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1343A -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343A
KR20060101343A KR1020060024697A KR20060024697A KR20060101343A KR 20060101343 A KR20060101343 A KR 20060101343A KR 1020060024697 A KR1020060024697 A KR 1020060024697A KR 20060024697 A KR20060024697 A KR 20060024697A KR 20060101343 A KR20060101343 A KR 2006010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value information
right value
card
righ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859B1 (ko
Inventor
켄사쿠 모리
마사유키 테라다
카주히코 아이시이
사다유키 혼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10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티켓정보 등 권리가치정보를 기억시키는 동시에, 디지털 서명처리를 하지 않고서 상기 권리가치정보의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는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단말(100)에 장착되어 있는 IC 카드(102)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권리파일의 생성을 나타내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한다. 권리가치정보에는,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파일 데이터, 데이터 사이즈 등이 포함되어 있다. IC 카드(102)에서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하면, IC 카드(102)에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IC 카드 식별 ID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한다.
파일 생성, 휴대단말, 내탬퍼, 권리파일

Description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TAMPER RESISTANT DEVICE AND FILE GENERATION METHOD}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0) 및 휴대단말(2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내탬퍼장치인 IC 카드(102)를 구비하는 휴대단말(100)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파일생성 메시지의 개념도.
도 4는 권리가치정보의 개요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IC 카드(102)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IC 카드(102)에 기억되어 있는 폴더의 개념도.
도 7은 애플리케이션(101) 및 IC 카드(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티켓정보 등의 권리가치정보를 생성하는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IC 카드는 외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파일생성 메시지인 WriteRecord 커맨드를 수신하고, 이 WriteRecord 커맨드의 데이터부의 값을 WEF(working elementaryfile)의 레코드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부를 하나의 파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 데이터부를,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로 한 경우, IC 카드는 권리가치정보를 갖는 파일을 기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C 카드는 권리가치정보로서, 이벤트 티켓 등의 티켓정보를 기억하여 두고, 이 IC 카드를 보유하는 보유자는, 이벤트회장의 입구에서 IC 카드의 권리가치정보를 리더에서 판독시킨다. 이로써, IC 카드는 티켓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여기에서, 권리가치정보의 데이터 구성 등 데이터의 내용만 알고 있으면, 누구나 티켓의 가치를 갖는 권리가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IC 카드는 권리가치정보에 대하여 서명을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2005-11239호에는, 티켓 및 단말 ID 등의 권리가치정보에 대하여 디지털 서명을 하고, 이것을 휴대단말에 기억시킬 수 있는 티켓 수수 시스템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벤트회장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리더가, 디지털 서명된 권리가치정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서명된 권리가치정보를 복호화할 필요가 있다. 이 복호화처리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복호화처리를 포함한 검증시간을 고려하면, 혼잡이 예상되는 이벤트회장의 입구 등에는, 디지털 서명된 권리가치정보를 기억하는 IC 카드를 티켓으로서 운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권리가치정보를 유통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술한 디지털 서명을 사용한 방법에서는, 권리가치정보로부터 디지털 서명을 떼어내고, 새롭게 디지털 서명 을 실시한 권리가치정보를 유통시킬 수 있고, 실질적으로 서명이 역할을 다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티켓정보 등 권리가치정보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서명처리를 하지 않고서 상기 권리가치정보의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는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내탬퍼장치는 내탬퍼장치를 일의(一意)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내탬퍼장치에 있어서,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판단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상기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메시지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식별자와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과, 상기 파일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권리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탬퍼장치란 내탬퍼성을 갖는 기억장치이며, 허용된 사람 이외로부터의 액세스(부정 액세스)를 차단하는 능력을 갖춘 기억장치이다. 예를 들면, 내탬퍼장치로서, IC 메모리, IC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생성방법은 내탬퍼장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내탬퍼장치의 파일생성방법에 있어서,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판단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상기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메시지 판단스텝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식별자와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스텝과, 상기 파일생성스텝에 의해 생성된 권리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권리파일의 생성을 나타내는 지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권리가치정보 및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식별자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여, 기억할 수 있다. 