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74802A -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 Google Patents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802A
KR20060074802A KR1020050034391A KR20050034391A KR20060074802A KR 20060074802 A KR20060074802 A KR 20060074802A KR 1020050034391 A KR1020050034391 A KR 1020050034391A KR 20050034391 A KR20050034391 A KR 20050034391A KR 20060074802 A KR20060074802 A KR 20060074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ide member
corrector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제작을 코스트 낮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번잡한 순서를 밟을 필요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를 제공한다.
좌우 일방의 단부의 경첩에 의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문짝이 매달린 측을 기점으로 해서 쳐지고,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이 상기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이하, 본래의 회전 중심 축선이라고 함)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상기 경첩의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과 문짝의 에지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 부재이다. 이 기울기 보정구에는 상기 회전측 부재의 장착용 볼트가 끼워 맞춤하는 폭 치수를 가지고,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볼트 이스케이프 홈을, 삽입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다.
고정 프레임, 문짝, 경첩, 보정구, 볼트 이스케이프 홈,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Description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SLOPE CORRECTING TOOL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울기 보정구를 사용한 경첩과 문짝 및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울기 보정구를 사용한 경첩과 문짝 및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기울기 보정구와 경첩, 문짝 및 고정 프레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기울기 보정구와 경첩, 문짝 및 고정 프레임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울기 보정구 2 볼트 이스케이프 홈
3 경첩 4 경첩의 회전측 부재
5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 6 문짝
7 에지면 8 간극
9 회전측 부재의 장착용 볼트
10 볼트 이스케이프 홈의 스토퍼용 커팅부
11 경첩의 고정측 부재 12 경첩의 하위 캠체
13 하위 캠체의 축 구멍 14 경첩의 피벗 축 핀
15 경첩의 상위 캠체 16 상위 캠체의 하부경사 캠면
17 하위 캠체의 상부경사 캠면 18 회전측 부재의 축 구멍
19 회전측 부재의 정면 개방부 20 좌금판
21 회전측 부재의 부착구멍 22 문짝의 외곽벽
23 외곽벽의 투공 24 너트체
25 너트체의 나사구멍 26 충전재
27 커버체 28 고정측 부재의 장착용 볼트
29 고정측 부재의 부착구멍 30 고정 프레임
31 고정 프레임의 외곽벽 32 외곽벽의 투공
33 너트체 34 나사구멍
35 충전재
본 발명은 프리패브식 냉장고 등에 있어서 문짝이 매달린 측을 기점으로 해서 쳐졌을 때, 문짝의 기울기를 해소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에 관한 것이다.
경첩에 의해 저장고 본체 등의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문짝은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경첩의 회전측 부재가 문짝의 좌우 일방의 에지부에 장착되고, 경첩의 고정측 부재가 해당 에지부에 근접하는 고정 프레임의 에지부에 장착되고, 문짝은 캔틸레버 지지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경첩에는 문짝의 전 하중이 부하된다.
그 때문에, 문짝 하중이 클 경우에는 경첩의 장착 개수를 늘려서 하중을 분산 지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복수의 경첩을 사용했을 때에는 각각의 경첩의 피벗 축 핀을 동일 연직선 상에 정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경첩의 장착 개수가 늘어나면 그 만큼 경첩의 장착에 시간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첩에는 문짝 하중에 따른 굽힘 토크가 항상 걸려 있는 것, 원래 경첩에는 제작 오차나 장착 오차가 불가피하게 존재하는 것, 오랜 세월의 사용에 의한 경첩 구성 부재의 마모나 변형을 피할 수 없는 것, 또 고정 프레임이나 문짝 자체의 제작 오차나 변형도 있을 수 있는 것 등에 의해 문짝이 경첩에 의해 캔틸레버 지지된 상기 매달린 측을 기점으로 해서 문짝의 자유단측이 낮아지듯이 쳐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문짝이 쳐졌을 때에는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은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본래의 회전 중심 축선)에 대하여 기운 상태에 있어 피벗 축 핀의 외주면과 회전측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큰 측압저항이 생겨서 문짝이 원활하게 개폐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짝의 쳐짐 방지 대책으로서 문짝의 중앙부로서 내측면 상부에 L형 브래킷을 돌출 설치하고 고정 프레임측의 천판부 하면에 지지 롤러를 구비한 롤러대를 부착하고 문짝 폐쇄 시에 L형 브래킷을 롤러대와 지지 롤러 사이에 삽입하고 문짝의 하중을 지지 롤러로 지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문짝 폐쇄 시에 문짝의 하중은 경첩뿐만 아니라 문짝 중앙부에서도 지지되어 있는 것이지만 L형 브래킷이 지지 롤러에 걸어 맞춤하고 있지 않을 때 즉 문짝의 개폐 회전의 도중 혹은 물품의 출납이나 사람의 출입을 위하여 문짝을 개방한 채로 둘 때에는 문짝의 전 하중은 오로지 경첩에만 부하되는 것이며 쳐짐 발생 요인은 남겨져 있다.
