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0715A -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715A
KR20060100715A KR1020050022449A KR20050022449A KR20060100715A KR 20060100715 A KR20060100715 A KR 20060100715A KR 1020050022449 A KR1020050022449 A KR 1020050022449A KR 20050022449 A KR20050022449 A KR 20050022449A KR 20060100715 A KR20060100715 A KR 20060100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able
signal
chip
transmission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715A/en
Publication of KR2006010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71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는, 단말기를 통해 송신될 I(In-phase)/Q(Quadrature-phase) 데이터를 생성하는 I/Q 데이터 생성부와, 전송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I/Q 데이터 생성부를 제어하고,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RF 칩에 구비된 인에이블 핀을 제어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생성부가 포함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와; 상기 I/Q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한 쌍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와, I/Q 변조(modulation)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설정토록 하는 인에이블 핀이 구비된 RF 칩이 포함되는 아날로그 송신부와;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 및 상기 RF 칩에 대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 Q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 (In-phase) / Q (Quadrature-phas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timing signal Generation and control to generate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that controls the I / Q data generator and controls the enable pin included in the RF chip so that the RF chip operates only for the time when the actual signal is transmitted. A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including a timing generator; A pair o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s) for converting the I / Q digital data into analog signals, respectively, and I / Q modulation, and enable the operation thereof. / An analog transmitter including an RF chip having an enable pin for setting whether to disable or disable;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which performs a role of a controller for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and the RF chip.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apparatus for signal transmitting of mobile terminal}Apparatus for signal transmitting of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apparatus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구비되는 전송 타이밍 발생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of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FIG. 4 is a timing diagram of signals inputted to and outputted from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shown in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4 : 전송 타이밍 생성부 207 : RF 칩204: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7: RF chip

208 : DSP 209 : 인에이블 핀208: DSP 209: enable pin

303 : 전송 타이밍 지시자 생성부 307 : 제 1합산기303: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generator 307: First summer

308 : 제 2합산기308: second summ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에서 RF 칩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F chip in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정 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배터리를 일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통화 시간과 대기 시간을 합하여 수십 시간 정도가 된다.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using a battery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the time that can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once is typically about tens of hours in total talk time and standby time.

그런데, 똑같은 용량을 갖는 배터리의 일회 충전으로 단말기를 가능한 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면, 배터리 용량을 줄여도 일회 충전으로 소비자의 욕구와 부합하는 시간 동안(보통 1~3일) 단말기를 사용가능 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보다 적은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여도 수십 시간의 단말기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단말기의 무게와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기는 더욱 간편해 질 것이다.However, if the terminal can be used for as long as possible with a single charge of a battery having the same capacity, even if the battery capacity is reduced, the terminal can be used for a period of time (typically 1 to 3 days) that meets the consumer's needs with a single charge have. In this case, even if a battery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that of the existing terminal is used, it is possible to secure tens of hours of use of the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weight and size of the terminal and reducing the thickness thereof. It will be easier for the user to carry the terminal.

그러나, 오늘날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은 상당한 정도로 작은 상태에 이르렀고, 이로 인해 하드웨어적으로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단말기의 정보 처리 알고리즘을 최적화 함으로써,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oday's technology, the power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s currently used is considerably small. As a result,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hardware. Thus, by optimiz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lgorithm of the terminal, There is a wa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apparatus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는, 단말기를 통해 송신될 I(In-phase)/Q(Quadrature-phase) 데이터를 생성하는 I/Q 데이터 생성부(101) 와, 상기 생성된 I/Q 데이터를 각각 필터링하는 한 쌍의 디지털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102, 103)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제어에 의해 전송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I/Q 데이터 생성부(101)를 제어하는 전송 타이밍 생성부(104)로 구성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100)와;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 / Q data generator 101 for generating I (In-phase) / Q (Quadrature-phas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and An I / Q data generation unit generates a transmission timing signal by the control of a pair of digital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s 102 and 103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espectively filtering the generated I / Q data. A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100 composed of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104 for controlling 101;

상기 FIR 필터링을 거친 I/Q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한 쌍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105,106)와, I/Q modulation, RF 주파수 변환, RF 필터링, RF 증폭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RF 칩(107)으로 구성된 아날로그 송신부와; A pair o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s) 105 and 106 for converting the FIR-filtered I / Q digital data into analog signals, respectively, and I / Q modulation, RF frequency conversion, RF filtering, and RF amplification. An analog transmitter configured as an RF chip 107 to perform a function;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100) 및 상기 아날로그 송신부에 구비된 RF 칩(107)에 대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108)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1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08, which serves as a controller for the RF chip 107 included in the analog transmitter,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100)의 I/Q 데이터 생성부(101)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맞춰 포맷팅(formatting)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는 사용자(User) 데이터와 콘트롤(Control) 데이터를 확산(Spread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I / Q data generator 101 of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100 performs a function of formatting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In general,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spreads and scrambling user data and control data.

