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84083A -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083A
KR20060084083A KR1020050004083A KR20050004083A KR20060084083A KR 20060084083 A KR20060084083 A KR 20060084083A KR 1020050004083 A KR1020050004083 A KR 1020050004083A KR 20050004083 A KR20050004083 A KR 20050004083A KR 20060084083 A KR20060084083 A KR 20060084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eonol
content
extract
purifying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0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4083A/ko
Publication of KR2006008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82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825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all hydroxy groups bound to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84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단피내에서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강된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단피를 가열처리하여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파에오놀의 함량이 증강된 목단피에 에탄올 추출, 용해도차 및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산화, 항염증, 항암, 진정작용, 동맥경화 저해등 활성화합물인 파에오놀 함량을 증강시켜 추출해낼 수 있다.
목단피, 가열, 파에오놀, 함량, 추출, 정제

Description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 증강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강된 파에오놀의 정제방법{Methods for increasing paeonol content in Moutan Cortex, and the method for extraction of paeonol having increased contents obtained by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목단피내 활성 화합물로서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킨 다음 그 추출물로부터 파에오놀을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가열처리전후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정제된 파에오놀의 수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정제된 파에오놀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처리시 온도별 파에오놀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처리후 목단피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G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항산화 활성비교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목단피내에서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함량이 증강된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처리한 목단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항암, 진정작용, 동맥경화 저해 등의 활성화합물인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고, 상기 추출물로부터 활성화합물인 파에오놀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단피(Moutan Cortex)는 갈잎떨기나무에 속하는 모란(Paeonia moutan Sims., 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의 뿌리껍질로 관상 - 반관상을 이루고, 외면은 암갈색 - 자갈색을 나타내고 가로로 길며, 작은 원형인 측근의 자국과 세로주름이 있고, 내면은 엷은 회갈색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단피에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파에오놀(paeonol)은 문헌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항산화, 항염증, 항암, 진정작용, 동맥경화 저해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파에오놀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02416169-PAT00001
문헌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파에오놀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문헌으로는 Tang, Jingrong; Shi, Lin; Li, Shengting.에 의한 “파에오놀이 정상 및 칼슘파라독스 배양된 신생 쥐 심근세포내 지질 퍼옥시다제에 미치는 영향” Zhongcaoyao (1990), 21(12), 547-549” 및 Tang, J; Shi, L;에 의한 “칼슘 파라독스도중 배양된 신생 쥐 심장 세포에 대한 파에오놀의 보호 효과”. Zhongguo zhong yao za zhi (1991), 16(9), 557-569등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에 관한 문헌으로는 Chou, Tz-Chong.에 의한 “가라기난-유발시킨 열 과민증내 파에오놀의 항염증 및 진통효과.”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03), 139(6), 1146-1152 및 Wu, Guanzhong; Hang, Bingqian; Hang, Jingxia; Ling, Gengxin.에 의한 “파에오놀의 항염증 효과 및 그 메카니즘.” Zhongguo Yaoke Daxue Xuebao (1989), 20(3), 147-150등이 있으며, 항암작용에 관한 문헌으로는 Sun, Guoping; Shen, Yuxian; Zhang, Lingling; Zhou, Aiwu; Wei, Wei; Xu, Shuyun. “HepA 종양 쥐내 파에오놀의 면역조절 및 항종양 활성에 대한 연구.” Zhongguo Yaolixue Tongbao (2003), 19(2), 160-162등이 있으며, 진정작용에 관한 문헌으로는 김승훈, 김성애, 박미경, 김성형, 박영두, 나호정, 김형민, 신민규, 안규석에 의한 “파에오놀은 히스타민 및 TNF-α를 조절함으로써 아낙필락시성(anaphylactic) 작용을 억제한다.”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04), 4(2), 279-287 및 Wu, Guanzhong; Hang, Bingqian; Hang, Jingxia; Lin, Gengxin.에 의한 “파에오놀의 항과민성 효과.” Zhongguo Yaoke Daxue Xuebao (1990), 21(2), 103-106등이 있으며, 동맥경화 저해에 관한 문헌으로는 Dai, Min; Zhi, Xiaomei; Peng, Daiyin; Liu, Qungyun. “메추라기내 실험적인 동맥경화증에 대한 파에오놀의 억제 효과.” Zhongguo Zhongyao Zazhi (1999), 24(8), 488-49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목단피내 파에오놀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중국 특허공개 제1331968(20020123)호와 1142338(19970212)호가 있으나, 상기 특허들은 각각 파에오놀이 함유된 치약 제조, 및 파에오놀이 함유된 심장병 예방용 건강담배의 제조방법에 불과한 것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목단피중 파에오놀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술 및 이같이 함량이 증강된 파에오놀을 추출해내는 방법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목단피내 활성화합물인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에오놀 함량이 증가시키도록 처리한 목단피로부터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목단피를 50-210℃에서 5-60분간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제1견지의 방법에 의해 파에오놀의 함량이 증강된 목단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매로 1회 내지 5회 분배 추출한 뒤 농축하여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을 메탄올, 헥산, 아세트산, 에틸아세테이트, 개미산,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이상을 혼합한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젤, 역상 실리카젤, 고속액체 및 세파덱스(Sephadex)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담체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목단피내 활성 화합물인 파에오놀은 목단피를 가열처리함으로서 그 함량을 극대화하게 된다. 그 가열온도는 50~210℃에서 5~60분간, 바람직하게는 140~200℃에서 20~60분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200℃에서 20~60분간 가열처리하는 것 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파에오놀의 함량을 의도하는 만큼 충분히 증강시킬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가열을 위한 기계로는 자체 제작한 전기볶음 기계뿐 아니라 가열기, 가압기등 목단피를 적절하게 가열할 수 있는 기계라면 어떤 종류든지 사용가능하다.
