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776A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 Google Patents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3776A KR20060083776A KR1020050004713A KR20050004713A KR20060083776A KR 20060083776 A KR20060083776 A KR 20060083776A KR 1020050004713 A KR1020050004713 A KR 1020050004713A KR 20050004713 A KR20050004713 A KR 20050004713A KR 20060083776 A KR20060083776 A KR 200600837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concrete
- shear
- channel
- side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odulators or modulation methods covered by H03C
- H03C2200/0004—Circuit elements of modulators
- H03C2200/0016—Pre-emphasis or de-emphasis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재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 없고, 보와 슬래브가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접합관계를 유지하며,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가 3축 응력상태가 되어 보다 큰 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member used to form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does not need a separate formwork for placing concrete, the beam and the slab maintains a structurally stable joint relationship without a separate shear connector, the concrete filled in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nd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so that a triaxial stress state can exhibit a greater strength.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양측벽부(12, 12')와, 상기 양측벽부(12, 12')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접속부(13, 13')로 구성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한 채널형 강재 보(10)와; 상기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에 그 양측 단부가 접합되며 상기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 12')로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22)이 천공되고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전단연결재로서 기능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ortion 11, both side wall portions 12, 12 'formed from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outer side from the tip of the side wall portions 12, 12', respectively A channel-shaped steel beam 10 configured to have an upper portion formed by connecting portions 13 and 13 'formed to extend; Both ends are join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13 and 13 'of the channel-shaped steel beam 10, and a plurality of spaces are formed so that concrete can be tightly filled in the space consisting of the bottom portion 11 and both side wall portions 12 and 12'. Two holes 22 are perforated and embedded in slab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type shear confinement plate 20 bent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function as a shear connector.
합성보, TSC 보, 맞물림키, 데크 플레이트, 스터드, 덮개형 전단구속판Composite beam, TSC beam, interlocking key, deck plate, stud, shroud shear plat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전단구속판이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접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Figure 2a to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s.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있어 덮개형 전단구속판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a to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nt of the cover shear plate in the permanent steel formwor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적용된 맞물림키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a to 4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gagement key applied to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를 이용하여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s formed using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데크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s formed by bonding a deck plate to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종래 TSC 보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SC beam.
도 7b는 종래 TSC 보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SC bea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강재 영구거푸집 보 11 : 바닥부10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11: bottom
12, 12' : 측벽부 13,13' : 접속부12, 12 ':
20 : 덮개형 전단구속판 22 : 구멍20: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22: hole
28 : 연결부 30 : 맞물림키28: connection portion 30: engagement key
31 : 강판 32 : 구멍31: steel plate 32: hole
34 : 격판 36 : 철근34: plate 36: rebar
50 : 슬래브 콘크리트 52, 54 : 슬래브 철근50:
60 : 보 콘크리트 70 : 데크 플레이트60: beam concrete 70: deck plate
본 발명은 강재 보와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합성한 강콘크리트 합성보(강합성 부재)를 구현하기 위한 덮개형 전단구속판을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 구조요소로 활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having a sheath-type shear restraint plate for implementing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steel composite member) synthesized with a steel beam and field-actuated concrete, and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as a structural element.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철근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나 교량구조물의 형하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is made of steel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to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is applied to concrete when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and the tensile stress is applied to the steel.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loor space of building structures or the geometry of bridge structures, to make long span structures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strength and resistance stiffness of beam section, and to increase the ultimat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형강은 강재 이용 측면에서 볼 때 휨에 의해 부재에 발생하는 인장력, 압축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부재단면이지만, H형강을 이용한 합성보는 정모멘트 구간에서 합성단면의 중립축이 상부 플랜지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압축력의 대부분을 부담하므로 상부 플랜지가 비효율적인 저항단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합성보 부재의 강도평가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므로 장스팬에 많이 적용하고 있는데 이때 상대적으로 단면의 강성이 작아져서 과다 처짐, 진동 등 사용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H-shaped steel, which is generally used to implement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is a member cross section that effectively resists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caused by bending in terms of steel usage. Since the neutral axis of the composite section moves to the upper flange side, the concrete slab bears most of the compressive force, so the upper flange is used as an inefficient resistance section. In addition, since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beam member is excellent in terms of strength evaluation, it is applied to a long span, but the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is relatively small, indicating problems of usability such as excessive deflection and vib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보의 H형강 외부를 철근콘크리트로 둘러싸는 개념의 철골철근콘크리트보(SRC보, Steel-Reinforced Concrete beam)가 개발되었다. SRC보는 단면의 강도나 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자중이 매우 증가되어 현장시공시 거푸집공사 및 동바리공사에 면밀한 주의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모멘트 구간에서 보부재의 단면 하부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대해 H형강을 둘러싼 콘크리트의 기여도 없으므로 비효율적 구조단면이라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휨균열이 육안으로 나타나므로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teel-reinforced concrete beam (SRC beam) has been developed to surround the exterior of H-beams of composite beams with reinforced concrete. SRC beam has the advantages of excellent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cross section, but its own weight is very increased, so it requires a close attention to formwork and copper construction during site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no contribution of concrete surrounding H-shaped steel to tensile stress occurring in the lower section of the beam member in the constant moment section. Therefore, it can be called an inefficient structural section, and the concrete bending crac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have.
