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028A - Sanitary napkin - Google Patents
Sanitary napk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4028A KR20060094028A KR1020060015566A KR20060015566A KR20060094028A KR 20060094028 A KR20060094028 A KR 20060094028A KR 1020060015566 A KR1020060015566 A KR 1020060015566A KR 20060015566 A KR20060015566 A KR 20060015566A KR 20060094028 A KR20060094028 A KR 200600940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sorbent core
- sanitary napkin
- area
- vaginal
- absorb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18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8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21 nitri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옷에 접착하여 착용할 때에, 질 대면 영역이 잘 변형되지 않고, 질 대면 영역이 질 입구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의 생리용 냅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napki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vaginal facing area is hardly deformed when adhered to an undergarment, and the vaginal facing area can be tightly attached to the vaginal opening.
생리용 냅킨(1)을 구성하는 액 흡수층(20)은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25)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강성이 낮은 측부 영역(26)을 가지며,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의 경계가 접힘 경계부(29)로 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1)을 착용할 때에는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26)이 아래쪽을 향해 절곡되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25)이 크게 휘거나 구겨지는 경우가 적고, 질 대면 영역(25)이 거의 평명형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질 입구에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게 된다.The liquid absorbing layer 20 constituting the sanitary napkin 1 has a high rigidity vaginal facing area 25 and a low rigidity side area 26 loca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vaginal facing area 25 and a side part. The boundary of the area 26 is a folding boundary 29. When the sanitary napkin 1 is worn, the lateral area 26 is bent downward with the folding boundary 29 as a boundary, so that the vaginal facing area 25 is not largely bent or wrinkled, and the vaginal facing is With the area 25 developed almost flat, it is possible to securely contact the vaginal inle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피부측 표면에서부터 본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sanitary napkin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skin side surface.
도 2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plan view mainly showing a liquid absorbing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3의 (A)는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B)는 액 흡수층만의 단면도이다.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only.
도 4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plan view mainly showing a liquid absorbing layer of a modification of the sanitary napki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토시 평면도이다.FIG. 5 is a toss plane view showing mainly a liquid absorbing layer of a modification of the sanitary napki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It is a perspective top view which shows the mainly liquid absorption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of 2nd Embodiment.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It is a perspective top view which shows the mainly liquid absorption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of 3rd Embodiment.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의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I-VIII of FIG. 7, showing the sanitary napkin of the third embodiment.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It is a perspective top view which shows the mainly liquid absorption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of 4th Embodiment.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다.It is a perspective top view which shows the mainly liquid absorption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of 5th Embodiment.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명도이다.It is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mainly a liquid absorption layer of the modification of the sanitary napkin of 5th Embodiment.
도 12는 제5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의 선 XII-X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XII in FIG. 10, showing the sanitary napkin of the fifth embodiment.
도 13은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에 장착할 때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at the time of attaching a sanitary napkin to a groin p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A, 1B: 생리용 냅킨1, 1A, 1B: sanitary napkin
11: 표면 시트11: surface sheet
12: 이면 시트12: back sheet
13: 쿠션층13: cushion layer
20: 액 흡수층20: liquid absorbing layer
21: 하층 흡수 코어21: lower layer absorbent core
22: 상층 흡수 코어22: upper absorbent core
23, 23a, 23b: 절결부23, 23a, 23b: cutouts
23c: 시작단23c: start
23d: 끝단23d: end
23e: 직선부23e: straight part
25: 질 대면 영역25: vaginal facing area
26: 측부 영역26: lateral area
27: 전방 영역27: front area
28: 후방 영역28: rear area
30: 압축선30: compression line
31: 외곽 압축부31: outer compression
101: 생리용 냅킨101: sanitary napkin
120: 액 흡수층120: liquid absorbing layer
121: 하층 흡수 코어121: lower layer absorbent core
123: 절결부123: cutout
124: 절결부124: cutout
201: 생리용 냅킨201: sanitary napkin
220: 액 흡수층220: liquid absorbing layer
221: 하층 흡수 코어221: lower absorbent core
222: 상층 흡수 코어222: upper absorbent core
223: 절결부223: cutout
223a: 시작단223a: start
223b: 끝단223b: end
223c: 직선부223c: straight portion
301: 생리용 냅킨301: sanitary napkin
320: 액 흡수층320: liquid absorbing layer
321: 하층 흡수 코어321: lower absorbent core
324: 저밀도부324: low density
401, 401A: 생리용 냅킨401, 401A: sanitary napkin
420: 액 흡수층420: liquid absorbing layer
421: 하층 흡수 코어421: lower absorbent core
423: 고밀도부423: high density part
425: 질 대면 영역425: Vaginal facing area
426: 측부 영역426: side region
427: 전방 영역427: front area
428: 후방 영역428 rear area
본 발명은, 여성의 고간부에 장착되는 생리용 냅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속옷과 함께 장착할 때에, 질 대면 영역을 배설부에 밀착시키기 쉬운 구조의 생리용 냅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생리용 냅킨은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 투과성 표면 시트와, 착의측 표면 에 나타나는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을 갖고 있다. The sanitary napkin has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appearing on the skin-side surface, a liquid impermeable back sheet appearing on the wear-side surface, and a liquid absorb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생리용 냅킨을 장착할 때에는 이면 시트의 표면에 마련된 감압성 접착제층을 속옷의 크롯치부의 내면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속옷을 신체 쪽으로 올려 속옷을 착용하는 동시에,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에 장착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When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ck sheet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underwear, the underwear is raised toward the body, and the underwear is worn. Is common.
생리용 냅킨이 고간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생리용 냅킨의 종방향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소정 면적의 질 대면 영역을, 가능한 한 구겨지지 않게 질 입구에 대면시켜 장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생리용 냅킨의 질 대면 영역을 구겨지지 않게 질 입구에 대면시킴으로써, 질 입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을 액 흡수층에서 흡수하기 쉬워지고, 경혈이 생리용 냅킨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질 대면 영역을 질 입구에 잘 대면시킬 수 없으면, 생리용 냅킨의 피부측 표면과 질 입구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경혈이 생리용 냅킨 밖을 향해 흘러나오기 쉬워진다. In the state where the sanitary napkin is mounted on the groin part, it is required to mount the vaginal facing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locat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sanitary napkin so that it is as wrinkled as possible and faces the vaginal inlet. By facing the vaginal facing area of the sanitary napkin not wrinkled, it is easy to absorb the acupuncture points excreted from the vaginal inlet in the liquid absorbing layer and prevent the acupuncture points from leaking out of the sanitary napkin. On the contrary, if the vaginal facing area can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vaginal inlet well, the adhesion betwee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anitary napkin and the vaginal inlet is lowered, and acupuncture points easily flow out of the sanitary napkin.
질 대면 영역을 질 입구에 밀착시키기 쉽게 한 생리용 냅킨으로서, 이하의 특허 문헌 1과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것이 존재한다. As a sanitary napkin which makes the vaginal facing area adhere to the vaginal inlet easily, what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은 소정 면적의 흡수 코어 위에 다른 흡수 코어가 설치되고, 종방향 중심선을 포함하는 중앙 영역이 큰 부피로 되어 있으며, 이 부피가 큰 부분을 질 입구에 대면시킨다는 것이다.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은 표면 시트와 흡수 코어가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압축된 압축선이 형성되고, 이 압축선에 의해 피부측 표면 중앙 영역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영역에서는 흡수 코어와 표면 시트 사이에, 저밀도 의 액 안내층이 마련되어 있다. 압축선으로 둘러싸인 중앙 영역이 융기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융기 부분을 질 입구에 대면시킨다고 하는 것이다.In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a compressed line compressed so that the surface sheet and the absorbent core are recessed is formed, and the compressed line is surrounded by the skin-side surface central region. In the central region, a low density liquid guide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absorbent core and the surface sheet. The central region enclosed by the compression line has a raised shape, and this raised portion is placed facing the vaginal inlet.
다음에, 특허 문헌 3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은 하층 흡수체와 상층 흡수체를 가지며, 중앙 영역에서는 하층 흡수체와 상층 흡수체가 중첩되고, 양측부에는 상층 흡수체만이 존재하고 있다. 이 생리용 냅킨은 고간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양측부가 아래쪽을 향해 변형되기 쉽고, 그 결과 중앙부가 질 입구를 향해 돌출 형상으로 되기 쉽다고 하는 것이다. Next,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특허 문헌 1] 특허 공개 2004-89392호 공보 [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2004-89392
[특허 문헌 2] 특허 공개 2004-73759호 공보[Patent Document 2] Patent Publication No. 2004-73759
[특허 문헌 3] 특허 공개 2002-238948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238948
일반적으로 생리용 냅킨의 질 입구에 대향하는 부분은 액 흡수층의 폭 치수가 80 mm 정도이며, 이에 대하여, 질 입구가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인체의 고간부의 폭 치수는 개인차가 있다고 해도 거의 30 mm 정도이다. 이 때문에, 생리용 냅킨을 속옷에 접착 고정시키고, 속옷과 함께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까지 들어 올리는 도중에서, 액 흡수층의 양측부가 휘거나 구겨지기 쉬워지고, 그 결과, 질 대면 영역이 기울거나 변형된 채로 고간부로 이동하기 쉽다. 이 때문에, 생리용 냅킨을 고간부에 장착시겼을 때에, 생리용 냅킨의 질 대면 영역을 질 입구에 정확히 대면시켜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다. In general, the part facing the vaginal opening of the sanitary napkin has a width dimension of about 80 mm in the liquid absorbing layer, whereas the width dimension of the groin area of the human body at the position where the vaginal inlet is located is almost 30 mm even if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t is enough. For this reason, both sides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are liable to bend or crumple while the sanitary napkin is adhesively fixed to the underwear and the sanitary napkin is raised to the groin along with the underwear. As a result, the vaginal facing area is inclined or deformed. It is easy to move to groin area as it is. For this reason, when the sanitary napkin is attached to the groin par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vaginal facing area of the sanitary napkin exactly face the vaginal inlet and make it adhere closely.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은 중앙 영역에서 흡수 코어가 2 층으로 중첩되어 큰 부피가 되지만, 하측 흡수 코어에 대하여 상측 흡수 코어가 자유 상태에서 중첩되어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중앙 영역과 그 양측의 측부 영역 사이에서, 흡수층의 강성 차가 그다지 크지 않다. 이 때문에, 고간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대퇴부로부터 양측부에 압축력이 작용하면, 생리용 냅킨 전체가 변형되기 쉽다.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으로서는, 액 흡수층의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압축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선을 축으로서 좌우 양측부가 휘어지기 쉬운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압축선은 흡수 코어와 표면 시트를 가열하여 가압하고 고밀도화한 부분이기 때문에, 흡수 코어를 절곡하기 쉽게 하는 절곡 경계부로서의 자유도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압축선으로 둘러싸인 중앙 영역과, 압축선 외측의 측부 영역에서, 흡수 코어의 강성에 그다지 차가 없기 때문에, 대퇴부로부터의 압력이 양측부에 작용되었을 때에, 측부 영역과 함께 중앙 영역에서 흡수 코어가 함께 압축되기 쉽고, 중앙 영역이 휘어지기 쉽다. As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since a compressed line surrounding the central region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is forme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anitary napkin are easily bent using the compressed line as an axis. However, since the compression line is a portion in which the absorbent core and the surface sheet are heated, pressurized, and densified, there is not enough freedom as a bending boundary for easily bending the absorbent cor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igidity of the absorbent core in the central region surrounded by the compression line and the side region outside the compression line, when the pressure from the thigh is applied to both sides, the absorbent core together with the side region together with the side region. It is easy to be compressed and the center area is easy to bend.
