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024A - Refrigerator Deodoriz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eodor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0024A KR20060080024A KR1020050000476A KR20050000476A KR20060080024A KR 20060080024 A KR20060080024 A KR 20060080024A KR 1020050000476 A KR1020050000476 A KR 1020050000476A KR 20050000476 A KR20050000476 A KR 20050000476A KR 20060080024 A KR20060080024 A KR 20060080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plasma module
- refrigerator
- filter
- temperature oxid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전압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고내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플라즈마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모듈을 통과한 잔여 냄새성분을 흡착하는 저온산화필터와; 상기 저온산화필터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모듈에서 발생된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plasma module having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removing odor components in the refrigerator by energy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or; A low temperature oxidation fil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asma module to adsorb residual odor components passing through the plasma modul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 temperature oxidation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zone filter for adsorbing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module.
이에 의하여, 사용상 안전하고 고내의 냄새성분을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Thereby, it is safe to use and can deodorize an odor component in a refrigerator efficiently.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탈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odoriz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탈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탈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냉장고용 탈취장치 20 : 플라즈마 모듈1: Deodorizer for refrigerator 20: Plasma module
21 : 고전압 발생기 22 : 플라즈마 반응기21: high voltage generator 22: plasma reactor
23 : 방전전극 24 : 접지전극23: discharge electrode 24: ground electrode
25 : 산화티타늄 30 : 저온산화필터25
40 : 오존필터 50 : 흡입팬40: ozone filter 50: suction fan
본 발명은, 냉장고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내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that can efficiently remove odors in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각 싸이클을 이용하여 고내에 보관된 식품을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냉각장치이다. 그러나, 냉장고 내에 저장된 음식물 자체 냄새나 오 래 보관될 때 음식물이 부패가 되는데, 그에 따른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대부분의 냉장고의 고내에는 음식물 자체 냄새나 부패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고, 이러한 악취의 순환을 방지하면서 각종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탈취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탈취장치 중에서 오존(O3)의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탈취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cooling device that maintains food stored in a refrigerato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using a cooling cycle. However, when the food itself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smell or the food is stored for a long time, the food is spoiled, resulting in a bad odor resulting in severe discomfort to the user. Thus, most refrigerators are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deodorizers to remove odors due to the smell or decay of food itself and to sterilize various microorganisms while preventing the circulation of such odors. Among these deodorizers, an ozone deodorizer using the oxidizing power of ozone (O 3 ) is 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존탈취장치는 냉기 유로상에 노출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전극(110)과, 충분한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도록 오존발생전극(1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수단(120)과, 오존발생전극(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잔류 오존을 분해하는 오존분해촉매필터(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ozone deodorizing apparatus is exposed to a cold air flow path and is supplied to a ozone generating
일반적으로 오존(O3)은 공기 중에서 자연 분해되면서 발생기 산소(O)를 생성하는데, 발생기 산소는 강한 산화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냄새성분이나 미생물과의 접촉 반응성이 뛰어나며, 그 결과 냄새성분을 탈취하거나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와 같은 저온조건에서는 오존의 자연 분해가 어렵기 때문에 보통 열이나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분해를 활성화시킨다. 일 예로, 고전압 발생수단(120)은 통상 5 ~ 6 kVpp의 크기와 20 ~ 40 kHz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전압을 오존발생전극(110)에 인가함으로써, 오존의 분해를 활성화한다.In general, ozone (O 3 ) generates generator oxygen (O) as it naturally decomposes in air. Since generator oxygen has a strong oxidizing power, it has excellent contact reactivity with an odor component or microorganism. Can be sterilized. However,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s a refrigerator, since ozone is difficult to decompose naturally, decomposition is usually activated using heat or ultraviolet rays. As an example, the high voltage generating means 120 typically activates decomposition of ozone by applying a high frequency voltage having a magnitude of 5 to 6 kV pp and a frequency of 20 to 40 kHz to the
오존분해촉매필터(130)는 활성탄이 첨가되어 있으며, 오존발생전극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압으로 인해 냄새성분 제거나 살균에 필요한 농도 이상의 과다한 오존 을 제거하여 인체에 무해하도록 한다. The ozon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탈취장치에 있어서는, 오존분해촉매필터의 활성탄이 포화된 경우에 인체에 유해한 오존이 사용자 또는 음식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deodoriz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zone harmful to a human body is exposed to a user or food when activated carbon of the ozone decomposition catalyst filter is satu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상 안전하고 고내의 냄새성분을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냉장고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eodorizer which is safe in use and can efficiently deodorize odor components in the refrigerato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장고용 탈취장치에 있어서, 고전압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고내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모듈과; 상기 플라즈마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모듈을 통과한 잔여 냄새성분을 흡착하는 저온산화필터와; 상기 저온산화필터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플라즈마 모듈에서 발생된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odoriz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plasma module having a high voltage generator and removing odor components in the refrigerator by energy generated by the high voltage generator; A low temperature oxidation filt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lasma module to adsorb residual odor components passing through the plasma module; It is achieved by an ozone fil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 temperature oxidation filter to adsorb ozone generated in the plasma module.