이와같이 파에오놀 함량을 증가시킨 목단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는다. 에탄올 농도로는 50~100%, 바람직하게는 80~95%,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 감압증류, 스프레이 드라이등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얻어진 추출물에 적정량, 바람직하게는 대략 3배량정도의 물을 가하여 분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나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분산시 사용한 물의 0.5~3배, 바람직하게는 물과 동량으로 사용하여 1~5회, 바람직하게는 2~3회, 가장바람직하게는 2회 분배추출한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분배추출물은 농축시켜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을 얻는다.
상기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은 메탄올, 헥산, 아세트산, 에틸아세테이트, 개 미산,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이상을 혼합한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젤, 역상 실리카젤, 고속액체 및 세파덱스(Sephadex)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담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젤을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여 함량이 증강된 파에오놀 순수함유 분획을 얻게 된다.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경우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분리능이 뛰어나 효울적이다. 한편, 상기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은 분리하기에 앞서 증류, 감압증류,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어등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농축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목단피의 에탄올 추출물 1g당 파에오놀을 454.3±5.7mg 범위내까지 증강시켜 얻어낼 수 있는 것으로, 비단 목단피뿐 아니라 파에오놀을 함유하는 유사식물에 대하여도 상술한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동일 내지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얻어진 파에오놀에 약학적, 향장품학적, 또는 식품학적 조성물로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희석제 등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성분들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여기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 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들 수 있다. 그 사용가능한 함량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00mg 내지 10g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외에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의 일예로는, 활성 성분을 담체와 혼합 혹은 희석시킬 수 있으며, 또는 캡슐, 사셰, 종이 또는 다른 종류의 담체에 담을 수 있다. 이때, 담체는 희석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활성 성분을 위한 비히클, 부형제 또는 매질로 작용하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제제는 정제, 환제, 분산제, 과립제, 엘릭서, 현탁제, 유화제, 용액, 시럽제, 에어로졸제,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포장된 분말제 및 연고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파에오놀 제제는 투여후 활성 성분을 급속하게, 지속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지연시켜 방출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진정작용, 동맥경화저하등 성인병의 예방ㆍ치료에 효과적인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화합물로서 파에오놀의 1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체중 1kg당 약0.1-20 mg의 범위내이면 충분하며, 건강보조용 기능성 식품 혹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로서 환산값으로 체중 1kg당 100mg 내지 10 g의 범위내이면 충분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예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목단피의 가열처리가 파에오놀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본 실시예는 목단피를 가열처리함으로써 파에오놀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한다.
우선 도 1의 흐름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목단피를 수집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잘게 자르거나 부수고, 그 500g을 전기볶음 기계를 이용하여 190℃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80℃에서 95% 에탄올로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 하여 추출물 84.56g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수 1ℓ에 분산시킨 다음 동량의 디클로 로메탄으로 3회 분배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에 가용성인 부분만을 혼합하여 농축시킴으로써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으로서 10.46g을 얻었다.
그런 다음, 상기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에 대하여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머크사제, No.7734, 컬럼크기 4, 54.5cm, 용출액: 핵산-에틸아세테이트-아세트산= 100-1-1%부터 시작하여 1-1-1%로 기울기를 주어 용출)를 수행하여 13개의 분획을 얻었으며, 이중 3번째 분획에서 HPLC상 순도 95%인 파에오놀 6.23g을 얻어내었다.
