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92086A - 해양선박 - Google Patents

해양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086A
KR20060092086A KR1020060014014A KR20060014014A KR20060092086A KR 20060092086 A KR20060092086 A KR 20060092086A KR 1020060014014 A KR1020060014014 A KR 1020060014014A KR 20060014014 A KR20060014014 A KR 20060014014A KR 20060092086 A KR20060092086 A KR 20060092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pace
propulsion unit
deck
drive means
mar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050B1 (ko
Inventor
레반더 오스카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06009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05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04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the main transmitting element, e.g. shaft, being substantial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4Fe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63H2005/1256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with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to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Jib Cra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높이(h), 일정한 폭과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3)이 격벽 갑판(4) 위에 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물운반시설을 구비하는 선체(2) 및 샤프트 장치(7)에 의해 구동수단(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추진유니트(8)를 구비한 추진장치(5)를 포함하는 해양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적과 하적 해양선박을 위하여 격벽 갑판으로의 더 양호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상기 격벽 갑판(4)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6)은 상기 적재 공간(3) 위에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 장치(7)는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기 구동수단(6)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의 적재 공간(3)을 통과하여 상기 격벽 갑판(4) 아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부(71)를 포함한다.
해양선박, 추진기, 프로펠러, 적재 공간, 갑판

Description

해양선박{MARINE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적재 공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해양선박 선미 끝단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해양선박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해양선박 2 ... 선체
3 ... 적재 공간 4 ... 격벽 갑판
5 ... 추진장치 6 ... 구동수단
7 ... 축 장치 8 ... 추진 유니트
9 ... 상부 갑판 10 ... 중앙 갑판
본 발명은 일정한 높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이 격벽 갑판(Bulkhead Deck) 위에 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물 운반시설(Load Carrying Facility)을 구비하는 선체(Hull) 및 샤프트 장치(Shaft Arrangement)에 의해 구동수단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Thruster Unit)를 구비한 추진장치(Propulsion Arrangement)를 포함한 해양선박에 관한 것이다.
더블 엔드 페리(Double End Ferry)와 같은 하물운반 해양선박에서, 추진장치는 선박의 조정성능(Manoeuverability)을 추진하고 개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Thrust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추진 유니트들은 보통 전기모터 또는 내연기관, 즉 디젤 엔진에 의해 기동된다. 이 명세서에서 화물선, 컨테이너선 및 로팩스(RoPax) 선박 또는 자동차 운반 전용 선박(RoRo-ship)들은 다른 형태의 해양선박에 대한 예이다.
추진기(Thruster)는 전기모터에 의해 기동될 때, 상기 전기모터는 전통적으로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의 바로 위에 설치되며, 그 추진 유니트는 상기 격벽 갑판 위 또는 그 격벽 갑판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기모터로부터 상기 추진기까지 연장되며 상기 추진기 내에서 앵글 기어(Angle Gear)에 연결되는 구동축 및 프로펠러를 구비한 프로펠러축을 포함하는 소위 L 구동 유니트에 의해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의 프로펠러로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추진기가 내연기관에 의해 기동될 때, 상기 엔진은 전통적으로 선박 내에 추가로 배치되며, 그로 인해 상기 엔진은 물론 엔진에 연결된 축선(Shaft Line)이나 기어박스(Gear Box)는 상기 격벽 갑판 위 또는 격벽 갑판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연기관으로부터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까지 연장되는 축 선,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의 바로 위에 배치된 앵글 기어를 구비한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로부터 상기 추진기까지 연장되며 상기 추진기 내에서 제2 앵글 기어에 연결되는 구동축 및 프로펠러를 구비한 프로펠러축을 포함하는 소위 Z 구동 유니트에 의해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의 프로펠러로 동력이 전달된다.