또한, 상기 RF 칩(107)에서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100)에서 생성되어 DAC(105, 106)를 거쳐 입력되는 I/Q 신호를 I/Q 변조(modulation)하고, RF 주파수로 변환하여 이를 필터링하고, 증폭기로 증폭하는 등의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RF chip 107, I / Q signals generated by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100 and input through the DACs 105 and 106 are I / Q modulated, converted into RF frequencies, and filtered. And amplify it with an amplifier.

종래의 경우 상기 RF 칩(107)에는 인에이블(enable) 핀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상기 RF 칩(107)은 항상 동작 상태에 있어 소비전력 소모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related art, since an enable pin is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RF chip 107, the RF chip 107 is always in an operating stat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severe.

이에 최근 출시되는 RF 칩(107)들은 인에이블(enable) 핀(109)을 구비하여 상기 RF 칩의 동작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RF 칩(107)에 구비된 인에이블(enable) 핀을 DSP(108)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RF 칩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In this regard, recently released RF chips 107 include an enable pin 109 to enable or disable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which is an enable pin provided in the RF chip 107. Is controlled by setting enable / dis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in the DSP 108.

즉, 소프트웨어에서 신호 전송 시작 이전 시점에 상기 RF 칩(107)의 동작을 인에이블(enable)하고 전송이 끝난 이후에 디스에이블(disable)하여 RF 칩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였다.That is, in the software,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107 is enabled before the start of signal transmission and is disabled after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그러나, 이는 상기 DSP(108)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전송 시작 이전 시점에 RF 칩(107)을 인에이블(enable)하고, 전송이 끝난 이후에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식으로, 대략적인 전송 구간 동안 RF 칩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것에 불과하다.However, this is an approximate transmission interval such that the RF chip 107 is enabled at the DSP 108 before the start of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and is disabled after the transmission is completed. It is mer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즉, 정확하게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해서만 RF 칩을 동작시키지는 못하며,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That is, the RF chip cannot be operated only for a time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accurately,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또한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같이 비교적 짧은 구간 동안만 버스트(burst)로 전송이 일어나는 송신 방식이나, 3GPP 비동기 방식과 같이 전송이 중단되는 압축 모드 전송 간격(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이 존재하는 송신 방식의 경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RF 칩 동작을 제어하게 되면, 송신 RF 칩(107)을 통해 송신이 일어나지 않는 구간에서도 동작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통신 시스템에 간섭으로 작용하여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re is a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transmission occurs in bursts only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such a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method, or a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 in which transmission is interrupted, such as 3GPP asynchronous method. In the case of the transmission method, if the RF chip operation is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it may be in an operation state even when no transmission occurs through the transmission RF chip 107, which acts as an interference to the entire communication system, It causes problems that degrade performance.

즉, 해당 단말기가 송신 상태가 아닌 구간에서는 상기 송신 RF 칩(107)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 시켜 전체 통신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That i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terference to the entire communication system by disab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ing RF chip 107 in the period when the terminal is not in the transmission state.

본 발명은 인에이블 핀이 구비된 RF 칩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상기 인에이블 핀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RF chip having an enable pin, wherein the enable pin is controlled so that the RF chip operates only for a time at which an actual signal is transmit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는, 단말기를 통해 송신될 I(In-phase)/Q(Quadrature-phase) 데이터를 생성하는 I/Q 데이터 생성부와, 전송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I/Q 데이터 생성부를 제어하고,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RF 칩에 구비된 인에이블 핀을 제어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생성부가 포함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와; 상기 I/Q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한 쌍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와, I/Q 변조(modulation)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설정토록 하는 인에이블 핀이 구비 된 RF 칩이 포함되는 아날로그 송신부와;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 및 상기 RF 칩에 대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 / Q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 (In-phase) / Q (Quadrature-phas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And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that controls the I / Q data generation unit by generating a transmission timing signal and controls an enable pin provided in the RF chip so that the RF chip operates only for the time when the actual signal is transmitted. A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including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for generating)); A pair o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s) for converting the I / Q digital data into analog signals, respectively, and I / Q modulation, and enable the operation thereof. / An analog transmitter including an RF chip having an enable pin to set whether to enable or disable;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which performs a role of a controller for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and the RF chip.