다음에, 특허 문헌 3에 기재한 생리용 냅킨은 중앙 영역에서 흡수체를 2 층으로 하고, 양측부에서 흡수체를 1 층으로 하고 있지만, 하층 흡수체와 상층 흡수체가 모두 플러프 펄프 등을 집합시킨 섬유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영역과 측부 영역에서, 흡수체의 강성 차가 그다지 크지 않다. 이 때문에, 고간부에서 전체가 만곡하도록 변형하기 쉽고, 중앙 영역을 평면형으로 전개시켜 질 입구에 대면시켜 장착시키는 것이 어렵다. Next,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in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고간부에 장착할 때에, 질 대면 영역이 기울거나 잘 휘어지지 않고, 질 대면 영역이 전개된 상태에서 질 입구 에 대면하기 쉬운 구조의 생리용 냅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when attached to the groin area, a sanitary napkin having a structure which is easy to face the vaginal inlet in the state where the vaginal facing area is not inclined or bent well and the vaginal facing area is developed It aims to provide.
제1의 본 발명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을 갖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 1st this invention is a sanitary napkin which has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a back sheet, and the liquid absorption layer located between the said surface sheet and a back sheet,
상기 액 흡수층에는 종방향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소정 면적의 질 대면 영역과, 이 질 대면 영역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이 형성되고, The liquid absorbing layer is provided with a vaginal facing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located 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side region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ginal facing area,
상기 액 흡수층은 질 대면 영역의 두께 치수가 측부 영역보다 크고, 또한 질 대면 영역의 휨 강성이 측부 영역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s a thickness dimension of the vaginal facing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side area, and a bending rigidity of the vaginal facing area is set higher than that of the side area.
상기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의 경계가 접힘 경계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boundary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is a folding boundary.
본 발명의 생리용 냅킨은 액 흡수층의 질 대면 영역이 큰 부피로 되어있기 때문에, 액 흡수층의 질 대면 영역 부분에서 생리용 냅킨이 질 입구에 밀착되기 쉬워진다. Since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volume of the vaginal facing area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the sanitary napkin ten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vaginal inlet in the vaginal facing area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또한, 질 대면 영역의 휨 강성이 측부 영역보다 높고,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 사이에 강성 차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고간부에 장착될 때에,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이 크게 휘어지거나 구겨지지 않고, 질 대면 영역이 전개된 상태에서 질 입구에 대면하기 쉬워지며, 질 대면 영역과 질 입구와의 밀착도를 높히기 쉽다. 또한,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절곡된 측부 영역이 고간부에서부터 대퇴부에 걸쳐 밀착하기 쉬워지고, 생리용 냅킨의 횡방향으로 새어나오려는 경혈을 액 흡수층의 측부 영역에서 포착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sinc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vaginal facing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de area, and there is a stiffness difference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the side area is easily bent at the folding boundary as a boundary. For this reason, the high stiffness of the vaginal facing area is not largely bent or wrinkled, and it is easy to face the vaginal inlet in the state where the vaginal facing area is develop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vaginal inlet is easy to be increased. Moreover, the side region bent at the boundary of the folding boundary easily adheres from the groin to the thigh, and it is easy to capture the acupuncture points to leak o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anitary napkin in the side region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 흡수층이 하층 흡수 코어와, 하층 흡수 코어보다 면적이 작은 상층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질 대면 영역에서 하층 흡수 코어의 피부측 표면에 상층 흡수 코어가 중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측부 영역에 상기 하층 흡수 코어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s a lower absorbent core and an upper absorbent cor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an upper absorbent core overlaps and is fixed to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region is fix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ower layer absorption core is located in.
예컨대, 상층 흡수 코어와 하층 흡수 코어는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상층 흡수 코어의 양측부에 이 상층 흡수 코어와 하층 흡수 코어를 함께 압축한 압축부가 마련되며, 이 압축부에 의해 상층 흡수 코어와 하층 흡수 코어가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For example, the upper absorbent core and the lower absorbent core may be adhesively fixed, and a compression unit that compresses the upper absorbent core and the lower absorbent core togeth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is absorbed by the compressed unit. The core and the lower absorbent core may be fixed to each other.
상기 발명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와 상층 흡수 코어가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의 휨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과의 강성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In the above invention, since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are fixed and integrated, the bending rigidity of the vaginal facing area can be increased, and the stiffness difference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can be increased.
상기 본 발명의 상기 하층 흡수 코어 및 상층 흡수 코어는 친수성 섬유가 바인더로 접착된 흡수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an absorbent sheet to which hydrophilic fibers are bonded by a binder.
친수성 섬유가 바인더로 접착된 흡수 시트는 그 자체의 휨 강성이 높기 때문에, 하층 흡수 코어와 상층 흡수 코어가 중첩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고정된 질 대면 영역과, 하층 흡수 코어로 형성된 측부 영역과의 강성 차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Since the absorbent sheet to which the hydrophilic fibers are bonded with a binder has its own high bending rigidity,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overlap each other, and preferably the vaginal facing area fixed to each other and the side region formed of the lower absorbent core. The stiffness difference can be increased, and the side region is easily bent around the folding boundar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 흡수층은 하층 흡수 코어와, 하층 흡수 코어보다 면적이 작은 상층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질 대면 영역에서 하층 흡수 코어의 피부측 표면에 상층 흡수 코어가 중첩되고, 상기 측부 영역에 상기 하층 흡수 코어가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질 대면 영역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를 부분적으로 압축한 고밀도부가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s a lower absorbent core and an upper absorbent cor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absorbent core, the upper absorbent core overlaps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vaginal facing area, the side portion The lower layer absorbent core is located in an area, and in the vaginal facing area, the lower absorbent core can be configured as having a plurality of high-density parts partially compressed.
이 경우에, 상기 질 대면 영역에서의 하층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이 측부 영역에서의 하층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보다 크고, 또한 질 대면 영역에서의 하층 흡수 코어의 밀도가 측부 영역에서의 하층 흡수 코어의 밀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unit weight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vaginal facing region is greater than the unit weight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side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vaginal facing region is It is preferred to be higher than the density.
상기한 바와 같이 질 대면 영역에 고밀도부를 형성하는 발명은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펄프층에서 형성된 흡수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for forming a high density portion in the vaginal facing area is effective when using an absorbent core formed from a pulp layer that is not bond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액 흡수층은 상기 질 대면 영역 및 양측부 영역보다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의 휨 강성이 상기 측부 영역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s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located forward and rearward than the vaginal facing region and both side regions, and the bending strength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s set higher than the side region in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It can be configured as being.
질 대면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의 강성을 높게 해 두면, 질 대면 영역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이 우선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 및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전개시킨 상태에서 고간부에 장착시키기 쉬워진다. If the stiffness of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anterior and posterior areas is increased, the side areas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ginal facing area are deformed preferentially. It becomes easy to attach to.
상기 본 발명에서는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의 차가 1.96 mN(2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94 mN(300 mgf) 이상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Gurley stiffness value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is preferably 1.96 mN (200 mgf)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94 mN (300 mgf) or more.
제2의 본 발명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액 흡수층을 갖는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 2nd this invention is a sanitary napkin which has a liquid permeable surface sheet, a back sheet,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located between the said surface sheet and a back sheet,
상기 액 흡수층에는 종방향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소정 면적의 질 대면 영역과, 이 질 대면 영역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이 형성되고, The liquid absorbing layer is provided with a vaginal facing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located 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side region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ginal facing area,
상기 액 흡수층은 흡수 코어를 가지며, 상기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의 경계가 접힘 경계부로 되어 있으며,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s an absorbent core,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is a folding boundary,
상기 접힘 경계부에는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는 도중까지 관통하는 절결부, 또는 흡수 코어의 밀도를 부분적으로 저하시킨 저밀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folded boundar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that penetrates the absorbent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penetrates halfway, or a low density portion that partially reduces the density of the absorbent core.
본 명세서에서의 절결부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단선, 파선형 등의 절단선, 또는 단면이 원형 등의 작은 구멍이 흡수 코어를 관통하도록 펀칭된 것 등이며, 흡수 코어에 형성된 관통부 또는 반 관통부를 의미한다. A cutout por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cut lin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 cut line such as a broken line, or a small hole such as a circular cross section punched through the absorbent core, and the like. It means the penetration part.
제2의 본 발명은 액 흡수층을 구성하고 있는 흡수 코어에 접힘 경계부로서 절결부 또는 저밀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or the low density portion is formed in the absorbent core constituting the liquid absorbing layer as the folding boundary, so that the side region is easily bent around the folding boundary.
예컨대, 상기 접힘 경계부는 종방향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기 접힘 경계부는 종방향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에 돌출측으로 향해져 있는 곡선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folding boundary i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lternatively, the folded boundary is formed along the curved shape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directed toward the protruding side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제2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 코어는 친수성 섬유가 바인더로 접착된 흡수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core is preferably formed of an absorbent sheet to which hydrophilic fibers are bonded by a binder.
이 흡수 시트는 그 자체의 휨 강성이 높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이 횡방향으로부터 압력을 받았을 때에, 흡수 코어 자체가 잘 변형되지 않고, 흡수 코어는 상기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Since the absorbent sheet has its own high bending rigidity, when the sanitary napkin is pressurized from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absorbent core itself is not deformed well, and the absorbent core tends to bend around the folding boundary.
