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99956A -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956A
KR20060099956A KR1020050021517A KR20050021517A KR20060099956A KR 20060099956 A KR20060099956 A KR 20060099956A KR 1020050021517 A KR1020050021517 A KR 1020050021517A KR 20050021517 A KR20050021517 A KR 20050021517A KR 20060099956 A KR20060099956 A KR 20060099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optical fiber
optical cable
lay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956A/ko
Publication of KR2006009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95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fluid as pulling means, e.g. liquid, pressurised gas or su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절체 및 건물의 굴착 공사 없이 건물내에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방법은, 공동주택 또는 빌딩의 구내 통신실로부터 건물내의 세대 단자함까지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으로, 구내 통신실과 세대 단자함을 연결하는 기존의 통신 관로내의 여유공간에 포설용 튜브를 내설하는 단계, 및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압 포설용 튜브내로 광섬유가 집합된 광섬유 유닛을 종입하여 상기 구내 통신실로부터 세대 단자함까지 연속적으로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통신 관로내의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광섬유 유닛을 포설함으로써 별도의 굴착 공사 없이 건물내에 광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광케이블을 포설함으로써 광케이블의 절체가 필요없어 광케이블을 접속, 분기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공기압 포설 방법, FTTH

Description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 방법 {Install method in building without transfer-joint using air blown optical fiber uni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건물내 간선계에 포설되어 있는 통신관로의 배선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통신 관로 내에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설된 광섬유가 타 통신 케이블과 함께 가정내로 인출된 것을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은 광케이블 포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절체 및 건물의 굴착 공사 없이 광섬유 유닛을 포설하는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물내 간선계는 주로 구리선으로 이루어져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초고속 대용량의 정보 전송을 위해 가정내 인입구까지 광섬유를 포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건물내의 광케이블의 포설 공법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까지 건물내에 광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을 끌어 당겨서 관로 내에 포설하는 견인 포설 공법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견인 포설 공법을 이용하면 광케이블을 당기는 과정에서 인장력에 의해 광섬유가 단선될 수 있고, 단선된 사실도 포설이 끝난 이후에야 알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은 수십~수백 가닥의 광섬유을 묶어 놓은 형상으로 굵기가 매우 굵기 때문에 협소한 기존 건물 관로내에는 포설될 수 없다. 따라서, 포설을 위해 별도의 통신 관로를 만들거나 건물의 외벽체를 따라 설치해야 하지만, 통신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굴착 공사를 해야 하고, 건물의 외벽체를 따라 설치하는 것은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광섬유 가닥을 포함하는 광섬유 유닛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포설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 포설 방법은 1980년경 영국 British Telecom사(USA,961,896 참조)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공기압 포설 방법은 특별한 조성과 단면 형상을 갖는 마이크로 튜브(Micro tube) 또는 덕트(duct)라고 불리는 고분자 재질의 튜브를 포설 지점에 미리 설치한 뒤, 그 내부로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Air blown optical fiber; 이하 '광섬유 유닛'이라고 약칭한다)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불어넣어 광섬유를 포설하는 방법이다.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포설하면, 광섬유의 포설과 제거가 용이하고, 초기 설치 비용이 저감되며, 향후 성능보완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포설에 필요한 튜브만을 우선 설치하기 때문에 현재 설치공간이 여유롭지 못하더라도 제한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장점들로 인해 최근에는 광케이블을 포설하는 공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더라도 구간마다 포설되는 광케이블로 인해 광케이블의 절체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광섬유의 종단의 접속으로 인한 광손실의 발생 및 광섬유의 접속에 따른 커넥터에 의해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내에 광케이블 포설시 광케이블의 절체가 필요 없고 별도의 통신 관로의 설치가 요구되지 않는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유닛 포설 방법은 공동주택 또는 빌딩의 구내 통신실로부터 건물내의 세대 단자함까지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광섬유 유닛을 포설하는 방법으로, 구내 통신실과 세대 단자함을 연결하는 기존의 통신 관로 내의 여유공간에 포설용 튜브를 내설하는 단계, 및 공 기압을 이용하여 공기압 포설용 튜브내로 광섬유가 집합된 광섬유 유닛을 종입하여 구내 통신실로부터 세대 단자함까지 연속적으로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설용 튜브는 절단되지 않고 통신 관로에 연속적으로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건물내 포설되어 있는 통신관로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설된 광케이블의 배선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이미 건물의 간선계 즉, MDF(Main Distribution Fannel:이하 '구내 통신실' 이라고 한다)(11)로부터 층 단자함(12)을 거쳐 세대 단자함(13)으로 연속적으로 배선된 통신관로(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관로의 배선도와 본 발명에 의하여 포설되는 광케이블의 배선도는 일치됨은 당연하다.
상기 광케이블은(20)은 후술하는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과 상기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둘러싸는 포설용 튜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20)은 상기 구내 통신실(11)로부터 인출되어 건물 각 층의 층 단자함(12)으로 분배되고, 상기 층 단자함(12)으로 인입된 광케이블(20)은 해당 층의 세대 단자함(13)으로 다시 분배되어 세대 단자함(13)의 광인출구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20)을 배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상기 구내 통신실(11)로부터 층 단자함(12), 세대 단자함(13)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기존의 통신 관로 내로 광케이블(20)을 포설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통신 관로(10) 내에 광케이블(20)을 포설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전화선(30)이나 UTP 케이블(40)이 이미 매설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 관로(10) 내에 포설용 튜브(21)를 포설한다. 상기 포설용 튜브(21)는 통상의 견인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통신 관로(10)내에 내설된다. 이 때, 상기 포설용 튜브(21)는 중간에 절단되지 않고 상기 통신 관로(10) 내에 연속적으로 내설된다.
포설용 튜브(21)는 내피층과 외피층으로 구성된다. 이 때, 외피층은 통신 관로(10)의 내벽이나 다른 통신 케이블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 계수가 작은 고분자 중합체에 윤활 성분이 첨가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설용 튜브(21)의 내피층도 이후에 공기압 포설 공법에 의해 종입되는 광섬유 유닛(22)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 계수가 작은 고분자 중합체에 윤활 성분이 첨가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설용 튜브(21)의 내부에는 직경이 1.02mm~1.4mm인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이 포설되고,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의 외표면과 포설용 튜브(21)내면과의 마찰을 고려하면 포설용 튜브(21)의 직경은 3.5mm~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도 크기의 직경을 가진 포설용 튜브(21)는 기존 통신 관로(10)가 협소하여도 내부에 설치하는데 별 지장이 없다.
다음으로, 포설용 튜브(21)를 기존의 통신 관로(10) 내에 내설한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설용 튜브(21) 내에 하나 이상의 광섬유 심선(22a)을 포함한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을 종입한다. 상기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은 공기압 포설장치(미도시)에서 제공되는 압축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포설용 튜브(21)내로 종입된다. 상기 공기압 포설 장치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채용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은 하나 이상의 광섬유 심선(22a)과 상기 광섬유 심선(22a)을 둘러싸는 코팅층(22b,22c)을 구비하며, 최외곽 코팅층(22c)의 표면에는 공기압 포설시 압축 공기에 의한 유체 견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비드(22d)가 부착되어 있다. 도 2b에는 코팅층(22b,22c)이 이중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코팅층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22)을 공기압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포설용 튜브(21)내로 포설하면, 광섬유 유닛(22)은 기존의 통신 관로(10)를 따라 구내 통신실(11)로부터 세대 단자함(13)까지 연속적으로 포설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서로 다른 포설구간에서 광섬유의 접속에 따른 광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섬유의 연결을 위해 고가의 광커넥터를 소모할 필요가 없다. 또한, 포설전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서 통신 관로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며, 기존의 통신 관로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굴착 공사 없이 건물내에 광섬유 유닛을 포설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설된 광케이블(20)이 전화선(30), UTP선(40)과 함께 동일한 통신관로(10)로 부터 세대내로 인출된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달성되며,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통신 관로의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광케이블을 포설함으로써 별도의 굴착 공사 없이 건물내에 광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어 구형 건물에도 광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연속적으로 포설함으로써 광케이블의 절체가 필요없어 광섬유 유닛의 접속, 분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포설전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서 통신 관로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필요한 시점에 광섬유를 더 포설함으로써 손쉽게 건물내 광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Claims (2)