또한,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서 생성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와 DSP에서 생성된 RF enable 신호(RF_enable(dsp)) 중 하나가 상기 DSP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select 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인에이블 핀에 입력되도록 하는 멀티플렉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and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dsp) generated by the DSP is selected by a select signal controlled by the DSP through a register interface. And a multiplexer configured to be input to the enable pin.

여기서, 상기 인에이블 핀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실제 전송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만 상기 RF 칩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RF 칩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제어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ignal input to the enable pin i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nable (enable) / disable (dis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in order to operate the RF chip only in the period in which the actual transmission occurs. do.

또한, 상기 RF enable 신호(RF_enable(tx))는, 신호 전송 시작시점에서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RF 온 오프셋(RF On offset) 만큼 앞서서 RF 칩이 enable되고, 신호 전송 중단시점에서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RF 오프 오프셋(RF On offset) 만큼 앞서거나 늦게 RF 칩이 disable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has an RF chip enabled at a start point of a signal transmission by an RF On offset ahead of a reference point by a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and transmit timing at a signal transmission stop poi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chip is disabled before or later than the reference time point by the indicator (RF On offs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인에이블 핀이 구비된 RF 칩을 내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상기 인에이블 핀을 전송 타이밍 발생부 또는 DSP를 통해 제어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tt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RF chip having an enable pin, wherein the enable pin includes a transmit timing generator or a DSP so that the RF chip operates only for a time at which an actual signal is transmitted. The control is characterized by.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장치는, 단말기를 통해 송신될 I(In-phase)/Q(Quadrature-phase) 데이터를 생성하는 I/Q 데이터 생성부(201)와, 상기 생성된 I/Q 데이터를 각각 필터링하는 한 쌍의 디지털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202, 203)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제어에 의해 전송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I/Q 데이터 생성부(201)를 제어하고,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RF 칩에 구비된 인에이블 핀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생성부(204)로 구성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200)와; Referring to FIG. 2,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 / Q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 (In-phase) / Q (Quadrature-phas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201) and a transmission tim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of a pair of digital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s 202 and 203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for filtering the generated I / Q data, respectively. And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for controlling the Q data generator 201 and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enable pin included in the RF chip so that the RF chip operates only for the time at which the actual signal transmission occurs. A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200;

상기 FIR 필터링을 거친 I/Q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한 쌍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205,206)와, I/Q modulation, RF 주파수 변환, RF 필터링, RF 증폭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설정토록 하는 인에이블 핀(209)이 구비된 RF 칩(207)으로 구성된 아날로그 송신부와; A pair o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s) 205 and 206 for converting the FIR-filtered I / Q digital data into analog signals, respectively, and I / Q modulation, RF frequency conversion, RF filtering, and RF amplification. An analog transmitter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and include an RF chip 207 having an enable pin 209 for setting whether to enable / disable an operation;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200) 및 상기 아날로그 송신부에 구비된 RF 칩(207)에 대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208)가 포함되어 구성되며,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200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208, which serves as a controller for the RF chip 207 included in the analog transmitter, is configured to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실제 전송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만 RF 칩을 동작시 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송 타이밍 발생부(204)에서 발생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210)와 DSP에서 발생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dsp))(211) 중, 상기 DSP(208)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select 신호(212)에 의해 선택하여 RF 칩(207)에 구비된 인에이블(enable) 핀(209)의 입력 신호(214)으로 인가하기 위한 멀티플렉서(Multiplexer)(21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0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and the RF generated by the DSP so that the RF chip can be operated only in a section in which the actual transmission occurs. An enable pin 209 of the enable signal (RF_enable (dsp)) 211 selected by the select signal 212 controlled by the DSP 208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and provided in the RF chip 207. A multiplexer 213 for applying to the input signal 214 of the) is further characterized.