또 이 기술은 문짝의 쳐짐 그 자체를 해소하거나 보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요인에 의해 문짝의 쳐짐이 일단 발생해 버렸을 때에는 상기 측압저항이 경첩부재 사이에 작용하고 문짝의 원활한 개폐 회전이 방해되게 된다.
문짝의 상하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경첩으로서, 문짝 프레임에 고정한 상자체 내부에 받이편을 설치하고, 상기 받이편에 얹어놓여진 조정편을 가지는 문짝 프레임측 날개의 지지부에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는 회전 축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회전 축의 돌출부에 문측 날개의 오목 함몰부를 끼워 부착해서 문짝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받이편의 대략 중앙에 회전 축의 축선에 평행한 돌기를 돌출 설치하고 그 양측에 나사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상기 받이편에 얹어놓인 조정편에는 상기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긴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상기 긴 구멍을 관통한 나사가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의 나사 부착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받이편과 상기 조정편의 사이에 문짝의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의 엇갈림을 발생시킴으로써 문짝의 바른 부착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를 견고하게 조여서 상기 받이편과 상기 조정편을 고정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기술에 의한 경첩은 조정 방향이 세 방향이기 때문에 형상구조가 복잡하며, 그 제작 조립에 코스트가 드는 동시에 조정 작업에 있어서 번잡한 순서를 밟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6-2464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평5-222878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제작을 코스트 낮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번잡한 순서를 밟을 필요없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는 좌우 일방의 단부의 경첩에 의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문짝이 매달린 측을 기점으로 해서 쳐지고,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이 상기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상기 경첩의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과 문짝의 에지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 부재로서, 상기 회전측 부재의 장착용 볼트가 끼워 맞춤하는 폭 치수를 가지고,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볼트 이스케이프 홈을 삽입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는 금속판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강체 재료에 의해 박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이 상기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가에 따라 기울기 보정구는 한 개 단독으로 또는 복수개 겹쳐서 사용된다. 또 기울기 보정구의 판 두께를 적당하게 증감 변경하고, 복수 종류의 판 두께의 것을 준비해 두어, 최적의 판 두께의 것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에 임해서는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이 상기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에 정렬하도록 문짝의 자유단측을 인상 이동시키고, 이 인상 이동에 의해 경첩의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과 문짝의 에지면과의 사이에 발생한 간극에 삽입된다. 이 삽입 과정에 있어서 경첩의 장착용 볼트는 외관 상, 상기 볼트 이스케이프 홈을 통과하고, 기울기 보정구의 삽입은 상기 장착용 볼트에 방해되지 않고 적확하게 된다.
(실시예 1)
도 1,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기울기 보정구(1)는 금속 박판제이며, 기울기 보정구(1)의 외주 윤곽은 경첩(3)의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의 외주 윤곽에 정합시켜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첩(3)의 장착용 볼트(9)는 상중하 3개로 되어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구(1)에는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을 가로방향으로 3개 형성하고 있다.
이 기울기 보정구(1)는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과 문짝(6)의 에지 면(7)과의 사이에 생긴 간극(8)에 경첩(3)의 측면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삽입 과정에 있어서, 회전측 부재(4)의 3개의 장착용 볼트(9)는 외관 상, 기울기 보정구(1)의 각각의 볼트 이스케이프 홈(2)내를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의 내단부에는 스토퍼용 커팅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기울기 보정구(1)의 외주 윤곽이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의 외주 윤곽에 거의 겹치는 최종위치까지 기울기 보정구(1)를 삽입한 단계에서, 기울기 보정구(1)를 약간 비스듬히 밀어 올리면, 각각의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의 커팅부(10)에 장착용 볼트(9)가 걸어 맞춤하기 때문에 기울기 보정구(1)의 발출이 저지된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스토퍼용 커팅부(10)는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의 상변측에 설치했지만 하변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장착용 볼트(9)를 조임으로써 기울기 보정구(1)를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과 문짝(6)의 에지면(7)의 사이에 협지할 수도 있다.
