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00040A -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040A
KR20060100040A KR1020050021659A KR20050021659A KR20060100040A KR 20060100040 A KR20060100040 A KR 20060100040A KR 1020050021659 A KR1020050021659 A KR 1020050021659A KR 20050021659 A KR20050021659 A KR 20050021659A KR 20060100040 A KR20060100040 A KR 2006010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pier
horizontal
vertical
pe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5002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040A/ko
Publication of KR2006010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는, 부유식 피어의 저면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체결된 부위를 트러스공법에 의해 보강 체결되는 경우 적용 가능한 보강부재로 이루어져 종래의 해저면으로 수직부재를 항타하는 공법에 의하지 않고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시 요구되는 각종 장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와 분해 조립성 등이 탁월하며, 이동성이 용이함에 따라 공기와 공비를 크게 단축 및 절감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피어(Pier), 부두, 항만, 선거(船渠), 돌제(突堤), 계류(繫留), 마리나(Marina), 페리선(Ferry), 접안(接眼), 히브(Heave), 수평바아(Horizontal bar)

Description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ubstructure System and construction work method for floating type ship mooring pier}
도 1은, 일반적인 부유식 피어의 외관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 : 부유식 피어
10 : 메인피어 10L : 메인피어 길이
10S : 메인피어 축간거리 20 : 휭거피어
20L : 휭거피어 길이 20S : 선거부 폭
30 : 수직부재 40 : 수평부재
40a : 수평바아(Horizontal bar) 40b : 히브(Heave)판
41 : 홀(hole) 50 : 보강부재
60 : 갱웨이(Gang way) 70 : 힌지
100 : 선박 200 : 항만
본 발명은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을 부두로부터 안전하게 계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피어(Pier)란, 항만, 마리나(Marina), 어항 또는 기타 모든 수상 구조물에 선박, 요트, 보트, 어선, 페리선(Ferry) 등이 접안, 계류, 정박할 수 있도록 돌제식(突堤式)으로 설치한 부유식 부두 구조물을 말한다.(도 1참조)
이러한 부유식 피어(Pier)(1)에는, 배후부지, 해안구조물 또는 부유식구조물에서 바다 쪽으로 길게 돌출되는 메인피어(Main Pier)(10)와, 상기 메인피어(10)로부터 분기 연장되어 선박이 접안 및 계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선거부(6)를 구획하기 위한 휭거피어(Finger Pier)(20)로 이루어짐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 부유식 피어(Pier)(10)를 조류나 파도 또는 접안 선박의 계류력, 접안력 등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시공형태는 상기 피어(Pier)(10, 20)의 주위로 지주용 파일(30)을 일정 간격으로 항타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외의 특별한 방법은 현재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여기에서 마리나(Marina)란, 요트,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마리나는 제주도와 충무, 해운대 등 몇 군데가 있으나 그 활용도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반 면 미국, 일본, 유럽, 홍콩 등 바다와 접해 있는 세계 각국에서는 광범위한 국민 레저 분야의 하나로 발전되어 왔으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도 해양자원의 개발과 더불어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여가시간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하고, 관광패턴이 단순형 관광에서 체험형 관광으로, 육지중심에서 해양으로 확대됨에 따라 해양레저 및 해양스포츠분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마리나는 하구나 해안가에 위치하여 개발을 위해서는 해안가의 토지 매입과 주변 해역 매립, 선박 운항을 위한 준설, 이로 인한 환경 문제 파생 등 주요한 사회적, 경제적 이슈들의 해결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마리나 개발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급기야는 마리나 개발 자체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 현실정이다. 즉 현재까지 설치 운영되는 마리나 시설물은 보통 해안이나 하구, 강변 등에 안벽을 만들고 여기에 부유식 또는 고정식 휭거형 제티(Finger Jetty)를 연결하여 보트와 요트가 접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로 건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현재까지 외국 해안가 등에 설치된 대형 마리나 피어(Pier)와 그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술한 지주용 파일을 해저면에 항타하여 이루어진 종래의 하부체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메인피어(Main Pier)와 휭거피어(Finger Pier)를 지지하는 지주용 파일이 해저지반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외관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파일 항타 방식은 좁은 공간에서 파일 항타선이 움직이며 연속적으로 다수의 지주용 파일(30)을 항타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작업이 용이 하지 못하였으며, 수심이 깊거나 해저질이 암반 또는 사석(沙石)이나 응회석 따위와 같이 경도(硬度)가 높은 상태일 경우에는 전술한 파일 항타 방식이 적합하지 못하여 상기 피어들(20, 3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없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파일 항타 방식은, 그 시공이 복잡하게 구현됨에 따라, 공기(工期)와 공비(工費)를 단축 및 절감할 수 없었으며, 구조적으로 상기 피어들(10, 20)을 수평방향으로 지나치게 고정시키게 되는 바, 파고가 높은 파랑 등의 외부 물리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피어들(10, 20)의 뒤틀림현상과 이로부터 해수가 상하방 등으로 유동될 시에는 상기 피어들(10, 20)의 국부적 및/또는 전반에 걸쳐 편하중 등의 수직하중 및/또는 수평하중 등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피어 구조물의 수명을 크게 저하시켜 일정기간단위로 안전진단 등을 실시하여야만 하였음은 물론, 이로부터 소요되는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없었다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부재로 