상기한 H형강 보를 이용한 합성보에서의 상부 플랜지의 비효율성 및 사용성의 문제와, 철골철근콘크리트 보에서의 시공성 및 단면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SC 보(강판거푸집 합성보)가 알려져 있다.TSC beams are known to solve the problems of inefficiency and usability of upper flanges in composite beams using H-beams as described above, and problems of workability and cross section inefficiency in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s. .
TSC 보는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강판(11), 웨브 강판(12, 12') 및 상부 강판(13, 13')으로 구성되고, 각 강판은 일체화되어 작용외력에 저항내력 을 갖는다. 이때, 상부 강판(13, 13')에는 콘크리트 슬래브(50)와의 경계면에서의 수평전단력에 저항하며 합성보 거동을 하기 위해 스터드(25)가 설치된다. 그리고 휨모멘트에 의해 강판 거푸집(10) 내부의 하부측 콘크리트(61)에 인장 균열이 발생 진전하면 합성부재 단면내력에 도달하지 못하고 파괴할 우려가 있으므로 인장균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부 강판(11)에 스터드(15)를 설치한다. 또한, TSC 보 상단에는 콘크리트 타설 시 웨브 강판(12, 12')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상부 슬래브 작업의 용이성 등을 위해 폭 고정용으로 관통볼트 또는 형강(20)을 부착한다. 미설명부호 '55'은 슬래브 거푸집을 나타내고, '52','54'는 슬래브 철근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TSC beam is composed of the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갖는 TSC 보의 경우, 전단 연결재로 사용되는 스터드(25)가 연성 연결재이므로 이종재료 간, 즉 강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경계면에서의 완전합성효과가 떨어지며, 스터드(25)의 강성부족으로 경계면에서 강재와 콘크리트 간의 상대슬립이 발생하므로서 하부 강판(11)의 재료 강도와 충분한 변형성능에 도달되지 않고 파괴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TSC bea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또한 합성부재에 작용하는 연직 집중하중이나 휨모멘트에 의해 상부 콘크리트(62)에 압축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압축력은 상부 콘크리트(62)를 팽창(부재 직각방향)시켜 웨브 강판(12, 12')을 벌어지게 하는 현상을 나타내 부재의 안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TSC 보의 내부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기 전 상태에서, 개방형 단면은 크레인에 의한 양중작업, 작업자나 공사 자재에 의한 시공중 하중 등에 의해 웨브 강판(12, 12')의 변형을 발생시켜 단면의 기하학적 불안정성을 일으키기 쉽다.In addition, the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in the
또한 TSC 보의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하부 강판 간의 미끄러짐 발생을 저항할 목적으로 전단연결재인 스터드(15)를 배치하였으나 스터드(15)의 강성과 콘크리트 지압저항 투영면적이 작아 하부 콘크리트(61)의 인장균열에 구속저항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즉, 일정하중이후 중립축 아래의 하부 강판은 항복강도에 도달하여 인장변형을 일으키는데, 강재의 하부 인장변형률과 동일한 수준의 변형율을 내부 하부 콘크리트(61)가 갖을 수 없어 부착면 파괴와 인장균열 등으로 상대슬립(slip)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대슬립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내부 하부 콘크리트(61)와 하부 강판(11) 간에 맞물림작용(interloacking action)이 충분히 유발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스터드는 연성연결재로서 TSC 보의 내부에 채워진 하부 콘크리트(61)에 충분한 구속지압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stud (15), which is a shear connector, is dispo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lip between the filled concrete and the lower steel plate inside the TSC beam. However, the rigidity of the stud (15) and the projected area of the concrete acupressure resistance are small, so that the tension of the lower concrete (61) is reduced. The effect of restraint resistance on cracking cannot be expected. That is, after a certain load, the lower steel plate under the neutral axis reaches yield strength and causes tensile strain.The inner
본 발명은 상술한 TSC 보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공하중 등과 같은 연직하중에 대해 단면이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강재와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합성효과가 향상된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TSC beam, the cross section is prevented from opening the vertical load such as construction load,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nd steel concrete using the improved composite effect between the steel and concrete slab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mposite beam.
