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89076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076A
KR20060089076A KR1020050010145A KR20050010145A KR20060089076A KR 20060089076 A KR20060089076 A KR 20060089076A KR 1020050010145 A KR1020050010145 A KR 1020050010145A KR 20050010145 A KR20050010145 A KR 20050010145A KR 20060089076 A KR20060089076 A KR 2006008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indoor unit
heat exchanger
blower f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674B1 (ko
Inventor
진심원
박경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이 횡류팬인 제 1송풍팬과, 원심팬인 제 2송풍팬으로 구성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의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토출영역이 확대되어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송풍팬, 횡류팬, 원심팬, 성능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80: 본체 51, 81: 섀시
52,82: 전면패널 52a: 흡입구
52b: 토출구 60,90: 송풍팬
62,92: 제 1송풍팬 64,94: 제 2송풍팬
66,96: 회전축 68,98: 모터
70: 임펠러 72: 스크롤하우징
82a: 전면흡입구 82b: 상면흡입구
82c: 측면흡입구 82d: 토출구
100: 보조열교환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풍팬이 횡류팬인 제 1송풍팬과, 원심팬인 제 2송풍팬으로 구성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기의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토출됨으로써, 토출영역이 확대되어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는 바,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B-B선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섀시(4)와, 상기 섀시(4)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송풍팬(6)과, 상기 송풍팬(6)을 회전시키는 모터(8)와, 상기 송풍팬(6)의 전방과 상측에 위치되는 열교환기(10)와, 상기 섀시(4)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12)과, 상기 전면 패널(12)의 전면에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그릴(14)과, 상기 흡입그릴(14)과 열교환기(1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림되는 망체의 에어필터(미도시)와, 상기 열교환기(10)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섀시(4)의 하부와 함께 토출구(16a)를 형성하는 토출그릴(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6)은 상기 섀시(4)의 전방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횡류팬이고, 상기 열교환기(10)는 상기 송풍팬(6)의 전방과 상측에 굽은 모양으로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16)에는 상기 송풍팬(6)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유로를 안내하도록 리어가이더(18)가 장착되고, 상기 섀시(4)의 하부에는 상기 리어가이더(18)와 함께 공기의 토출유로를 안내하는 스테빌라이저(20)가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송풍팬(6)이 작동되면, 상기 흡입그릴(14)를 통해 실내 공기가 상기 섀시(4)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섀시(4)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회전되는 상기 송풍팬(6)을 통과하면서 상기 토출구(16a)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송풍팬(6)이 횡류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기(1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전면으로만 토출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2) 전방에 있는 일부 한정된 공간의 공기조화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그릴(16)에 베인(미도시)이나 루버(미도시)가 장착할 경우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각도만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이고, 토출 영역를 넓히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영역을 확대하고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조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 를 통해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전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제 1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측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제 2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52a) 및 토출구(52b)가 형성된 본체(50)와, 상기 본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팬(60)과, 상기 송풍팬(60)의 전방과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팬(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벽면에 설치되는 섀시(51)와, 상기 섀시(51)의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52a)가 형성된 전면 패널(52)과, 상기 섀시(51)의 하부와 함께 토출구(52b)를 형성하는 토출그릴(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52)의 전면과 상면에는 상기 흡입구(52a)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52)과 열교환기(미도시) 사이에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정화시키는 망체의 에어필터(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미도시)에는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서 떨어지는 응축수를 받아내는 드레인팬부(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52b)의 전방으로 송풍시키는 제 1송풍팬(62)과, 상기 제 1송풍팬(62)과 별도로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52b)의 측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제 2송풍팬(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송풍팬(62)은 상기 섀시(51)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횡류팬이고, 상기 제 2송풍팬(64)은 상기 제 1송풍팬(62)의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된 원심팬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송풍팬(64)은 상기 제 1송풍팬(62)의 양단 모두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송풍팬(62)의 양단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송풍팬(62)과 제 2송풍팬(64)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나의 회전축(6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66)은 상기 섀시(51)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68)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68)는 상기 제 2송풍팬(64)과 섀시(51)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상기 제 1송풍팬(62)과 제 2송풍팬(64)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송풍팬(64)은 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임펠러(70)와, 상기 임펠러(7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70)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하우징(7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롤하우징(72)의 흡입부(72a)는 상기 임펠러(70)의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토출부(72b)는 상기 임펠러(70)의 외주면에 대향되고,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기의 전방 및 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섀시(51)의 측면을 향해 폭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68)가 구동되면, 상기 제 1송풍팬(62)과 제 2송풍팬(6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서, 실내측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52a)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52a)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제 1송풍팬(62)과 제 2송풍팬(64)에 의해 상기 토출구(52b)측으로 송풍되어, 실내측으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 1송풍팬(62)은 열교환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므로, 상기 제 1송풍팬(6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52b)의 전방으로만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송풍팬(64)은 상기 임펠러(70)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흡입부(72a)를 통해 축방향으로 흡입하고, 상기 스크롤하우징(72)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스크롤하우징(72)의 토출부(72b)를 통해 상기 토출구(52b)의 측방향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송풍팬(64)은 흡입력이 큰 원심팬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섀시(51)의 전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의 흡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크롤하우징(72)의 토출부(72b)는 상기 스크롤하우징(72)내로 흡입된 공기를 실내기의 전방 및 측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기의 전방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의 토출이 가능하여, 실내기의 공기 토출영역이 확대되므로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D-D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82d)가 형성된 본체(80)와, 상기 본체(8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80)의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팬(90)과, 상기 송풍팬(90)의 전방과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송풍팬(9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90)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82d)의 전방으로 송풍시키는 제 1송풍팬(92)과, 상기 제 1송풍팬(92)과 별도로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82d)의 측방향으로송풍시키는 제 2송풍팬(9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80)는 벽면에 설치되는 섀시(81)와, 상기 섀시(81)의 전방에 결합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8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송풍팬(92)은 상기 섀시(81)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횡류팬이고, 상기 제 2송풍팬(94)은 상기 제 1송풍팬(92)의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된 원심팬이다.
