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100A -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3100A KR20060073100A KR1020040111958A KR20040111958A KR20060073100A KR 20060073100 A KR20060073100 A KR 20060073100A KR 1020040111958 A KR1020040111958 A KR 1020040111958A KR 20040111958 A KR20040111958 A KR 20040111958A KR 20060073100 A KR20060073100 A KR 200600731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ource
- pattern type
- source media
- media
- f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8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automatic key or tonality recognition, e.g. using musical rules or a knowledge ba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ue or digital, e.g. DECT, GSM, UM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장치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음원재생 단말기에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할 수 있는 음원검색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저음/고음 여부를 파악하는 주파수 분석 모듈과, 음원 미디어의 곡 빠르기를 파악하는 빠르기 분석 모듈과, 검색할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는 참고정보 선택 모듈과,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곡 빠르기가 등록된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비교 모듈을 구비한다.
음악, MP3, 라디오, 검색, 멀티미디어, 음원, 주파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원재생 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2a는 특정 음원 미디어의 아날로그 출력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도 2b는 특정 음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해내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호화 모듈 110: 음원 검색기
112: 주파수 분석 모듈 114: 빠르기 분석 모듈
116: 참고정보 선택 모듈 118: 비교 모듈
120: 재생 모듈
본 발명은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장치 및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음원재생 단말기에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할 수 있는 음원검색기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음원 검색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멀티미디어는 휴대 기기 전반에 걸쳐 제품의 핵심 기능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기술의 발전 및 사용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현재는 미디어의 홍수라고 할 만큼 수많은 멀티미디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멀티미디어 중에서 음원 미디어는 영상에 비해 구현이 간단하고 감상하면서 다른 일과 병행하기 쉽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의 음원 미디어의 경우, MP3, 스트리밍 라디오 방송 등의 다양한 음원 미디어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MP3 음악을 쉽게 다운로드 받아 감상할 수도 있고 수 백여 개의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이 음악 등의 음원 미디어를 내보내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도 실제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의 개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사용자는 이러한 수많은 음원 미디어 중에서 자신이 듣고 싶은 음악을 일일이 선택해서 들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에 저장된 100여곡의 MP3 음악 파일 중에서 빠른 템포의 댄스곡만을 듣고 싶을 경우, 해당 음악 파일의 특성을 미리 알지 못하는 한, 일일이 각 음악 파일을 일정시간(예컨대, 10초 내외) 재생시켜 노래를 들어 보고서 재생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수많은 음원 미디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미디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미디어 검색을 위한 검색 조건으로서 주파수 대역 분석과 빠르기 분석을 통한 음원 미디어 검색 방법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원재생 단말기 내에서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에 있어서, 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저음/고음 여부를 파악하는 주파수 분석 모듈과, 음원 미디어의 곡 빠르기를 파악하는 빠르기 분석 모듈과, 검색할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는 참고정보 선택 모듈과,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곡 빠르기가 등록된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비교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할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등록받는 과정과, 특정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읽어 와서 해당 음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과 곡 빠르기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과 곡 빠르기가 등 록된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과, 모든 음원 미디어 파일에 대하여 상기 분석과 비교출력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MP3 플레이어, MP3 폰, MP3 PDA, 음악 스트리밍 단말기, 인터넷 라디오 스트리밍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데스크탑, 노트북) 등과 같이 음악재생이 가능한 단말기를 통틀어 음원재생 단말기로 표현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음원재생 단말기라 함은 음악재생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함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재생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음원재생 단말기는 복호화 모듈(100), 재생모듈(120), 음원 검색기(110)를 포함하며, 상기 음원 검색기(110)는 주파수 분석 모듈(112), 빠르기 분석 모듈(114),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을 포함한다. 