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80587A -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587A
KR20060080587A KR1020067005128A KR20067005128A KR20060080587A KR 20060080587 A KR20060080587 A KR 20060080587A KR 1020067005128 A KR1020067005128 A KR 1020067005128A KR 20067005128 A KR20067005128 A KR 20067005128A KR 20060080587 A KR20060080587 A KR 20060080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car
handrail
retracted position
elev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오 산스 페르난도 델
미구엘 우르끼호 안토니오 데
팔콘 훌리안 카바냐스
시몬 안드레스 몬쏜
호세 까바제로
호세 고디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0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587A/ko
Publication of KR20060080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58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카(2)는 크로스-헤드 부분(8)과 크로스-헤드 부분(8)에 장착되는 난간(10)을 포함한다. 난간(10)은 카(2)의 정상 작동용의 후퇴 위치로부터 카(2)의 검사 작동용의 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카(2)는 카(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제한하기 위해 크로스-헤드(8)에 또한 장착되는 제2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12, 14)를 더 포함한다. 또 개시된 것은 엘리베이터 카(2)의 정상 작동용의 후퇴 위치와 엘리베이터 카(2)의 검사 작동용의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퇴 가능한 난간(10)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2)이다. 난간(10)은 검사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카(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40, 42, 44)을 포함하며, 콘트롤(40, 42, 44)은 난간(10)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작동될 수 없어도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 검사 안전 장치, 정비용 난간, 후퇴 및 전개식 난간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ELEVATOR INSPECTION SAFETY DEVICE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 상부에서 작업하는 정비 기술자(maintenance engineer)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 공간이 제한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비(machine 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에서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설비로의 증가되는 이행(increasing move)으로 인하여, 정비 기술자가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카의 상부에 올라탈 필요가 있을 경우, 카가 최상층 랜딩에 있을 때 카의 상부에 서 있기에 충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상당한 위험이 제기된다는 것이 이 기술 분야에서 인식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서 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자의 안전을 향상하기 위한 여러 제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481,534호로부터, 수직 칼럼이 승강기 통로와 접촉하는 지점을 넘어서 승강기 통로의 상부 안으로 카가 구동될 수 없도록, 견인 구동 기구의 활주력보다 큰 힘을 지탱할 수 있는, 카의 상부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칼럼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성인의 키보다 긴 수직 칼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자에 대한 충분한 머리 위 공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안전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크로스-헤드 부분과 상기 크로스-헤드 부분에 장착되는 난간(balustrade)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제공되며, 상기 난간은 카의 정상 작동용의 후퇴 위치로부터 카의 검사 작동용의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로 이동 가능하며, 카는 카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헤드에 장착되는 제2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장치들이 카 상부의 머리 위 공간이 제한되는 검사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적합하며, 안전 장치들이 일체식 크로스-헤드 상에 제공되는 구성이 보여질 것이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요구되는 공간의 양을 상당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그리고 이로 인하여 카 상에 서 있는 기술자에게 이용 가능한 공간을 최대화시키면서 제공되는 다중 안전 형상부를 허용한다. 또한, 카의 일부만이 안전 장치들을 장착하기 위한 적절한 강화재로 요구되며 어쨌든 크로스-헤드는 일반적으로 이미 카의 가장 강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은 그 중량 및 비용을 최소화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가 후퇴 가능한 범퍼 또는 안전 볼트 중 하나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두 장치들이 모두 제공된다. 안전 볼트가 카의 어떠한 이동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장치인 반면, 범퍼는 미리 정해진 지점을 넘어서는 카의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이다. 양호하게는, 상기 안전 장치들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엘리베이터 안내 레일에 부착되는 협동하는 구성들을 결합하게 구성된다.