또한, 제2의 본 발명에서도, 상기 질 대면 영역에서는 상기 흡수 코어의 피부측 표면에 이 흡수 코어보다 면적이 작은 상층 흡수 코어가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ginal facing area, the upper absorbent cor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absorbent core can be superpos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이 경우도, 흡수 코어 위에 상층 흡수 코어를 접착 또는 압축부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질 대면 영역의 휨 강성을 높일 수 있다. Also in this cas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vaginal facing area can be improved by fixing the upper absorbent core on the absorbent core by the bonding or compressing portion.
상기 제1의 본 발명과 제2의 본 발명에서는 모두 상기 측부 영역에는 하층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는 도중까지 관통하는 절결부, 또는 하층 흡수 코어의 밀도를 부분적으로 저하시킨 저밀도부가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In the first invention and the second invention, both the cutout portion penetrating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 penetrating to the middle, or the low density portion partially lowering the density of the lower absorbent core in the side region. It can comprise as what is formed in.
상기 절결부 또는 저밀도부를 마련함으로써, 측부 영역에서 액 흡수층이 연질로 되고, 생리용 냅킨이 옆쪽으로부터 힘을 받았을 때에 측부 영역이 유연하게 변형되며, 고간부나 대퇴부에 접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변형력이 질 대면 영역에 잘 미치지 않게 된다. By providing the cutout portion or the low density portion, the liquid absorbing layer becomes soft in the side region, and when the sanitary napkin receives a force from the side, the side region is flexibly deformed, and it is eas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in and thigh. In addition, the deformation force does not reach the vaginal facing area well.
또한, 제1 및 제2의 본 발명에서, 상기 액 흡수층과 상기 표면 시트 사이에 흡수 코어보다 저밀도 쿠션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density cushion layer is interposed than the absorbent core between the liquid absorbing layer and the surface sheet.
이 구성이면, 질 대면 영역에서 액 흡수층의 휨 강성이 높더라도, 상기 쿠션층이 고간부에 닿음으로써, 장착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bending strength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is high in the vaginal facing area, the cushioning layer makes contact with the crotch portion, whereby the feeling of wearing can be improved.
또한 제1과 제2의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 시트로부터 오목형으로 압축된 압축부가 마련되고, 이 압축부는 종방향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접힘 경계부가 상기 압축부보다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and second inventions, there is provided a compression section compressed concave from the surface sheet, which compression section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lding boundary is the compression section. It can comprise as arrange | positioned inside a part.
이 구성에서는,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의 가장자리부와, 그 옆쪽에 위치하는 강성이 높은 압축부 중간에 접힘 경계부가 위치하게 되고, 양측에 강성이 높은 부분에 끼워진 접힘 경계부의 부분에서 액 흡수층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folding boundary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edge of the high quality stiffness facing region and the compression portion having the high rigidity located next to the stiffness, and the liquid absorbing layer is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folding boundary which is fitted to the high rigid portion at both sides. It becomes easy to bend.
다만, 상기 표면 시트로부터 오목형으로 압축된 압축부가 마련되고, 이 압축부는 종방향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접힘 경계부가 상기 압축부보다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the compression part compressed in concave shape from the said surface sheet | seat is provided, This compression part is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longitudinal center line, and is extend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aid folded boundary part is arrange | positioned outward rather than the said compression part,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도시하는 것으로, 생리용 냅킨을 피부측 표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의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투시 평면도이며, 도 3 (A)는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도 1의 생리용 냅킨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 (B)는 생리용 냅킨의 액 흡수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각각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에 상당하는 투시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nitary napkin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a top view which looked at the sanitary napkin from the skin side surfac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ainly liquid absorbing layer of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 3: (A) is sectional drawing which cut | disconnected the sanitary napkin of FIG. 1 taken along the line III-III, and FIG. 3 (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liquid absorbing layer of a sanitary napkin. 4 and 5 show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and are a perspective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2.
이하에서는, 생리용 냅킨(1)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2 개의 표면 중, 신체를 향하는 표면을 「피부측 표면」이라고 부르고, 반대측 표면을「착의측 표면」이라고 부른다. 또한, 생리용 냅킨의 길이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부르고, 상기 종방 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부른다. 각 요소의 치수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종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 「길이 치수」라고 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측정한 치수를 「폭 치수」라고 부른다. 또한, 「내측」이란 종방향 중심선(Oy)에 근접하는 측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종방향 중심선(Oy)보다 멀어지는 측을 의미한다. Below, the surface which faces a body among the two surfaces of each element which comprises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은 곡선 형상의 앞 가장자리부(2)와 동일하게 곡선 형상의 뒤 가장자리부(3)를 가지며, 종방향 중심선(Oy)상에서의 앞 가장자리부(2)로부터 뒤 가장자리부(3)까지의 길이 치수가 180 내지 450 mm 정도의 세로 길이 형상이다. 생리용 냅킨(1)의 좌우 양측부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되접음 플랩부(4, 4)가 형성되어 있다. 되접음 플랩부(4)보다 전방에는 전방 측가장자리부(5, 5)가 형성되고, 되접음 플랩부(4, 4)보다 후방에는 후방 측가장자리부(6, 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은 되접음 플랩부(4, 4)가 생리용 냅킨(1)의 종방향의 길이 치수를 이분하는 위치보다 약간 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고 있고, 전방 측가장자리부(5, 5)는 후방 측가장자리부(6, 6)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리용 냅킨(1)의 구성 요소는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11)와, 착의측 표면에 나타나는 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2)와, 상기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20)을 갖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11)와 액 흡수층(20) 사이에는 액 흡수층(20)보다 섬유 밀도가 낮은 쿠션층(13)이 개재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mponents of the
이면 시트(12)의 착의측 표면에는 복수의 감압성 접착제층(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감압성 접착제층(14)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액 흡수층(20)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되접음 플랩부(4)에서도, 이면 시트(12)의 착의측 표면에 플랩용 감압성 접착제층(1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플랩용 감압성 접착제층(15)은 직사각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14 are provided on the wear-side surface of the
생리용 냅킨(1)이 인체에 장착될 때는,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14)이 속옷의 크롯치부 내면에 접착 고정된다. 또한, 되접음 플랩부(4)가 속옷의 크롯치부의 측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속옷 외면에 되접혀지고, 되접음 플랩부(4)는 플랩용 감압성 접착제층(15)에 의해 속옷의 크롯치부 외면에 접착 고정된다. When the
액 흡수층(20)은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로 구성되어 있다. 하층 흡수 코어(21)는 생리용 냅킨(1)의 외형보다 작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흡수 코어(21)는 돌출 곡선 형상의 전단부(21a) 및 후단부(21b)를 갖고 있다. 전단부(21a)는 생리용 냅킨(1)의 앞 가장자리부(2)보다 후방 내측에 위치하고, 후단부(21b)는 생리용 냅킨(1)의 뒤 가장자리부(3)보다 전방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층 흡수 코어(21)의 측단부(21c, 21c)는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한 직선 형상이다. 하층 흡수 코어(21)의 양측단부(21c, 21c)는 생리용 냅킨(1)의 전방 측가장자리부(5, 5) 및 후방 측가장자리부(6, 6)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The liquid absorbing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는 생리용 냅킨(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이며, 하층 흡수 코어(21)의 전단부(21a), 후단부(21b) 및 측단부(21c, 21c)보다 외 측에는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가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 접합되어 있다.The
상층 흡수 코어(22)는 하층 흡수 코어(2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흡수 코어(22)는 직사각형이며, 직선형의 전단부(22a)와 후단부(22b), 및 동일하게 직선형의 측단부(22c, 22c)를 갖고 있다. 측단부(22c, 22c)는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The upper
상층 흡수 코어(22)의 길이 치수(L)는 예컨대 60 내지 140 mm의 범위이며, 폭 치수(W)는 예컨대 15 내지 40 mm의 범위이다. The length dimension L of the upper
액 흡수층(20)은 하층 흡수 코어(21)에 상층 흡수 코어(22)가 중첩되어 있는 영역(면적이 상기 L×W의 영역)이 질 대면 영역(25)이다. 또한 액 흡수층(20)은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하층 흡수 코어(21)의 측단부(21c) 사이에 끼워진 영역이 측부 영역(26, 26)이다. 또한, 액 흡수층(20)은 상층 흡수 코어(22)의 전단부(22a)보다 전방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전방 영역(27)이며, 상층 흡수 코어(22)의 후단부(22b)보다 후방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후방 영역(28)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부 영역(26)과, 전방 영역(27) 및 후방 영역(28)이 하층 흡수 코어(21)로만 형성되어 있다. In the liquid absorbing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는 친수성 섬유가 바인더로 접착된 흡수 시트이다. 이 흡수 시트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SAP)와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바인더로 구성된 에어 레이드 펄프이며, 펄프의 질량비가 50 내지 80 %이고, SAP의 질량비가 10 내지 40 %이며, 바인더의 질량비가 5 내지 20 % 이다. 흡수 시트는 분쇄 펄프를 에어 레이드법으로 적층하여 섬유 웹을 형성하고, 이 섬유 웹에 SAP를 살포함과 동시에, 바인더를 스프레이 살포하고, 또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The lower
하층 흡수 코어(21)의 단위 중량은 80 내지 400 g/m2의 범위이고, 상층 흡수 코어(22)의 단위 중량은 80 내지 200 g/m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 각각은, 1 층의 상기 흡수 시트로 형성되더라도 좋고, 2 층 이상의 상기 흡수 시트가 적층되어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포된 핫 멜트형 접착제로 접착되어 일체화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소정의 휨 강성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흡수 시트에 바인더를 함유하지 않는 친수성 섬유 층, 예컨대 분쇄 펄프 층이 중첩된 것이라도 좋다. The unit weight of the lower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는 액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으로 도포된 핫 멜트형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질 대면 영역(25)에서는 에어 레이드 펄프인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가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25)에서의 휨 강성이 측부 영역(26), 전방 영역(27), 후방 영역(28)보다 각각 높아져 있다.The lower layer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가 일체화된 질 대면 영역(25)에서의 거얼리 강성치는 3.92 mN(4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 대면 영역(25)의 거얼리 강성치와, 하층 흡수 코어(21)만으로 형성된 측부 영역(26)의 거얼 리 강성치의 차는 1.96 mN(2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94 mN(300 mgf) 이상이다. 또한, 측부 영역(26)의 거얼리 강성치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392 mN(40 mgf) 정도가 바람직하다. The Gurley stiffness in the vaginal facing