여기서,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200)의 I/Q 데이터 생성부(201)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방식에 맞춰 포맷팅(formatting) 하며,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서는 사용자(User) 데이터와 콘트롤(Control) 데이터를 확산(Spreading), 스크램블링(Scrambling)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I / Q data generation unit 201 of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200 formats the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ssion method, and in general, a user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User) Spreading and scrambling of user data and control data.

또한, 상기 RF 칩(207)에서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200)에서 생성되어 DAC(205, 206)를 거쳐 입력되는 I/Q 신호를 I/Q 변조(modulation)하고, RF 주파수로 변환하여 이를 필터링하고, 증폭기로 증폭하는 등의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RF chip 207, the I / Q signal generated by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200 and input through the DACs 205 and 206 is subjected to I / Q modulation, converted into an RF frequency, and filtered. And amplify it with an amplifier.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RF 칩(207)에는 인에이블 핀(20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RF 칩(207)에 구비된 인에이블 핀(209)으로는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204)에서 발생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 (210)와 DSP에서 발생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211) 중 DSP(208)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select 신호(212)에 의해 선택되는 소정의 신호가 입력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able pin 209 is provided on the RF chip 207, and the transmission timing is generated by the enable pin 209 provided on the RF chip 207. Of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0 generated by the unit 204 and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1) generated by the DSP, the select signal controlled by the DSP 208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 The predetermined signal selected by 212 is input.

상기 인에이블 핀(209)으로 입력되는 신호(214)는 RF 칩 동작에 대한 인에이 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 전송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만 RF 칩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신호가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204) 또는 DSP(208)로부터 생성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214 input to the enable pin 209 is a signal for controlling whether to enable / disable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val in which an actual transmission occurs is performed. The predetermined signal is generated and input from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or the DSP 208 in order to operate the RF chip only.

도 3은 도 2에 구비되는 전송 타이밍 발생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송 타이밍 발생부(204)에는, 타이머(미도시)로부터의 전달되는 소정의 값(timer value)(301) 및 DSP(208)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302)을 동일한 시점에 입력 받아 전송 타이밍 지시자(TX timing indicator)(304) 뿐 아니라, RF 칩(207)의 인에이블 핀(209)을 정확한 전송 구간에 맞춰 제어하기 위한 RF 인에이블 신호(RF_enable(tx))(309)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지시자 생성부(303)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time value 301 and a DSP 208 transmitted from a timer (not shown). The TX timing set value 302 input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is received at the same time, and the enable pin 209 of the RF chip 207 as well as the TX timing indicator 304. )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generation unit 303 for generating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309 for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correct transmission interval.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송 타이밍 발생부(204)에는, RF 칩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전송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제 1전송 타이밍 지시자(first TX timing indicator)가 발생되는 시점과 상기 RF 칩이 enable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RF 온 오프셋(RF On offset) 값(305) 및 상기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302)을 입력 받아 이를 연산하는 제 1합산기(307)와;In addition, in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indicating a time point at which a predetermined signal starts to be transmitted by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is generated. A first RF input offset value 305 and a TX timing set value 302 indic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ime point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RF chip is enabled are received and calculated. A summer 307;

상기 소정의 신호 전송이 중단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제 2전송 타이밍 지시자 (second TX timing indicator) 발생 시점과 상기 RF 칩이 disable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 값(306) 및 상기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302)을 입력 받아 이를 연산하는 제 2합산기(308)가 더 구비되며, RF Off Offset value 306 indic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ime point at which a second TX timing indicator is generated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RF chip is disabled; And a second summer 308 that receives the TX timing set value 302 and calculates the TX timing set value 302.

상기 제 1, 2 합산기(307,308)에서의 연산을 통해 상기 RF 칩 enable 시점과 disable 시점 값이 계산된다.The RF chip enable time point and the disable time point value are calculated through opera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summers 307 and 308.

이에 상기 타이밍 지시자 발생부(303)에서는 상기 제 1, 2 합산기를 통해 계산된 RF 칩 enable 시점 및 disable 시점 값과 전송 타이머로부터의 입력받는 값(timer value)(301)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시점에 RF enable 신호(RF_enable(tx)) (309)를 발생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timing indicator generator 303 compares the RF chip enable time and disable time values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mmers with the timer value 301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timer.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309 is genera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이다.4 is a timing diagram of signals inputted to and outputted from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shown in FIG. 3.