또한, 본 발명은 보의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보의 바닥부 간의 미끄러짐 발생으로 인해 합성단면의 중립축 이하 부분이 강판 재료의 완전 소성화에 도달하지 못하는 점을 해결하고, 보의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충분한 구속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sub-neutral axis of the composite section does not reach the complete plasticization of the steel sheet material due to the slip between the concret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beam and the bottom of the beam, the concret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be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s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보의 바닥부와 내부 콘크리트 간의 충분한 지압효과 및 전단효과가 발생하도록 맞물림장치(interloacking key)를 설치하여 강재 보의 바닥부가 충분한 소성변형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having an interloacking key installed so that a sufficient acupressure effect and shear effect between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internal concrete is generated to reach a sufficient plastic deform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형 전단구속판이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접합되는 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있어 덮개형 전단구속판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에 적용된 맞물림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type shear binding pl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onded to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Figures 3a to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dified examples of the cover shear plate in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gagement key applied to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1)는,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 12') 및 접속부(13, 13')로 구성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한 채널형 강재 보(10)와, 상기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에 그 양측 단부가 접합되며 다수개의 구멍(22)이 천공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다수개의 덮개형 전단구속판(20)과, 상기 채널형 강재 보(10)의 바닥부(11)에 접합된 맞물림키(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teel
상기 채널형 강재 보(10)는 단일 강판을 절곡하여 바닥부(11), 양측벽부(12, 12') 및 접속부(13, 13'가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이들을 별개의 강판으로 구성한 다음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이렇게 구성된 채널형 강재 보(10)는 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되고,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보강철근 및 전단보강철근과 동일한 기능을 갖으며,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와 함께 외력에 저항하는 합성보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는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받침대 또는 데크 플레이트 받침대로서 기능하게 된다.The channel-
상기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은 그 양측 단부가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에 접합되어 강재 보(10)의 벌어짐을 구속하게 되는데, 채널형 강재 보(10)에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을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에 용접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형 전단구속판(20)에 연결부(28)를 더 형성하여 접속부(13, 13')에 볼트 접합하거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 강재 보(10)를 관통하는 관통볼트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The cover type
상기 덮개형 전단구속판(20)에는 채널형 강재 보(10) 내부에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고 슬래브 철근을 관통배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22)을 형성한다. 이때, 구멍(22)은 슬래브 철근을 간편하게 위에서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도 3d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게 천공할 수 있다.The cover type
그리고 단면은 슬래브 철근 배근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 작업하중을 견디도록 하고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전단연결재로서 기능하도록 절곡된 단면 즉, 바닥판(24)과 양측 경사판(26)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 단면으로 한다. 그러나,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i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having a
이렇게 구성된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 강재 보(10)의 개방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다수개로 분할하여 소정 간격으로 채널형 강재 보(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채널형 강재 보(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단일부재로 구성하여 채널형 강재 보(10)에 접합할 수도 있다.The cover-type