강성치를 상기 범위에 설정하면,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 사이의 강성 차에 의해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 근방[측단부(22c)보다 약간 외측]이 접힘 경계부(29)로 되고,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When the stiffness value is set in the above range, the stiffness difference between the vaginal facing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접힘 경계부(29)에서, 하층 흡수 코어(21)에 절결부(관통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23)는 하층 흡수 코어(21)를 앞뒤로 관통하도록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23)는 종방향의 치수가 짧은 것이고, 이 절결부(23)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직선형으로 배치되며, 절취선형(파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cutout part (through part) 23 is formed in the low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23)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로부터 폭 방향 외측에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측단부(22c)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3)를 형성함으로써,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26)이 절곡되기 더 쉬워진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과의 강성 차와, 이에 추가로 상기 절결부(23)의 존재에 의해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질 대면 영역(25)은 하층 흡수 코어(21)와 상층 흡수 코어(22)로 구성되어 휨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에 옆쪽으로부터 힘이 작용하 고,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었다고 하더라도, 질 대면 영역(25)이 잘 휘지 않고, 질 대면 영역(25)이 가능한 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한 채 고간부에 장착되기 쉬워진다.In addition, since the vaginal facing
또한, 접힘 경계부(29)에 형성되는 상기 절결부(23)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할 필요는 없고, 절결부(23)가 형성되는 범위가 측단부(22c)보다 짧더라도 좋다. 또한, 절결부(23)는 절취선형(파선형)이 아니고,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속선형이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또한, 절결부(23)는 하층 흡수 코어(21)가 앞뒤로 관통되어 있지 않고, 하층 흡수 코어(21)의 두께 도중까지 절개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절결부(23)는 선형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하층 흡수 코어(21)를 니들로 펀칭 등을 하여 단면이 원형 등의 작은 구멍이 하층 흡수 코어(21)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하층 흡수 코어(21)의 두께 도중까지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또는, 접힘 경계부(29)에서, 하층 흡수 코어(21)의 내부 밀도를 낮춘 영역을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에 따르도록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저밀도인 상태는 하층 흡수 코어(21)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국부적인 인장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과의 강성 차에 추가로 상기 절결부(23)를 형성함으로써,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하기 쉬워지긴 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과의 거얼리 강성치의 차를 1.96 mN(200 mgf)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94 mN(300 mgf) 이상으로 설정해 두면, 절결부(23)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또한, 절결부(23)를 형성하면, 질 대면 영역(25)과 측부 영역(26)과의 거얼리 강성치의 차가 상기 범위보다도 작더라도,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생리용 냅킨(1)에는 피부측 표면에 나타나는 압축선(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선(30)은 하층 흡수 코어(21)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을 세로 길이가 넓은 범위에서 둘러싸는 외곽 압축선(31)과, 상층 흡수 코어(22)의 전단부(22a) 근방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상 패턴으로 형성된 전방 내측 압축선(32)과, 상층 흡수 코어(22)의 후단부(22b) 근방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상 패턴으로 형성된 후방 내측 압축선(33)을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압축선(30)이 상층 흡수 코어(22)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선(30)은 표면 시트(11)와 쿠션층(13) 및 하층 흡수 코어(21)를 생리용 냅킨(1)의 피부측 표면에서부터 가열하고 압축함으로써 형성된다. 압축선(30)은 피부측 표면에서부터 착의측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는 홈 형상이며, 압축선(30)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21)가 다른 부분보다 압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쿠션층(13)은 적어도 상층 흡수 코어(22)를 덮는 면적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반드시 압축선(30)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As shown in FIG. 3,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흡수 코어(22)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23)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외곽 압축선(31)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 형성 되어 있다. 절결부(23)가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25)과, 압축되어 강성이 높아진 외곽 압축선(31)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절결부(23)를 경계로 하여 액 흡수층(20)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As shown in FIG. 2,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내측 압축선(32)과 후방 내측 압축선(33)과의 중간점에서, 외곽 압축선(31, 31)의 간격이 가장 좁아져 있다. 외곽 압축선(31)의 간격이 가장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횡방향 기준선(Ox)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횡방향 기준선(Ox)은 상층 흡수 코어(22)의 길이 치수(L)의 거의 중간점에 일치하고 있다. 장착자는 압축선(30)의 패턴 형상을 기준으로 하고, 횡방향 기준선(Ox)과 종방향 중심선(Oy)의 교점 부근이 질 입구의 중심에 가능한 한 일치하도록, 생리용 냅킨(1)을 장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at the midpoint between the front
생리용 냅킨(1)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표면 시트(11)는 단위 중량이 10 내지 50 g/m2정도의 통기성 부직포이다. 이 통기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코어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고,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의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이며, 상기 코어부에 산화티탄 등의 무기 충전제가 혼입된 것이 사용된다. 표면 시트(11)는 액 투과성이라면 다른 소재로 형성되더라도 좋고, 예컨대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또는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또는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이면 시트(12)는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필름이며, 바람직하게는 투습성인 것이 사용된다. The
쿠션층(13)은 통기성 부직포가 사용된다. 예컨대, 코어부가 폴리프로필렌 수 지로 시스부가 폴리에틸렌 수지인 편심 타입의 심초형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것이며, 쿠션층(13)은 단위 중량이 20 g/m2정도인 통기성 부직포를 4 장을 중첩하여 접어서 사용된다. 또는, 쿠션층(13)으로서, 상기 통기성 부직포 아래에 티슈로 감싼 분쇄 펄프 층을 부설하더라도 좋고, 또한 쿠션층(13)을 상기 분쇄 펄프층만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As the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25)에서, 상층 흡수 코어(22) 표면에 쿠션층(1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25)이 질 입구에 접촉하였을 때의 장착 감촉이 양호해진다.In the vaginal facing
도 13은 생리용 냅킨(1)을 장착하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에는 여성의 신체 중 질 입구가 위치하는 고간부(41)와, 대퇴부(4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속옷의 크롯치부에 고정되어 신체에 장착되지만, 도 13에서는 속옷의 도시를 생략하고, 속옷에 고정된 상태의 생리용 냅킨(1)의 변형 상태만을 도시하고 있다. FIG. 13: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attaches the
생리용 냅킨(1)을 사용할 때에는 착의측 표면에 마련된 감압성 접착제층(14)을 속옷의 크롯치부의 내면에 접착한다. 또한, 되접음 플랩부(4)를 속옷의 크롯치부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외면을 향해 되접고, 되접음 플랩부(4)의 착의측 표면에 마련된 플랩용 감압성 접착제층(15)을 크롯치부의 외면에 접착한다. 통상은, 신체의 다리부를 속옷의 다리 개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속옷에 생리용 냅킨(1)을 위치 결정하여 고정한다. When using the
속옷을 신체의 고간부(41)를 향해 걷어올릴 때에,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도 중의 상태(i)에서는 액 흡수층(20)의 측부 영역(26)에 대하여 대퇴부로부터 횡방향으로부터의 힘이 주어진다. 또는, 속옷의 크롯치부의 중심부로 끌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은 종방향 중심선(Oy) 부분이 고간부(41)를 향해 돌출형이 되도록 변형하려고 한다. When the underwear is lifted toward the groin portion 41 of the body, in the state (i) in the mounting diagram shown in FIG. 13, a force from the thigh to the
그러나, 액 흡수층(20)은 질 대면 영역(25)의 강성이 높고,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 부분에서 절곡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장착 도중의 상태(i)에서는 외부 힘에 의해 측부 영역(26)이 절곡되고, 강성이 높은 질 대면 영역(25)이 지나치게 변형되지 않으며, 거의 평탄한 전개 상태를 유지한 채 고간부(41)를 향해 이동하기 쉬워진다. However, the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상태(ii)에서는 질 대면 영역(25)이 걷어지거나, 잘 변형되지 않는 상태인 채 질 입구에 접촉되기 때문에, 질 대면 영역(25)에서 생리용 냅킨(1)이 질 입구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밀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혈은 쿠션층(13)을 경유하고, 상층 흡수 코어(22)의 액 흡인력에 의해 확실하게 액 흡수층(20)에 흡수되게 된다. 또한, 장착 상태(ii)에서는 측부 영역(26)이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자유롭게 절곡되기 때문에, 이 측부 영역(26)이 고간부(41) 또는 대퇴부(42)에 밀착되기 쉬워지고, 옆쪽으로 흐르려는 경혈도 측부 영역(26)에 위치하는 하층 흡수 코어(21)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될 수 있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In the mounted state (ii) shown in FIG. 13, the
이하에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 및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기 생리용 냅킨(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형상 부분에 관해서는 생리용 냅킨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sanitary napkin will be described below.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shape part which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aid
도 4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A) 및 도 5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B)은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의 변형예이다. The sanitary napkin 1A shown in FIG. 4 and the
생리용 냅킨(1A, 1B)과 생리용 냅킨(1)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21)에 형성된 절결부의 패턴 형상만이 상이하고, 그 외의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하다. In the
도 4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A)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21)에 형성된 절결부(23a)가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의 길이 범위를 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3a)는 종방향 중심선(Oy)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절결부(23a)는 하층 흡수 코어(21)의 전단부(21a)에서부터 후단부(21b)까지, 하층 흡수 코어(2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3a)의 일부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외곽 압축선(31)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고 있다. In the sanitary napkin 1A shown in FIG. 4, the
이 생리용 냅킨(1A)에서는 절결부(23a)와 측단부(21c)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서, 하층 흡수 코어(21)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절결부(23a)를 갖는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In this sanitary napkin 1A, at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또한, 절결부(23a)의 양단부가 하층 흡수 코어(21)의 전단부(21a)와 후단부(21b)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고, 절결부(23a)의 단부가 상층 흡수 코어(22)의 전단부(22a)와 하층 흡수 코어(21)의 전단부(21a)의 중간, 및 상층 흡수 코어(22)의 후단부(22b)와 하층 흡수 코어(21)의 후단부(21b)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더라 도 좋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도 5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B)은 하층 흡수 코어(21)에 형성된 절결부(23b)가 종방향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절결부(23b)는 시작단(23c)과 끝단(23c)이 하층 흡수 코어(21)의 측단부(21c)에 위치하며, 그 중간부가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해져 있는 곡선 패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the