도 4는 전송 타이밍 지시자 생성부(303)에서 생성된 전송 타이밍 지시자(TX timing indicator)에 의해 전송이 시작된 전송 신호가 FIR 필터의 입력으로 인가되어 FIR 필터의 출력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4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 transmission signal that has started transmission is applied as an input of the FIR filter by the TX timing indicator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generation unit 303 and appears as an output of the FIR filter.

도 4를 참조하면, FIR 입력(input)에 의한 FIR 출력(output)를 볼 때 상기 RF 칩을 통한 소정의 신호 전송이 중단될 경우 상기 FIR 필터의 영향으로 출력 신호가 전송 타이밍 지시자(TX timing indicator)에 의해 정의된 기준 시점보다 더 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 predetermined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RF chip is stopped when the FIR output is generated by the FIR input, the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influence of the FIR filter. It can be seen that it stretches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point defined by.

또한 전송 시작 시점에서도 RF 칩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전송 타이밍 지시 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좀더 일찍 RF 칩을 enable시킬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RF chip earlier than the reference time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of the RF chip at the start of transmission.

이에 상기 전송 타이밍 지시자(TX timing indicator)에 의한 전송 시작 시점과 RF 칩 enable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RF 온 오프셋(RF On offset)(401)으로,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전송 중단 시점과 RF 칩 disable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402)으로 표시되며, Accordingly,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start time and the RF chip enable time by the TX timing indicator is an RF On offset 401, and the transmission stop time and the RF chip disable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viewpoint is represented by an RF Off offset 402,

또한, 도 4에서는 3GPP 비동기 방식의 압축 모드 전송 간격(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에 의해 전송이 중단되는 경우를 그 예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도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402)과 RF 온 오프셋(RF On offset)(401) 값이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ransmission is interrupted due to a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 of 3GPP asynchronous scheme. In this case, RF off offset 402 and RF on are also described. It can be seen that an offset (RF On offset) value 401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DSP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한 RF 온 오프셋(RF On offset)값(305)과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값(306)은 각각 전송 시작 시점과 전송 중단 시점에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302)과 제 1 및 제 2 합산기(307,308)에서 연산을 통해 RF 칩 enable 시점과 disable 시점 값을 계산해내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RF On Offset value 305 and the RF Off Offset value 306 set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in the DSP are transmitted at the transmission start time and the transmission stop time, respectively. The TX timing set value 302 and the first and second summers 307 and 308 calculate the RF chip enable time and the disable time value.

이에 타이밍 지시자 발생부(303)에서는 계산된 RF 칩 enable 시점과 disable 시점 값과 전송 타이머로부터의 값(301)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시점에 RF enable 신호(RF_enable(tx)) (309)를 발생시키게 된다. Accordingly, the timing indicator generator 303 generates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309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F chip enable time and disable time value with the value 301 from the transmission timer. Let's go.

이와 같이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는 도 4에서와 같이 전송 시작 시점에서는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RF 온 오프셋(RF On offset)값 만큼 앞서서 enable되고, 전송 중단 시점에서는 기준 시점보다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값 만큼 앞서거나 뒤에 disable되는 신호가 된다.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enabled before the reference time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at the start of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4, and is enabled by the RF on offset value. The signal becomes disabled before or after the RF off offset value.

즉, 상기 RF 온 오프셋(RF On offset) 값은 기준 시점보다 앞서서 RF 칩이 enable되도록 음의 값을 가지고,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 값은 일반적으로 기준 시점보다 뒤에 RF 칩 enable 신호가 disable되도록 양의 값을 갖는다.That is, the RF On Offset value has a negative value to enable the RF chip before the reference time point, and the RF Off Offset value generally disables the RF chip enable signal after the reference time point. It should be as positive as possible.

다만, 상기 RF 칩의 지연 시간이 상당히 길 경우를 고려할 경우 음의 값을 가지게 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ase where the delay time of the RF chip is considerably long may have a negative valu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송 타이밍 생성부(204)에서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210)는 DSP(208)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dsp))(211)와 멀티플렉서(213)에서 선택되어 인에이블 핀(209)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Referring back to FIG. 2,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0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is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dsp) generated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of the DSP 208. 211 and a multiplexer 213 a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input of the enable pin 209.

