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322A -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 Google Patents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0322A KR20060070322A KR1020040109018A KR20040109018A KR20060070322A KR 20060070322 A KR20060070322 A KR 20060070322A KR 1020040109018 A KR1020040109018 A KR 1020040109018A KR 20040109018 A KR20040109018 A KR 20040109018A KR 20060070322 A KR20060070322 A KR 200600703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mipv4
- mobile terminal
- mipv6
- ipv4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IPv4 망에서의 모바일 IPv6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IPv6 interworking method in a mobile IPv4 network.
본 발명은 MIPv4와 모바일 MIPv6의 두 규격을 모두 지원하는 IPv4/v6망을 홈망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MIPv6 망에 접속하고 있는 상대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MIPv4망에 방문하는 경우의 MIPv4망에서의 MIPv6 연동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이동단말의 방문망이 MIPv4망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단말은 MIPv4 기반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Pv6 in a MIPv4 network when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Pv4 / v6 network that supports both MIPv4 and mobile MIPv6 networks visits the MIPv4 network while communicat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MIPv6 network. Propose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f the visited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a MIPv4 network,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MIPv4-based registration procedure.
그리고나서 이동단말의 접속위치를 관리하는 상기 IPv4/v6망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가 이동단말에 대한 바인딩을 갱신한다. 그리고나서, 홈 에이전트가 상기 이동단말을 대신하여 상대단말에 대한 바인딩 갱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인딩 갱신 절차는 MIPv4 망과 IPv4/v6 망 사이의 IPv4 터널링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Then, the Home Agent of the IPv4 / v6 network managing the access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updates the binding for the mobile station. Then, the home agent performs binding update for the counterpart terminal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update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IPv4 tunneling between the MIPv4 network and the IPv4 / v6 network.
IPv4, IPv6, 터널링, 연동IPv4, IPv6, Tunneling, Interwork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v4/MIPv4 망에서의 IPv6/MIPv6 연동 절차를 나타내는 동작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Pv6 / MIPv6 interworking procedure in an IPv4 / MIPv4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과 IPv4/MIPv4 기반의 방문망, 듀얼 모드 홈망 간의 MIPv4 등록 절차의 타이밍 도이다. 3 is a timing diagram of a MIPv4 registration procedure between a mobile station, an IPv4 / MIPv4 based visit network, and a dual mode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IPv4 등록이 완료된 후의 MIPv6 바인딩 갱신 절차의 타이밍 도이다. 4 is a timing diagram of a MIPv6 binding update procedure after MIPv4 registr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포맷을 나타낸다.5 through 9 illustrate a message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IPv4(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4; 이하 MIPv4라 함) 망에서의 모바일 IPv6(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이하 MIPv6라 함)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링 방식을 이용한 MIPv4 망에서의 MIPv6 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IPv6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MIPv6) interworking method in a mobile IPv4 (MIPv4) network, in particular MIPv6 in a MIPv4 network using a tunneling scheme It relates to the interlocking method.
IP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통신망에서는, 이동 인터넷에 대한 요구에 따라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인터넷에서의 가장 대표적인 이동성 프로토콜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개발된 MIP(Mobile Internet Protocol)이며, 이 IETF는 IP 버전에 따라 각각 IPv4와 IPv6를 적용하여 MIPv4와 MIPv6의 규격을 규정하고 있다. In the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IP technology, mobility support for a terminal is indispensable according to a demand for a mobile Internet. The most representative mobility protocol on the Internet is the Mobile Internet Protocol (MIP) developed by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which specifies the specifications of MIPv4 and MIPv6 by applying IPv4 and IPv6,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P version.