절결부(23b)의 시작단(23c)과 끝단(23d)의 중간 부분에는 직선부(23e)가 마련되고, 이 직선부(23e)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외곽 압축선(31) 사이에 위치하며, 이 직선부(23e)는 종방향 중심선(Oy)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직선부(23e)는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의 길이 치수(L)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A
도 5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B)은 하층 흡수 코어(21) 위에 상층 흡수 코어(22)가 접착 고정되어 있는 영역이 질 대면 영역(25)이며, 하층 흡수 코어(21)의 측단부(21c)와 절결부(23b)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이 측부 영역(26a)이다. In the
이 생리용 냅킨(1B)은 절결부(23b)가 돌출 곡선 형상이기 때문에, 측부 영역(26a)이 절결부(23b)를 경계로 하여, 대퇴부 형상을 따르도록 변형하기 쉬워진다. 또한, 절결부(23b)는 직선부(23e)를 가지며, 이 직선부(23e)가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외곽 압축선(31)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직선부(23e)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26a)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In this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01)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와 마찬가지로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FIG. 6: shows the
도 6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101)은 액 흡수층(120)의 구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과 상이하다. In the
액 흡수층(120)은 하층 흡수 코어(121)와 상층 흡수 코어(22)를 갖고 있다. 하층 흡수 코어(121)는 제1 실시형태의 하층 흡수 코어(21)와 마찬가지로, 친수성 섬유가 바인더로 접착된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로 형성되어 있고, 그 평면적인 외형도 하층 흡수 코어(21)와 동일하다. 상층 흡수 코어(22)는 제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 마련된 것과 동일하며, 하층 흡수 코어(121) 위에 상층 흡수 코어(22)가 접착 고정되고, 그 부분이 질 대면 영역(25)으로 되어 있다. The liquid
하층 흡수 코어(121)에는 절결부(123)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절결부(123)의 패턴은 도 5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B)의 절결부(23b)와 동일하다. 즉,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한 곡선 패턴이며, 그 도중의 직선부가 상층 흡수 코어(22)의 측단부(22c)와 외곽 압축선(31)과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절결부(123)로 둘러싸인 영역이 측부 영역(126)으로 되어 있다. Although the
상기 측부 영역(126)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121)를 연질화하는 연질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측부 영역(126)에서, 하층 흡수 코어(121)에 다수의 절결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24)는 하층 흡수 코어(12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절단된 것이며, 개개의 절결부(124)는 직선형의 자름선이 교차하는 형상이다. 상기 접힘 경계부(29)에 마련되는 절결부(23, 23a, 23b, 123)와 마찬가지로, 연질화 처리를 위한 절결부(124)는 하층 흡수 코어(121)를 두께의 도중까지 절결한 것이라도 좋다. In the
또한 절결부(1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차하는 패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방향에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짧은 절결부가 다수 배열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는, 단면이 원형 등의 다수의 작은 구멍이 하층 흡수 코어(121)를 관통하도록, 또는 두께 도중까지 관통하도록 절결되어 있더라도 좋다. Note that the
액 흡수층(120)의 측부 영역(126)이 연질화 처리되어 있으면, 측부 영역(126)에서 하층 흡수 코어(121)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When the
따라서,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도중의 형태(i)에서, 대퇴부(42)로부터 횡방향으로부터의 힘을 받았을 때에, 측부 영역(126)이 변형되기 쉬워지고, 질 대면 영역(25)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더 쉬워진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상태(ii)에서는 생리용 냅킨(101)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측부 영역(126)이 변형되기 쉬워지고, 질 대면 영역(25)에 변형력이 잘 미치지 않게 되어 질 대면 영역(25)과 질 입구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유연한 측부 영역(126)이 고간부(41) 및 대퇴부(42) 형상을 따라 변형하고 밀착하기 쉽기 때문에, 측부 영역(126)에 흐르는 경혈도 하층 흡수 코어(121)로 포착하기 쉬워진다. Therefore, in the form (i) during the mounting shown in FIG. 13, when the force from the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 및 도 4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A)에서도, 측부 영역에 상기 연질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also i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201)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와 마찬가지로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 8은 선 VIII-VIII을 따라 취한 도 7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201)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7: shows the
이 생리용 냅킨(201)의 액 흡수층(220)은 하층 흡수 코어(221)와 상층 흡수 코어(222)로 구성되어 있다. 하층 흡수 코어(221)와 상층 흡수 코어(22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하층 흡수 코어(21) 및 상층 흡수 코어(22)와 마찬가지로, 친수성 섬유를 바인더로 접착한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로 형성되어 있다. The liqui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흡수 코어(222)는 직사각형이며, 직선형의 전단부(222a)와 후단부(222b) 및 측단부(222c, 222c)를 갖고 있다. 이 상층 흡수 코어(222)의 폭 치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상층 흡수 코어(22)보다 폭 치수가 넓고, 양측단부(222c)는 외곽 압축선(31)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또는 외곽 압축선(3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압축선(31)의 일부는 표면 시트(11), 쿠션층(13), 상층 흡수 코어(222) 및 하층 흡수 코어(221)를 압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상층 흡수 코어(222)의 좌우 양측부에서, 외곽 압축선(31)에서 이 상층 흡수 코어(222)와 하층 흡수 코어(221)가 함께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상층 흡수 코어(222)와 하층 흡수 코어(221)가 접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외곽 압축선(31)에 의해 상층 흡수 코어(222)와 하층 흡수 코어(221)가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질 대면 영역(225)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와 상층 흡수 코어가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휨 강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upper
하층 흡수 코어(221)에는 좌우 양측에 접힘 경계부(29)를 형성하는 절결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23)는 도 5에 도시한 절결부(23)와 마찬가지로,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해지는 곡선 패턴이다. 절결부(223)의 시작 단(223a)과 끝단(223b)은 하층 흡수 코어(221)의 측단부(221c)에 위치하고 있다. 절결부(223)의 중간부에는 직선부(223c)가 마련된다. 직선부(223c)는 외곽 압축선(3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직선부(223c)는 상층 흡수 코어(222)의 측단부(222c)의 길이 치수의 거의 전역에 걸친 범위에서,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The lower
이 생리용 냅킨(201)은 상층 흡수 코어(222)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질 대면 역(225)이며, 하층 흡수 코어(221)의 측단부(221c)와, 절결부(223)로 둘러싸인 영역이 측부 영역(226)이다. In this
질 대면 영역(225)의 양측부는 하층 흡수 코어(221)와 상층 흡수 코어(222)가 중첩되고, 또한 외곽 압축선(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국부적으로 커져 있다. 이와 같이 강성이 국부적으로 높게 설정된 부분의 바로 외측에 절결부(223)의 직선부(223c)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 차에 의해 하층 흡수 코어(221)가 절결부(223)의 직선부(223c)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Since the lower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301)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와 마찬가지로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FIG. 9 shows a
이 생리용 냅킨(301)의 액 흡수층(320)은 하층 흡수 코어(321)와 상층 흡수 코어(222)로 구성되어 있다. 상층 흡수 코어(222)는 도 7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201)과 동일하다. 상층 흡수 코어(222)는 하층 흡수 코어(321)의 피부측 표면에 중첩되고, 상층 흡수 코어(222)의 좌우 양측부에 외곽 압축선(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곽 압축선(31)에 의해 상층 흡수 코어(222)와 하층 흡수 코어(321)가 실 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The liquid
상층 흡수 코어(222)가 마련되어 있는 영역이 질 대면 영역(325)이다. 상층 흡수 코어(222)의 좌우 양외측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321)에 연질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연질화 처리는 하층 흡수 코어(321)에 저밀도부(324)를 복수 지점 형성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연질화 처리는 복수의 돌출부(치형부)를 갖는 롤러를 서로 맞물리게 하고, 이 맞물림부에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의 일부를 상온하에서 맞물리게 하는 것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치형부)에 의해 흡수 시트에 부분적인 장력을 작용시키고, 흡수 시트를 부분적으로 저밀도화함으로써, 돌출부(치형부)의 배열 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저밀도부(324)가 복수 지점에 형성된다. The region where the upper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액 흡수층(320)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321)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결부(223)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연질화 처리한 저밀도부(324)의 형성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의 경계선이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해지는 곡선 패턴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이 생리용 냅킨(301)은 하층 흡수 코어(321)와 상층 흡수 코어(222)가 중첩된 질 대면 영역(325)의 강성이 높고, 저밀도부(324)가 형성된 측부 영역(326)의 강성이 낮아져 있다. 이 때문에 상층 흡수 코어(222)의 측단부(222c) 근방 위치가 접힘 경계부로 되고, 강성 차에 의해 상기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측부 영역(326)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또한, 측부 영역(326)이 연질이기 때문에, 이 측부 영역(326)이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도 9의 생리용 냅킨(301)에서, 측부 영역(326)에 저밀도부(324) 대신 에 도 6에 도시한 절결부(124)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측부 영역에 저밀도부(324)를 형성하여 측부 영역을 연질화시키더라도 좋다. I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401)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와 마찬가지로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가 되는 생리용 냅킨(401A)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과 마찬가지로 주로 액 흡수층을 도시한 투시 평면도이다. 도 12는 선 XII-XII을 따라 취한 도 10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401)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FIG. 10 shows a
도 10과 도 11은 압축선(30)과 상층 흡수 코어(422)를 도시하지 않지만, 압축선(30)의 패턴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하다. 10 and 11 do not show the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 흡수층(420)은 하층 흡수 코어(421)와 상층 흡수 코어(422)를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흡수 코어(421)는 전단부(421a), 후단부(421b), 양측단부(421c, 421c)를 갖고 있지만, 그 평면 형상 및 크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하층 흡수 코어(21)와 동일하다. 상층 흡수 코어(42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상층 흡수 코어(22)와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상층 흡수 코어(22)와 외곽 압축선(31)과의 위치 관계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하다. 다만, 도 7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201) 등과 마찬가지로, 상층 흡수 코어(422)의 양측부가 외곽 압축선(31)과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곽 압축선(31)에서 상층 흡수 코어(422)와 하층 흡수 코어(421)의 쌍방이 압축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As shown in FIG. 12, the
생리용 냅킨(401)의 하층 흡수 코어(421)는 분쇄 펄프를 티슈 페이퍼로 감쌈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게, 이 하층 흡수 코어(421)는 친수성 섬유인 펄프끼리 바인더로 접착되어 있지 않다. 다만, 상기 분쇄 펄프와 함께 고흡수성 폴리머(SAP)가 혼입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The lower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흡수 코어(421)의 중앙 영역에는 다수의 고밀도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밀도부(423)는 핀 엠보스를 이용하고, 하층 흡수 코어(421)를 가압하고, 또한 가열 및 가압하여 펄프의 밀도를 부분적으로 높인 것이다. 이 고밀도부(423)는 상층 흡수 코어(422)가 중첩되는 영역과 거의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밀도부(423)가 배열되어 있는 영역이 질 대면 영역(425)이고, 이 질 대면 영역(425)의 좌우 양측은 상기 고밀도부(423)를 갖고 있지 않은 측부 영역(426)이다.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상기 질 대면 영역(425)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421)의 펄프의 단위 중량이 동일한 하층 흡수 코어(421)의 측부 영역(426)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하층 흡수 코어(421)는 예컨대 질 대면 영역(425)의 단위 중량이 200 내지 800 g/m2이며, 측부 영역(426)에서는 50 내지 250 g/m2 정도이다. 질 대면 영역(425)에서는 펄프의 단위 중량이 크고 코어 전체가 압축되어 측부 영역(426)과 거의 동일한 두께로 되며, 또한 상기 고밀도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층 흡수 코어(421)는 질 대면 영역(425)의 강성이 높게 되고, 측부 영역(426)에서는 강성이 낮아지게 된다.In the vaginal facing