상기의 음원 검색기(110)는 상기의 주파수 분석 모듈(112), 빠르기 분석 모듈(114),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호화 모듈(100)은 입력되는 음원 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음원 미디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MP3 음원 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MP3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아날로그 파형을 출력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스트리밍 라디오 방송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출력으로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파수 분석 모듈(112)은 복호화된 아날로그 출력을 수신하여 해당 아날로그 출력을 주파수 변환 작업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파수 변환 작업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파형을 퓨리에 변환 수행하여 주파수 대역 출력으로 바꾸어주는 작업으로서,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시간대(202; T1~T2)의 아날로그 파형이 입력된다면, 주파수 분석 모듈은 이러한 아날로그 파형을 퓨리에 변환하여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출력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주파수 분석 모듈(112)은 상기의 주파수 변환 작업이외에도 해당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해당 미디어 음원이 저음인지 고음인지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 미디어 음원의 변환된 주파수 대역이 도 2b와 같은 경우 저주파 대역(212; w1,w2,w3,w4)의 출력이 고주파 대역(214; w5,w6,w7,w8)의 출력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음원미디어는 저주파 대역 즉, 저음의 음원 미디어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빠르기 분석 모듈(114)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파형의 특정 시간대별 출력 변화량을 감지하여 곡의 빠르기 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에서 T2의 특정 시간대(202)의 출력 파형의 평균 출력레벨 변화량을 검출하여 해당 구간에서의 평균 출력레벨 변화량이 미리 설정해 놓은 임계치를 초과할 시에는 빠른 곡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해당 구간에서의 평균 출력레벨 변화량이 임계치 미만일 시에는 느린 곡으로 판단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 모듈(118)로 전송한다.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은 검색해낼 음원 미디어의 기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한 모듈로서, 상기의 참고 정보라 함은 저음 곡, 고음 곡, 빠른 곡, 느린 곡 등과 같이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나타낸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참고정보 선택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저음 곡을 가진 음원 미디어를 검색해 줄 것을 요청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저음 곡이면서도 느린 곡이라는 두 가지 패턴 타입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원 미디어를 검색해 줄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은 사용자로부터 음원 미디어 검색에 필요한 참고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비교 모듈(118)로 전송해줌으로써, 비교 모듈(118)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 모듈(118)은 특정 음원 미디어의 저음곡/고음곡 여부를 주파수 분석 모 듈(112)로부터 수신하고, 동시에 음원의 곡 빠르기 여부를 빠르기 분석 모듈(114)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이들의 패턴 타입이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에 등록된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 가를 비교 대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 정보: "저음 곡"AND "느린 곡" | |||
음원미디어 종류 | 주파수 분석모듈 출력정보[저음곡/고음곡] | 빠르기 분석모듈 출력정보[느린곡/빠른곡] | 비교 결과 |
제1음원 미디어 | 저음곡 | 느린곡 | 1(True) |
제2음원 미디어 | 고음곡 | 느린곡 | 0(False) |
.. | .. | .. | .. |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참고정보 선택 모듈(116)에 저장된 참고 정보가 "저음 곡" AND "느린 곡"이고, 제1음원 미디어에 대한 주파수 분석 모듈에서의 출력 정보가 "저음 곡", 빠르기 분석 모듈에서의 출력 정보가 "느린 곡"이라면, 비교 모듈은 참 값(TRUE)을 나타내는 '1'을 재생 모듈에 출력한다. 반면에 제2음원 미디어와 같이 주파수 분석 모듈의 출력정보가 "고음 곡"인 경우에는 등록한 패턴 타입 "저음곡"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거짓값(FALSE)을 나타내는 '0'을 재생 모듈에 출력한다.
재생 모듈(120)은 참값인 '1' 신호를 수신할 때만 해당 음원 미디어를 계속 재생해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참값인 '1'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 검색되었음을 해당 음원 미디어의 파일명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음원 미디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미디어를 검출하여 그 파일명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리스트 디스플레이된 음원 미디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음원 미디어를 선택하여 해당 음원 미디어를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주파수 분석모듈 및 빠르기 분석 모듈에서 판단 기준이 되는 분류 기준(저음곡/고음곡, 느린곡/빠른곡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분류 기준의 정보를 입력받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원 미디어의 분 당 템포수가 100이상이면 빠른곡, 주파수 대역이 10KHz 이상이면 고음곡으로 분류한다는 분류 기준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분류 기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많은 음원 미디어 중에서 사용자 개인별 취향대로 저음곡/고음곡, 느린곡/빠른곡을 추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음원재생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참고정보를 입력(S302)받는다. 참고정보는 상기 도 1에서 살핀 바와 같이, 저음곡/고음곡 여부, 느린곡/빠른곡 여부 등의 음원 미디어에 대한 검색 기준이 되는 패턴 타입을 말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음원재생 단말기에 입력함으로써, 음원재생 단말기는 입력된 패턴 타입 기준에 부합하는 음원 미디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참고정보 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음원재생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미디어의 패턴을 분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음원재생 단말기는 우선, 검색하고자 하는 음원 미디어를 순차적으로 읽어 와서 복호화하는 작업(S304)을 수행한다. 소정의 음원 미디어가 리딩/복호화(S304)되어 생성된 아날로그 파형은 주파수 분석 모듈 및 빠르기 분석 모듈에서 저음곡/고음곡인지, 느린곡/빠른곡 인지 분석(S306)된다. 상기 분석 결과는 비교 모듈로 전송되어, 비교 모듈은 분석 결과가 참고정보 입력 시에 등록 받은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참값(TRUE) 또는 거짓값(FALSE)의 비교결과를 재생 모듈로 출력(S308)한다. 