 나라 등에 따라, 해당되는 나라에서 통용되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제품을 조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생산자는 별표 공구홈(5)을 가지는 스크류뿐만 아니라 십자 공구홈(15)을 가지는 스크류도 있어야 하고, 또한 각각 이에 맞는 드라이버도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부품 및 공구 관리비용이 많이 드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죄고 풀 수 있는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주면을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몸체부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와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1공구홈과, 상기 제1공구홈의 내부 영역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구홈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와 몸체부를 회전시키 도록 하는 제2공구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공구홈은 다각형의 요홈형상이고, 상기 제2공구홈은 십자형상이다.
상기 제1공구홈은 '*'표 형상의 요홈이고, 상기 제2공구홈은 십자형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에 의하면 사용자나 생산자가 한가지의 스크류를 다양한 드라이버로 풀고 죌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생산자의 편의성 및 관리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몸체부(21)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추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부(21)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의 형상은 스크류가 가지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것이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몸체부(21)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일부 끝부분에서부터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1)의 일단에는 머리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머리부(23)는 상기 몸체부(21)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머리부(23)는 본 실시예에서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반구형, 육각판상 등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23)에는 제1 및 제2공구홈(25,25')이 겹쳐서 형성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공구홈(25)은 육각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육각형상의 요홈인 제1공구홈(25)에는 그 내부에 형합되는 형상을 선단에 가진 육각렌치 가 삽입되어 스크류를 죄거나 풀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공구홈(25')은 상기 제1공구홈(25)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공구홈(25')은 십자, 즉 '+'자 형상의 요홈이다. 상기 제2공구홈(25')에는 십자 드라이버가 삽입되어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공구홈(25')은 되도록 상기 제1공구홈(25)의 내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공구홈(25)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공구홈(25')과 연계되는 보조홈(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홈(26)은 상기 제2공구홈(25')에 삽입되는 십자 드라이버가 상기 제1공구홈(25)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몸체부(3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31) 역시 원기둥형상이나 원뿔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몸체부(31)의 형상이나 상기 몸체부(31)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31)의 일단부에는 머리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33)는 상기 몸체부(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원판상, 반구형상, 다각형 판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3)의 상단면에는 제1 및 제2 공구홈(35,3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구홈(35)은 별표 즉, '*'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공구홈(35)에는 별표 형상의 요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선단에 가지는 공구가 결합 되어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구홈(35')은 상기 제1공구홈(35)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공구홈(35')은 십자, 즉 '+'자 형상의 요홈이다. 상기 제2공구홈(35')에는 십자 드라이버가 삽입되어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공구홈(35')은 되도록 상기 제1공구홈(35)의 내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36은 보조홈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류는 상기 제1공구홈(25)의 내부에 형합되는 선단 형상을 가지는 육각렌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구홈(25')에 결합되는 십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스크류가 회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크류를 육각렌치나 십자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십자홈 형상의 제2공구홈(25')에는 그 크기에 맞는 일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는 사용자나 작업자가 육각렌치나 십자드라이버 또는 일자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죄거나 풀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크류는 상기 별표 형상의 요홈인 제1공구홈(35)에 삽입될 수 있는 선단 형상을 가지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와, 상기 제2공구홈(35')에 삽입될 수 있는 십자 드라이버나 일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나 작업자는 상기 3가지의 공구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죄거나 풀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공구홈(25,35)은 제2공구홈(25',35')이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공구를 삽입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도 3의 육각요홈 외에 3각, 4각, 5각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요홈으로 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크류를 죄고 풀 때, 그 공구홈에 맞는 다양한 형상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생산자는 다양한 공구홈에 맞는 공구중 어느 하나만 있어도 스크류를 죄거나 풀 수 있어 스크류를 풀고 죄는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크류를 사용하면, 생산자가 스크류를 한가지만 사용해도 되고, 다양한 공구중에 어느 하나만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생산자로서는 부품관리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외주면을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몸체부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머리부와,상기 머리부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와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1공구홈과,상기 제1공구홈의 내부 영역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구홈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구가 삽입되어 머리부와 몸체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2공구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구홈은 다각형의 요홈형상이고, 상기 제2공구홈은 십자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구홈은 '*'표 형상의 요홈이고, 상기 제2공구홈은 십자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3272A KR20060110998A (ko) | 2005-04-21 | 2005-04-21 | 스크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3272A KR20060110998A (ko) | 2005-04-21 | 2005-04-21 | 스크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0998A true KR20060110998A (ko) | 2006-10-26 |
Family
ID=3761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3272A KR20060110998A (ko) | 2005-04-21 | 2005-04-21 | 스크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1099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985B1 (ko) | 2018-11-26 | 2019-09-20 | (주)발맥스기술 | Lng bog 재액화 시스템 |
KR102024772B1 (ko) | 2018-10-01 | 2019-09-25 | (주)발맥스기술 | Lng bog 재액화 시스템 |
KR20220170195A (ko) | 2021-06-22 | 2022-12-29 | 안관호 |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
-
2005
- 2005-04-21 KR KR1020050033272A patent/KR200601109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4772B1 (ko) | 2018-10-01 | 2019-09-25 | (주)발맥스기술 | Lng bog 재액화 시스템 |
KR102022985B1 (ko) | 2018-11-26 | 2019-09-20 | (주)발맥스기술 | Lng bog 재액화 시스템 |
KR20220170195A (ko) | 2021-06-22 | 2022-12-29 | 안관호 | 원터치 결속용 나사못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47698A1 (en) | Spherical Anti-Slip Fastener Remover | |
CA2537081A1 (en) | Lock nut | |
US20080006126A1 (en) | Hexagonal bolt head and hexagonal recess of socket | |
US20220281085A1 (en) | Multi-Directional Driver Bit | |
JP2006068891A (ja) | ファスナとファスナドライバとの組み合わせ、ファスナ、及びファスナドライバ | |
US7344346B2 (en) | Fast fasten and loose resistant bolt and nut structure | |
KR20060110998A (ko) | 스크류 | |
US20050252348A1 (en) | Hand tool having adjustable assistant bar | |
US20080038089A1 (en) | Screw with two thread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 |
US20100294087A1 (en) | Tool sleeve clamping structure | |
US10724571B2 (en) | Structure of screw | |
KR20180104378A (ko) |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가능한 만능 렌치 | |
JP3122984U (ja) | ラチェットドライバー | |
US20030041700A1 (en) | Close end wrench | |
US20080127785A1 (en) | Handheld tool with indicating member | |
KR200233603Y1 (ko) | 렌치볼트 | |
JP2019115947A (ja) | 六角レンチラチェットアダプター | |
JP2006132686A (ja) | 締結具 | |
KR200388166Y1 (ko) | 풀림 방지용 스크류 | |
KR200386909Y1 (ko) | 3각 렌치볼트 | |
GB2447351A (en) | Hand tool extension | |
JP3147484U (ja) | 頭付ボルト | |
KR200315438Y1 (ko) | 너트체결용 드라이버 | |
KR200357032Y1 (ko) |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삼각형기둥의 구조를 갖는나사 및 드라이버 | |
KR200337791Y1 (ko) | 소형 복스드라이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