하층 흡수 코어(421)에서는 질 대면 영역(425)에서의 거얼리 강성치가 3.92 mN(4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 대면 영역(425)의 거얼리 강성치와, 측부 영역(426)의 거얼리 강성치의 차는 1.96 mN(2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94 mN(300 mgf) 이상이다. 또한, 측부 영역(426)의 거얼리 강성치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392 mN(40 mgf)정도가 바람직하다.The lower
상기 강성 차를 갖기 때문에, 하층 흡수 코어(421)는 질 대면 영역(425)과 측부 영역(426)의 경계가 접힘 경계부(29)가 되고, 하층 흡수 코어(421)의 측부 영역(426)이 절곡되기 쉬워진다. 다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밀도부(423)가 형성되어 있는 질 대면 영역(425)의 약간 외측에 외곽 압축선(3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하층 흡수 코어(421)는 이 외곽 압축선(31)의 위치가 접힘 경계부(29)로 된다. Because of the stiffness difference, the lower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흡수 코어(421)는 질 대면 영역(425) 및 측부 영역(426)보다 전방이 전방 영역(427)이며, 질 대면 영역(425) 및 측부 영역(426)보다 후방이 후방 영역(428)이다. 이 전방 영역(427)과 후방 영역(428)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421)의 단위 중량이 측부 영역(426)과 동일하다. 그리고, 전방 영역(427)과 후방 영역(428)에서는 하층 흡수 코어(421)가 부분적으로 압축되고, 측부 영역(426)보다 강성이 높게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방 영역(427)과 후방 영역(428)에서, 하층 흡수 코어(421)가 교차선형의 엠보스 패턴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lower
상층 흡수 코어(422)는 하층 흡수 코어(421)와 마찬가지로 분쇄 펄프를 티슈페이퍼로 감싼 것, 또는 분쇄 펄프와 SAP를 티슈 페이퍼로 감싼 것이다. 상층 흡수 코어(422)와 하층 흡수 코어(421)는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지만, 서로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The upper
또한, 하층 흡수 코어(421)로서, 분쇄 펄프를 티슈페이퍼로 감싼 것으로 단위 중량이 균일한 것을 형성하고, 질 대면 영역(425)으로만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SAP)와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바인더로 구성된 상기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를 중첩하며, 핀 엠보스 등으로 고밀도부(423)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반대로, 상기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로 균일한 단위 중량의 하층 흡수 코어(421)를 형성하고, 질 대면 영역(425)에서, 상기 흡수 시트에 분쇄 펄프층을 중첩하여 상기 고밀도부(423)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질 대면 영역(425)에 분쇄 펄프층과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를 더 중첩하여 고밀도부를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In addition, as the lower
또한, 상층 흡수 코어(422)로서 적어도 하층이 상기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이 상층 흡수 코어(422)를 하층 흡수 코어(421)에 접착 고정하며, 질 대면 영역(423)의 강성을 더 높이더라도 좋다. In addition, at least a lower layer formed of the absorbent sheet (airlaid pulp) is used as the upper
이 생리용 냅킨(401)은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도중의 상태(i) 또는 장착 형태(ii)에서, 측부 영역(426)이 질 대면 영역(425)의 경계에 위치하는 접힘 경계부(29)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또한, 질 대면 영역(425)은 잘 변형되지 않고, 질 입구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전방 영역(427)과 후방 영역(428)에서, 하층 흡수 코어(421)의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전방 영역(427)과 후방 영역(428)이 부주의하게 휘거나 구겨지지 않고, 고간부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This
도 11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401A)은 도 10에 도시한 생리용 냅킨(401)과 동일한 구조이지만, 측부 영역(426a)과 전방 영역(427a)의 경계선이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해지는 곡선 형상이며, 측부 영역(426a)과 후방 영역(428a)의 경계선도 종방향 중심선(Oy)에 돌출측으로 향해있는 곡선 형상이다. The
이 생리용 냅킨(401A)에서는 측부 영역(426a)이 대퇴부(42) 형상을 따르도록 하여 변형하기 쉬워진다. In this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에서,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의 경계의 접힘 경계부(29)에서, 하층 흡수 코어(421)에 절결부 또는 저밀도부를 형성하고, 측부 영역이 절곡되기 쉽게 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S. 10-12, the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생리용 냅킨의 피부측 표면의 좌우 양측부의 측부 영역에 종방향 중심선(Oy)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입체 개더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입체 개더는 부직포 등의 시트와, 입체 개더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생리용 냅킨이 만곡되었을 때에, 입체 개더가 피부측 표면으로부터 상승한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nd modification, you may provide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y) in the side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anitary napkin. This three-dimensional gather is formed of a sheet such as a nonwoven fabric and an elastic member that exerts an elastic shrinking forc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three-dimensional gather. When a sanitary napkin is curved, a three-dimensional gather rises from the skin side surface
도 13에 도시하는 장착 형태(ii)에서, 높은 강성을 갖는 질 대면 영역은 그 폭 치수가 줄어들도록 잘 변형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입체 개더가 질 대면 영역의 좌우 외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입체 개더가 질 대면 영역의 표면측으로 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질 대면 영역의 표면 전역에서 액을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입체 개더에 의해 경혈이 횡방향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In the mounting form (ii) shown in FIG. 13, the vaginal facing area with high rigidity does not deform well so that its width dimension is reduced. For this reason,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are kept in the stat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 of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do not move well to the surface side of the vaginal facing area. Therefore, the liquid can be accommodated in the entire surface of the vaginal facing area, and it is easy to prevent the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laterally by the three-dimensional gathers loca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실시예Example
(1) 실시예와 비교예(1)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형상의 액 흡수층으로서, 하층 흡수 코어는 길이 치수가 210 mm이고 폭 치수가 75 mm이며, 상층 흡수 코어는 길이 치수가 80 mm이고, 폭 치수가 35 mm인 것을 이용하였다. 하층 흡수 코어와 상층 흡수 코어는 모두 분쇄 펄프와, SAP와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젼(바인더)의 중량비가 60:26:14인 흡수 시트(에어 레이드 펄프)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층 흡수 코어를 하층 흡수 코어의 종방향 중심선상에 얹어 핫 멜트형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였다. A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s the liquid absorbing layer having the shape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wer absorbent core has a length dimension of 210 mm and a width dimension of 75 mm,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has a length dimension of 80 mm and a width. One having a dimension of 35 mm was used. Both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used a pulverized pulp and an absorbent sheet (airlaid pulp) having a weight ratio of an emulsion (binder) of SAP and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f 60:26:14. The upper absorbent core was placed o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lower absorbent core and adhesively fixed with a hot melt adhesive.
실시예 5와 실시예 7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흡수 코어의 측단부 근방에 상층 코어의 세로 치수의 전체 길이에 연장되는 절결부(23)를 형성하였다. 이 절결부는 하층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파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였다. 다른 실시예와 비교예에는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았다. In Example 5 and Example 7,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흡수층을 단위 중량이 40 g/m2의 통기성 부직포로 형성한 표면 시트와, 단위 중량이 20 g/m2인 폴리에티렌 필름의 이면 시트 사이에서 끼우고,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를 액 흡수층의 외측에서 핫 멜트형 접착제로 접착하여 시료를 형성하였다. The absorbent layer was sandwiched between a surface sheet formed of a breathable nonwoven fabric having a unit weight of 40 g / m 2 and a back sheet of a polystyrene film having a unit weight of 20 g / m 2 , and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were sandwiched with a liquid absorbing layer. A sample was formed by adhering with a hot melt adhesive on the outside of the.
실시예와 비교예에서의 흡수 코어의 단위 중량을 이하와 같이 하였다. The unit weight of the absorbent core in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was as follows.
(실시예 1)(Example 1)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2 장 접착하여 사용하였다(합계 단위 중량 320 g/m2).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two absorbent sheets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ere bonded to each other (total unit weight of 320 g / m 2 ).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실시예 2)(Example 2)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와 단위 중량이 60 g/m2인 흡수 시트를 2 장 접착하여 사용하였다(합계 단위 중량 220 g/m2).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and two absorbent sheets having a unit weight of 60 g / m 2 were bonded to each other (total unit weight of 220 g / m 2 ).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실시예 3)(Example 3)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실시예 4)(Example 4)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0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0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실시예 5)(Example 5)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0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접힘 경계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00 g / m 2 was used. Cutouts were formed at the folded boundaries.
(실시예 6)(Example 6)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0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00 g / m 2 was used.
(실시예 7)(Example 7)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접힘 경계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Cutouts were formed at the folded boundari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와 단위 중량이 100 g/m2인 흡수 시트를 2 장 접착하여 사용하였다(합계 단위 중량 260 g/m2). 상층 흡수 코어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and two absorbent sheets having a unit weight of 100 g / m 2 were bonded to each other (total unit weight of 260 g / m 2 ). It was assumed that no upper absorbent core was provid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의 흡수 시트와 단위 중량이 60 g/m2인 흡수 시트를 2 장 접착하여 사용하였다(합계 단위 중량 220 g/m2). 상층 흡 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and two absorbent sheets having a unit weight of 60 g / m 2 were bonded to each other (total unit weight of 220 g / m 2 ).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60 g / m 2 was us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하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 상층 흡수 코어로서 단위 중량이 160 g/m2인 흡수 시트를 사용하였다As the low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60 g / m 2 was used. As the upper absorbent core, an absorbent sheet having a unit weight of 160 g / m 2 was used.