본 실험에서 분리한 파에오놀(paeonol) (HPLC UV 280 nm상 순도 95% 이상)을 표준물질로 하여 HPLC에서의 피크 지역(peak area) 과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검량선 [Y(peak area) = 0.0469 × X (concentration in μg) + 0.0014625, r2 = 0.9948]을 작성하였으며 미지농도의 피크 지역(peak area)를 상관관계식에 대입하여 파에오놀(paeonol)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로스팅(Roasting) 처리 후 증가하는 파에오놀의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로스팅(roasting) 처리 후 목단피 에탄올 추출물 10 mg을 1 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4.5 μm 막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 후 이 중 20 ㎕를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조건은 1%의 아세트산(acetic acid)를 포함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0%에서 100%가 되도록 60분간 농도구배를 주어 분석하였다. 사용된 컬럼(column)은 ZORBAX Eclipse XDB-C18 (4.6×150 mm, 5 μm, Agilent, USA)이며, 유속은 0.8 ml/min, 검출은 280 nm에서 하였다.
부가하여 상기 공정을 5회 반복실시하고 이를 에탄올 추출물 1g 기준으로 환산한 환산치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파에오놀 함량(g) 6.23 6.02 5.96 6.15 6.33
파에오놀 환산치((에탄올 추출물 1g 기준, mg) 448.6 450.3 454.3 455.4 463.1
상기표에서 보듯이, 파에오놀 함량을 에탄올 추출물 1g으로 환산한 환산치는 454.3±5.7mg이었다.
비교예- 가열처리하지 않은 목단피로부터 얻어낸 파에오놀의 함량
가열처리 공정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수행하여 얻어진 파에오놀 함량은 2.00g이었다.
상기 공정을 4회 반복하고 얻어진 파에오놀 함량 및 이를 목단피의 에탄올 추출물 1g을 기준으로 환산한 환산치를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파에오놀 함량(g) 2.00 1.98 2.21 2.36 1.88
파에오놀 환산치((에탄올 추출물 1g 기준, mg) 138.4 139.9 142.3 144.5 146.8
상기표에서 보듯이, 파에오놀 함량을 에탄올 추출물 1g으로 환산한 환산치는 142.4±3.3mg이었다. 따라서, 상기표 1과 2를 대비한 결과,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파에오놀 함량을 최대 3배까지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파에오놀의 확인
본 실시예는 가열처리후 목단피내 함량이 증강된 물질이 순수 파에오놀인지를 확인하고자 실험한 것으로, 도 2 내지 4를 참조한다.
HPLC 크로마토그램
우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목단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얻어진 목단피의 에탄올 추출물(대조군)에 대한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변화를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단의 대조군에서는 매우 작은 파에오놀 피크를 보이는데 반해, 하단의 실시예에서는 그 피크가 매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공명 스펙트럼
또한, 상기 목단피 추출물중 함량이 매우 증가된 물질에 대한 수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과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3 및 4 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로부터 보듯이, 각 핵자기공명스펙트럼의 결과와 파에오놀이 나타내는 특성이 정확히 일치하였으므로, 이 화합물을 파에오놀로 동정하였다.