즉, 상기 인에이블 핀(209)를 제어하는 RF enable 신호는 상기 전송 타이밍 생성부(204)에서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210)과 DSP(208)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dsp))(211)가 있으며, 이는 상기 DSP(208)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select 신호(212)를 통해 하나 선택되어 인에이블 핀(209)로 입력되게 된다.That is, the RF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the enable pin 209 is generated through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0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and the register interface of the DSP 208. There is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dsp)) 211, which is selected through the select signal 212 applied through the register interface of the DSP 208 is input to the enable pin 209.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전송 타이밍 생성부(204)에서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210) 또는 DSP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dsp))(211)를 사용하여 RF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210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or a RF enable signal generated through a register interface of a DSP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can be controlled using the RF_enable (dsp)) 211.

단,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송 타이밍 생성부(204)에서 발생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209)만이 상기 인에이블 핀에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as described above,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204 in order to operate the RF chip only for the time at which the actual signal transmission occurs. Only)) 209 may be configured to be input to the enable pi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제 전송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만 송신 RF 칩을 동작 상태로 두고 실제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구간에서는 송신 RF 칩을 비동작 상태로 두어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greatly reduced by leaving the transmitting RF chip in an operating state only in a section in which the actual transmission occurs and leaving the transmitting RF chip in an inoperative state in a section in which the actual transmission does not occur.

특히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같이 비교적 짧은 구간 동안에만 버스트(burst)로 전송이 일어나는 송신 방식이나, 3GPP 비동기 방식과 같이 일시적으로 전송이 중단되는 압축 모드 전송 간격(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이 존재하는 송신 방식에서는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transmission mode in which transmission occurs in a burst only during a relatively short period such as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method, or a compressed mode transmission gap in which transmission is temporarily stopped, such as a 3GPP asynchronous method. In the existing transmission scheme, a greater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실제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구간에서 송신 RF 칩을 비동작 상태로 둠으로써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줄여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leaving the transmitting RF chip in an inoperative state in a period where no actual transmission occurs,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interference of the entire communication system.

Claims (9)