그 후, 패턴 분석할 음원 미디어가 있는 더 있는지 판단(S310)하여 패턴 분석할 음원 미디어가 더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를 반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패턴타입 분석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들을 거쳐서 추출된 음원 미디어들을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재생할 수도 있고, 추출된 음원 미디어들을 차례로 재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음원재생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패턴 타입에 따른 음원 미디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음원 미디어 중에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디오 방송에 있어서 별도의 튜닝 작업 없이도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방송하는 채널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음원재생 단말기 내에서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에 있어서,음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저음/고음 여부를 파악하는 주파수 분석 모듈과,음원 미디어의 곡 빠르기를 파악하는 빠르기 분석 모듈과,검색할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는 참고정보 선택 모듈과,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재생속도가 등록된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지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모듈을 구비한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재생 단말기는 압축된 특정 음원 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스펙에 따른 복호화를 수행하여 아날로그 파형을 출력하는 복호화 모듈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재생 단말기는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곡 빠르기가 등록된 특정 패턴 타입과 일치할 경우 해당 음원 미디어를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음원재생 단말기는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곡 빠르기가 등록된 특정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 경우 일치되는 해당 음원 미디어의 파일명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석 모듈은 특정 음원 미디어의 아날로그 파형을 입력받아 주파수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패턴 타입은 음원 미디어의 음키 높이의 저음곡/고음곡 여부, 곡 빠르기의 빠른곡/느린곡 여부에 관한 패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6항에 있어서, 저음곡/고음곡, 빠른곡/느린곡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제1항에 있어서, 비교모듈에서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 및 재생속도가 등록된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참값(TRUE)을 출력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짓값(FALSE)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 검색할 음원 미디어의 패턴 타입을 등록받는 과정과,특정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읽어 와서 해당 음원 미디어의 주파수 대역과 곡 빠르기를 분석하는 과정과,상기 분석된 주파수 대역과 곡 빠르기가 등록된 패턴 타입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과,모든 음원 미디어 파일에 대하여 상기 분석과 비교출력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958A KR20060073100A (ko) | 2004-12-24 | 2004-12-24 |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
US11/317,206 US20060137516A1 (en) | 2004-12-24 | 2005-12-23 | Sound searcher for finding sound media data of specific pattern typ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1958A KR20060073100A (ko) | 2004-12-24 | 2004-12-24 |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3100A true KR20060073100A (ko) | 2006-06-28 |
Family
ID=3660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1958A Withdrawn KR20060073100A (ko) | 2004-12-24 | 2004-12-24 |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37516A1 (ko) |
KR (1) | KR2006007310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9980B1 (ko) * | 2007-10-22 | 2009-12-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입력 패턴을 이용한 음원 검색시스템 및 방법 |
KR100932220B1 (ko) * | 2008-01-31 | 2009-12-1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복 패턴을 이용한 음악 검색 방법 및 장치 |
KR100969870B1 (ko) * | 2010-02-01 | 2010-07-13 | 전자부품연구원 | 오디오 입력데이터 특성에 따른 가변 가중치 기반 음원 검색 시스템 |
KR101146901B1 (ko) * | 2010-11-08 | 2012-05-23 |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 목소리에 따른 악기 소리 연주 장치 및 그 방법 |
KR101243235B1 (ko) * | 2006-08-03 | 2013-03-14 | 인텔 코포레이션 |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19858B2 (ja) * | 2011-07-27 | 2016-11-02 | ヤマハ株式会社 | 楽曲解析装置および楽曲解析方法 |
US20140013193A1 (en) * | 2012-06-29 | 2014-01-09 | Joseph John Selinger | Methods and systems for capturing information-enhanced images |
CN103631758A (zh) * | 2013-11-21 | 2014-03-12 | 陕西理工学院 | 一种改进和声搜索算法求解非线性规划及绝对值方程的方法 |
US9263013B2 (en) * | 2014-04-30 | 2016-02-16 | Skiptune,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elodies |
CN104468999A (zh) * | 2014-11-28 | 2015-03-25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音频匹配方法、装置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6876A (en) * | 1995-04-19 | 1997-04-01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ng music on the basis of subjective content |
US5874686A (en) * | 1995-10-31 | 1999-02-23 | Ghias; Asif U.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melody |
US5918223A (en) * | 1996-07-22 | 1999-06-29 | Muscle Fish |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ntent-based analysis, storage, retrieval, and segmentation of audio information |
US7228280B1 (en) * | 1997-04-15 | 2007-06-05 | Gracenote, Inc. | Finding database match for file based on file characteristics |
EP0944033B1 (en) * | 1998-03-19 | 2003-05-28 | Tomonari Sonoda | Melody retrieval system and method |
US6201176B1 (en) * | 1998-05-07 | 2001-03-13 | Canon Kabushiki Kaisha | System and method for querying a music database |
US7022905B1 (en) * | 1999-10-18 | 2006-04-04 | Microsoft Corporation |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nd use of classifications in searching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