구현되는 지주용 파일을 해저면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 제작하고, 수평부재를 이용하여 이들 다수의 지주용 파일을 횡방향으로 연결 하여 해저면으로의 파일 항타 방식 등에 의하지 않고도 그 체결력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식 피어의 저면을 하방 지지하는 수직부재를 체결 고정하는 단계와, 수평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체결 연결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체결된 부위면을 보강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설공기 및 건설비가 획기적으로 절감 가능하며, 환경친화적이고, 향후 확장 등이 용이하며, 건설작업과 해체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내진효과 등이 탁월한 새로운 개념의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구체화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보강구조물은, 해안구조물 또는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해수면 상에 부유 돌제(突堤)되는 메인피어; 상기 메인피어로부터 일정간격 분기 연결되어 다수의 선박이 각각 접안되도록 복수의 선거부를 구획하는 휭거피어; 해수면으로부터 해저면에 이르는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어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방 지지하도록 수직 체결되는 다수의 수직부재;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부재는, 수평바아(Horizontal Bar) 또는, 수평판재(Horizontal Plate) 또는 다수의 홀(Hole)이 천공되어 있는 히브(Heave)로부터 선택 구현됨에 따라 파도 또는 파고가 높은 파랑 등에 의한 해수의 요동현상에 따른 피어의 상하 흔들림작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피어 하부체에 인가되는 하중을 크게 경감시켜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상호 체결된 부위면에 보강 체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다수의 부재들이 상호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을 갖는 부유식 선박 계류용 피어의 하부체 보강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는,
a) 메인피어 및 휭거피어의 저면 상에 다수의 수직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켜 체결 시공하는 단계;
b) 해수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및 체결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한 피어들을 지지하는 수직부재 즉, 지주용 파일을 해저면 상에 항타하여 고정시키는 시공단계에 의하지 않고, 전술한 피어들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상기 수직부재들이 수평부재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종래의 시공방법 즉, 해저면 상에 수직부재를 항타하는 형태로 피어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시공방법과 대비하여 볼 때, 공기와 공사비를 대폭 단축 및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방법 또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b)단계의 다음으로는,
c)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상호 체결된 부위면과 인접된 소정부위면을 트러스공법에 의해 보강 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들 다수의 부재가 상호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되도록 해상 작업의 번거로움을 피하고 공기와 공사비를 보다 축소하기 위해서 상기 모든 하부체 보강 구조물을 육상에서 한꺼번에 제작하여 피어와 함께 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의 편의 상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물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1)는, 메인피어(10), 휭거피어(20) 그리고, 이들을 하방 지지하는 수직부재(30) 및, 상기 수직부재(30)를 횡방향으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수평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어(10, 20)는 일체형 또는 각각의 구성물로 이루어져 조립 체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10, 20)은 공히 해상에서 부력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메인피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항만(200), 마리나(marina) 등으로부터 해수방향으로 잔교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출입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갱웨이(Gang way)(60)와 통상의 주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연결되나, 도 2에서와 같이, 힌지(70)를 매개 수단으로 하여 상호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체결됨에 따라 조위 승강과 해수의 유동에 의해 상하방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태로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피어의 길이(10L)방향 즉,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메인피어(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분기되거나 별도의 구성물로 이루어져 분해/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메인피어(10)와 일체화 구성되는 휭거피어(20)가 구비되는 바, 상기 휭거피어(20)와 메인피어(10)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선거부(도면부호 미도시)로 선박의 접안, 계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휭거피어(20)는 대상 선거 선박에 따라 상기 휭거피어(20)의 간격 즉, 선거부 폭(20S)을 조절 설계하여 시공되는 바, 페리선, 어선 등과 같은 소형 선박의 정박 등이 가능한 일반적인 형태와 간격조절이 설정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휭거피어(20)없이 메인피어(10)만으로 선거부를 이루어 보다 큰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부유식 피어들(10, 20)의 저면으로는 해저면을 향하도록 수직 체결되는 다수의 수직부재(3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수직부재(30)의 길이는 앞서 언급된 종래기술과는 달리 해수면으로부터 해저면에 이르는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휭거피어(20)의 일측 또는 양측말단의 저면 그리고, 상기 휭거피어(20)와 동일 축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메인피어(10)의 중앙 저면 상 또는 메인피어의 동일 축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된다.