상기 제 1송풍팬(92)과 제 2송풍팬(94)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나의 회전축(96)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96)은 상기 섀시(81)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98)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전면패널(82)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흡입구(82a)와, 상기 전면패널(82)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흡입구(82b)와, 상기 전면패널(82)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흡입구(8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흡입구(82c)는 상기 제 2송풍팬(9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제 2송풍팬(94)이 상기 제 1송풍팬(92)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측면흡입구(82c)는 상기 전면패널(8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전면흡입구(82a) 및 상면흡입구(82b)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흡입구(82a) 및 상면흡입구(82b)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주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측면흡입구(82c)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면흡입구(82c)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보조열교환기(100)로 구성된다.
상기 주열교환기(미도시)는 상기 제 1송풍팬(92)의 전면과 상측에 배치되도록 굽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열교환기(100)는 상기 측면흡입구(82c)와 제 2송풍팬(94)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98)는 상기 측면흡입구(82c)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 2송풍팬(94)으로 흡입시 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송풍팬(92)과 제 2송풍팬(94)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모터(98)가 구동되면, 상기 제 1송풍팬(92)과 제 2송풍팬(9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서, 실내측의 공기가 상기 전면흡입구(82a), 상면흡입구(82b), 측면흡입구(82c)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전면흡입구(82a) 및 상면흡입구(82b)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주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제 1송풍팬(92)에 의해 상기 토출구(82d)측으로 송풍되어, 실내기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흡입구(82c)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보조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기 제 2송풍팬(94)에 의해 상기 토출구(82d)측으로 송풍되어 실내기의 전방 및 측방향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흡입구(82c)를 통해 실내기 측면공기까지 흡입하여 풍량이 증가되고, 상기 제 2송풍팬(94)에 의해 실내기의 전방 및 측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출영역이 확대되어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송풍팬이 횡류 팬인 제 1송풍팬과, 원심팬인 제 2송풍팬으로 구성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의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도 송풍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토출영역이 확대되어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송풍팬과 제 2송풍팬의 하나의 모터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제 2송풍팬은 스크롤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유로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토출영역의 확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측면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흡입구를 통해 실내기 측면공기까지 흡입하여 풍량이 증가되고, 상기 제 2송풍팬에 의해 실내기의 전방 및 측방향으로 공기 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토출영역이 확대되어 공기조화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전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제 1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의 측방향으로 송풍시키는 제 2송풍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풍팬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횡류팬이고, 상기 제 2송풍팬은 상기 제 1송풍팬의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된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송풍팬과 제 2송풍팬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나의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송풍팬은 측면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를 안내하는 스크롤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롤하우징의 흡입부는 상기 임펠러의 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고, 토출부는 상기 임펠러의 외주면에 대향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을 향해 폭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흡입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전면흡입구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주열교환기와, 상기 측면흡입구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면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보조열교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50010145A 2005-02-03 2005-02-0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2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145A KR100728674B1 (ko) 2005-02-03 2005-02-0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145A KR100728674B1 (ko) 2005-02-03 2005-02-0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076A true KR20060089076A (ko) 2006-08-08
KR100728674B1 KR100728674B1 (ko) 2007-06-15

Family

ID=3717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1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8674B1 (ko) 2005-02-03 2005-02-03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726A (zh) * 2013-07-25 2014-10-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CN108266812A (zh) * 2018-03-23 2018-07-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挂机及空调器
WO2019065857A1 (ja) 2017-09-27 2019-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0023972A (ja) * 2017-09-27 2020-0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1720349A (zh) * 2020-07-20 2020-09-29 东莞市鸿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风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303B1 (ko) * 2012-01-31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4623506B (zh) * 2020-12-11 2023-12-2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979A (ja) * 1999-12-15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022198A (ja) * 2000-07-04 2002-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726A (zh) * 2013-07-25 2014-10-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WO2019065857A1 (ja) 2017-09-27 2019-04-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20023972A (ja) * 2017-09-27 2020-0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11384765B2 (en) 2017-09-27 2022-07-12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CN108266812A (zh) * 2018-03-23 2018-07-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挂机及空调器
CN108266812B (zh) * 2018-03-23 2024-01-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挂机及空调器
CN111720349A (zh) * 2020-07-20 2020-09-29 东莞市鸿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风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74B1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52465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8005159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707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111687A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KR2005011621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7286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5997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419941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4841B1 (ko) 투인원 초슬림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382522B1 (ko) 공기조화기의 컨버터블형 실내기
KR1007707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상부 공기 토출 플랩 구동장치
KR10252204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07468B1 (ko) 코너형 공기조화기
KR10098861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101419944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191341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JPWO201912374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17130B1 (ko) 공조용 송풍장치
KR0160432B1 (ko) 실내기의 스태빌라이져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JP200114125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624737B1 (ko) 공기조화기
KR0149979B1 (ko) 실내기의 스태빌라이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3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28674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61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6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6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