실제로, 이것은 전기모터 또는 내연기관이 특히, 고동력 조정 가능한 추진기의 경우 상술한 형태의 해양선박에서는 전형적으로 자동차 운반 갑판(Main Car Deck)인 격벽 갑판을 통과하거나 그 위에 올라와야 하므로 큰 장애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분명히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적하는 관점에서 또 적재 공간의 유용성이라는 관점에서 문제이다. 상기 격벽 갑판 위의 적재 공간은 일정한 폭을 가진다는 것을 고려할 때, 그 일정한 폭의 상당량은 통상 매우 많은 부피를 가지는 전기모터, 기어박스 또는 상기 해양선박의 중앙에 하나 또는 각각의 측면 위에 하나가 설치된 엔진 하우징이 차지한다. 이것은 상기 유용한 적재 공간은 물론 적재 또는 하적 램프(Loading or Unloading Ramp) 위의 가용 레인(Available Lane)의 수를 줄이게 된다. 이것은 화물 적재 및 하적을 느리고 또 상기 격벽 갑판 위에서 화물의 분배를 복잡하게 만든다.
상기에서 사용하고 앞으로 더 사용될 격벽 갑판이라는 용어는, 선박 건조에서 한정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이 용어는 더 일반적인 방식, 예컨대 자동차 운반 갑판, 자동차 운반 전용 갑판(RoRo-car Deck), 또는 해양선박 위의 메인 화물 갑판(Main Cargo Deck)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에는, 상부 갑판(Upper Deck)이라는 용어도 사용될 것이다. 이 용어는 역시 선박 건조에 서 한정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이 용어는 더 일반적인 방식, 예컨대 해양선박 위에 서로 겹쳐진 하나 이상의 적재 공간 위에 있는 갑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방지하고 상기 적재 공간의 이용을 최대로 함은 물론 용이하고 더 신속한 적재 및 하적을 제공하는 해양선박을 달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해양선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해양선박 위의 적재공간을 명확하게 하고, 모든 실제 기계장치로부터 상기 적재 공간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상기 격벽 갑판 아래에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 공간 위에서 소위 상부 갑판 위에 추진 유니트를 위한 구동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과 추진 유니트 사이의 연결은 상기 적재 공간의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거의 수직으로 향한 축부(Shaft Section)로 제공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좁은 축부만이 상기 격벽 갑판 위에 보인다. 이것은 상기 적재 공간의 일정한 폭에 대한 모든 방해를 최소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에 필요한 모든 유지보수, 수리 또는 대체 작업이 상기 격벽 갑판 밖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축부는 수직 축부로 불릴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더 일반적인 방식, 예컨대 완전 수직만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전기적 그리고 기계적인 기계장치, 즉 청구항 2-4에서와 같이, 구동수단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 공간의 수, 즉 청구항 5에서와 같이, 서로 겹쳐져 설치된 갑판의 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장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해양선박이 두개 이상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를 적용하면, 늘어난 적재 및 하적 공간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들이 상기 해양선박의 선미 또는 선수에 설치되던지 혹은 그 양쪽 위치에 설치되던지 관계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청구항 6-10에서와 같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개략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해양선박을, 참조부호 2는 상기 해양선박의 선체를, 참조부호 3은 상기 해양선박의 적재 공간을, 참조부호 4는 상기 해양선박의 격벽 갑판을, 그리고 참조부호 5는 상기 해양선박의 추진장치를 나타낸다. 적재 공간(3)은 일정한 높이(h), 일정한 폭(w) 및 일정한 길이(l)를 가진다. 추진장치(5)는 구동수단(6), 축 장치(Shaft Arrangement, 7) 및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 유니트는 소위 기계적인 추진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6)은 모터 케이싱(62)으로 둘러싸인 전기모터(61)이다. 상기 전기모터는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된다. 전기모터(61)로부터 조정 가능한 추진 유 니트(8)에 동력을 전달하는 축 장치(7)는 수직 축부(71)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축부는 전기모터(61)로부터 높이(h)인 적재 공간(3)을 통과하여 격벽 갑판(4)의 아래, 즉 적재 공간(3) 아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 내에 있는 제1 앵글기어(72)까지 연장된다.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제1 앵글기어(72)에 연결되는 프로펠러 축(81) 상의 프로펠러(82)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의 결과로서, 격벽 갑판(4) 위 및 적재 공간(3)에서 유일한 장애는 축 장치(7)의 좁은 수직 축부(71)이다. 이것은 상술한 본 발명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내연기관, 예컨대 엔진 케이싱(64)으로 둘러싸인 디젤 엔진을 포함한다. 내연기관(63)은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된다. 내연기관(63)으로부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로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축 장치는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의 기어박스(74)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수평 설치되거나 혹은 수평으로 향한 축선(73)을 포함한다. 