US6188010B1 (en) * | 1999-10-29 | 2001-02-13 | Sony Corporation | Music search by melody input |
WO2001069575A1 (en) * | 2000-03-13 | 2001-09-20 | Perception Digital Technology (Bvi) Limited | Melody retrieval system |
US6539395B1 (en) * | 2000-03-22 | 2003-03-25 | Mood Logic, Inc. | Method for creating a database for comparing music |
JP4360750B2 (ja) * | 2000-06-16 | 2009-11-11 | ヤマハ株式会社 |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同配信システムに利用される配信サーバ。 |
US6657117B2 (en) * | 2000-07-14 | 2003-12-02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automatic classification of media entities according to tempo properties |
US20020065857A1 (en) * | 2000-10-04 | 2002-05-30 | Zbigniew Michalewicz |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nd clustering of documents for search engine |
US7031980B2 (en) * | 2000-11-02 | 2006-04-1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usic similarity function based on signal analysis |
US6673995B2 (en) * | 2000-11-06 | 2004-01-0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usic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KR100893797B1 (ko) * | 2000-12-07 | 2009-04-20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DE10164686B4 (de) * | 2001-01-13 | 2007-05-31 | Native Instruments Software Synthesis Gmbh | Automatische Erkennung und Anpassung von Tempo und Phase von Musikstücken und darauf aufbauender interaktiver Musik-Abspieler |
US6528715B1 (en) * | 2001-10-31 | 2003-03-04 | Hewlett-Packard Company | Music search by interactive graphical specification with audio feedback |
US6995309B2 (en) * | 2001-12-06 | 2006-02-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 and method for music identification |
US20030120679A1 (en) * | 2001-12-20 | 2003-06-2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for creating a database index for a piece of music and for retrieval of piece of music |
JP4313563B2 (ja) * | 2002-12-04 | 2009-08-1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楽曲検索装置及び方法 |
JP2006106818A (ja) * | 2004-09-30 | 2006-04-20 | Toshiba Corp |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及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 |
US20060086236A1 (en) * | 2004-10-25 | 2006-04-27 | Ruby Michael L | Music sel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
JP4247195B2 (ja) * | 2005-03-23 | 2009-04-02 | 株式会社東芝 | 音響信号処理装置、音響信号処理方法、音響信号処理プログラム、及び音響信号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2004
- 2004-12-24 KR KR1020040111958A patent/KR20060073100A/ko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12-23 US US11/317,206 patent/US20060137516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235B1 (ko) * | 2006-08-03 | 2013-03-14 | 인텔 코포레이션 | 음원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0929980B1 (ko) * | 2007-10-22 | 2009-12-0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입력 패턴을 이용한 음원 검색시스템 및 방법 |
KR100932220B1 (ko) * | 2008-01-31 | 2009-12-1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복 패턴을 이용한 음악 검색 방법 및 장치 |
KR100969870B1 (ko) * | 2010-02-01 | 2010-07-13 | 전자부품연구원 | 오디오 입력데이터 특성에 따른 가변 가중치 기반 음원 검색 시스템 |
KR101146901B1 (ko) * | 2010-11-08 | 2012-05-23 |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 목소리에 따른 악기 소리 연주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137516A1 (en) | 2006-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407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data analysis in an audio player | |
US79535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udio track based upon audio excerpts | |
KR101275467B1 (ko) | 오디오 재생 장치의 이퀄라이저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7062442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arch and recording of media signals | |
KR100913978B1 (ko) | 미디어 데이터 포맷을 위한 메타데이터 유형 | |
EP1426921B1 (en) | Music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 |
JP4469891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JP5594532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 |
KR20070116853A (ko) |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스캔 셔플 | |
KR101796580B1 (ko) | 음악 하이라이트 구간 추출 장치 및 방법 | |
US2007028851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2006511845A (ja) | オーディオ信号の配列 | |
KR20050085765A (ko) | 오디오 신호 분석 방법 및 장치 | |
KR20060073100A (ko) | 특정 패턴 타입의 음원 미디어를 검색하는 음원 검색기 및그 동작방법 | |
WO2006109488A1 (ja) | 情報類似性判別装置及び情報類似性判別方法 | |
KR101424974B1 (ko) | 복수의 반복되는 부분들을 가진 음악 데이터의 첫 번째부분만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050003457A (ko) |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
US8069177B2 (en) | Information selecting method, information selecting device and so on | |
JP2006202127A (ja) | 推奨情報提示装置及び推奨情報提示方法等 | |
JP2006048808A (ja) | オーディオ装置 | |
CN101661788B (zh) | 再现设备和再现方法 | |
KR20070048484A (ko) | 음악파일 자동 분류를 위한 특징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재생 목록 자동 생성 장치 및그 방법 | |
Nishan et al. | A highly robust audio monitoring system for radio broadcasting | |
JP2004326907A (ja) | オーディオ再生装置 | |
JP2010061757A (ja) | 音楽記録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