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911A - Catchment - Google Patents
Catch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1911A KR20060101911A KR1020050023510A KR20050023510A KR20060101911A KR 20060101911 A KR20060101911 A KR 20060101911A KR 1020050023510 A KR1020050023510 A KR 1020050023510A KR 20050023510 A KR20050023510 A KR 20050023510A KR 20060101911 A KR20060101911 A KR 20060101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cover
- collecting pipe
- water collect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deposit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means for collecting the accumulated dirt in the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drain pipe in advance, thereby Contamination is also directed to catch basins which are additionally preven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단차되어 퇴적공간(11)이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단차되어 형성된 퇴적공간(11)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collecting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containing rainwater, sewage and dirt to the outside, the water collecting port, the water collecting pipe 10 is formed stepped at a predetermined depth (11), and the 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ver 20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21, 22) on the front side and the sedimentation space (11) formed in the collecting pipe (10)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10) It consists of a fluid sorting means 30 to filter the liquid,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over 20, and to deposit the dirt.
교량, 집수구, 집수관, 배수관, 오물, 쓰레기, 필터 Bridge, Sewer, Sump, Drain, Sewage, Garbage, Filter
Description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atchment installed in the bridge,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구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절개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incision cutting a part of th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집수관 11 : 퇴적공간10: collecting pipe 11: deposition space
12 : 유동체 가이드판 13 : 끼움홈12: fluid guide plate 13: fitting groove
20 : 덮개 21,22 : 유수공20:
30 : 유동체 선별수단 31 : 고정부30: fluid sorting means 31: fixed part
32 : 필터 33 :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2: filter 33: dirt flow auxiliary prevention plate
40 : 배수관40: drain pipe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deposit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fluid and a means for collecting the accumulated dirt in the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drain pipe in advance, thereby Contamination is also directed to catch basins which are additionally prevented.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 및 오수 등의 유동체가 하천 등과 같은 외부로 배수되도록 유동체를 집수시켜 주는 교량용 집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와 아스콘(2)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에 집수관(3)이 매립되고, 그 매립된 집수관(3)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4a)이 형성된 덮개(4)가 안착되는 구조이고, 집수관(3)의 하단과 배수관(500)이 연결고정되어 외부로 유동체가 배수된다. In general, the bridge catching port for collect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is drained to the outside, such as rivers are covered with the slab (1) and ascon (2)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bridge top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tructure of the cover (4)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ipe (3) is embedded in the slab (1), a plurality of inlet holes (4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mbedded collection pipe (3) Is the structure is seated,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3) and the drain pipe 500 is fixed to the fluid is drained to the outside.
여기서, 집수관(3)의 하단과 배수관(500)의 고정은 집수관(3)의 하단부와 배수관(5)의 선단부를 패킹(6)으로 감싼 후 패킹(6)의 양단부에 나사체결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Here,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3) and the fixing of the drain pipe (500) is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3) and the tip of the drain pipe (5) by packing (6) and then screwed to both ends of the packing (6) It is a structure.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 상에 우수 또는 오수를 포함하는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3)의 유입공(4a)을 통해 집수관(3)으로 유동되고, 그 유동된 유동체는 배수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When a fluid containing rainwater or sewage occurs on a bridge in which a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port for a bridge is installed, the generated fluid flows into the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에는 우수 및 오수뿐만 아니라 이물질(낙엽, 지푸라기 및 각종 생활쓰레기)도 포함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집수관(3) 또는 배수관(5)에 퇴적되어 집수관(3) 또는 배수관(5)을 막히게 함으로써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port for bridges includes not only rainwater and sewage but also foreign substances (fallen leaves, straw and various household wastes), the fluid is deposited in the
이를 해소하고자 덮개(4)에 형성된 유입공(4a)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이물질이 덮개(4) 상에 퇴적되기 때문에 이 또한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f the size of the
또한, 교량에 설치된 배수관(5)은 매우 긴 길이(통상 10m 또는 그 이상)를 가지기 때문에 퇴적된 이물질에 배수관(5)이 막힌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집수관(3) 또는 배수관(5)에 퇴적되지 않은 이물질은 외부인 하천 등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폐단도 있다. In addition, since foreign matters which are not deposited in the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deposit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fluid and the means for collecting the accumulated dirt in the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water collecting pipe and the drain pipe in advance, and thu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port which is additionally prevent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집수구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 구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utaway shown by cutting a part of th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구는 덮개(20)와, 집수관(10)과,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bridg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to discharge the fluid containing rainwater, sewage and dirt to the outside, the