경첩(3)은 자동 상승식의 경첩이며, 고정측 부재(11)에는 하위 캠체(12)가 끼워 맞춤되고, 하위 캠체(12)는 고정측 부재(11)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하위 캠체(12)의 축 구멍(13)에는 피벗 축 핀(14)의 하방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벗 축 핀(14)의 중간 부분에는 상위 캠체(15)가 끼워 맞춤되고, 상위 캠체(15)에는 피벗 축 핀(14)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위 캠체(15)는 고정측 부재(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상위 캠체(15)의 하부경사 캠면(16)은 하위 캠체(12)의 상부경사 캠면(17)에 맞닿고 있다. 피벗 축 핀(14)의 상방 부분은 회전측 부재(4)의 축 구멍(18)에 상대 회전 불가능 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상기의 캠기구의 편입에 의해 문짝의 개방 회전시에 문짝(6)은 정해진 높이까지 자동적으로 상승하고, 문짝의 폐쇄 회전시에 자동적으로 하강한다.
회전측 부재(4)의 장착용 볼트(9)는 회전측 부재(4)의 정면 개방부(19)로부터 좌금판(20)을 통해서 회전측 부재(4)의 부착구멍(21)에 삽입되고, 장착용 볼트(9)의 나사축부는 문짝(6)의 외곽벽(22)의 투공(透孔)(23)을 통해서 문짝(6)의 내측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나사축부는 외곽벽(22)의 내면에 매설 고정된 너트체(24)의 나사구멍(25)에 나사 결합된다. 외곽벽(22)으로 포위된 문짝(6)의 내측공간에는 상법에 의해 발포 스티롤 등의 충전재(26)가 충전된다. 회전측 부재(4)의 정면 개방부(19)는 회전측 부재(4)의 장착 완료후 커버체(27)의 탄성적 끼워 넣기에 의해 폐쇄된다.
고정측 부재(11)의 장착용 볼트(28)는 고정측 부재(11)의 부착구멍(29)에 삽입되고, 장착용 볼트(28)의 나사축부는 고정 프레임(30)의 외곽벽(31)의 투공(32)을 통해서 고정 프레임(30)의 내측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나사축부는 외곽벽(31)의 내면에 매설 고정된 너트체(33)의 나사구멍(34)에 나사 결합된다. 외곽벽(31)으로 포위된 고정 프레임(30)의 내측공간에는 상법에 의해 발포 스티롤 등의 충전재(35)가 충전된다.
도 2, 도 4,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울기 보정구(1)는 금속 박판제이며, 기울기 보정구(1)의 외주 윤곽은 경첩(3)의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의 외주 윤곽에 정합시켜져 있다. 기울기 보정구(1)의 중앙부에 볼 트 이스케이프 홈(2)이 세로방향으로 1개만 형성되어 있다.
이 기울기 보정구(1)는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과 문짝(6)의 에지면(7)과의 사이에 생긴 간극(8)에 경첩(3)의 상면 방향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삽입 과정에 있어서, 경첩(3)의 상중하 3개의 장착용 볼트(9)는 외관 상, 기울기 보정구(1)의 단일 볼트 이스케이프 홈(2)내를 통과한다.
