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92674A -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674A
KR20060092674A KR1020050013749A KR20050013749A KR20060092674A KR 20060092674 A KR20060092674 A KR 20060092674A KR 1020050013749 A KR1020050013749 A KR 1020050013749A KR 20050013749 A KR20050013749 A KR 20050013749A KR 20060092674 A KR20060092674 A KR 20060092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main body
swing hinge
hinge
bi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674A/ko
Priority to CNB2005101125999A priority patent/CN100448249C/zh
Publication of KR20060092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부를 개폐되도록 회동시키면서 각각 스윙되도록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하므로써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본체와, 본체와 개폐되도록 회동되며,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폴더부와, 본체와 폴더부가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각각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폴더부와 각각 체결되는 이축스윙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하므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므로써 동영상이나 사진 등과 같이 가로화면을 필요로하는 경우 또는 이미지의 역상이 필요로 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축스윙힌지, 스윙, 단말기, 회동, 힌지, 디스플레이

Description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2-axis swing hi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90°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축스윙힌지가 90°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통상적인 스윙형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폴더부
30 : 이축스윙힌지 40 : 제1스윙힌지
50 : 제2스윙힌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와 폴더부를 개폐되도록 회동시키면서 각각 스윙되도록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하므로써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게임, 동영상, 영화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알콜검사, 바이오리듬검사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특성을 활용한 부가서비스는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동영상, 영화 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이 가로화면이나 세로화면 등으로 자유롭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스윙형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유행되고 있는데, 도 8은 통상적인 스윙형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스윙형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10), 상부부재(120) 및 스윙형힌지(130)를 포함하며, 상부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오픈되게 회동된 후 90°만큼 시계방향으로 스윙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체(110)는 입력명령을 수행하는 키패드(112)와 마이크(114) 등을 구비하고, 상부부재(120)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2)와 스피커(124) 등을 구비한다.
스윙형힌지(130)는 그 하부가 본체(110)에 스윙되도록 스윙체결되고, 그 양측면에는 상부부재(120)와 힌지결합되어 상부부재(120)가 본체(110)로부터 개폐되도록 회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윙형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부재가 오픈된 후 90°만큼 시계방향으로 스윙되므로써 디스플레이부에 가로화면을 표시해주지만, 상부부재가 90 °이상 스윙하는 경우에는 상부부재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키패드를 덮게 되어 키패드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상부부재를 스윙시킬 수 있는 각도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역상을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이를 실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와 폴더부를 개폐되도록 회동시키면서 각각 스윙되도록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하므로써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본체와, 본체와 개폐되도록 회동되며,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폴더부와, 본체와 폴더부가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각각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폴더부와 각각 체결되는 이축스윙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축스윙힌지는 본체가 소정각도만큼 스윙되도록 일측이 상기 본체와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와, 일측은 상기 제1스윙힌지의 타측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본체와 폴더부가 개폐되도록 회동시키고, 타측은 상기 폴더부가 소정각도만큼 스윙되도록 폴더부와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스윙힌지의 일측 상부와 대향되게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공간이 본체의 상단 일측의 배면에 형성되고, 제2스윙힌지의 타측 상부와 대향되게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공간이 폴더부의 하단 일측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스윙공간에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의 일측과 제2스윙힌지의 일 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스윙힌지의 타측을 연이어주도록 제1스윙힌지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절곡되게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더부는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되고, 본체는 상기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되어 폴더부와 본체가 상기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간략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90°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은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축스윙힌지가 90°스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 폴더부(20) 및 이축스윙힌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12)를 전면에 구비하고, 그 상단의 일측 배면에는 이축스윙힌지(30)에 구비된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과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공간(14)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10)가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과 90°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스윙되게 체결되도록 제1스윙공간(14)과 제1스윙힌지(40) 일측(42)의 중심에 각각 스윙부(미도시) 및 이에 대응되는 스윙홀(미도시)이 각각 구비되며, 제1스윙공간(14)은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이 원활하게 스윙되도록 그 코너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체결에 따른 스윙구조는 이미 공지되거나 실시중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폴더부(20)는 본체(10)와 개폐되도록 회동가능하고,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2)를 구비하며, 그 하단의 일측 배면에는 이축스윙힌지(30)에 구비된 제2스윙힌지(50)의 타측(54)과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공간(24)이 형성된다.