  1. 공동주택 또는 빌딩의 구내 통신실로부터 건물내의 세대 단자함까지 공기압 포설 공법을 이용하여 광섬유 유닛을 포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내 통신실과 세대 단자함을 연결하는 기존의 통신 관로 내의 여유공간에 포설용 튜브를 내설하는 단계;및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압 포설용 튜브내로 광섬유가 집합된 광섬유 유닛을 종입하여 상기 구내 통신실로부터 세대 단자함까지 연속적으로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 튜브는 절단되지 않고 상기 통신 관로에 연속적으로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 포설방법.
KR1020050021517A 2005-03-15 2005-03-15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Ceased KR20060099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17A KR20060099956A (ko) 2005-03-15 2005-03-15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17A KR20060099956A (ko) 2005-03-15 2005-03-15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956A true KR20060099956A (ko) 2006-09-20

Family

ID=3763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17A Ceased KR20060099956A (ko) 2005-03-15 2005-03-15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9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7895B1 (en)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US5113036A (en) Modular cable
AU664376B2 (en) Empty conduit with detachable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30044986A1 (en) Single-mode to multi-mode optical fiber core matching and connectorization using a tapered fiber
EP2157461A1 (en) Preassembled optical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assemled optical cables
KR20060099956A (ko) 공기압 포설용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건물내 간선계 무절체포설 방법
JP5352393B2 (ja) 光配線方法
KR100582803B1 (ko) 광가입자망 배선 시스템
US11914208B2 (en) Rapid optical fiber link restoration solution
CN101743695A (zh) 用于在管道系统中传输数据的网络和方法
CN109951231B (zh) 一种光纤到桌面的通信系统
CN206134357U (zh) 同轴复合电缆
US20050258410A1 (en) Air blown assisted data transmission cables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s
JPH05346511A (ja) 光屋内配線方法および光屋内線路
KR20000047131A (ko) 타이트 버퍼형 광섬유 및 그것을 구비한 초다심 광케이블
KR100702294B1 (ko) 주름 광튜브를 구비한 공기압 포설용 광튜브 케이블
CN212367277U (zh) 一种光纤通信系统
KR100798253B1 (ko) 세대 단자함내 광케이블 종단처리 방법
JP200912871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及び情報配線システム
JP200711428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施工方法
EP4086679A1 (en) Pre-spliced optical fiber cables
WO2003107062A1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分配敷設方法
KR200385421Y1 (ko) 광 아웃렛 박스
CN104280847A (zh) 一种光纤到户的楼宇通信管道系统
CN204143945U (zh) 智慧光电综合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220

Appeal identifier: 2007101004279

Request date: 200704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3

Effective date: 200712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12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423

Decision date: 20071220

Appeal identifier: 2007101004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