실시예 3- 목단피의 최적 가열온도 확인
본 실시예는 목단피를 가열처리시 최적 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도 5를 참조한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대한 가열온도별 파에오놀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듯이, 50~210℃ 범위내에서 파에오놀의 함량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40~200℃에서 파에오놀의 생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180~200℃부근에서 파에오놀의 생성이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목단피의 최적 가열시간 확인
본 실시예는 목단피를 가열처리시 최적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최적 가열온도를 감안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목단피 추출물에 대한 가열시간별 파에오놀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파에오놀 함량변화 5분 20분 30분 40분 60분
50℃ 145.3 150.3 172.5 176.3 166.9
150℃ 143.9 175.6 200.1 199.3 200.0
170℃ 146.3 188.6 206.3 208.3 205.9
190℃ 142.5 440.3 454.3 449.9 430.0
210℃ 145.9 165.3 275.3 255.6 230.6
상기표에서 보듯이, 50~210℃ 온도에서 5~60분간 가열시키면 파에오놀의 함량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40~200℃온도에서 20~60분간 가열시키면 파에오놀의 생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180~200℃부근에서 20~60분간 가열시키면 파에오놀의 생성이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항산화 활성도 측정
본 실시예는 DPPH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한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라디칼 소거활성은 브로이즈(Blois)의 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각 25 및 100 ppm 농도를 갖는 시료들을 포함하는 200㎕의 에탄올 용액에 4X10-4 M DPPH 용액 800㎕를 가하여 10초간 혼합한 후 10분간 방치하고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그 소거활성을 하기식에 의거하여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소거활성 = {1-(S/C)}X100
(여기서, S는 시료를 가하였을 때 흡광도치이며, C는 시료를 포함하지 않는 200㎕의 에탄올 용액의 흡광도치이다)
상기 실험을 2회 반복한 다음 평균값을 계산하여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양성대조군으로서는 BHA(부틸화된 히드록시안니솔)를 사용하였다. 도 6에 도시한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열처리에 의하여 약 10%정도 항산화 활성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가열처리후 항산화활성의 변화 뿐 아니라 ACE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및 TNF-α (종양 네크로시스 팩터-α) 등에 대한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보았으나 뚜렸한 활성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목단피를 예로 들어 파에오놀의 함량 증강을 예시하고 있으나, 파에오놀을 함유하는 유사 식물류에 대한 동일한 가열처리를 통해서도 동일 내지는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산화, 항염증, 항암, 진정작용, 동맥경화 저해등 활성화합물인 파에오놀 함량을 증강시켜 추출해낼 수 있다.

Claims (8)

  1. 목단피를 50~210℃에서 5~60분간 가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는 140~200℃에서 20~60분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는 180~200℃에서 20~60분간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함량을 증강시키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파에오놀의 함량이 증강된 목단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매로 1회 내지 5회 분배 추출한 뒤 농축하여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유기용매 가용성 분획을 메탄올, 헥산, 아세트산, 에틸아세테이트, 개미산,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이상을 혼합한 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젤, 역상 실리카젤, 고속액체 및 세파덱스(Sephadex)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담체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파에오놀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추출용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2회 내지 3회 분배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로는 실리카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추출물을 물에 분산시키기에 앞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8. 제4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유기가용성 분획을 정제하기에 앞서 건조시킨 다음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KR1020050004083A 2005-01-17 2005-01-17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Ceased KR20060084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83A KR20060084083A (ko) 2005-01-17 2005-01-17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083A KR20060084083A (ko) 2005-01-17 2005-01-17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83A true KR20060084083A (ko) 2006-07-24

Family

ID=3717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83A Ceased KR20060084083A (ko) 2005-01-17 2005-01-17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4083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5833A (zh) * 2010-05-25 2011-02-16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测定卷烟中中药材添加剂主要活性成份丹皮酚的方法
CN102908648A (zh) * 2012-10-24 2013-02-06 合肥工业大学 一种凝胶型丹皮酚空气清新剂
CN103196712A (zh) * 2013-02-23 2013-07-10 安徽师范大学 植物中丹皮酚检测用样品制备方法和丹皮酚检测方法
CN103342670A (zh) * 2013-07-18 2013-10-09 山东方明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丹皮酚磺酸钠的纯化方法
US9066974B1 (en) 2010-11-13 2015-06-30 Sirbal Ltd.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ing psoriasis
US9095606B1 (en) 2010-11-13 2015-08-04 Sirbal Ltd.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ing psoriasis
CN105372378A (zh) * 2014-08-28 2016-03-02 神威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牡丹皮配方颗粒的质量检测方法
CN105801392A (zh) * 2016-04-14 2016-07-27 重庆大学 一种丹皮酚的提取方法