이로써, 식별자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권리가치정보에 대하여 서명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권리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권리가치정보의 작성원 및 그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내탬퍼장치는 권리가치정보 및 식별자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IC 카드를 구비하는 다른 휴대단말에 출력한 경우, 생성된 권리파일을 받아들인 다른 휴대단말에서는, 권리가치정보의 검증은 외부 리더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외부 리더는 권리가치정보 및 식별자의 대조를 검증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처리를 하는 것만으로, 권리가치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서명처리를 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처리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별자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권리가치정보에 대하여 서명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권리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권리가치정보의 작성원 및 그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형태를 위해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기술을 고려함으로써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단말(100) 및 휴대단말(2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휴대단말(100)은 이벤트의 티켓 등의 티켓정보인 권리가치정보를 생성하는 휴대단말이다. 휴대단말(100)은 휴대단말(200)에 대하여 권리가치정보(예를 들면, 티켓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권리가치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200)의 사용자는,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100)은 이벤트 흥행자 등의 티켓판매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휴대단말이며, 이 휴대단말(100)은 내탬퍼장치인 IC 카드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탬퍼장치란, 내탬퍼성을 갖는 기억장치이고, 허용된 사람 이외로부터의 액세스(부정 액세스)를 차단하는 능력을 갖춘 기억장치이다. 예를 들면, 내탬퍼장치로서, IC메모리, IC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100)은 티켓판매업자의 조작에 의해 전자적인 티켓정보인 권리가치정보를 생성할 때, 권리가치정보에 IC 카드의 고유의 IC 카드 식별 ID(식별자)를 부여한 권리파일을 생성하고 있다. 이 IC 카드의 고유의 IC 카드 식별 ID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의적으로 IC 카드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이다.
한편, 휴대단말(200)은 비접촉형 IC 카드를 구비하고, 휴대단말(100)이 생성한 권리가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받아들일 수 있다. 휴대단말(200)의 사용자는, 이벤트회장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비접촉형 리더에 비접촉형 IC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단말(200)을 삽입함으로써, 비접촉형 리더에 의해 휴대단말(200)에 기억되어 있는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은 판독된다. 또한, 휴대단말(200)에 구비되는 IC 카드는,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에 의해, 권리가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비접촉형 리더측에서는 미리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대응시켜 기억하여 두고, 휴대단말(200)의 비접촉형 IC 카드로부터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판독하고, 미리 기억하고 있는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와 대조함으로써, 권리가치정보가 정당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단말(100)의 IC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권리파일은, 내탬퍼성을 갖는 IC 카드끼리를 직접 통신 접속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휴대단말(200)의 IC 카드에 직접, 이송되고 있기 때문에, 제삼자에게 의해 개찬될 여지가 없고, IC 카드 식별 ID가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경우, 정당한 권리가치정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의 대상이 되는 식별자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검증처리는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서, IC 카드에 기억된 권리가치정보는 티켓정보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는 동시에, 서명기술을 사용하지 않고서 권리가치정보의 정당성이 보증된다. 이하,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로 이루어지는 권리파일을 작성할 수 있는 내탬퍼장치 및 파일생성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내탬퍼장치인 IC 카드(102)를 구비하는 휴대단말(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 휴대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101), IC 카드(102), CPU(103), 및 통신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101)은 권리가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며,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처리의뢰를 실행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01)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파일생성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파일생성 메시지를 IC 카드(102)에 출력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101)은 IC 카드(102)에서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이 생성된 것을 나타내는 완료통지를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파일생성 메시지에 관해서, 그 구체예를,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다. 도 3은 파일생성 메시지의 개념도이다. 파일생성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101)의 발신원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ID "ap_id", 송신처이고, IC 카드마다 고유하게 기억되어 있는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 "icc_id", 파일생성의 지시를 나타내는 번호정보 "mtype", 권리가치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data", 권리가치정보 "data"의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내는 "LEN"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식별 ID "ap_id"는, 휴대단말(100)내에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식별자이고, IC 카드 식별 ID "icc_id"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식별자이다.