이때, 폴더부(20)가 제2스윙힌지(50)의 타측(54)과 90°만큼 시계방향으로 스윙되게 체결되도록 제2스윙공간(24)과 제2스윙힌지(50) 타측(54)의 중심에 각각 스윙부(미도시) 및 이에 대응되는 스윙홀(미도시)이 각각 구비되며, 제2스윙공간(24)은 제2스윙힌지(50)의 타측(54)이 원활하게 스윙되도록 그 코너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스윙힌지(30)는 본체(10)와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40) 및 폴더부(20)와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힌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체(10)와 폴더부 (20)가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각각 90°만큼 스윙되도록 한다.
제1스윙힌지(40)는 그 일측(42)이 반원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본체(10)의 상단 일측 배면에 형성된 제1스윙공간(14)에 스윙축(Y)을 중심으로 스윙되도록 대향되게 체결되고, 타측(44)은 제2스윙힌지(50)의 일측(52)과 회동축(X)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본체(10)와 폴더부(20)가 개폐되도록 회동시킨다.
제1스윙힌지(40)의 절곡부(46)는 제1스윙공간(14)에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과 제2스윙힌지의 일측(52)에 힌지결합되는 타측(44)을 연이어주도록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과 타측(44) 사이에 절곡되게 구비되며, 본체(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다.
즉, 제1스윙힌지(40)의 타측(44)은 제1스윙힌지(40)의 일측(42)보다 상기 본체(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제2스윙힌지(50)는 그 일측(52)이 제1스윙힌지(40)의 타측(44)과 회동축(X)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본체(10)와 폴더부(20)가 개폐되되도록 회동시키고, 타측(54)은 반원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져 폴더부(20)의 하단 일측 배면에 형성된 제2스윙공간(24)에 스윙축(Z)를 중심으로 스윙되도록 대향되게 체결된다.
따라서, 폴더부(20)는 이축스윙힌지(30)의 제2스윙힌지(5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되고, 본체(10)는 이축스윙힌지(30)의 제1스윙힌지(4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가능하게 되므로 본체(10)와 폴더부(20)가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스윙되어 이축스윙힌지(30)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축스윙힌지(30)의 제2스윙힌지(50)가 폴더부(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제1스윙힌지(40)는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20)를 오픈시키면 본체(10)의 제1스윙공간(14)에 스윙결합된 제1스윙힌지(40)와 힌지결합된 제2스윙힌지(50)가 회동축(X)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스윙힌지(50)와 스윙결합된 폴더부(20)가 회동되어 폴더부(20)가 오픈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20)를 시계방향으로 스윙시키면, 제2스윙힌지(50)의 타측(54)에 대향되게 스윙결합된 폴더부(20)가 스윙축(Z)을 중심으로 90°만큼 스윙되어 폴더부(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2)가 가로화면으로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의 본체(10)와 폴더부(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축스윙힌지(30) 전체를 스윙시키면 이축스윙힌지(30)가 본체(10)에 형성된 제1스윙공간(14)과 폴더부(20)에 형성된 제2스윙공간(14)을 따라 스윙축(Y,Z)을 중심으로 90°만큼 스윙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단말기의 폴더부(20)를 오픈시키면, 본체(10)의 제1스윙공간(14)에 스윙결합된 제1스윙힌지(40)와 힌지결합된 제2스윙힌지(50)가 회동축(X)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스윙힌지(50)와 스윙 결합된 폴더부(20)가 회동되어 오픈되므로써 본체(10)와 나란히 배치되며, 폴더부(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2)가 본체(10)와 역방향으로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되는 화면을 소프트웨어적으로 180 °만큼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정상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에서 폴더부(20)를 스윙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체와 폴더부를 개폐되도록 회동시키면서 각각 스윙되도록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하므로써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사잇각이 0°에서부터 180 °까지 이루어지도록 그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축스윙힌지를 단말기 본체의 우측상단에 구비하므로써 폴더부가 시계방향으로 스윙되고, 본체는 반시계방향으로 스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축스윙힌지를 단말기 본체의 좌측상단에 구비하므로써 폴더부가 반시계방향으로 스윙되고, 본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부를 개폐되도록 회동시키면서 각각 스윙되도록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하므로써 단말기의 개폐에 따라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와 폴더부의 배치상태를 다양하게 하므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므로써 동영상이나 사진 등과 같이 가로화면을 필요로하는 경우 또는 이미지의 역상이 필요로 하는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본체와;
    상기 본체와 개폐되도록 회동되며,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한 폴더부와;
    상기 본체와 폴더부가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각각 소정각도만큼 스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및 폴더부와 각각 체결되는 이축스윙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스윙힌지는 상기 본체가 소정각도만큼 스윙되도록 일측이 상기 본체와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와;