상기 집수관(10)은 일반적인 일자의 집수관을 관리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에서 단차를 이루어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서 유입되는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이 단차가 져 형성된 퇴적공간(11)에 퇴적되도록 제공한다. The
또한, 단차에 의해 평행하게 굴곡진 상기 집수관(10) 부분은 소정각도 하향되게 제작함으로써 우수 및 오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덮개(20)는 교량 상에서 흐르는 유동체가 유입될 수 있게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유입되도록 덮개(2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입공(22)의 유동면적을 크게 하여 준다. The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덮개(20)는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도록 집수관(10) 상단부의 내측에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체 선별수단(30)은 상기 집수관(10)에 단차되어 형성된 퇴적공간(11)의 끝단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31)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필터(32)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3)으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오물은 퇴적공간(11)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필터(32)를 통해 걸러져 배수관(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The fluid sorting means 30 includes a pair of
그리고 퇴적되는 오물의 양이 많아 그 퇴적된 오물이 필터(32)를 막을 경우에도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는 고정부(31)의 상단에 설치된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3)을 범람(over flow)하나, 오물의 경우 그 설치된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3)에 의해 배수관(40)으로의 유입을 저지하여 배수관(4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하천으로 오물이 유입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accumulated sediment blocks the
또한, 상기 덮개(20)가 안착된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의 일측 측벽에는 상기 덮개(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동체가 상기 유동체 선별수단(30)과 상기 퇴적공간(11) 사이로 흐르도록 유동체 가이드판(12)이 설치되어 유동체가 배수관으로 직접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In addition, one side wall of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그리고 상기 집수관(10)의 타단에는 끼움홈(13)을 형성하여 배수관(40)의 선단이 상기 끼움홈(13)에 끼움고정되게 하여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And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여기서, 상기 끼움홈(13)을 통해 결합된 집수관(10)과 배수관(40)이 이탈되지 않도록 그 연결된 집수관(10)과 배수관(40)의 외측에는 이음체결구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Here,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구는 슬래브(1)와 아스콘(2)으 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 양생 시 집수관(10)을 매립하고, 그 매립된 집수관(10)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13)에 슬래브(1)의 하부벽체 및 교각을 따라 설치되는 배수관(40)을 끼움고정하고, 그 끼움고정된 집수관(10)과 배수관(40)의 외측에 이음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The bridg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ridge top plate covered with the
그리고 집수관(10)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턱 상에 덮개(20)를 안착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The
이와 같이, 교량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우수 및 오수에 오물이 포함된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을 통해 집수관(3)으로 유동된다. As such, when a fluid containing dirt in rainwater and sewage occurs through the bridge cat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bridge deck, the generated fluid is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이때,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1)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20)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유동체의 유동면적을 극대화했기 때문에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10)으로 유입된다. At this time, the surface in which the
덮개(20)를 통해 배수관(10)으로 유입되는 유동체 중 유동체 선별수단(30)이 설치된 쪽으로 유입되는 유동체의 경우 집수관(10)의 상단부의 일측 측벽에 형성된 유동체 가이드판(12)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덮개(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유동체가 유동체 선별수단(30)과 단차로 인해 형성된 집수관(10)의 퇴적공간(11) 사이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주기 때문에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가 배수관(40)으로 직접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In the case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side in which the fluid sorting means 30 is installed amo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또한, 단차에 의해 형성된 퇴적공간(11)을 구성하는 집수관(10) 부분은 소정각도 하향되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20)를 통해 집수관(10)의 퇴적공간(11)으로 유입된 유동체 중 오물은 퇴적공간(11) 상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유동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ion of the
그리고 우수 및 오수보다 비중이 낮거나 또는 물에 뜨는 오물의 경우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유동될 경우에도 유동체 선별수단(30)을 구성하는 필터(32)가 퇴적공간(11)을 구성하는 배수관의 전면 중 하부부터 중앙 이상의 면까지 차단시키기 때문에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에 포함된 오물은 필터(32)에 의해 더 이상 유동되지 않고 퇴적공간(11)에 쌓이게 되며, 우수 및 오수는 필터(32)에 의해 걸러져 유동체 선별수단(30)을 통과한 후 집수관(10)의 끝단과 연결된 배수관(40)으로 유출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pecific gravity is lower than that of rainwater and sewage or the soil floats in the water, the
이때, 배수관(40)의 선단은 집수관(10)의 타단에 형성된 끼움홈(13)에 끼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새 부분을 통해 우수 및 오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그리고 교각의 유지보수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교각의 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집수구에 안착된 덮개(20)를 제거한 후 퇴적공간(11)에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집수관(10) 및 배수관(40)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nd the manager who manages the maintenance of the pier is easy to maintain because it can collect the dirt deposited in the
또한, 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 중 오물의 양이 급증하여 퇴적공간(11)에 퇴적되는 오물에 의해 필터(32)가 막힐 경우에도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는 고정부(31)의 상단에 설치된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3)을 범람(over flow)하여 배수관(40)으로 유입되며, 오물의 경우에는 그 설치된 오물유동 보조방지판(33)에 의해 배수관(40)으로의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하천으로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 중 오물만이 집수관에 형성된 퇴적공간에 퇴적되기 때문에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event the clogging of the collection pipe and the drain pipe in advance because only the dirt of the fluid including the dirt flowing through the cover is deposited in the deposition space formed in the collection pipe, Environmental pollution also has an additional preventive effect.