또한, 여기에서 권리가치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권리가치정보의 개요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리가치정보에는 IC 카드(102)내에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폴더 중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기억시키는 격납처 폴더 "folder", 권리가치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내는 파일 데이터 "fileDATA", 권리가치의 데이터내용 "fileDATA"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 사이즈 "fileLEN", 액세스 권한 "fileACL", 및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액세스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란, 권리가치정보를 카피하는 것을 허가하는 권한정보, 또는, 권리정보를 반포(頒布)하는 것을 허가하는 권한정보이며, 액세스 권한으로서 이들 권한정보가 설정 가능하다. 또한, 권리가치의 개수란, 예를 들면 티켓의 매수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2로 되돌아가서, 계속해서 설명한다. IC 카드(102)는 네트워크 상에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IC 카드 식별 ID "icc_id"를 기억하고 있는 부분이며, 이 IC 카드(102)는, 애플리케이션(101)으로부터 송신된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파일생성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권리가치정보와, IC 카드(102)에서 기억하고 있는 IC 카드 식별 ID "icc_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권리파일을 기억한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내탬퍼장치인 IC 카드(10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IC 카드(102)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카드(102)는 인터페이스부(102a; 수신수단), CPU(102b; 메시지 판단수단, 파일생성수단), 및 메모리부(102c; 기억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102a)는 휴대단말(100)에 대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접속하는 부분이며, 휴대단말(100)로부터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CPU(102b)는 IC 카드(102)를 제어하는 부분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PU(102b)는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정보 "data" 및 번호정보 "mtype"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판단한 경우,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 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CPU(102b)는, 권리파일을 기억할 때에, 권리가치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권리가치의 데이터 사이즈, 및 그 밖의 파라미터인 액세스 권한, 권리가치의 개수 등의 파라미터의 사이즈 및 IC 카드 식별 ID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산출된, 기억시키고자 하는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IC 카드(102)에 형성되어 있는 폴더의 일레코드 영역의 사이즈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일레코드 영역의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에는, CPU(102b)는, 메모리부(102c)에 권리파일을 기억시 킨다.
또한, CPU(102b)는 권리파일을 생성하여 기억한 경우, 생성한 권리파일의 기억이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완료 통지를, 인터페이스부(102a)를 경유하여 애플리케이션(101)에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일레코드 영역의 사이즈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권리파일을 생성할 때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2b)는 권리가치정보의 데이터 사이즈 "LEN"로 나타나는 수치와 권리가치정보 "data"의 실사이즈가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송신원인 애플리케이션(101)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ID를 IC 카드(102)에 소유자라고 기억하고 있지 않으며, 인증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격납처 폴더 "folder"로 나타나는 폴더가 IC 카드(102)에 존재하지 않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가치의 데이터 사이즈 "fileLEN"으로 나타나는 수치가 최대 격납파일 사이즈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새롭게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빈 용량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파일 작성 시에 있어서의 권리가치의 개수"fileCNT"가 규정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CPU(102b)는 권리파일을 생성할 때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상에 대응한 에러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101)에, 인터페이스부(102a)를 경유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CPU(102b)는, 권리가치정보의 데이터 사이즈 "LEN"로 나 타나는 수치와 권리가치정보 "data"의 실사이즈가 다른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불법(illegal)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송신원인 애플리케이션(101)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ID를 소유자로서 기억하고 있지 않고, 정상으로 인증하지 않은 경우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액세스 바이올레이션(violation)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격납처 폴더 "folder"로 나타나는 폴더가 IC 카드(102)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폴더가 존재하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O인 경우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불법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가치의 데이터 사이즈 "fileLEN"으로 나타나는 수치가 최대 격납파일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 새롭게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빈 용량이 없는 경우는, 메모리 오버플로인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CPU(102b)는 권리파일 작성시에 있어서의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규정치보다 큰 경우, 그 취지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모리부(102c)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부분이며, 복수의 폴더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메모리부(102c)에는, IC 카드 식별 ID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여기에서, IC 카드(102)의 메모리부(102c)에 구성되어 있는 기억 영역을 나타내는 복수의 폴더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IC 카드(102)에 기억되어 있는 폴더의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C 카드(102)에는 복수의 폴더가 구성되어 있다. 폴더는 또한 복수의 레코드 영역에 구별되어 구성되고, 일레코드 영역에 일데이터(일파일)를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일레코드 영역에 는, 권리가치정보 "data" 및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 "icc_id"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을 1개 기억하게 된다. 또, 권리파일은 폴더 내에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파일 ID가 부여되어 있다. 이 파일 ID를 사용함으로써, 폴더 내에서의 권리파일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IC 카드(102)에는 IC 카드마다 할당된 식별 ID이고, IC 카드(102)를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IC 카드 식별 ID "icc_id"를, 상술한 폴더와는 다른 영역에 미리 기억하고 있다.