단말기를 통해 송신될 I(In-phase)/Q(Quadrature-phase) 데이터를 생성하는 I/Q 데이터 생성부와, 전송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I/Q 데이터 생성부를 제어하고, RF 칩이 실제 신호의 전송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만 동작하도록 RF 칩에 구비된 인에이블 핀을 제어하는 RF enable 신호(RF_enable(tx))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생성부가 포함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와; An I / Q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in-phase (Quadrature-phas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a terminal,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timing signal to control the I / Q data generator, and the RF chip actually A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including a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for generating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for controlling an enable pin included in the RF chip so as to operate only for a time at which signal transmission occurs; 상기 I/Q 디지털 데이터를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한 쌍의 DAC(Digital-to-Analog Converter)와, I/Q 변조(modulation)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설정토록 하는 인에이블 핀이 구비된 RF 칩이 포함되는 아날로그 송신부와; A pair of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Cs) for converting the I / Q digital data into analog signals, respectively, and I / Q modulation, and enable the operation thereof. / An analog transmitter including an RF chip having an enable pin for setting whether to disable or disable;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 및 상기 RF 칩에 대한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serving as a controller for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and the RF chi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서 생성된 RF enable 신호(RF_enable(tx))와 DSP에서 생성된 RF enable 신호(RF_enable(dsp)) 중 하나가 상기 DSP에서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하는 select 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인에이블 핀에 입력되도록 하는 멀티플렉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 신장치.One of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and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dsp) generated by the DSP is selected by a select signal controlled by the DSP through a register interface. And a multiplexer configured to be input to the enable p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RF 칩은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신부에서 생성되어 입력되는 I/Q 신호를 I/Q 변조(modulation)하고, RF 주파수로 변환하여 이를 필터링하고, 증폭기로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The RF chip performs I / Q modulation on the I / Q signal generated by the digital baseband transmitter, the RF signal is converted to an RF frequency, filtered, and amplified by an amplifier. Signal transmitting device of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에이블 핀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실제 전송이 일어나는 구간에서만 상기 RF 칩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RF 칩 동작에 대한 인에이블(enable)/디스에이블(disable) 여부를 제어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The signal input to the enable pin is a signal for controlling whether to enable / disable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in order to operate the RF chip only in a section in which actual transmission occurs. Signal transmitter of a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는, In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타이머로부터의 전달되는 소정의 값(timer value) 및 상기 DSP의 레지스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을 동일한 시점에 입력 받아 전송 타이밍 지시자(TX timing indicator)를 생성하고, 상기 RF 칩의 인에이블 핀을 정확한 전송 구간에 맞춰 제어하기 위한 RF enable 신호(RF_enable(tx))를 생성하는 전송 타이밍 지시자 생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A TX timing indicator is generated by receiving a timer value transmitted from a timer and a TX timing set value input through a register interface of the DSP at the same time, And a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for controlling the enable pin of the RF chip according to an accurate transmission interval.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송 타이밍 발생부에는, In the transmission timing generator, 상기 RF 칩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전송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제 1전송 타이밍 지시자(first TX timing indicator)가 발생되는 시점과 상기 RF 칩이 enable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RF 온 오프셋(RF On offset) 값 및 상기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을 입력 받아 이를 연산하는 제 1합산기와;An RF on offset indic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ime point at which a first TX timing indicator is generated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RF chip is enabled by the operation of the RF chip. A first adder configured to receive an RF On offset value and the TX timing set value, and calculate the RF On offset value; 상기 소정의 신호 전송이 중단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제 2전송 타이밍 지시자(second TX timing indicator) 발생 시점과 상기 RF 칩이 disable되는 시점과의 시간 차이를 나타내는 RF 오프 오프셋(RF Off offset) 값 및 상기 전송 타이밍 설정값(TX timing set value)을 입력 받아 이를 연산하는 제 2합산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An RF off offset value indicat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a second TX timing indicator generation time indicating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and a time when the RF chip is disabled and the transmission And a second adder configured to receive a timing set value and calculate the sam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2 합산기에서의 연산을 통해 상기 RF 칩의 enable 시점과 disable 시점 값이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 The signal transmiss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able time and the disable time value of the RF chip is calculated through the calcul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summer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2 합산기를 통해 계산된 RF 칩 enable 시점 및 disable 시점 값과 전송 타이머로부터의 입력받는 값(timer value)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타이밍 지시자 발생부에서 RF enable 신호(RF_enable(tx))가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in the timing indicator generator by comparing the RF chip enable time and disable time values calc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mmers with a timer value received from a transmission timer.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RF enable 신호(RF_enable(tx))는, The RF enable signal (RF_enable (tx)) is, 신호 전송 시작시점에서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RF 온 오프셋(RF On offset) 만큼 앞서서 RF 칩이 enable되고, 신호 전송 중단시점에서 전송 타이밍 지시자에 의한 기준 시점보다 RF 오프 오프셋(RF On offset) 만큼 앞서거나 늦게 RF 칩이 disable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신장치. At the start of signal transmission, the RF chip is enabled by an RF On offset ahead of the reference point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and at the point of interruption of signal transmission, the RF On offset is earlier than the reference point by the transmission timing indicator. Signal transmitt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F chip is disabled as early or late.
KR1020050022449A 2005-03-17 2005-03-17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drawn KR200601007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49A KR20060100715A (en) 2005-03-17 2005-03-17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49A KR20060100715A (en) 2005-03-17 2005-03-17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15A true KR20060100715A (en) 2006-09-21

Family

ID=3763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449A Withdrawn KR20060100715A (en) 2005-03-17 2005-03-17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7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5712B1 (en) Mobile station control states based on available power
CN1643829B (en) RF transmitters with saturation detection and correction and methods therefor
TWI462508B (en) Closed-loop adaptive power control for adjusting bandwidth in a mobile handset transmitter
EP229641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ower control system thereof
US20120071118A1 (en) Data conversion using a serial interface clock in a power amplifier module
JPH10506764A (en) Digital AGC for CDMA wireless telephones
CN103532585B (en) Auto gain control method and device
WO20081157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improving call connection
CN115296692B (en) Dual-card communi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terminal
JPH06197037A (en) Amplifier control system and amplifier control method
CN101185262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transmission burst
KR1010757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er phase shift compensation
KR20060100715A (en) Signal transmitt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0973311A2 (en) Portable data terminal having built-in radio communications device
JP2000295119A (en) Radio transmitter
JP2002300047A (en) Wireless transmitter
EP1569350A1 (en) Power limit device and digital radio transmitter using the same
CN102724748B (en) The power regulating method of mimo system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3402298B2 (en) Transmission device
KR10058413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verse transmission power setting function
JP351313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circuit
US7532905B2 (en) Filter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JP3314761B2 (en) Power limiting circuit
JP20032586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KR20070014384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output power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