상술한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은 채널형 강재 보(10)에 작용하는 작업하중 및 채널형 강재 보(10)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채널형 강재 보(10)의 양측벽부(12, 1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부재단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별도의 전단연결재 없이 채널형 강재 보(10)와 콘크리트 슬래브 경계면에서의 수평 및 수직전단력에 저항하여 유효하게 합성보 거동을 구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형 전단구속판(20)에 천공된 구멍(22)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면내전단력과 꽂임촉 작용(dowel action)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above-described sheath-type
상기 채널형 강재 보(10)의 바닥부(13)에는 바닥부(13)와 내부 콘크리트 간의 충분한 지압효과 및 전단효과가 발생하도록 맞물림키(30)를 설치하는데, 맞물림키(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강판(31)에 소정 간격 으로 다수개의 구멍(32)을 천공하고 상기 다수개의 구멍(32)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격판(34)을 상기 강판(3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결합한 것이다. In the
여기서, 상기 구멍(32)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36)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34)의 양단을 절곡하여 절곡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렇게 구성된 맞물림키(30)는 채널형 강재 보(10)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 균열을 제어하는데, 특히, 격판(34)은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 균열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아주 효과적이다. .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영구거푸집 보를 이용하여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단일 강판을 절곡하여 바닥부(11), 양측벽부(12, 12') 및 접속부(13, 13'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이들을 별개의 강판으로 구성한 다음 용접하여 채널형 강재 보(10)를 제작하고, 바닥부(11)에 맞물림키(30)를 용접한 다음, 접속부(13, 13')에 덮개형 전단구속판(20)을 용접하여 제작된 강재 영구거푸집 보(1)를 현장에 반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강재 영구거푸집 보(1)는 H형강보와 동일하게 취급이 가능하므로 타 부재(강재 기둥, 거더)와의 접합은 현장 작업이 용이한 기존의 강재 부재의 접합방법(볼트접합, 용접접합)을 그대로 이용한다. First, the single steel sheet is bent to form the
다음,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한 후, 보와 슬래브 철근(52, 54)을 배근하고 채널형 강재 보(10) 내부에 채워지는 보 콘 크리트와 슬래브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강콘크리트 합성보와 슬래브 콘크리트(50)는 일체화된다. Next, after installing the slab formwork in the connecting portion (13, 13 ') of the channel-shaped
이때, 슬래브 거푸집 대신에 데크 플레이트가 사용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형 강재 보(10)의 접속부(13, 13') 상에 데크 플레이트(70)의 단부를 올려놓고 접속부(13, 13')와 데크 플레이트(70)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70)의 이동을 구속하면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eck plate is used instead of the slab formwork, as shown in Figure 6, th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완성된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 없고, 보와 슬래브의 합성작용을 위한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접합관계를 유지하며, 덮개형 전단구속판(20)과 채널형 강재 보(10)로 둘러 쌓인 내부 콘크리트는 강관에 충전된 콘크리트와 마찬가지로 구조적으로 3축 응력상태가 되어 보다 큰 내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The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completed by the above process does not need a separate formwork for beam concrete placing, and maintains a structurally stable joint relationship without a separate shear connector for the composite action of the beam and slab, and the cover type shear restraint The inner concrete surrounded b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직하중에 대해 단면이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강재와 콘크리트 경계면에서의 합성효과가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cross section is sprea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is prevented, and the synthesizing effec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eel and the concrete is improved without using a separate shear connector.
또한, 강재 영구거푸집 보의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바닥부 간의 미끄러짐 발생이 방지되어 중립축 이하 강재보가 충분한 소성변형에 도달이 용이하여 소성 중립축 형성이 용이하며, 강재 영구거푸집 보의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충분한 구속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lip between the concrete filled in the steel permanent form beams and the bottom part, so that the steel beams below the neutral axis easily reach the plastic deformation, so that the plastic neutral axis can be easily formed. It can have a restraining effect.