도 2로 되돌아가서, CPU(103)는 애플리케이션(101)을 포함하는 휴대단말(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분이다. 또한, 통신부(104)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상대와 통신하는 부분이며, IC 카드(102)에 기억되어 있는 권리파일을 휴대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휴대단말(100)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101) 및 IC 카드(102)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101) 및 IC 카드(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애플리케이션(101)에서는 휴대단말(100)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권리파일작성의 취지의 지시가 행하여지고, 파일생성 메시지(도 3 참조)가 작성된다(S101).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01)에서는 파일생성 메시지가, IC 카드(102)를 수신처로서 출력된다(S102).
IC 카드(102)에서는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작성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수신된다(S201). 그리고, IC 카드(102)로서는 기억하고자 하는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IC 카드(102)의 폴더에 형성되어 있는 일레코드 영역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S202). 또한, 기억하고자 하는 권리파일의 사이즈는, 권리가치정보"data" 및 송신처로서 기술되어 있는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 및 파일 ID 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IC 카드(102)에 있어서,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일레코드 영역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는, 권리파일 작성시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가 CPU(102b)에 의해 판단된다(S203). 예를 들면, 권리가치정보의 데이터 사이즈"LEN"으로 나타나는 수치와 권리가치정보 "data"의 실사이즈가 다른 경우, 송신원인 애플리케이션(101)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ID를 IC 카드(102)에 소유자로서 기억하고 있지 않으며, 인증할 수 없는 경우, 격납처 폴더 "folder"로 나타나는 폴더가 IC 카드(102)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O인 경우, 권리가치의 데이터 사이즈 "fileLEN"로 나타나는 수치가 최대 격납파일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 새롭게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빈 용량이 없는 경우, 또는, 권리파일 작성시에 있어서의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규정치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CPU(102b)에 의해 판단된다.
이와 같이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CPU(102b)에 의해 판단된 경우, CPU(102b)에 의해 에러처리가 행하여지고,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고(S205),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권리가치정보의 데이터 사이즈 "LEN"으로 나타나는 수치와 권리가치정보 "data"의 실사이즈가 다른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불법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송신원인 애플리케이션(101)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ID가 소유자로서 기억되어 있지 않으며 정상으로 인증할 수 없는 경우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액세 스 바이올레이션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격납처 폴더 "folder"로 나타나는 폴더가 IC 카드(102)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폴더가 존재하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O인 경우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불법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권리가치의 데이터 사이즈 "fileLEN"으로 나타나는 수치가 최대 격납파일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 새롭게 파일을 작성하기 위한 빈 용량이 없는 경우는, 메모리 오버플로인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권리파일 작성시에 있어서의 권리가치의 개수 "fileCNT"가 규정치보다 큰 경우, 그 취지의 에러 메시지가 출력된다(S205).
IC 카드(102)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 및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은, 파일 ID가 부여되어 권리가치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격납처 폴더에 따른 폴더의 일레코드 영역에 기억된다(S204). 또한, 일레코드 영역에 기억할 때에, 격납처 폴더에, 이미 동일한 권리가치정보에 있어서의 파일 데이터 및 IC 카드(102)의 식별 ID를 갖는 권리파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권리가치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권리가치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권리파일의 갱신처리를 한다.
또한, IC 카드(102)에 있어서, 권리파일의 사이즈가, 일레코드 영역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권리파일을 생성하지 않고서, 에러처리를 하여 종료한다(S205). 또한, IC 카드(102)는 애플리케이션(101)에 에러가 생긴 취지를 통지한다.
기억 완료후(또는 갱신처리후), IC 카드(102)에서는, 완료통지가 애플리케이 션(101)에 대하여 출력된다(S206). 애플리케이션(101)에서는 완료통지가 수신되고, 권리파일의 생성이 종료한 것이 파악된다(S103).