    일측은 상기 제1스윙힌지의 타측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폴더부가 개폐되도록 회동시키고, 타측은 상기 폴더부가 소정각도만큼 스윙되도록 상기 폴더부와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윙힌지의 일측 상부와 대향되게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공간이 상기 본체의 상단 일측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윙힌지의 타측 상부와 대향되게 스윙체결되는 제2스윙공간이 상기 폴더부의 하단 일측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윙공간에 스윙체결되는 제1스윙힌지의 일측과 상기 제2스윙힌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스윙힌지의 타측을 연이어주도록 상기 제1스윙힌지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절곡되게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폴더부는 개폐되도록 회동되면서 각각 90°만큼 스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부는 상기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스윙되어 상기 폴더부와 본체가 상기 이축스윙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3749A 2005-02-18 2005-02-18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2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49A KR20060092674A (ko) 2005-02-18 2005-02-18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1125999A CN100448249C (zh) 2005-02-18 2005-10-12 具有双轴侧旋合叶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49A KR20060092674A (ko) 2005-02-18 2005-02-18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674A true KR20060092674A (ko) 2006-08-23

Family

ID=3692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749A KR20060092674A (ko) 2005-02-18 2005-02-18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92674A (ko)
CN (1) CN10044824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52B1 (ko) * 2006-12-2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34619B1 (ko) * 2006-11-23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기능을 가지는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49284B1 (ko) * 2006-08-11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971997B1 (ko) * 2008-08-29 2010-07-22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듀얼 트위스트 힌지 장치
KR101360023B1 (ko) * 2011-12-09 2014-02-12 (주)네오위즈게임즈 사용자 승패기록 관리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893A (ja) *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4093038B2 (ja) * 2002-12-06 200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JP2004336091A (ja) * 2003-04-30 2004-11-25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284B1 (ko) * 2006-08-11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834619B1 (ko) * 2006-11-23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기능을 가지는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10352B1 (ko) * 2006-12-2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71997B1 (ko) * 2008-08-29 2010-07-22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듀얼 트위스트 힌지 장치
KR101360023B1 (ko) * 2011-12-09 2014-02-12 (주)네오위즈게임즈 사용자 승패기록 관리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2606A (zh) 2006-08-23
CN100448249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9264B2 (en) Compact devices with turn and slide concept
US20120149438A1 (en)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US8509862B2 (en) Rotation hinge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dual hinge apparatus having the same, swing-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rotation-type portable terminal
US7991441B2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CN101166202B (zh) 电子设备及显示控制方法
JP2008516480A (ja) ヒンジ連結スクリーンを備えるヒンジ連結された電子装置
JP2012141915A (ja) 電子機器およびヒンジ
JP2005054890A (ja) 携帯端末用ヒンジ
WO2022022754A2 (zh) 电子设备支撑架
KR20060039750A (ko) 임의의 각도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커버부를 갖는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171324A (ja) 折畳式携帯電話機
KR20060092674A (ko)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10401915B2 (en) Electronic device
KR20060092670A (ko) 이축스윙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200105354A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JP2002229674A (ja) 電子機器
TW201617757A (zh) 具有可旋轉顯示構件之運算裝置(二)
KR100976116B1 (ko) 이중 폴더형 전자기기
CN210294941U (zh) 笔记本双屏显示装置
KR100883451B1 (ko) 멀티 모드 구조
JP4424504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WO2025020521A1 (zh) 壳体、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100883452B1 (ko) 멀티 모드 구조
CN1937638B (zh) 折叠式移动电话
TWM614827U (zh) 應用於雙螢幕的樞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