또한, 강재 영구거푸집 보와 데크 플레이트 간의 연결을 간편하고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and the deck plate can be made simpler and more secure.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어떠한 수정이나 변형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claims will cover any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713A KR100654075B1 (en) | 2005-01-18 | 2005-01-18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713A KR100654075B1 (en) | 2005-01-18 | 2005-01-18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776A true KR20060083776A (en) | 2006-07-21 |
KR100654075B1 KR100654075B1 (en) | 2006-12-05 |
Family
ID=3717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713A Expired - Lifetime KR100654075B1 (en) | 2005-01-18 | 2005-01-18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4075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396B1 (en) * | 2006-04-06 | 2007-03-1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Shear Connector |
KR100684395B1 (en) * | 2006-04-06 | 2007-03-1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connector |
KR100947306B1 (en) * | 2007-12-04 | 2010-03-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056370B1 (en) * | 2009-03-17 | 2011-08-12 | 주식회사 보국산업 | Shear connector |
CN106223188A (en) * | 2016-09-27 | 2016-12-14 | 广东工业大学 | A kind of bridge and shearing resistance combinative structure thereof |
CN107724600A (en) * | 2017-09-30 | 2018-02-23 | 李新华 | Combination beam |
CN110158442A (en) * | 2019-06-25 | 2019-08-23 | 刘雁峰 | Shell connects flitch structural bridge |
CN110904809A (en) * | 2019-10-15 | 2020-03-24 | 重庆大学 | T beam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rapped outside web |
CN116733168A (en) * | 2023-06-13 | 2023-09-12 | 上海大学 |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6927422A (en) * | 2023-08-16 | 2023-10-24 | 渝建建筑工业科技集团有限公司 | Adopt outsourcing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of U-shaped connecting pie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1545B1 (en) | 2010-08-20 | 2012-10-15 | 김영호 |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
KR101144586B1 (en) * | 2011-03-09 | 2012-05-09 | 김영호 | Steel built-up beam having closed section for applying long span and reduction of height and concrete filled composite beam system using the same |
KR101274994B1 (en) * | 2011-05-31 | 2013-06-1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Concrete filled double steel tube and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
KR101557226B1 (en) | 2014-04-23 | 2015-10-0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KR101533576B1 (en) * | 2014-06-19 | 2015-07-06 | (주)엔아이스틸 |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a concret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3986B2 (en) * | 1989-07-13 | 1998-10-22 | 東都化成株式会社 | Epoxy resin composition for anticorrosion powder coating for buried steel pipes |
JP2002004474A (en) * | 2000-06-22 | 2002-01-09 | Shimizu Corp | Beam structure |
-
2005
- 2005-01-18 KR KR1020050004713A patent/KR10065407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4396B1 (en) * | 2006-04-06 | 2007-03-1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Shear Connector |
KR100684395B1 (en) * | 2006-04-06 | 2007-03-12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Shear connector |
KR100947306B1 (en) * | 2007-12-04 | 2010-03-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1056370B1 (en) * | 2009-03-17 | 2011-08-12 | 주식회사 보국산업 | Shear connector |
CN106223188A (en) * | 2016-09-27 | 2016-12-14 | 广东工业大学 | A kind of bridge and shearing resistance combinative structure thereof |
CN107724600A (en) * | 2017-09-30 | 2018-02-23 | 李新华 | Combination beam |
CN110158442A (en) * | 2019-06-25 | 2019-08-23 | 刘雁峰 | Shell connects flitch structural bridge |
CN110904809A (en) * | 2019-10-15 | 2020-03-24 | 重庆大学 | T beam with corrugated steel plate wrapped outside web |
CN116733168A (en) * | 2023-06-13 | 2023-09-12 | 上海大学 |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6927422A (en) * | 2023-08-16 | 2023-10-24 | 渝建建筑工业科技集团有限公司 | Adopt outsourcing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of U-shaped connecting pie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4075B1 (en) | 2006-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4075B1 (en)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cover type shear binding plate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it | |
JP7103962B2 (en) | Earth retaining structure and earth retaining method | |
KR2011003268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beams with steel or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end reinforced with reinforced concrete | |
KR102110559B1 (en) | Wall structure for reinforcing joint cap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0690198B1 (en)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s with U-shaped connecting material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using them | |
JP2008223370A (en) | Rigid structure of corner | |
JP6132132B2 (en) | High performance perforated steel plate gibber | |
JP4691690B2 (en) |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edestal | |
KR100690197B1 (en) | Steel permanent formwork beam with flat sheer connector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
JP4912030B2 (en) | Junction structure between pier and pile | |
KR101740598B1 (en) | Steel girder having hollow cap beam reinforcement material | |
KR101954614B1 (en) | Strcutrue of connecting traverse beam with main beam in bridge upper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1814750B1 (en) | Hybrid girder having upper charging flange tub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of the same | |
JP2008144459A (en) | Slab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mposite floor slab | |
JP7158231B2 (en) | Composite column, bridge pier using same, construction method | |
JP4293696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floor slab bridge | |
JP7412244B2 (en) | cloth foundation | |
JP715709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 |
JP2022174578A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
JP2006316495A (en) | Foundation structure of bridge p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662774B1 (en) | Cheolgolbo Joint Connection Device | |
JP7263671B2 (en) | pile foundation structure | |
JP2006169837A (en) | Reinforced concrete column beam connection structure | |
KR100638673B1 (en) | Joint structure of shift and steel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 integral shift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