이러한 수직부재(30)는, 조위의 승강, 해수의 유동 및/또는 상기 선거부(도면부호 미도시)에 정박된 선박 등으로부터의 간단한 하역작업 등이 동시에 가능할 수 있을 정도의 하중과 체결력 그리고, 상기 피어들(10, 20)의 자중, 부력계수 등을 시공목적과 대상에 따라 주지된 공학적 산출방법에 의해 시공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태의 다수의 수직부재(30)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평 바아(bar)형태의 수평부재(40)에 의해 상호 견고히 체결 및 연결된다. 물론, 이들(30, 40)의 체결방법은 주지 관용의 다양한 체결방식(일 예로써, 용접, 그라우팅, 볼트너트체결방식 등)에 의하며, 해일, 태풍, 파랑 등의 자연하중 또는 승하선, 선박 접안, 계류 등의 운영하중이 발생하였을 시에 안전성을 확보하고 일정범위 내에서 완충작용이 실시될 수 있을 정도의 체결력을 유지하는 정도로 체결된다.
상기 수평부재(40)의 체결형태를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30)를 연결하는 형태로 체결을 이루되, 상기 메인피어(10)의 길이방향과, 상기 휭거피어(20)의 길이방향과 각각 동일축선 상에서 상기 메인피어(10) 및/또는 상기 휭거피어(20)와 각각 체결 완료된 다수의 수직부재(30)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체결방법에 의해 상호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메인피어(10)가 일정한 간격으로 각기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부재(40)가 상기 메인피어(10) 및/또는 휭거피어(20)들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형태로써 이와 상응하는 수직부재(30)와 상호 견고히 체결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한 다수의 수평부재(40)에 의해 부유식 피어(10, 20)가 상호 유동없이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바, 종래의 파일 항타 공법 등에 의하지 않고도 부유식 피어(10, 20)를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등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평부재(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즉, 해수의 유동이 크게 작용되는 심해/천해 또는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해안과 인접된 항만/마리나 등지에 시공할 경우에는, 해수의 상하유동현상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40)와 부유식 피어(10, 20)에는 해수에 의한 압력과 장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바, 그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를 해소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도 4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평부재(40)의 또 다른 실시구성예로서, 일정한 수직항력계수와 수평항력계수를 갖는 콘크리트재,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현되는 판상체 또는 판상체 상에 소정 직경의 홀(hole)(41)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히브(Heave)판(40b)로 구현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되었던 유체의 상하유동현상이 발생되었을 시에 판상체 자체나 상기 다수의 홀(41)을 통해 상기 수평부재(40)에 동반 작용하는 압력과 장력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어 부유식 피어(10, 20)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크게 증진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홀(41)은, 제조자의 제조목적과 의도하는 바에 따라 전술한 수평 바아(40)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원통형 또는 다각형상의 수평 바아(40)의 길이방향으로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홀(41)을 일정간격 다수개 천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는, 전술한 부유식 피어들(10, 20)의 부력계수를 종래기술의 부력계수보다 크게 설정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부유식 피어(10, 20) 각각에 인가되는 하중은 물론, 상기 부유식 피어(10, 20)에 인가되는 상기 수직부재(30) 및 수평부재(40) 등의 중량이 고려되어야 하고, 상기한 부재들(30, 40) 그리고, 적정 선거부의 수 및 간격에 따라 상기 부유식 피어(10, 20)를 이용하는 선원 및 선적화물 등의 중량 그리고, 상기 피어(20, 30)를 통행하는 적정 통행자 수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임계하중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주지된 공학적 계산 산출방법에 근거하여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40)와 수직부재(30)의 체결력을 보다 견고히 하고자할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보강부재(50)를 이용하여 트러스형태 등으로 보강 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는, 메인피 어(10)와 휭거피어(20)를 각각 해수면 상에 부유시키거나 해당 제조공장으로부터 적절한 위치에 배치 및/또는 조립하는 단계(S10, S20)를 진행한다. 이후, 다수의 수직부재(30)를 상기 메인피어(10)와 휭거피어(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 장착 시공하는 단계(S30)가 진행되며, 수평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30)의 각 말단을 앞서 언급된 적절한 체결방법에 의해 상호 견고히 체결 시공하는 단계(S40)가 진행된다.