여기서, 상기 플라즈마 모듈의 타측에 마련되며, 고내의 냄새성분을 상기 플라즈마 모듈로 흡입시키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asma module, 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fan for sucking the odor component in the chamber into the plasma module.
상기 플라즈마 모듈은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에너지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하며, 방전전극과 산화티타늄이 코팅된 접지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asma module may photocatalytically react with the energy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further include a plasma reactor having a discharge electrode and a ground electrode coated with titanium oxid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탈취장치(1)는 고전압 발생기(21)를 가지며, 고전압 발생기(21)에서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고내의 냄새성분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모듈(20)과; 플라즈마 모듈(20)의 일측에 마련되어 플라즈마 모듈(20)을 통과한 잔여 냄새성분을 흡착하는 저온산화필터(30)와; 저온산화필터(30)의 일측에 마련되어 플라즈마 모듈(20)에서 발생된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장고용 탈취장치(1)는 상기 부품들을 수용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10)의 개구부(10b)를 개폐하는 커버(11)를 더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deodorizer 1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케이싱(10) 내부에는 플라즈마 모듈(20)로 고내의 냄새성분을 흡입시키는 흡입팬(50)이 마련되어 있고, 흡입팬(50)의 전방에는 플라즈마 모듈(20)이 장착되어 있다.Inside the
커버(11)에는 고내의 냄새성분이 흡입팬(50)으로 유입되도록 흡입공(11a)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10) 및 커버(11)에는 플라즈마 모듈(20)과 저온산화필터(30)와 오존필터(40)를 경유하여 정화된 냉기가 고내로 토출되도록 각각 토출공(10a, 11b)이 형성되어 있다.The
플라즈마 모듈(20)은 고전압 발생기(21)의 에너지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하며, 고전압 발생기(21)와, 방전전극(23)과 산화티타늄(TiO2, 25)이 코팅된 접지전극(24)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22)를 포함한다. A plasma module (20), and the photocatalytic reaction by the energy of the high-
일반적으로 일정 대역의 파장영역을 갖는 자외선이 산화티타늄(25)이 코팅된 물체의 표면에 조사되면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며 전자와 정공의 강한 환원력과 산화력으로 인해 표면의 물분자가 산화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하이드록실 라디칼이 생성되는 것이 광촉매반응의 원리이다. 이 때, 발생하는 하이드록실 라디칼에 의해 각종 유기물이나 세균이 분해 또는 제거된다. 이 과정에서 광촉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광촉매를 여기시키기 위한 에너지 즉, 밴드갭(Band Gap)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광촉매로서 산화티타늄(25)을 사용하는 경우 산화티타늄(25)을 여기시키기 위해서는 대략 350 ~ 40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에너지(3.2eV)가 필요하다. 따라서, 방전전극(23)에서 접지전극(24)으로 플라즈마가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접지전극(24)에 코팅된 산화티타늄(25)이 여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전전극(23)은 고전압 발생기(21)의 출력선(26)에 연결되고, 접지전극(24)은 고전압 발생기(21)의 접지선(27)에 연결된다. 이 때, 대부분의 냄새성분은 플라즈마 모듈(20)에서 거의 50%이상이 탈취되어 저온산화필터(30)로 유입되므로, 후술할 저온산화촉매의 조기 포화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사항을 방지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band of a certain band are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an object coated with titanium oxide (25), electrons and holes are generated. It is the principle of the photocatalytic reaction to produce hydroxyl radicals having At this time, various organic substances and bacteria are decomposed or removed by the generated hydroxyl radicals. In this process, in order to activate the photocatalyst, energy for exciting the photocatalyst, that is, energy above the band gap is required. For example, when
저온산화필터(30)는 저온산화촉매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냄새성분을 산화하여 흡착시킨다. 저온산화필터(30)는 플라즈마 모듈(20)에서 미처 탈취되지 못한 냄새성분을 다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온산화촉매는 공지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w
오존필터(40)는 오존흡착촉매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반응기(22)에서 발생된 오존을 흡착하여 고내로 오존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음식물이나 사용자 에게 오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냄새성분이 플라즈마 반응기(22) 및 저온산화필터(30)에서 거의 제거되었기 때문에, 오존필터(40)로 유입된 냉기는 정화된 상태가 되어 냄새성분의 흡착에 따른 오존필터(4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오존흡착촉매는 공지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탈취장치(1)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y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he deodorizer 1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냄새성분이 포함된 고내의 냉기가 흡입팬(50)을 통해 플라즈마 반응기(22)로 유입되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 이온(OH)이 냄새성분을 산화시키는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특히, 라디칼 이온은 냄새성분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하게 하여 냄새성분을 무취성분으로 만든다. 또한, 냉기 중의 냄새성분은 접지전극(24)의 산화티타늄 코팅막(25)에 부착되어 산화티타늄(25)의 내면으로 흡착된다. 이 때, 산화티타늄(25)은 방전전극(23)에서 발생되는 3 ~ 4eV의 에너지를 전달받아 라디칼 이온을 형성하고, 강한 산화력으로 냄새성분의 고리를 파괴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탈취기능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When cold air in the odor containing the air flows into the