CN107118089A (zh) * 2017-05-16 2017-09-01 广州市娇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从植物中制备牡丹酚的方法及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CN107142152A (zh) * 2017-05-18 2017-09-08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含牡丹酚的牡丹籽油复合天然抗氧化剂
CN111018738A (zh) * 2019-12-20 2020-04-17 安徽医科大学 丹皮酚衍生物、药物制剂、制备方法与应用
KR20200073015A (ko) * 2018-12-13 2020-06-23 (주)아모레퍼시픽 파에오니아속 식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처리 기술
CN112961729A (zh) * 2021-03-24 2021-06-1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负压蒸馏条件优化提取牡丹纯露的方法
CN113861003A (zh) * 2021-11-04 2021-12-31 山东东宇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牡丹皮中丹皮酚的提取方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5833A (zh) * 2010-05-25 2011-02-16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测定卷烟中中药材添加剂主要活性成份丹皮酚的方法
CN101975833B (zh) * 2010-05-25 2013-04-17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测定卷烟中中药材添加剂主要活性成份丹皮酚的方法
US9066974B1 (en) 2010-11-13 2015-06-30 Sirbal Ltd.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ing psoriasis
US9095606B1 (en) 2010-11-13 2015-08-04 Sirbal Ltd.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ing psoriasis
CN102908648A (zh) * 2012-10-24 2013-02-06 合肥工业大学 一种凝胶型丹皮酚空气清新剂
CN103196712A (zh) * 2013-02-23 2013-07-10 安徽师范大学 植物中丹皮酚检测用样品制备方法和丹皮酚检测方法
CN103196712B (zh) * 2013-02-23 2016-04-13 安徽师范大学 植物中丹皮酚检测用样品制备方法和丹皮酚检测方法
CN103342670A (zh) * 2013-07-18 2013-10-09 山东方明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丹皮酚磺酸钠的纯化方法
CN105372378A (zh) * 2014-08-28 2016-03-02 神威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牡丹皮配方颗粒的质量检测方法
CN105801392A (zh) * 2016-04-14 2016-07-27 重庆大学 一种丹皮酚的提取方法
CN107118089A (zh) * 2017-05-16 2017-09-01 广州市娇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从植物中制备牡丹酚的方法及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CN107118089B (zh) * 2017-05-16 2021-03-23 广州市娇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从植物中制备牡丹酚的方法及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CN107142152A (zh) * 2017-05-18 2017-09-08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含牡丹酚的牡丹籽油复合天然抗氧化剂
CN107142152B (zh) * 2017-05-18 2021-10-12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含牡丹酚的牡丹籽油复合天然抗氧化剂
KR20200073015A (ko) * 2018-12-13 2020-06-23 (주)아모레퍼시픽 파에오니아속 식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처리 기술
CN111018738A (zh) * 2019-12-20 2020-04-17 安徽医科大学 丹皮酚衍生物、药物制剂、制备方法与应用
CN111018738B (zh) * 2019-12-20 2023-03-21 安徽医科大学 丹皮酚衍生物、药物制剂、制备方法与应用
CN112961729A (zh) * 2021-03-24 2021-06-1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负压蒸馏条件优化提取牡丹纯露的方法
CN112961729B (zh) * 2021-03-24 2023-10-13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负压蒸馏条件优化提取牡丹纯露的方法
CN113861003A (zh) * 2021-11-04 2021-12-31 山东东宇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牡丹皮中丹皮酚的提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4083A (ko) 목단피내 파에오놀의 정제방법
US7977516B2 (en) Process of obtainment of trans-resveratrol and/or emodin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20120006029A (ko) 신규한 화합물 살비아놀릭산 l,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N101380390B (zh) 普洱熟茶标准提取物prc-001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JP2002267655A (ja) ニシキギ科サラキア属の植物および/またはそれからの抽出物の品質判定方法
WO2011065799A2 (ko) 차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된 차수
US6906100B2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derived from olives and methods of the use thereof
CN109942649B (zh) 一种吲哚苷类化合物及其提取分离方法和应用
Xi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mei (Prunus mume) and its active phytochemicals
CN102657362B (zh) 一种显著改善化橘红提取物口感的方法及应用
KR0180688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62174B1 (ko) 감잎으로부터 얻은 에이엠피케이를 활성화 시키는 트리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과 치료용 조성물
CN111848565B (zh) 单萜基双香豆素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4772190B2 (ja) 皮膚美白剤
KR100313323B1 (ko)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KR101500836B1 (ko) 참나무 분획 복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750500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CN106317000B (zh) 一种丹酚酸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659771B1 (ko) 한국산 겨우살이 유기추출물로부터 항암 화합물 베루틴과베투린 산의 정제 및 이 추출물의 제조방법
JP4437019B2 (ja) キンポウゲ科クロタネソウ属植物のアルコール抽出物とその用途
KR100490682B1 (ko)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에피오레아놀린산의 분리방법
KR100592176B1 (ko) 캄페롤-3-갈락토피라노사이드,캄페롤-3-0-알파-l-람노피라노사이드,캄페롤-3-0-베타-l-글루코피라노사이드가 함유된도인추출물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KR100765436B1 (ko) 결명자 내 아우란티오-옵투신의 함량 증가방법 및 함량이증가된 아우란티오-옵투신의 정제방법
KR20070039409A (ko) 천문동 내 hmf의 함량 증강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함량이 증강된 hmf의 정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71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6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