기울기 보정구(1)의 외주 윤곽이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의 외주 윤곽에 겹치는 최종위치까지 기울기 보정구(1)를 삽입하면, 최상위의 장착용 볼트(9)는 외관 상,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의 내단부에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상위의 장착용 볼트(9)가 세로 길이의 볼트 이스케이프 홈(2)의 내단부에 걸어 맞춤하기 때문에, 기울기 보정구(1)의 탈락은 적확하게 방지된다. 필요에 따라, 장착용 볼트(9)를 조임으로써 기울기 보정구(1)를 회전측 부재(4)의 장착 기저면(5)과 문짝(6)의 에지면(7)의 사이에 협지할 수도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경첩의 구조 및 작동 형식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는 여러가지 경첩과 문짝의 장착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는 경첩의 장착 볼트의 이스케이프 홈을 형성한 박판 형상 부재이기 때문에, 제작은 지극히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사용에 임해서는 상기 볼트 이스케이프 홈의 입구부와 상기 장착용 볼트의 위치 맞춤을 하고나서, 경첩의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과 문짝의 에지면 사 이의 간극에 삽입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작업 순서가 지극히 간략화되어 있고, 문짝의 기울기의 보정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좌우 일방의 단부의 경첩에 의해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매달려 지지되어 있는 문짝이 매달린 측을 기점으로 해서 쳐지고, 문짝의 실제의 회전 중심 축선이 상기 경첩의 피벗 축 핀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상기 경첩의 회전측 부재의 장착 기저면과 문짝의 에지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박판 형상의 보정구로서, 상기 회전측 부재의 장착용 볼트가 끼워 맞춤하는 폭 치수를 가지고, 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볼트 이스케이프 홈을 삽입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KR1020050034391A 2004-12-27 2005-04-26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Ceased KR200600748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6355 2004-12-27
JP2004376355A JP4026778B2 (ja) 2004-12-27 2004-12-27 扉用傾き補正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02A true KR20060074802A (ko) 2006-07-03

Family

ID=3673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91A Ceased KR20060074802A (ko) 2004-12-27 2005-04-26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26778B2 (ko)
KR (1) KR20060074802A (ko)
CN (1) CN1796716B (ko)
TW (1) TWI29201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41B1 (ko) * 2013-07-05 2013-12-13 주식회사 하이웰 힌지 조립체
CN109154466A (zh) * 2016-05-26 2019-01-04 夏普株式会社 铰链装置及具备该铰链装置的收纳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5328B2 (ja) * 2008-05-29 2013-08-07 三協立山株式会社 丁番スペーサ
CN102322719B (zh) * 2011-07-28 2013-1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门体调节装置
WO2014050317A1 (ja) * 2012-09-28 2014-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ダンプトラックおよびその荷重伝達構造体
DE102012022240B3 (de) * 2012-11-14 2013-12-19 Abb Ag Anordnung für einen Zählerschrank, Verteilerschrank, Schaltschrank oder ein Leergehäuse
KR20140094115A (ko) *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440430B2 (ja) * 2014-09-26 2018-12-19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箱体の扉調整構造
CN114026753B (zh) 2020-05-01 2025-03-14 株式会社Tmeic 配电柜及电力转换装置
CN114856340A (zh) * 2022-05-20 2022-08-05 广东合和建筑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重型可调节的合页
DE102022113576A1 (de) * 2022-05-30 2023-11-30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Stangenverschlu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28207Y (zh) * 2003-06-26 2004-07-28 长春第一光学有限公司 带调整片的燕尾导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941B1 (ko) * 2013-07-05 2013-12-13 주식회사 하이웰 힌지 조립체
CN109154466A (zh) * 2016-05-26 2019-01-04 夏普株式会社 铰链装置及具备该铰链装置的收纳箱
CN109154466B (zh) * 2016-05-26 2021-02-19 夏普株式会社 铰链装置及具备该铰链装置的收纳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26778B2 (ja) 2007-12-26
CN1796716B (zh) 2012-04-18
TW200622078A (en) 2006-07-01
TWI292010B (en) 2008-01-01
CN1796716A (zh) 2006-07-05
JP2006183278A (ja)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3585B2 (ja) 隠蔽式ドアヒンジ
US7017231B2 (en) Hinge
KR20060074802A (ko) 문짝용 기울기 보정구
US6845544B2 (en) Hinge for furniture
US6684457B2 (en) Adjustable and reversible hinge assembly
US12134924B2 (en) Door hinge
US4842422A (en) Eccentric adjuster for drawer or cabinet track
US8863358B2 (en) Adjustable hinge
KR200464416Y1 (ko) 도어용 힌지
US4653144A (en) Adjustable arcuated cabinet hinge
JP3730746B2 (ja) 蝶番
JP4215128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KR20080050137A (ko) 냉장고 도어의 하부 힌지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KR102698473B1 (ko) 세이프도어의 소음방지용 하롯트 위치조절장치
KR20200000535U (ko) 대문용 상부 힌지
JP5552335B2 (ja) 上部パネルユニット及び開閉用金具
JP4437859B2 (ja) 戸パネル用のランナーユニット
KR200277322Y1 (ko) 냉장고 도어 하부 힌지
KR101202574B1 (ko) 도어용 경첩
EP1533439B1 (en) Servo-lifting device
JP3850751B2 (ja) ドアの支持装置
JP2020168342A (ja) パチンコ台の傾斜調整システム
JP2025089104A (ja) 抜差し蝶番
KR0121809Y1 (ko) 대문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