또한, 집수관의 퇴적공간에 퇴적된 오물의 수거도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collect the dirt deposited in the deposition space of the collection pipe there is also a convenient maintenance effect.
또한, 덮개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교량 상판으로부터 유동되는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surface in which the inflow hol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over where the fluid flowing down on the asphalt top of the bridge among the inflow holes formed in the cover first touches is form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even when the amount of fluid flowing from the bridge top plate is large. It allows the fluid to flow smoothly into the drain.
또한, 배수관(40)과 집수관(10)의 연결은 집수관(10)의 타단에 형성된 끼움홈(13)에 끼움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새 부분을 통해 우수 및 오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of th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3510A KR100729127B1 (en) | 2005-03-22 | 2005-03-22 | Catch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3510A KR100729127B1 (en) | 2005-03-22 | 2005-03-22 | Catch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1911A true KR20060101911A (en) | 2006-09-27 |
KR100729127B1 KR100729127B1 (en) | 2007-06-14 |
Family
ID=3763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3510A KR100729127B1 (en) | 2005-03-22 | 2005-03-22 | Catch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912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2218B1 (en) * | 2023-04-19 | 2024-06-04 | 에스지 주식회사 |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4698B1 (en) | 2009-04-10 | 2011-11-22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Bridge catch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79113B2 (en) * | 1993-04-28 | 1998-07-23 | 北海道積水工業株式会社 | Rainwater basin |
US5403474A (en) * | 1994-02-24 | 1995-04-04 | Emery; Grant R. | Curb inlet gravel sediment filter |
KR200179274Y1 (en) * | 1997-11-08 | 2000-06-01 | 정명수 | Roof drain |
JPH11200472A (en) * | 1998-01-13 | 1999-07-27 | Aron Kasei Co Ltd | Interception inlet in drainage equipment |
KR100448228B1 (en) * | 2002-02-06 | 2004-09-16 | 최해권 | Drainpipe Apparatus for the Trenched Conduit of Washroom |
-
2005
- 2005-03-22 KR KR1020050023510A patent/KR10072912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2218B1 (en) * | 2023-04-19 | 2024-06-04 | 에스지 주식회사 | Drain-pip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9127B1 (en) | 2007-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1237B1 (en) | Bridge water collecting device with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by early rain | |
KR100976853B1 (en) | Drain box | |
KR100912590B1 (en) | Bridge drainage | |
JP5065567B2 (en) | Solid-liquid separator | |
KR101098900B1 (en) | Bridge catch | |
KR20110010631U (en) | Sewage Filter for Sewer | |
JP2003082747A (en) | Rain water infiltration system | |
KR101136508B1 (en) | 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ystem considering driving safety | |
KR101626502B1 (en) | Drain System for road having plug-prevent function | |
KR200416118Y1 (en) | Ooh, sewage. | |
KR100683119B1 (en) | Sewers where sewage can be collected | |
KR200468245Y1 (en) | A portable manhole for gully hole of Rainwater case | |
KR102643814B1 (en) | Bridge type early rainwater treatment facility | |
KR100546061B1 (en) | Initial excellent total filt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faceted filtration facility | |
KR100729127B1 (en) | Catchment | |
KR100943655B1 (en) | Smart grift chamber structure for rain usins system | |
KR100986644B1 (en) | Rainwater treatment system | |
KR200228281Y1 (en) | A anti-smell cover plate of wate spout with steel grating | |
KR200224137Y1 (en) | Drainage for pollutant removal | |
KR200409378Y1 (en) | Decontamination Structure of Bridge Drainage | |
KR200436505Y1 (en) | Bridge catch | |
KR20160027786A (en) | Multifunction Rain Gutters to prevent river pollution separation to collect various contaminants on the road and the initial rainfall | |
KR101481449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ion | |
KR100925648B1 (en) | Sewer rain gutters considering safety | |
JP2009074285A (en) | Rainwater feed piping structure for rainwater storage and permeating fac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