(2) 강성치의 측정(2) Measurement of stiffness
주식회사 야스다 정밀 기기 제작소의 제품인 「거얼리식 유연도 시험기(제품 번호 311)」를 이용하였다. 측정 시료는 액 흡수층을 절단한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단위 중량의 하층 흡수 코어와 상층 흡수 코어를 접착 고정한 것으로,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 치수를 38 mm로 하고, 종방향 치수를 25 mm로 하며, 38 mm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측정하고, 이를 질 대면 영역의 휨 강성치로 하였다. 또한 상기 단위 중량의 하층 흡수 코어를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 치수를 38 mm로 하고, 종방향 치수를 25 mm로 하며, 38 mm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측정하고, 이를 측부 영역의 휨 강성치로 하였다."Galley type softness tester (product number 311)" of Yasuda Precision Instruments Co., Ltd. was used. The measurement sample used what cut | disconnected the liquid absorption layer. The lower layer absorbent core and the upper absorbent core of the unit weight were fixed by adhesive, and the widthwise dimension of the sanitary napkin was 38 mm, the longitudinal dimension was 25 mm, and the direction of 38 mm was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was taken as the flexural stiffness of the vaginal facing area. The lower weight absorbent core having the unit weight was 38 m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nitary napkin, 25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38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was defined as the bending rigidity value of the side region. .
또한, 측정치의 단위는 「mgf」이며, 이를 「mN」으로 환산한 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에는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해서, 질 대면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와 측부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 및, 상기 강성치의 차를 기재하였다. In addition, the unit of a measured value is "mgf", The value which converted this to "mN" was described in Table 1. In Table 1, for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rley stiffness value in the vaginal facing area, the Gurley stiffness value in the side area, and the stiffness value was described.
(3) 장착 테스트(3) mounting test
가토테크 주식회사 제품의 여성의 하반신을 재현한 실리콘제 인형을 이용하였다. 인형은 대퇴부 간격의 최소치가 35 mm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속옷의 크롯치 부 내면에 각 실시예 또는 각 비교예를 접목하여 속옷을 인형에 착용시키는 시험을 행하였다. The silicone doll which reproduced the lower body of the woman of Kato Tech Co., Ltd. was used. The doll was set so that the minimum thigh spacing was 35 mm. Each Example or each comparative example was combin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crotch part of the underwear, and the test which wore the underwear to a doll was done.
평가로서는 속옷을 올릴 때에, 액 흡수층의 측부 영역이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고, 또한 질 대면 영역이 질 입구 부위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대면하여 장착된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In the evaluation, when the underwear was raised, the side region of the liquid absorbing layer could be bent downward with the folding boundary as a boundary, and the vaginal facing region mounted almost in parallel with the vaginal inlet site was passed.
표 1의 장착 테스트 결과는 10 회 착용 테스트를 행하여 10 회 모두 합격인 것을 「○」, 6 회에서 9 회 합격인 것을「△」, 합격이 5 회 이하인 것을 「×」로 평가하였다.The mounting test result of Table 1 performed 10 wear tests, and evaluated that "(circle)" which passed all 10 times was "(circle)", and that which passed 6 to 9 times was "(triangle | delta)" and that the pass was 5 times or less as "x".
표1에서, 질 대면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가 3.92 mN(400 mgf) 이상이고, 질 대면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와 측부 영역의 거얼리 강성치의 차가 1.96 mN(200 m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치의 차는 2.94 mN(300 mgf)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In Table 1, it is preferable that the Gurley stiffness of the vaginal facing area is 3.92 mN (400 mgf) or mo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rley stiffness of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Gurley stiffness of the side area is 1.96 mN (200 mgf)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the stiffness is more preferably 2.94 mN (300 mgf) or more.
본 발명의 생리용 냅킨은 액 흡수층에 주로 질 입구에 대면하여 경혈을 흡수하는 부분이 되는 질 대면 영역과, 그 옆쪽에 위치하는 측부 영역이 마련되고, 질 대면 영역과 측부 영역의 경계에 접힘 경계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측부 영역이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질 대면 영역은 지나치게 휨 변형하지 않고, 전개되기 쉬운 상태에서 질 입구에 대면하도록 되며, 질 대면 영역과 질 입구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측부 영역은 접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기 쉽기 때문에, 이 측부 영역이 고간부나 대퇴부에 밀착하기 쉬워지고, 경혈이 생리용 냅킨의 옆쪽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aginal facing area, which is a part that absorbs menstrual blood, mainly facing the vaginal inlet, and a side area located next to the liquid absorbing layer, and is fol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side area. Since the side region is provided, the side region is easily bent at the folding boundary as a boundary. For this reason, the vaginal facing area does not bend excessively and faces the vaginal inlet in an easy-to-deploy state,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vaginal facing area and the vaginal inlet can be enhanced. In addition, since the side region is easily bent at the boundary of the folding boundary, the side region ten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in and thigh, and it is easy to prevent the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to the side of the sanitary napkin.
Claims (1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47320A JP4870365B2 (en) | 2005-02-23 | 2005-02-23 | Sanitary napkin |
JPJP-P-2005-00047320 | 2005-02-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028A true KR20060094028A (en) | 2006-08-28 |
KR101246445B1 KR101246445B1 (en) | 2013-03-21 |
Family
ID=3691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566A KR101246445B1 (en) | 2005-02-23 | 2006-02-17 | A sanitary napkin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959622B2 (en) |
JP (1) | JP4870365B2 (en) |
KR (1) | KR101246445B1 (en) |
CN (2) | CN1823695B (en) |
TW (1) | TW200701962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323810D1 (en) | 2003-02-12 | 2008-11-13 | Procter & Gamble | Comfortable diaper |
ES2560204T3 (en) | 2003-02-12 | 2016-02-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
JP4227031B2 (en) * | 2004-01-16 | 2009-02-18 |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 Absorbent sheet for pet |
JP5114043B2 (en) * | 2006-11-22 | 2013-01-0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105884B2 (en) * | 2007-01-17 | 2012-12-26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US8502013B2 (en) * | 2007-03-05 | 2013-08-0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CN101677892B (en) | 2007-06-18 | 2014-03-12 | 宝洁公司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
EP2157950B1 (en) | 2007-06-18 | 2013-11-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
JP5102592B2 (en) * | 2007-11-29 | 2012-12-19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5164602B2 (en) * | 2008-02-25 | 2013-03-2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279318B2 (en) * | 2008-03-31 | 2013-09-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EP2285326A1 (en) | 2008-04-29 | 2011-02-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rocess for making an absorbent core with strain resistant core cover |
CN102046122A (en) * | 2008-05-28 | 2011-05-04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Absorptive article and sanitary napkin |
JP5452960B2 (en) * | 2009-03-31 | 2014-03-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EP2329803B1 (en) | 2009-12-02 | 2019-06-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
US20110184366A1 (en) * | 2010-01-28 | 2011-07-28 | Sca Hygiene Products Ab | Highly absorbent pad with integrity and durability |
US8546642B2 (en) * | 2010-01-28 | 2013-10-01 | Sca Hygiene Products Ab | Absorbent article with slitted absorbent core |
JP5649361B2 (en) * | 2010-08-02 | 2015-01-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939737B2 (en) | 2011-03-02 | 2016-06-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5822380B2 (en) * | 2011-05-25 | 2015-11-24 | 花王株式会社 | Absorber manufacturing method |
ES2484695T5 (en) | 2011-06-10 | 2018-02-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diaper that has a reduced joint between the absorbent core and the backing sheet |
EP2532328B1 (en) | 2011-06-10 | 2014-02-2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
DE202012013585U1 (en) | 2011-06-10 | 2018-01-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diaper |
PL3338750T5 (en) | 2011-06-10 | 2023-10-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
EP2532329B1 (en) | 2011-06-10 | 2018-09-19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
MX2013014588A (en) | 2011-06-10 | 2014-01-24 | Procter & Gamble |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
EP2717822B1 (en) | 2011-06-10 | 2019-06-05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
JP5839685B2 (en) * | 2012-01-19 | 2016-01-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JP5944673B2 (en) * | 2012-01-31 | 2016-07-05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726121B2 (en) * | 2012-03-30 | 2015-05-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5726120B2 (en) * | 2012-03-30 | 2015-05-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GB2510665C (en) | 2012-11-13 | 2017-01-25 | Procter & Gamble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EP2740450A1 (en) | 2012-12-10 | 2014-06-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9216116B2 (en) | 2012-12-10 | 2015-12-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PL2740449T3 (en) | 2012-12-10 | 2019-07-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10639215B2 (en) | 2012-12-10 | 2020-05-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
US8979815B2 (en) | 2012-12-10 | 2015-03-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PL2740452T3 (en) | 2012-12-10 | 2022-01-3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
US9216118B2 (en) | 2012-12-10 | 2015-12-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
JP6071134B2 (en) * | 2013-04-18 | 2017-02-01 |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PL2813201T3 (en) | 2013-06-14 | 2018-04-30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
JP6334705B2 (en) | 2013-08-27 | 2018-05-30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
US9987176B2 (en) * | 2013-08-27 | 2018-06-0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
RU2636366C2 (en) | 2013-09-16 | 2017-11-22 |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 Absorbing products with channels and indicating elements |
US11207220B2 (en) | 2013-09-16 | 2021-12-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
EP2851048B1 (en) | 2013-09-19 | 2018-09-05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JP6080263B2 (en) * | 2013-11-20 | 2017-02-15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US9789009B2 (en) | 2013-12-19 | 2017-10-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
EP2886092B1 (en) | 2013-12-19 | 2016-09-1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c-wrap seals |
JP2017503624A (en) * | 2013-12-20 | 2017-02-02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Absorbent pads with areas of different absorbent performance |
MX2016008121A (en) | 2013-12-20 | 2016-09-16 | Procter & Gamble | Absorbent pads comprising zones of differential absorbent capacity. |
EP2905001B1 (en) | 2014-02-11 | 2017-01-04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
JP6238808B2 (en) * | 2014-03-25 | 2017-11-2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EP2949299B1 (en) | 2014-05-27 | 2017-08-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
EP2949300B1 (en) | 2014-05-27 | 2017-08-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
JP5669976B1 (en) * | 2014-06-30 | 2015-02-1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wearing article comprising the absorbent article |