난간은 후퇴 위치일 때 카의 상부의 대체로 일부분을 가로질러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술자가 난간을 전개시키지 않으면서 카의 상부 상에 서 있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양호하게는, 안전 장치가 전개되기 전까지 카의 검사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수단이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들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난간은 검사 동안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콘트롤 박스 내의) 하나 이상의 콘트롤을 포함한다. 이것은 콘트롤들이 난간을 전개시킴으로써 편안한 작업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체 공학적으로 이롭다. 따라서, 기술자가 이러한 콘트롤에 손을 뻗치기 위해 쭈그리고 앉아야 할 필요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상 작동 동안 카 상부에 요구되는 수직 공간의 양을 한정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사 모드 동안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이 난간이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난간 상에 배열된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치가, 즉, 후퇴 가능한 난간이 전개되기 전까지, 기술자가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사실상, 이러한 구성은 크로스-헤드와 합체된 다중 안전 장치들의 제공이 없더라도 그 자체로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용의 후퇴 위치와 엘리베이터 카의 검사 작동용의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퇴 가능한 난간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제공되며, 상기 난간은 상기 검사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을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은 난간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난간 상에 제공된 검사 콘트롤은 콘트롤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해 난간의 위치를 검출하는 다른 수단 또는 스위치와 작동식으로 합체될 수 있다. 그러나, 양호하게는, 콘트롤은 콘트롤이 후퇴 위치에서는 접근할 수 없는 방식으로 난간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된다. 이것은 완전하게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허용하면서 보다 적은 수의 부가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하므로 유익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 및 검사 작동 사이의 절환용 콘트롤이 난간의 전개 위치에서는 작동 가능하지 않지만 후퇴 위치에서는 작동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콘트롤 또는 2세트의 콘트롤이 있으며, 즉,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과 검사 작동 사이의 선택을 위한 그리고 난간의 후퇴에서는 액세스 가능하지만 전개 위치에서는 액세스 불가능한 첫번째 것과, 검사 작동 동안에는 카의 작동을 제어하며 난간의 후퇴 위치에서는 제어하지 않는 두번째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정상 작동과 검사 작동 사이를 선택하기 위한 콘트롤은 난간의 위치를 검출하는 다른 수단 또는 스위치와 작동식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양호하게는 콘트롤의 물리적 위치는 난간의 후퇴 위치에서의 작동을 허용하지만 난간의 전개 위치는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태양에 따르는 콘트롤은 바람직하게는 난간 상에 위치된 콘트롤 박스 상에, 예를 들어, 이 업계에 공지된 형태의 카 검사 박스의 상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카를 후퇴 위치에서 안전 형상부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안전 장치가 전개된 도1과 유사한 도면,
도3a 내지 도3c는 엘리베이터 카 크로스-헤드의 여러 상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카를 후퇴 위치에서의 난간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
도6은 도4의 난간이 전개된 엘리베이터 카의 사시도,
도7은 전개된 난간 상의 카 검사 박스의 상부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카 검사 박스의 상부를 상세히 도시한 상부 및 하부 평면도,
도9a 및 도9b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카 검사 박스의 상부의 상부 및 하부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후퇴된 난간의 부분 평면도,
도11은 전개 후의 도10의 난간의 부분 평면도,
도12a 및 도12b는 각각 도10 및 도11의 TOCI 박스의 상부 및 하부 평면도이 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카(2)를 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2)의 전체 디자인 및 구조는 표준적인 것이고 이 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며,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카(2)는 전방에 한 쌍의 활주 도어(4)를 포함한다. 카의 일 측면에는 사용 중에는 (도시되지 않은) 안내 레일에서 수직 병진 이동하기 위해 카(2)에 장착되는 외팔보식 장착 구성(6)이 있다. 외팔보식 장착 구성(6)의 상부에는 크로스-헤드 부분(8)이 있다.
3개의 분리식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들이, 즉, 후퇴 가능한 난간(10), 후퇴 가능한 범퍼(12) 및 안전 볼트(14)가 크로스-헤드(8)에 장착된다. 따라서, 크로스-헤드(8)는 외팔보식 장착 구성(6)의 강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 장치(10, 12, 14)용의 편리한 일체식 장착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후술되는) 도2에서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전 장치용의 이러한 통합식 장착 구성은 엘리베이터 카(16)의 상부가 대체로 장착 등과 방해되지 않도록 허용하여, 기술자가 주변을 이동할 때 발이 걸려 넘어지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한다.
후퇴 가능한 난간(10)은 2개의 다리에 의해 크로스-헤드(8)에 힌지식으로 장착된 직사각형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 위치의 경우, 난간(10)은 카(16)의 상부에 놓인다. (도시되지 않은) 클립, 래치 등이 후퇴 위치에 서의 난간(10)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후퇴 위치의 경우, 카의 상부 상에서의 조작(manoeuvring)이 어렵도록, 난간이 카의 상부(16)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놓인다. 이것은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난간(10)을 전개시켜야 하는 직관적인 상기(intuitive reminder)를 제공한다.