기어박스(74)는 축선(73)을 수직 축부(71)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앵글기어(75)를 포함한다. 수직 축부(71)는 기어박스(74)로부터 높이 h인 적재 공간(3)을 통과하여 격벽 갑판(4)의 아래, 즉 적재 공간(3)의 아래에 있는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 내의 제1 앵글기어(72)까지 연장된다.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제1 앵글기어(72)에 연결되는 프로펠러 축(81) 상의 프로펠러(82)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간혹 소위 Z 구동이라 부른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응한 방식으로, 격벽 갑판(4) 위 및 적재 공간(3)에서의 유일한 장애는 축 장치(7)의 좁은 수직 축부(71)이며, 이것은 상술한 본 발 명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 3은 상기 적재 공간의 관점에서 수직 축부(71)의 배열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적재 공간(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좁은 수직 축부(71)는 폭 w인 적재 공간(3)의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할 뿐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적재 공간(31)과 서로 겹쳐져 중앙 갑판(10)에 의해 분리된 제2 적재 공간(32)이 제공된 해양선박(1)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 케이싱(62)을 구비한 전기모터(61)로 예시된 도 4의 상기 구동수단은, 제2 적재 공간(32) 위에 있는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된다.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격벽 갑판(4)의 아래, 즉 제1 적재 공간(31)의 아래에 설치된다. 따라서 수직 축부(71)는 두 적재 공간의 높이, 즉 높이 h인 제1 적재 공간(31)을 통과함은 물론 높이 h인 제2 적재 공간(32)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이에 의해 좁은 수직 축부(71)는 중앙 갑판(10) 위는 물론 격벽 갑판(4) 위에서 유일한 장애를 받아 상술한 유사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 축부는 더 길며, 이에 따라 안정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베어링(미도시)은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갑판 바로 아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어떠한 장애도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면들은 격벽 갑판(4)과 중앙 갑판(10) 위에 다수의 트레일러(Trailer, 11)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해양선박(1)은 양쪽에, 즉 선체(2)의 대향하는 쪽에 두개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들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들이 사이드(Said) 외곽측면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한 추진 유 니트(8)들은 선체(2)의 바깥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상기 일정한 거리는 도 5에서 (그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수직 축부의 중심과 선체(2)의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참조부호 d로 나타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장점들을 더 예시한다. 격벽 갑판(4)과 중앙 갑판(10)은 카 데크(Car Deck)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좁은 수직 축부(71)들은 이들 갑판들에 안내하는 적재 또는 하적 램프들 위의 유용한 레인의 수들을 제한하는 장애가 실질적으로 거의 없다. 또한 유익하게는, 수직 축부(71)들은, 상부 갑판에 추가적인 램프 혹은 화물 레인이 수직 축부와 상기 선체의 측면 사이, 예컨대 중앙 갑판(10) 위의 자동차(12)로 나타난 바와 같이(도 5), 해양선박(1)의 우측에 제공될 수 있도록 선체(2)의 측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 이 공간은 사용되지 않는다면, 상기 선체는 더 좁은 측면 케이싱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서로 겹쳐져 위치한 적재 공간들의 수는 다양하게, 즉 2개 이상이며, 그리고 이들이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최상부의 적재 공간 또는 갑판 위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상기 도면들은 상기 해양선박의 선미에 있는 것처럼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수 또는 양쪽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는 전통적인 축 장착 프로펠러(Conventionally Shafted Propeller, 13)를 포함한 추진장치(5)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축과 기계장치들은 보통 상기 해 양선박 내에 더 존재하며, 이에 따라 그러한 장치들은 어떠한 장애도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해양선박은 CRP 추진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관련된 도면 및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의도일 뿐이고, 이에 따라 상세하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10)