그 후, 플라즈마 반응기(22)를 지난 냉기는 저온산화필터(30)로 유입된다. 이 때, 대부분의 냄새성분은 플라즈마 모듈(20)에서 거의 50%이상이 탈취되어 저온산화필터(30)로 유입되고, 저온산화필터(30)는 플라즈마 반응기(22)에서 미처 탈취되지 못한 잔여 냄새성분을 흡착한다. Thereafter,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마지막으로, 저온산화필터(30)를 통과한 냉기는 거의 정화된 상태가 되어 오 존필터(40)로 유입된다. 이에, 오존필터(40)에서는 플라즈마 반응기(22)에서 생성된 오존을 흡착하여 고내로 오존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Finally,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low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플라즈마 모듈(20)에서 냄새성분의 거의 50%이상을 제거하고, 이 때 분해 또는 제거되지 않은 냄새성분은 다음 단계인 저온산화필터(30)에 의해 제거되며, 저온산화필터(30)의 전단계에 위치한 플라즈마 모듈(20)에 의해 저온산화필터(30)의 수명이 2배 이상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모듈(20) 및 저온산화필터(30)의 2단계 탈취시스템을 거치면서 냄새성분이 완전히 제거되고, 이에 따라 3단계의 오존필터(40)가 분해되지 않은 냄새성분을 흡착하여 오존필터(4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존필터(40)는 오존을 분해하는 본래의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오존필터(40)의 수명이 단축되어 오존이 고내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almost 50% or more of the odor component is removed from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상 안전하고 고내의 냄새성분을 효율적으로 탈취할 수 있는 냉장고용 탈취장치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which is safe in use and which can efficiently deodorize odor components in the refrigerato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76A KR20060080024A (en) | 2005-01-04 | 2005-01-04 | Refrigerator Deodor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0476A KR20060080024A (en) | 2005-01-04 | 2005-01-04 | Refrigerator Deodoriz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0024A true KR20060080024A (en) | 2006-07-07 |
Family
ID=3717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476A Ceased KR20060080024A (en) | 2005-01-04 | 2005-01-04 | Refrigerator Deodor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8002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71149B2 (en) | 2011-01-17 | 2017-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CN111023671A (en) * | 2019-12-22 | 2020-04-17 | 安庆乐常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 Peculiar smell removing method for food fresh keeping |
KR102767976B1 (en) | 2024-06-28 | 2025-02-17 | 한국식품연구원 | Refrigerator with plasma generator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476A patent/KR2006008002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71149B2 (en) | 2011-01-17 | 2017-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CN111023671A (en) * | 2019-12-22 | 2020-04-17 | 安庆乐常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 Peculiar smell removing method for food fresh keeping |
KR102767976B1 (en) | 2024-06-28 | 2025-02-17 | 한국식품연구원 | Refrigerator with plasma gene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833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fluids | |
JP4195905B2 (en) | Air decontamination equipment and method | |
TWI709526B (en) | Ozone generating device and ozone processing device | |
JPWO2002053196A1 (en) | Deodorizing device | |
JPH0760058A (en) | Air cleaner | |
JP3936876B2 (en) | Sterilization / deodorization equipment | |
KR20230039974A (en) |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using plasma and UV light | |
JP2005201586A (en) | Air conditioner air purification unit | |
KR20060080024A (en) | Refrigerator Deodorizer | |
JPH11276563A (en) | Air purifier | |
JPH1057465A (en) | Ozonized water deodorizing method and deodorizing device | |
KR20210044141A (en) | high density fusion plasma sterilization and deodorizer | |
KR101052855B1 (en) | Food processor hybrid sterilization deodorizer | |
KR100609922B1 (en) | Refrigerator deodorizer and control method | |
JP2004166742A (en) | Ozone fumigation equipment | |
KR100820806B1 (en) | Refrigerator Deodorizer | |
JPH0682151A (en) |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KR20000074699A (en) | A deodoriz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KR100789816B1 (en) | Refrigerator Deodorizer | |
KR200318972Y1 (en) | Sterilizer for large number of shoes | |
JPH11104224A (en) | Air cleaner and ultraviolet lamp | |
KR100789811B1 (en) | Refrigerator Deodorizer | |
CN218045776U (en) | Remains freezer disinfection deodorization system | |
JP2020193147A (en) | Ozone processing equipment | |
KR930005736Y1 (en) | Refrigeration sterilization and deodoriz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