후퇴 가능한 범퍼(12)는 접촉 패드(12a)와 기저판(12b)을 포함한다. 접촉 패드(12a)는 기저판(12b)에 장착되고, 다시 기저판은 크로스-헤드(8)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범퍼가 도1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부터 도2에 도시된 전개 위치로 수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범퍼가 크로스-헤드로부터 입출식으로(in and out) 활주되도록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가 후퇴 가능한 범퍼와 합체되어, 전개되기 전까지 카의 검사 작동을 방지하고 역으로 전개되었을 때에는 정상 작동을 방지한다.
볼트(14)의 먼 단부(far end)가 크로스-헤드(8)의 외부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 도1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부터, 볼트(14)가 크로스-헤드(8)의 프라우드(proud)를 돌출하는 도2의 전개 위치로 미끄러지게 허용하도록, 안전 볼트(14)는 크로스-헤드(8)를 관통하여 보어 내에 활주식으로 유지된다.
도2는 전술한 3가지 안전 장치(10, 12, 14) 모두가 전개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카(2)를 도시한다. 또한, 도2에는 엘리베이터 안내 레일(20)의 부분이 도시된다.
먼저 난간(10)을 고려하면, 직립 위치로 일으켜졌을 때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직립 위치에서, 난간(10)은 엘리베이터가 카의 상부에서 카와 축의 벽 사이의 틈새 안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난간은 기술자가 붙잡고 있을 만한 그리고 작업용으로 편리한 높이로 카 검사 박스(18)의 상부를 제공하는 편리한 핸드레일(handrail)을 제공한다.
후퇴 가능한 범퍼(14)는 수평으로 회전하여, 후방 가이드 레일(20)에 부착된 충격판(22)의 경로 내에 있는 크로스-헤드(8)의 측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엘리베이터가 충격판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가 축의 상부에 근접하여 위험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안전 볼트(14)는 크로스-헤드(8)의 외부면을 넘어, (도2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제외하여 도시된) 선두 안내 레일(20)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 판(26)의 개구(24) 안으로 돌출된다. 안전 볼트(14)는 엘리베이터 카를 적소에 잠금시킴으로써 어떠한 이동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또는 바람직한 주요 정비(major maintenance)용으로 사용된다.
도3a 및 도3b는 각각 크로스-헤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3c는 도3a의 Z-Z선의 단면이다. 이 3개 도면들은 안전 장치들의 장착 지점을 도시한다. 따라서, 후퇴 가능한 난간(10)용 피봇 지점(28)은 도3a 및 도3c에서 볼 수 있을 것이며, 후퇴 가능한 버퍼(12)용의 체결 지점(30)은 도3a 및 도3b에서 볼 수 있고, 안전 볼트(14)용의 구멍(32)은 도3a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전 장치들이 적절하게 전개되지 않았으며 엘리베이터의 검사 작동을 방지하도록, 안전 스위치들이 임의의 안전 장치(10, 12, 14)와 또는 이들 모두와 합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4 내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 현저한 차이는 카 검사 박스(34)의 상부의 형상에 있다. 도4에서 도시되었으며 도5와 도8b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난간(10)이 도시된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단지 2개의 콘트롤만이 액세스 가능하며, 하나는 정상 작동 및 검사 작동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회전식 스위치(36)이다. 이것은 도8a에서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TOCI 박스(34)의 전단부 상에서 그 위치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비상 정지 버튼(38)이다. 이들 2개의 콘트롤(36, 38)은 랜딩(landing)으로부터 또는 카(2)의 상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다. 그러나, 검사 모드에서의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콘트롤은 이 위치에서 액세스 불가능하다. 도6, 도7 및 도8a는 난간(10)의 전개 위치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후퇴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16)의 상부와 대향하는 TOCI 박스(34)의 면이 이제 액세스 가능하다. 도8a에서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이 면은 엘리베이터의 검사 작동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위, 아래, 공통(common) 및 경보 가압 버튼(40 내지 46)을 포함한다. 또한, 정상 작동 및 검사 작동 사이의 절환용 회전식 스위치(36)는 카 상부의 기술자로부터 이격되게 대향하는 TOCI 박스(34)의 면 상에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쉽게 액세스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상 정지 버튼(38)은 TOCI 박스(34)의 단부 상에 있음으로 인하여 랜딩으로부터 또는 카의 상부로부터 항상 쉽게 액세스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9a 및 도9b는 검사 작동 가압 버튼(40 내지 46)의 다른 가능한 형상을 각 각 도시한 도8a 및 도8b와 유사한 도면들이다.
다른 실시예가 도10, 도11, 도12a 및 도12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난간(10)이 전개되었을 때(도11) 경보 버튼(46)은 TOCI 박스(34)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며, 난간이 후퇴되었을 때(도10) 측면이 TOCI 박스(34)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경보 버튼(46)은 또한 난간(10)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와는 관계없이 랜딩으로부터 및 카의 상부로부터 모두의 경우 액세스 가능하다.
전술한 설명이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많은 변화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으로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크로스-헤드 부분(8)과, 상기 크로스-헤드 부분에 장착되는 난간(10)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2)이며,