  1. 일정한 높이(h), 일정한 폭(w)과 일정한 깊이(l)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3)이 격벽 갑판(4) 위에 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물운반시설을 구비하는 선체(2) 및 샤프트 장치(7)에 의해 구동수단(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를 구비한 추진장치(5)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상기 격벽 갑판(8)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수단(6)은 상기 적재 공간(3) 위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샤프트 장치(7)는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기 구동수단(6)으로부터 일정한 높이(h)의 적재 공간(3)을 통과하여 상기 격벽 갑판(4) 아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부(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은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되는 전기모터(61)를 포함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부(71)는 상기 전기모터(61)로부터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 내의 제1 앵글기어(72)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은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되는 내연기관(63)을 포함하고, 상기 내연기관(63)은 축선(73)과 제2 앵글기어(75)를 경유하여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부(71)에 연결되며,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부(71)는 상기 제2 앵글기어(75)로부터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 내의 제1 앵글기어(72)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73)과 제2 앵글기어(75)는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부 갑판(9)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글기어(75)는 상기 적재 공간(3) 위에서 상기 상부 갑판(9) 위에설치된 기어박스(74)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선박은 서로 겹쳐진 다수의 적재 공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6)은 서로 겹쳐져 위치한 적어도 두개의 적재 공간들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선박(1)의 추진장치(5)는 상기 해양선박(1)의 선체(2)의 대향하는 면 위에서 2개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는, 상기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가 사이드 외곽 측면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해양선박(1)의 선체(8)의 바깥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가능한 추진 유니트(8)가 상기 해양선박의 선미 및/또는 선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선박의 추진장치(5)는 전통적인 축 장착 프로펠러 장치(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선박.
KR1020060014014A 2005-02-15 2006-02-14 해양선박 Expired - Fee Related KR101245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5068A FI117194B (fi) 2005-02-15 2005-02-15 Merialus
FI20055068 2005-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86A true KR20060092086A (ko) 2006-08-22
KR101245050B1 KR101245050B1 (ko) 2013-03-18

Family

ID=3422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0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5050B1 (ko) 2005-02-15 2006-02-14 해양선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78895B2 (ko)
EP (1) EP1690785B1 (ko)
JP (2) JP5031240B2 (ko)
KR (1) KR101245050B1 (ko)
CN (1) CN100594159C (ko)
AT (1) ATE388890T1 (ko)
DE (1) DE602006000664T2 (ko)
DK (1) DK1690785T3 (ko)
ES (1) ES2301131T3 (ko)
FI (1) FI1171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04391C (en) * 2007-12-05 2015-10-20 Schottel Gmbh Ship propulsion system having a pump jet
JP2012061939A (ja) * 2010-09-15 2012-03-29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推進装置
KR20120002422U (ko) * 2010-09-29 2012-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상하이동 가능한 선박용 플로어 장치
CN102673729A (zh) * 2012-06-05 2012-09-19 无锡东方长风船用推进器有限公司 能上翻、侧摆水翼的高速抢险救灾艇
US9750200B2 (en) 2013-07-11 2017-09-05 Royal Institution For The Advancement Of Learning/Mcgill University Apparatus for carbon dioxide enrichment
US9099807B2 (en) 2013-12-05 2015-08-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Releasable locking connector assembly
DE102020107040A1 (de) 2020-03-13 2021-09-16 Torqeedo Gmbh Antriebsanordnung zum Antreiben eines Boo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4967A (en) * 1961-12-12 1963-06-25 Gen Electric Steerable torque-balanced marine propulsion drive
JPS4836516B1 (ko) * 1970-04-02 1973-11-05
JPS5153594Y2 (ko) * 1971-10-13 1976-12-21
GB1477704A (en) * 1974-07-12 1977-06-22 Gallin C Propulsion systems for vessels
JPS5116589A (ja) * 1974-07-31 1976-02-09 Garin Konsutanchin Senpakuyokudosochi
NO136038C (no) * 1975-06-18 1978-04-14 Liaaen As A M Propellanordning.