JP2016077581A (en) * | 2014-10-17 | 2016-05-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US10507144B2 (en) | 2015-03-16 | 2019-12-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
JP2018508292A (en) | 2015-03-16 | 2018-03-29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 |
JP6542390B2 (en) | 2015-05-12 | 2019-07-10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on |
WO2016196069A1 (en) | 2015-05-29 | 2016-12-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
CN107847377A (en) | 2015-07-31 | 2018-03-27 | 宝洁公司 | Utilize the package of absorbent articles part for being molded non-woven cloth |
US10858768B2 (en) * | 2015-07-31 | 2020-12-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 |
WO2017023657A1 (en) | 2015-07-31 | 2017-02-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orming belt for shaped nonwoven |
JP6352235B2 (en) * | 2015-11-06 | 2018-07-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EP3167859B1 (en) | 2015-11-16 | 2020-05-06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
US11253407B2 (en) | 2015-11-30 | 2022-02-22 | Kimberly-Clark (China) Co., Ltd. | Absorbent core layer and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containing such layer |
JP6147842B1 (en) | 2015-12-28 | 2017-06-1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PL3239378T3 (en) | 2016-04-29 | 2019-07-31 |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 Devic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material from continuous filaments |
EP3238678B1 (en) | 2016-04-29 | 2019-02-27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
EP3238676B1 (en) | 2016-04-29 | 2019-01-02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
US10888471B2 (en) | 2016-12-15 | 2021-01-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 |
WO2018118414A1 (en) | 2016-12-20 | 2018-06-2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
JP7440264B2 (en) | 2017-01-31 | 2024-02-28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molded nonwoven fabric |
US10655257B2 (en) | 2017-01-31 | 2020-05-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 |
EP3618790A1 (en) | 2017-01-31 | 2020-03-11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 fabric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
US11214893B2 (en) | 2017-06-30 | 2022-01-0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 |
WO2019005910A1 (en) | 2017-06-30 | 2019-01-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for making a shaped nonwoven |
JP7366884B2 (en) | 2017-09-01 | 2023-10-23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astic laminates |
US11925537B2 (en) | 2017-09-01 | 2024-03-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
US11147718B2 (en) | 2017-09-01 | 2021-10-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
US11547613B2 (en) | 2017-12-05 | 2023-01-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
US10765565B2 (en) | 2018-01-25 | 2020-09-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for manufacturing topsheets for absorbent articles |
US11969325B2 (en) | 2018-01-25 | 2024-04-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
US10993516B2 (en) * | 2018-02-09 | 2021-05-04 | Crayola, Llc | Crayon container |
JP6605064B2 (en) * | 2018-03-23 | 2019-11-13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WO2019241090A1 (en) | 2018-06-12 | 2019-12-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shaped, soft and textured nonwoven fabrics |
CN112638342B (en) | 2018-09-27 | 2022-08-26 | 宝洁公司 |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 |
JP2022511079A (en) * | 2018-12-07 | 2022-01-28 |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 Incontinence pad with variable thickness profile |
WO2020114612A1 (en) | 2018-12-07 | 2020-06-11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Incontinence pad with varying thickness profile |
CN111374838A (en) * | 2018-12-29 | 2020-07-07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Absorbent article |
US11505884B2 (en) | 2019-03-18 | 2022-11-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haped nonwovens that exhibit high visual resolution |
US11999150B2 (en) | 2019-05-03 | 2024-06-0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Nonwoven webs with one or more repeat units |
US12053357B2 (en) | 2019-06-19 | 2024-08-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
US11819393B2 (en) | 2019-06-19 | 2023-1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
JP7152553B1 (en) | 2021-04-12 | 2022-10-12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absorbent article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26528A (en) * | 1980-04-07 | 1982-04-27 | Kimberly-Clark Corporation | Elastic legged diapers |
US4738675A (en) * | 1987-02-06 | 1988-04-19 | The Kendall Company | Disposable diaper |
EP0293208B1 (en) * | 1987-05-27 | 1991-07-24 | Lion Corporation | Absorptive article |
US4886513A (en) * | 1987-07-06 | 1989-12-12 | Kimberly-Clark Corporation | Absorbent pad with reinforcing member to resist deformation |
US5197959A (en) * | 1988-03-31 | 1993-03-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
US5171302A (en) * | 1988-03-31 | 1992-12-1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
NZ233094A (en) * | 1989-04-04 | 1992-07-28 | Eastman Kodak Co | Synthetic fibre with grooves spontaneously transports water on its surface |
US5053029A (en) * | 1990-01-12 | 1991-10-01 | Chicopee | Absorbent peat moss board product |
US5221275A (en) * | 1990-03-12 | 1993-06-22 | Kimberly-Clark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asp and a method of fastening the absorbent article to an adjacent garment |
CA2024558C (en) | 1990-07-19 | 2002-04-02 | Paul John Serbiak | Thin sanitary napkin having a central absorbent zon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napkin |
US5382246A (en) * | 1990-09-18 | 1995-01-17 | Koyo Disposable Goods Company | Disposable diaper |
US5591149A (en) * | 1992-10-07 | 1997-01-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meltblown components |
US5658269A (en) * | 1990-10-29 | 1997-08-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Extensible absorbent articles |
US5662633A (en) * | 1991-07-23 | 1997-09-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a window with a body-conforming acquisition element positioned therein |
US5591150A (en) * | 1991-07-23 | 1997-01-07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
AU687766B2 (en) | 1993-02-22 | 1998-03-05 | Mcneil-Ppc, Inc. | Absorbent articles |
US5601544A (en) * | 1993-12-23 | 1997-02-11 | Kimberly-Clark Corporation | Child's training pant with elasticized shaped absorb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US5486166A (en) * | 1994-03-04 | 1996-01-23 | Kimberly-Clark Corporation | Fibrous nonwoven web surge layer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
CA2134268C (en) * | 1994-06-13 | 2005-10-04 | Frederich Oma Lassen |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accommodating absorbent core |
SE508041C2 (en) * | 1994-12-30 | 1998-08-17 | Moelnlycke Ab | Absorbent articles |
US5662634A (en) * | 1995-06-08 | 1997-09-02 | Uni-Charm Corporation | Method for making a liquid absorbent pad |
SE512762C2 (en) * | 1997-02-28 | 2000-05-08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nt article, such as a diaper or incontinence cover |
SE510391C2 (en) * | 1997-08-20 | 1999-05-17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nt articles |
US6503233B1 (en) * | 1998-10-02 | 2003-01-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body fit under dynamic conditions |
US6673982B1 (en) * | 1998-10-02 | 2004-01-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center fill performance |
CA2316499C (en) * | 1999-08-16 | 2009-02-17 | Johnson & Johnson Inc. | Thin sanitary napkin capable of controlled deformation when in use |
US6486379B1 (en) * | 1999-10-01 | 2002-11-2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pledget and deformation control |
US20020019614A1 (en) * | 2000-05-17 | 2002-02-14 | Woon Paul S. |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
US6878139B2 (en) * | 2000-10-05 | 2005-04-12 | Kao Corporation | Disposable diaper including lateral side cores |
TW595464U (en) * | 2000-12-28 | 2004-06-21 | Kao Corp | Disposable diaper |
JP3801449B2 (en) | 2001-02-20 | 2006-07-26 | 花王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CA2446015C (en) * | 2001-05-22 | 2007-08-07 | Uni-Charm Corporation | Interlabial pad |
EP1401370A1 (en) * | 2001-06-08 | 2004-03-3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nterlabial pad with finger-receiving positioning aid |
JP3971136B2 (en) * | 2001-07-12 | 2007-09-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US20040204698A1 (en) * | 2001-12-20 | 2004-10-1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structure predisposed toward a bent configuration |
US20030225385A1 (en) * | 2002-05-28 | 2003-12-04 | Glaug Frank S. |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core |
JP4127494B2 (en) | 2002-06-21 | 2008-07-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4248825B2 (en) | 2002-08-30 | 2009-04-0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4152760B2 (en) * | 2003-01-29 | 2008-09-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7145054B2 (en) * | 2004-02-18 | 2006-12-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Embossed absorbent article |
US20060047257A1 (en) * | 2004-08-31 | 2006-03-02 | Maria Raidel | Extensible absorbent core and absorbent article |
MX2007007456A (en) * | 2004-12-23 | 2007-08-15 | Sca Hygiene Prod Ab | Absorbent article. |
US8652116B2 (en) * | 2005-09-30 | 2014-02-1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referential bend structure and articles containing said structure |
-
2005
- 2005-02-23 JP JP2005047320A patent/JP487036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1-31 US US11/344,915 patent/US795962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13 TW TW095104746A patent/TW200701962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2-17 KR KR1020060015566A patent/KR10124644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6-02-23 CN CN200610008861XA patent/CN182369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23 CN CN201010157803XA patent/CN101810530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810530A (en) | 2010-08-25 |
KR101246445B1 (en) | 2013-03-21 |
JP4870365B2 (en) | 2012-02-08 |
TWI317275B (en) | 2009-11-21 |
CN1823695A (en) | 2006-08-30 |
TW200701962A (en) | 2007-01-16 |
CN101810530B (en) | 2012-07-18 |
CN1823695B (en) | 2012-08-22 |
US20060189954A1 (en) | 2006-08-24 |
JP2006230596A (en) | 2006-09-07 |
US7959622B2 (en) | 2011-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6445B1 (en) | A sanitary napkin | |
JP4313097B2 (en)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4476563B2 (en) | Sanitary napkin | |
EP2409673B1 (en) | Absorbent article | |
EP1275359B1 (en) | Sanitary napkin | |
AU2011277778B2 (en) | Disposable diaper | |
JPWO2008062873A1 (en) |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8289535A (en) | Absorbent article | |
KR20160065125A (en) | Absorbent article | |
CN114040738B (en) | Absorbent article | |
JP5820706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2003088550A (en) | Sanitary napkin | |
JP5076022B1 (en) | Disposable diapers | |
KR20030007156A (en) | Sanitary napkins | |
JP5123478B2 (en) | Absorbent articles | |
JP4712533B2 (en) | Absorbent articles | |
CN109562002B (en) | Absorbent article | |
JP5140145B2 (en) | Sanitary napkin | |
JPH10295724A (en) | Absorptive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 |
JP4145692B2 (en) | Absorbent articles | |
CN111150554B (en) | Absorbent article | |
JP6153291B2 (en) | Disposable diapers | |
JP7175357B1 (en)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
JP7108735B1 (en) | absorbent art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