이와 같이, 휴대단말(100)의 IC 카드(102)에서는, 권리파일로서, 권리가치정보와 IC 카드(102)의 식별 ID가 기억된다. 따라서, 휴대단말(100)로부터 권리파일이,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200)에 구비되어 있는 IC 카드에 취득됨으로써, 이 휴대단말(200)의 사용자에 있어서 권리파일을 티켓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인 휴대단말(200)에 대하여 권리파일을 출력하는 경우, 또는 휴대단말(200)에 격납되어 있는 전자머니와의 교환거래를 하는 경우는,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가, 네트워크 상에 누설되지 않도록, IC 카드(102)의 IC 카드 식별 ID를 암호화하여 출력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수용측의 휴대단말(200)에 있어서는 암호화된 IC 카드를 복호화하여 기억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휴대단말(100)은 IC 카드간의 권리가치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Optimistic Fair Exchange Protocal: 권리가치의 낙관적인 교환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권리파일이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제삼자에 의한 개찬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권리가치정보에 부여된 IC 카드 식별 ID의 일의성을 보증할 수 있다. 권리가치의 낙관적인 교환 프로토콜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43009호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내탬퍼장치인 IC 카드(102)의 작용 효과에 관해서 설 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IC 카드(102)는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102a)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권리파일의 생성을 나타내는 번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CPU(102b)가 판단한다. 인터페이스부(102a)를 경유하여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권리가치정보 및 번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CPU(102b)에 의해 판단된 경우, CPU(102b)는 IC 카드 식별 ID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고, 메모리부(102c)는 생성한 권리파일을 기억할 수 있다. 이로써, CPU(102b)는, IC 카드 식별 ID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권리가치정보에 대하여 서명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권리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IC 카드 식별 ID를 사용하여, 권리가치정보의 작성원 및 그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내탬퍼장치인 IC 카드(102)는 권리가치정보 및 IC 카드 식별번호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IC 카드를 구비하는 다른 휴대단말(200)에 출력한 경우, 생성된 권리파일을 받아들인 다른 휴대단말(200)에 있어서는, 권리가치정보의 검증은 외부 리더에 의해 받아들임으로써 실현된다. 그리고, 외부 리더는 권리가치정보 및 식별자의 대조를 검증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처리를 하는 것만으로, 권리가치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서명처리를 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별자와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권 리가치정보에 대하여 서명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권리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권리가치정보의 작성원 및 그 정당성을 보증할 수 있다.

Claims (2)

  1. 내탬퍼장치(TAMPER RESISTANT DEVICE)를 일의(一意)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내탬퍼장치로서,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판단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상기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메시지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식별자와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수단과,
    상기 파일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권리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는 내탬퍼장치.
  2. 내탬퍼장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내탬퍼장치의 파일생성방법으로서,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생성 메시지를 수 신하는 수신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에, 권리가치를 나타내는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권리가치정보와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권리파일의 생성을 지시하는 지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판단스텝과,
    상기 수신스텝에 의해 수신된 파일생성 메시지가, 상기 권리가치정보 및 상기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메시지 판단스텝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식별자와 상기 권리가치정보를 포함한 권리파일을 생성하는 파일생성스텝과,
    상기 파일생성스텝에 의해 생성된 권리파일을 기억하는 기억스텝을 구비하는 파일생성방법.