SE7604515L (sv) * 1975-07-25 1977-01-26 Hurth Masch Zahnrad Carl Vinkelvexel
JPS5247295A (en) * 1975-10-13 1977-04-14 Kubota Ltd Apparatus for keeping a ship at a standstill
JPS5323495A (en) * 1976-08-17 1978-03-03 Narasaki Shipbuilding Co Ltd Combined roll onnoff and lift onnoff cargo boat
SE412565B (sv) * 1978-10-02 1980-03-10 Karlstad Mekaniska Ab Marint propelleraggregat
GB8401879D0 (en) * 1984-01-25 1984-02-29 Vickers Plc Vessel
JPH0719999Y2 (ja) * 1989-06-20 1995-05-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作業船の補助推進器
JPH0721500A (ja) * 1993-07-06 1995-01-24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自動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0108993A (ja) * 1998-10-06 2000-04-18 Aitoku:Kk 船舶の船尾構造
JP2000177694A (ja) * 1998-12-21 2000-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舵付きアジマスプロペラを備えた船舶
WO2000068073A1 (de) * 1999-05-11 2000-11-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ruderpropeller mit niedriger einbauhöhe
FI110595B (fi) * 2000-01-28 2003-02-28 Abb Oy Järjestely aluksessa, menetelmä tilan käyttämiseksi hyväksi aluksessa sekä propulsioyksikön asennusjärjestely
FI113753B (fi) * 2002-02-06 2004-06-15 Kvaerner Masa Yards Oy Järjestelmä, menetelmä ja asennusmenetelmä vesikulkuneuvossa
FR2847550A1 (fr) * 2002-11-26 2004-05-28 Alstom Navire de type paquebot ou car-ferry comprenant un alternateur et une turbine a gaz dedies a sa propulsion situes en partie superie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0785A1 (en) 2006-08-16
DE602006000664D1 (de) 2008-04-24
DE602006000664T2 (de) 2009-04-02
US20060201410A1 (en) 2006-09-14
FI20055068A0 (fi) 2005-02-15
EP1690785B1 (en) 2008-03-12
FI117194B (fi) 2006-07-31
ES2301131T3 (es) 2008-06-16
US7278895B2 (en) 2007-10-09
DK1690785T3 (da) 2008-06-09
JP5031240B2 (ja) 2012-09-19
JP2006224956A (ja) 2006-08-31
KR101245050B1 (ko) 2013-03-18
JP2012041045A (ja) 2012-03-01
CN100594159C (zh) 2010-03-17
ATE388890T1 (de) 2008-03-15
CN1821017A (zh)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050B1 (ko) 해양선박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KR20150083766A (ko) 주 프로펠러 및 추가 프로펠러를 장비하는 배 및 그 하이브리드 운행방법
KR20100135252A (ko) 선박
RU2550792C1 (ru) Движ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рабле
CA2356675C (en) Semi-submersible deadweight cargo vessel
CN100509553C (zh) 用于操舵水运工具的结构
SE510457C2 (sv) Båtskrov samt fartyg med ett dylikt skrov
CN107428406A (zh) 装备有追加螺旋桨的船
KR102367115B1 (ko) 대형 배수형 선체 선박
KR101363692B1 (ko) 해양선박
FI110595B (fi) Järjestely aluksessa, menetelmä tilan käyttämiseksi hyväksi aluksessa sekä propulsioyksikön asennusjärjestely
US7066777B2 (en) Marine inboard/outboard system
WO2009109187A1 (en) A ship
Pinkster MV Jumbo Javelin–The first of a series of two of the largest new heavy (1600 t) lift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