이후, 상기 수직부재(30)와 수평부재(40)가 체결된 부위면과 인접된 상기 부재들(30, 40)의 소정 부위면에 필요시 보강부재(50)를 이용하여 트러스 보강 체결 시공하거나 히브판(Heave)판(40b)을 부착하는 단계(S50)가 진행됨으로써 완료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해상 등지의 제조공장 등으로부터 주문제작에 의해 전술한 전단계(S10 내지 S50)가 진행 완료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설치 대상 항만(200)으로 바지선 등의 선박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제조 완성된 부유식 피어 및 하부체 구조물을 해당 항만(200)으로 이송하여 상기 해당 항만(200)에서 별도로 시공 완료된 갱웨이(60)와 힌지체결방식 등에 의해 체결 시공하는 단계(S6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체로 대상 항만(200)에서 직접 시공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S10)에서 메인피어(10)와 전술한 항만(200) 등으로부터 별도의 공정에 의해 완성된 잔교(갱웨이(60))와 전술한 힌지체결방식 등에 의해 상호 체결시키는 공정이 일괄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직부재(30)의 길이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 재(30)와 체결을 이루는 상기 수평부재(40)가 상기 선거부에 출입하는 해당 선박의 바닥면 등에 걸려 상호 손상됨이 없도록 충분한 길이로 설정됨에 따라 비교적 깊은 수심에서 위치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종래의 해저면으로 수직부재를 항타하는 공법에 의하지 않고도, 부유식 피어의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시켜 고정 가능하며, 파도 등에 의해 발생되는 해수의 상하 유동 시나 선박의 접안, 계류, 승하선, 하역시에도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으므로, 부유식 피어(10, 20),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등에 인가되는 응력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시공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시에 요구되는 각종 장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와 분해 조립 등이 탁월하며, 이동성이 용이함에 따라 공기와 공비를 크게 단축 및 절감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성이 용이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부유식 피어 및 그 하부체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 완료한 후 해당 설치 장소로 이동 및 체결하는 등의 일련의 작업공정들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편리한 제작과 설치 등이 가능하여 설치 및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다 현실화할 수 있어 저렴한 제조원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해안구조물 또는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해수면 상에 부유 돌제(突堤)되는 메인피어;
    상기 메인피어로부터 일정간격 분기 연결되어 다수의 선박이 각각 접안되도록 복수의 선거부(船渠)를 구획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휭거피어;
    해수면으로부터 해저면에 이르는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어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하방 지지하도록 수직 체결되는 다수의 수직부재;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 상호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보강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수평바아 또는, 다수의 홀을 천공하거나 천공하지 않은 히브(Heave)판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보강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상호 체결된 부위면에 보강 체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보강구조물.
  4. a) 메인피어 및/또는 휭거피어의 저면 상에 다수의 수직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켜 체결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 및 체결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다음으로는,
    c)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가 상호 체결부위면과 인접된 소정부위면을 트러스공법에 의해 보강 시공하거나 수평부재를 수평바아 또는, 히브(Heave)판으로 보강 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시공방법.
KR1020050021659A 2005-03-16 2005-03-16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eased KR2006010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59A KR20060100040A (ko) 2005-03-16 2005-03-16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59A KR20060100040A (ko) 2005-03-16 2005-03-16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40A true KR20060100040A (ko) 2006-09-20

Family

ID=3763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59A Ceased KR20060100040A (ko) 2005-03-16 2005-03-16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0695B1 (en) Temporary floatation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CN101400568B (zh) 系泊系统
US9914505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submersible platforms and installation vessel
EP3464733B1 (en) A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CN101678878A (zh) 可配置的多功能浮船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KR20140000345U (ko) 반잠수식 플랫폼
Grinyer Fixed and floating breakwaters for small craft harbours: experience at Town Quay Southampton, Haslar Marina, Portsmouth and Parkstone Yacht Haven, Poole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CN109178226A (zh) 一种降低半潜式海洋工程平台吃水的方法
KR20060100040A (ko) 선박 계류용 부유식 피어의 하부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3473217U (zh) 一种海上平台定位柱的支撑杆
Leverette et al. The tension leg platform: from Hutton to Big Foot
RU85439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орской платформы по внутренним водным путям
KR20140111123A (ko) 소규모 도크를 이용한 반 잠수형 시추선 건조 공법
KR20240013167A (ko) 부유식 제작 장치 및 부유식 구조물의 구축 방법
KR20170036268A (ko) 극한환경에서의 안벽 계류 능력이 우수한 해상 부유체
RU62935U1 (ru) Плавучий речной причал
CN203544313U (zh) 一种海上平台的定位柱
CN203473199U (zh) 海上平台的定位柱
KR20150004309U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WO2012130281A1 (en) Semisubmersible platform
JPH0714403Y2 (ja) 浮桟橋構造
GB2306186A (en) Mooring arrangement for buoyant platform
KR20100131722A (ko) 플로팅 안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