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76131A -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6131A
KR20060076131A KR1020040118530A KR20040118530A KR20060076131A KR 20060076131 A KR20060076131 A KR 20060076131A KR 1020040118530 A KR1020040118530 A KR 1020040118530A KR 20040118530 A KR20040118530 A KR 20040118530A KR 20060076131 A KR20060076131 A KR 2006007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ervice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배
Original Assignee
서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배 filed Critical 서석배
Priority to KR102004011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6131A/ko
Publication of KR2006007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통신단말기에서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업자 시스템은 다수 소유자의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한편, ARS (Automatic Response System), 정보통신망,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단축키 정보를 제공할 입력으로 사용될 이용자정보와 원하는 단축키 번호를 요구받는다. 그런 다음, 기 저장된 이용자정보와 입력 받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마친 다음, 상기 수신된 요구 단축키 번호에 상응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독출하여 서비스시스템 내의 데이터 통신 처리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통신 처리 프로그램은 독출된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형태로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의 통신단말기가 아닌 다른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에 저장한 정보를 검색 및 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sort-cut key information of any phon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구현되는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업자 시스템에 탑재하는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통신단말기에 탑재하는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 이터베이스의 구축 예시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를 통한 서비스제공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유무선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서비스안내원을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ARS를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시스템에 저장해둔 다음 자신의 통신 단말기가 아닌 다른 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자신의 통신단말기에 입력된 단축키 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단말기는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용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에 따라, 통신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함을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널리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가 단축키 기능으로, 이는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대상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지 않고, 통신단말기에 단축키로 등록해 두어 그 단축키만 눌러 대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 단축키는 편리한 기능이지만 그로인해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예로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와 자신의 휴대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들 수 있으며, 이때는 단축키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면 원하는 상대와 통화할 수 없다.
현재 자신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사업자 시스템에 저장해 두었다가 그 정보를 자신의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서비스는 제공 중이지만 이는 자신의 휴대통신단말기의 정보가 유실되었을 때나 휴대통신단말기를 변경하였을 경우에 유용하며, 타인의 휴대통신단말기나 다른 통신단말기에서는 그 정보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및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이 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업자 시스템이, (a) 다수의 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통신단말기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b)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사업자 시스템에 기 저장된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c) 기 저장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독출하여 사업자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다른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미리 저장해둔 사용자의 단축키와 대응하는 정보를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써 데이터 저장 장소,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시스템;과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 및 통신로;와 컴퓨터,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 PDA (Personal Data Assistance)등 정보통신망 이용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기기 및 정보통신망;과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ARS 및 안내원; 및 기존 전화망을 이용해서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회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시스템은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용자가 통신단말기, 문자메시지, 정보통신망으로 서비스를 요청하였을 때, 그 요청한 경로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ARS, 안내원, 전화망, 통신로, 정보통신망을 보유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구현되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업자 시스템(10)은 서비스이용자가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위해서,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그에 대흥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정보통신망(20), 데이터통신 처리 프로그램(11),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12)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통신망(20)은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유선 전화통신망, 무선 전화통신망 및 이들의 선택적 조합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상기 정보통신망(20)은 사업자 시스템(10)과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기기(25)의 종류에 따라서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25)는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 컴퓨터, PDA 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기기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데이터의 전달 방법 또한 파일, 유저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등 그 정보를 정보통신망(20)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이미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데이터베이스(13)로의 저장은 서비스이용자가 원할 때마다 수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자동으로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서비스이용자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3)는 여러 가지 경로로 서비스이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다. 정보통신망(20)을 통한 클라이언트 기기(25), 통신로(30)를 통한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 ARS(40) 및 서비스안내원(50)을 통한 통신단말기로 접근하는 것은 그 바람직한 예이다.