    상기 난간은 카의 정상 작동용의 후퇴 위치로부터 카의 검사 작동용의 전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카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헤드에 또한 장착되는 제2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12, 14)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2. 제1항에 있어서, 제2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는 후퇴 가능한 범퍼(12) 또는 안전 볼트(14)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헤드(8)에 장착되는 제3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12, 1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는 후퇴 가능한 범퍼(12) 또는 안전 볼트(14) 중 하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또는 제3 후퇴 가능한 안전 장치(12, 14)는 엘리베이터 안내 레일(20)에 부착된 협동 구조물(22, 26)을 맞물림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간(10)은 상기 후퇴 위치일 때 카(16)의 상부의 대부분을 가로질러 놓여지는 엘리베이터 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가능한 난간(10)은 검사 동안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콘트롤(40, 42, 44)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8. 제7항에 있어서, 검사 모드 동안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40, 42, 44)은 난간이 후퇴 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는 방식으로 난간(10)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
  9.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용 후퇴 위치와 엘리베이터 카의 검사 작동용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퇴 가능한 난간(10)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2)이며,
    상기 난간은 상기 검사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40, 42, 44)을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은 난간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작동될 수 없도록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콘트롤(40, 42, 44)은 후퇴 위치에서는 액세스 불가능한 방식으로 난간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간(10)의 전개 위치에서는 작동 불가능하지만 후퇴 위치에서는 작동 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 및 검사 작동 사이를 절환하기 위한 콘트롤(36)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12. 제11항에 있어서, 정상 작동과 검사 작동 사이를 선택하기 위한 콘트롤(36)의 물리적 위치는 난간(10)의 후퇴 위치에서의 작동은 허용하지만 난간(10)의 전개 위치에서의 작동은 허용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카.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36, 40, 42, 44)은 난간(10) 상에 위치된 콘트롤 박스(18, 34) 상에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카.
KR1020067005128A 2006-03-14 2003-09-15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Ceased KR20060080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128A KR20060080587A (ko) 2006-03-14 2003-09-15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5128A KR20060080587A (ko) 2006-03-14 2003-09-15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587A true KR20060080587A (ko) 2006-07-10

Family

ID=3717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128A Ceased KR20060080587A (ko) 2006-03-14 2003-09-15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5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609B2 (en) Elevator inspection safety devices
JP5450061B2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CN109890737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JP5619273B2 (ja) 低オーバヘッドエレベータの可倒式ストップ
JP2009542549A (ja) 検査されるエレベータの頂部や底部における最小空間を確保する安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102566855B1 (ko) 엘리베이터 오버런 시스템
JP2013234073A (ja)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CN100445192C (zh) 在电梯竖井内建立临时安全空间的装置和方法
US20210238009A1 (en) Elevator car with moving emergency stop device
US11591184B2 (en) Elevator assembly with counterweight blocking stop
KR20060080587A (ko) 엘리베이터 검사 안전 장치
KR20080045271A (ko) 엘리베이터들의 카 안전 디바이스를 위한 전기 안전 스위치리세팅 디바이스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1136222B2 (en) Elevator car apron
HK1118265B (en) Elevator inspection safety devices
HK1133862B (en)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0314

Appeal identifier: 2011101006856

Request date: 2011092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0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9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20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6

Effective date: 2013031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1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926

Decision date: 20130314

Appeal identifier: 2011101006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