KR1020060024697A 2005-03-18 2006-03-17 내탬퍼 장치 및 파일 생성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4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0454A JP2006262393A (ja) 2005-03-18 2005-03-18 耐タンパ装置およびファイル生成方法
JPJP-P-2005-00080454 2005-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343A true KR20060101343A (ko) 2006-09-22
KR100774859B1 KR100774859B1 (ko) 2007-11-08

Family

ID=3663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6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4859B1 (ko) 2005-03-18 2006-03-17 내탬퍼 장치 및 파일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0605B2 (ko)
EP (1) EP1710688A3 (ko)
JP (1) JP2006262393A (ko)
KR (1) KR100774859B1 (ko)
CN (1) CN1004743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9304A (ja) * 2006-08-31 2008-03-13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SG151197A1 (en) * 2007-09-20 2009-04-30 Toshiba Kk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0154508A (ja) * 2008-11-25 2010-07-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小型基地局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JP6585464B2 (ja) * 2015-10-26 2019-10-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装置の改竄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67811B2 (en) * 2017-10-06 2019-07-30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0375019B2 (en) 2017-10-06 2019-08-06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0630642B2 (en) 2017-10-06 2020-04-21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0374803B2 (en) 2017-10-06 2019-08-06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0397186B2 (en) 2017-10-06 2019-08-27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0361859B2 (en) 2017-10-06 2019-07-23 Stealthpath, Inc. Methods for internet communication security
US11558423B2 (en) 2019-09-27 2023-01-17 Stealthpath, Inc. Methods for zero trust security with high quality of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520A (en) * 1993-06-08 1998-03-03 Anthony V. Pugliese Electronic ticketing and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JP3662946B2 (ja) * 1993-09-22 2005-06-22 株式会社東芝 ファイル管理方式および携帯可能電子装置
JP4095680B2 (ja) * 1994-08-01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型記憶装置用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カード型記憶装置
FI104937B (fi) * 1997-01-27 2000-04-28 Sonera Oyj Tilaajaidentiteettimoduuli, matkaviestin ja menetelmä älykorttitoiminteen suorittamiseksi
US6999936B2 (en) * 1997-05-06 2006-02-14 Sehr Richard P Electronic ticketing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multi-service visitor cards
JP2000036015A (ja) * 1998-07-17 2000-02-02 Toshiba Corp Icカード処理装置とicカードとicカード処理システムとicカード処理方法
JP2001036570A (ja) 1999-07-23 2001-02-09 Optrom Inc 記憶媒体及び該記憶媒体を用いた情報転送システム
JP2001184472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供給方法、スマートカード、スクリプト供給方法、端末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有する記憶媒体
JP2002298052A (ja) * 2001-03-30 2002-10-11 Toshiba Corp 取引管理システム、取引管理方法、支払管理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4145118B2 (ja) * 2001-11-26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認証システム
JP2003337887A (ja) * 2002-05-20 2003-11-28 Takeshi Sakamura 通信端末、サーバ装置、電子価値チャージシステム、及び電子価値チャージ方法
JP2004062870A (ja) * 2002-06-04 2004-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配信システム
JP4067985B2 (ja) * 2003-02-28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認証システムと装置
JP2005011239A (ja) 2003-06-20 2005-01-13 Ntt Docomo Inc チケット授受システム、チケット確認装置、及びチケット授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00605B2 (en) 2009-03-10
EP1710688A3 (en) 2007-08-01
CN100474323C (zh) 2009-04-01
US20060214006A1 (en) 2006-09-28
EP1710688A2 (en) 2006-10-11
JP2006262393A (ja) 2006-09-28
CN1834975A (zh) 2006-09-20
KR100774859B1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859B1 (ko) 내탬퍼 장치 및 파일 생성 방법
EP1388989B1 (en) Digital contents issuing system and digital contents issuing method
JP4036838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情報処理装置、セキュリティ装置が実行する方法、情報処理装置が実行する方法、該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装置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チケット・システム
US66718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uthorities in a public key infrastructure
WO2017016318A1 (zh) 基于非对称加密算法的可信标签的生成与验证方法及系统
US20030114144A1 (en) Application authentication system
KR100698563B1 (ko) Ic 카드, 단말 장치, 및 데이터 통신 방법
CN1795471B (zh) 安全性密钥生成方法
JP2004104539A (ja) メモリカード
WO2005008502A1 (ja) アクセス方法
US7096365B1 (en) Digital signature
CN109493087A (zh) 一种基于二维码查验不动产登记信息的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69338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2004110197A (ja) センタ・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及びアクセス権限管理方法
JP2004274211A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WO2005031560A1 (ja) 出力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0215280A (ja) 本人認証システム
JP2004336562A (ja) 画像送信装置
CN115865495A (zh) 数据传输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3997197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0232442A (ja) 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089100A (ja) 入室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内で使用されるicカード、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入室管理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入室管理サーバ
US6606024B1 (en)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2005204126A (ja) 電子署名方法および電子署名装置
JP4545517B2 (ja) プログラム実行制御装置および実行権情報の移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810

Appeal identifier: 2007101007417

Request date: 2007070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3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80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