클라이언트 기기(25)는 정보통신망(20)을 통하여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정보통신망(20)을 통하여 사업자 시스템(10)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13)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는 통신단말기 및 통신단말기의 문자메 시지를 발/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로, 서비스이용자는 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로 사업자 시스템(10)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13)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기이다.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와 사업자 시스템(10)을 상호 연결해주는 통신로(30)는 단순한 데이터의 통로로 기존의 케이블 통신, 적외선 통신, LAN 통신, 무선 LAN 통신, RS-232 통신, RS-422 통신 등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로(30)이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45)는 ARS(40)를 통하여 통신단말기의 버튼을 이용하거나 서비스 안내원(50)을 통해 사업자 시스템(10)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13)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기이다. 여기서 서비스안내원(50)은 서비스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업자 시스템(10)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통신 처리 프로그램(11)로 전송하며,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단말기(45)는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 일반 무선통신단말기, 인터넷 통신단말기 등 ARS(40) 및 서비스안내원(50)과 통화가능한 기기이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통신회사(65)가 제공하는 전화망(60)을 통한 기능은 서비스이용자가 통신단말기(45)로 서비스에 접근하여 단축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정보를 입수한 후 해당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현재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에 통용되고 있는 전화망 서비스기술이다. 여기서 통신회사(65)란 기존 유무선 및 정보통신망으로 전화서비스를 하는 전화통신회사를 통칭하는 단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 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사업자 시스템(10)에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면 2a를 참조하면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11)은, 정보통신망데이터 처리모듈(111),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데이터 처리모듈(112), ARS 데이터 처리모듈(113), 서비스안내원입력데이터 처리모듈(114), 전화망직접연결 처리모듈(115) 및 데이터입력기능 인터페이스(116), 데이터포맷변환 기능 인터페이스(117), 데이터출력 기능 인터페이스(118)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11)은 정보통신망(20), 통신로(30), ARS(40), 서비스안내원(50)을 통하여 들어온 데이터를 데이터관리 프로그램(12)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 정보통신망데이터 처리모듈(111),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데이터 처리모듈(112), ARS데이터 처리모듈(113), 서비스안내원입력데이터 처리모듈(114)은 상기 기술한 여러 경로로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이며, 전화망직접연결 처리모듈(115)은 통신단말기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이용자가 기존의 전화망(60)에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데이터입력 기능 인터페이스(116), 데이터포맷변환 기능 인터페이스(117), 데이터출력 기능 인터페이스(118)로 구성된 데이터인터페이스부는 먼저 데이터의 입력 경로와 출력 경로를 파악한 뒤 출력 경로의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입력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업자 시스템(10)이 각각 정보통신망(20), 통신로(30), ARS(40) 시스템, 서비스안내원(50)과 통신할 수 있다.
도면 2b를 참조하면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관리 프로그램(12)은, 아이 디 및 비밀번호 관리모듈(121), 전화번호 관리모듈(122), 데이터 갱신모듈(123), 및 데이터입력기능 인터페이스(124), 데이터포맷변환 기능 인터페이스(125), 데이터출력 기능 인터페이스(126)로 구성되어 있다. 아이디 및 비밀번호 관리모듈(121)은 서비스이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화번호 관리모듈(122)은 서비스이용자가 원하는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가진다. 데이터 갱신모듈(123)은 서비스이용자가 데이터베이스(13)의 정보 갱신을 요청할 때 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모듈이다. 데이터입력기능 인터페이스(124), 데이터포맷변환 기능 인터페이스(125), 데이터출력 기능 인터페이스(126)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11)과 데이터베이스(13) 사이에서 입력 경로와 출력 경로를 파악한 뒤 출력 경로의 데이터포맷에 맞추어 입력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 기능하는 것으로,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11)이 데이터베이스(13)와 상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통신단말기에 탑재하는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통상되는 통신단말기에서,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원활하기 사용하기위해서는 프로그램(200)을 설치해야한다.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200)은 데이터 수집모듈(201), 데이터 수정모듈(202), 및 데이터포맷 변환기능 인터페이스(203), 데이터 출력기능 인터페이스(204), 데이터 입력기능(205)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수집모듈(201)은 사업자 시 스템(10)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통신단말기에 기 저장된 단축키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 수정모듈(202)은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200) 및 사업자 시스템(1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주는 데이터포맷 변환기능 인터페이스(203), 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정보와 사업자 시스템(10)으로부터 온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데이터 출력기능 인터페이스(204), 통신단말기의 키패드 및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통신단말기에 데이터를 작성 및 입력 할 수 있는 데이터입력기능 인터페이스(20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단말기란 단축키에 전화번호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예시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를 통한 서비스제공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 이다. 먼저 도 4a에서는 사용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에 구축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13)에는 하나의 서비스이용자 전화번호, 아이디, 비밀번호에, 다수의 단축키와 그에 연결된 전화번호와 정보로 구성된 서비스 정보가 다수 구성된다. 각 정보들은 정보통신망(20)을 통하여 사업자 시스템(10)내의 데이터통신프로그램(11)과 데이터관리 프로그램(12)에 의해 갱신 및 변 경될 수 있다. 도 4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업자 시스템(10)의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었다. 서비스이용자의 전화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원하는 단축키의 목록이 데이터 구성의 바람직한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면 정보통신망(20)을 통하여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통신처리모듈(11)로 접속(S500)하여야 하는데, 그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로 사업자는 사업자 시스템(10)과 연동되는 홈페이지를 개설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페이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이용자의 접속정보를 디스플레이(S510)하고 회원가입여부(S520)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만약 서비스이용자가 회원가입이 되어있지 않다면 회원가입(S525) 절차를 통하여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서비스이용자가 회원가입여부가 확인되면 회원인증(S530) 절차를 거쳐 정보 및 서비스이용(S540)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정보는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에 기 저장한 서비스이용자의 데이터이며, 서비스이용은 그 데이터를 조회, 수정, 갱신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종료 여부(S550)를 주시하고 있 다가,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정보 및 서비스이용(S540)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유지한다. 여기서 서비스 종료는 로그아웃, 프로그램 종료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서비스안내원을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이용자가 통신단말기(45)를 이용하여 서비스안내원(50)에 연결(S600)하면 서비스안내원(50)은 제공하는 서비스 안내(S610)하고 회원가입 여부(S620)를 확인한다. 만약 회원가입이 되지 않았을 경우 회원가입(S625)을 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이 확인되면 회원인증(S630)을 거쳐 정보 및 서비스이용(S640)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정보는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에 기 저장한 서비스이용자의 데이터이며, 서비스이용은 그 데이터를 조회, 수정, 갱신하는 것으로, 그 일련의 과정을 통신단말기(45)를 이용해서 서비스안내원(50)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도 5의 정보 및 서비스이용(S540)과의 차이점이다. 다음으로 서비스안내원(50)은 제공된 서비스에 의해 생성된 전화번호에 직접전화연결여부(S640)를 물어보고 서비스이용자가 원할 경우 전화망(60)을 통하여 해당 통신회사(65)에 직접 전화연결(S655)해주고 서비스를 종료 하며, 원하지 않을 경우 바로 서비스를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ARS를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이용자가 통신단말기(45)를 이용하여 ARS(40)에 접속(S700)하면 ARS(40)는 제공하는 서비스를 안내(S710)하고 회원가입여부(S720)를 확인한다. 만약 회원가입이 되어있지 않으면 회원가입방법 안내(S725)하고 종료하며, 회원가입여부(S720)가 확인이 되면 회원인증(S730)과정을 거쳐 정보 및 서비스이용(S740)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정보는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에 기 저장한 서비스이용자의 데이터이며, 서비스이용은 그 데이터를 조회, 수정, 갱신하는 것으로, 그 일련의 과정을 통신단말기(45)를 이용하고 ARS(40) 시스템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도 5의 정보 및 서비스이용(S540)과의 차이점이다. 다음으로 ARS(40)는 서비스 종료여부(S750)를 물어 본 뒤, 서비스이용자가 계속 이용하고자 하면 정보 및 서비스이용(S740)이 가능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를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용할 때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서비스이용자가 클라이언트기기(25) 중 하나인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원하는 단축 번호를 발송(S800)한다. 사업자 시스템(10)은 이 문자메시지를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를 이용해 수신하고 통신망(30)을 통해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원하는 단축번호를 입수해 데이터통신처리 프로그램(11), 데이터관리 프로그램(12), 데이터베이스(13)을 이용해 처리하며, 그 결과를 서비스이용자에게 응답문자메시지로 송신한다. 서비스이용자에게 응답문자메시지로 송신하는 과정은 통신로(30)를 통하여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35)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사업자 시스템(10)이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원하는 단축번호 입수하는 경로와 동일하다. 서비스이용자가 원하는 단축번호에 연결된 정보를 응답문자메시지로 수신(S810)하면, 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그에 연결된 전화번호와 정보를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를 검색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유사하게 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연결된 전화번호와 단축키를 사업자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13)를 이용해 검색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른 통신단말기를 가지고 자신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보통신망을 이용 가능한 장소에 있다면 사업자 시스템으로 접속하여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문자메시지, ARS, 서비스 안내원을 통하여서도 단축키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사업자 시스템이 서비스이용자가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다수의 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통신단말기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정보를 수신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b) 다른 통신단말기에서 사업자 시스템에 기 저장된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
    (c) 기 저장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독출하여 사업자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이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 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정보통신망은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일반 전화통신망, 휴대 전화통신망 및 이들의 선택적 조합을 포괄하는 데이터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기기는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 컴퓨터, PDA와 같이 데이터 전송기능을 가지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가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이 통신로를 통하여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6. 제 1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통신로는 단순한 데이터의 통로로 기존의 케이블 통신, 적외선 통신, LAN 통신, 무선 LAN 통신, RS-232 통신, RS-422 통신과 같이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7. 제 1항 및 제 5항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문자메시지 발/수신기는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 컴퓨터, PDA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발신하고 수신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이 ARS를 통하여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가 전송되는 다른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이 서비스안내원을 통하여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 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10. 제 1항, 제 8항 및 제 9항에 있어서,
    통신단말기는 휴대통신단말기, 일반통신단말기와 같이 전화통화를 하고 ARS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를 진행한 이후에,
    생성된 단축키, 전화번호 및 정보를 전화망을 이용하여 통신회사에 직접전화 연결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12. 제 1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전화망은 유선전화망, 휴대전화망과 같이 전화통신을 위해 서비스되는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와 연결된 전화번호 및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a) 이후 단계를 진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정, 데이터포맷 변 환, 데이터 출력, 데이터 입력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탑재한 통신단말기.
KR1020040118530A 2004-12-29 2004-12-29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76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530A KR20060076131A (ko) 2004-12-29 2004-12-29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530A KR20060076131A (ko) 2004-12-29 2004-12-29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31A true KR20060076131A (ko) 2006-07-04

Family

ID=3716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530A KR20060076131A (ko) 2004-12-29 2004-12-29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613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94A (ko) * 1999-12-27 2000-03-06 장승웅 핸드폰에서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
KR20000064202A (ko) * 2000-08-29 2000-11-06 한기준 웹과 ars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20010075966A (ko) * 2000-01-21 2001-08-11 정성자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KR20020054144A (ko) * 2000-12-27 2002-07-06 송문섭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다운로딩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94A (ko) * 1999-12-27 2000-03-06 장승웅 핸드폰에서 전화번호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
KR20010075966A (ko) * 2000-01-21 2001-08-11 정성자 네트워크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시스템
KR20000064202A (ko) * 2000-08-29 2000-11-06 한기준 웹과 ars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주소록 관리방법
KR20020054144A (ko) * 2000-12-27 2002-07-06 송문섭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 정보 다운로딩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26B1 (ko) 고객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동안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 방법
EA013298B1 (ru) Способ ввода и поиска информации об объекте в удаленной базе данных
KR2002007912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과 그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검색방법
KR101034666B1 (ko) 개방형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지능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49859A (ko) 복합통신망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KR100378472B1 (ko) 핫폰의 시리얼번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연결방법
KR20060076131A (ko) 임의의 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KR100424508B1 (ko)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KR100764828B1 (ko) 모바일 홈페이지 제공 및 조회 서비스 시스템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3803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1105A (ko) 다량 문자메시지 중계전송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05090B1 (ko) 인터넷도메인주소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KR20030024012A (ko) 무선단말기로 전화통화를 시작하자마자 상대방의무선웹사이트를 서로 동시에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KR100878079B1 (ko) 무선 인터넷용 게이트웨이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66436B1 (ko) 데이터 변환/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3283640A (ja) 携帯電話端末装置、発信者名称確認プログラム、および電話番号検索システム
KR20010038709A (ko) 통신기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26371A (ko) 이동통신단말용 전화번호안내 시스템
KR100364617B1 (ko) Imt - 2000용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58365A (ko) 발신자 지정 이미지 표시 시스템
KR2002003101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람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493984B1 (ko) 부재중 호이력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