그러나 상기IPv4와 IPv6의 규격은 서로 호환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 MIP의 경우도 MIPv4와 MIPv6간의 호환성을 지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단말과 홈 망이 듀얼모드(MIPv4와 MIPv6의 두 개의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망 사이를 이동한다면 이동단말과 상대단말(CN; Corresponding Node)노드간의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런 문제는 IPv6/MIPv6 망이 주요 접속수단이 될 경우, 이동 단말이 IPv6/MIPv6 기반의 서비스를 받다가 IPv4/MIPv4 기반의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However, since the IPv4 and IPv6 standard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current MIP does not support compatibility between MIPv4 and MIPv6. Therefore, even i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ome network support dual mode (a mode that supports two specifications of MIPv4 and MIPv6 simultaneously), if the mobile terminal moves between different network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node (CN) node is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is impossible. In particular, such a problem is likely to be a problem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IPv6 / MIPv6 based service and moves to an IPv4 / MIPv4 based network when the IPv6 / MIPv6 network is the main access mea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이 이동하는 동안에 끊임없이 요구되는 이동성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IPv4/MIPv4와 IPv6/MIPv6의 두 기술간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MIPv4 망에서의 MIPv6 연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two technologies of IPv4 / IPv4 and IPv6 / IPv6 to support the mobility services constantly required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moving To provide a MIPv6 interworking method in a MIPv4 networ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MIPv4망에서의 MIPv6 연동방법은 모바일 IPv4(MIPv4)와 모바일 IPv6(MIPv6)의 두 규격을 모두 지원하는 IPv4/v6망을 홈망으로 하는 이동단말이 MIPv6 망에 접속하고 있는 상대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MIPv4망에 방문하는 경우의 MIPv4망에서의 MIPv6 연동방법으로서, The MIPv6 interworking method in the MIPv4 network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Pv4 / v6 network that supports both of IPv4 (MIPv4) and mobile IPv6 (MIPv6) as a home network As an MIPv6 interworking method in a MIPv4 network when visiting a MIPv4 network while communicating with a counterp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MIPv6 network,
(a) 이동단말의 방문망이 상기 MIPv4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MIPv4 기반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a) i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MIPv4 network is the MIPv4 network, causing the mobile station to perform a MIPv4-based registration procedure;
(b) 상기 이동단말의 접속위치를 관리하는 상기 IPv4/v6망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바인딩을 갱신하는 단계; (b) updating a binding for the mobile terminal by a home agent of the IPv4 / v6 network managing the access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 상기 홈 에이전트가 상기 이동단말을 대신하여 상기 상대단말에 대한 바인딩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the home agent performing binding update for the counterpart terminal on behalf of the mobile terminal; And
(d) 상기 이동단말과 상대단말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connec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계 (b)는 Here, step (b)
상기 홈 에이전트가 상기 방문망의 방문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1 이동단말의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터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by the home agent, a binding update message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from the visited agent of the visited network through tunneling;
상기 수신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IPv6로 변환하는 단계; 및 Converting the received binding update message to IPv6; And
상기 IPv6로 변환된 상기 이동단말의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바인딩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performing a binding update on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the binding update message of the mobile station converted to IPv6.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 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MIPv4 기반의 망이 먼저 구현된 후 MIPv6 망이 전개되는 것을 가정하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IPv4-based network is first implemented, and then the MIPv6 network is developed. Therefore, the following matters are assumed as the basic assumptions.
첫째, 이동단말은 IPv4/MIPv4와 IPv6/MIPv6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이다. First, the mobile terminal is a dual mode terminal supporting both IPv4 / MIPv4 and IPv6 / MIPv6.
둘째, 이동단말의 홈망도 IPv4/MIPv4와 IPv6/MIPv6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 모드 망이다. 즉, IPv4/IPv6 변환을 위한 변환기를 가지며 홈 망에 위치한 HA(Home Agent)는 MIPv4와 MIPv6를 모두 지원한다. Second, the home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is a dual mode network supporting both IPv4 / MIPv4 and IPv6 / MIPv6. That is, a HA (Home Agent) located in a home network having a converter for IPv4 / IPv6 conversion supports both MIPv4 and MIPv6.
셋째, 이동단말과 통신하는 상대단말(CN: Corresponding Node)은 IPv6/MIPv6 만을 지원한다. Third, a Corresponding Node (CN)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only supports IPv6 / MIPv6.
마지막으로 이동단말이 이동하는 동안 경유하는 모든 엑세스 망은 IPv6/MIPv6 또는 IPv4/MIPv4 중 하나만을 지원한다.Finally, all access networks that pass through the mobile station support only one of IPv6 / MIPv6 or IPv4 / MIPv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10) 및 상대단말(120) 사이의 무선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IPv4/v6망(200), MIPv6 망(300) 및 MIPv4 망(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a
이동단말(110)은 IPv4/MIPv4 및 IPv6/MIPv6를 모두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이고 MIPv6망(300)에서 MIPv4(400)망을 경유하여 MIPv6망(200)으로 이동하며, 상대방 노드인 상대단말(120)은 MIPv6망(200)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The
IPv4/v6망(200)은 IPv4와 IPv6의 두 규격을 모두 지원하는 듀얼스택(Dual Stack)망으로 다수의 MIPv6 망(300) 및 MIPv4 망(400)과 연결되어 있으며, HA(Home Agent)(210) 및 IPv4/v6 변환기(220)를 포함한다.The IPv4 /
HA(210)는 IPv4/v6 망(200)의 홈망의 위치 등록기로서 이동단말(110)의 접속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IPv4/v6 변환기(220)는 이동단말(110)에 대한 IPv4 및 IPv6 메시지의 상호 변환을 제공한다.The HA 210 manages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에서 이동단말(110) 및 상대단말(120) 사이의 계속적인 메시지 전송을 위한 IPv4/MIPv4와 IPv6/MIPv6간의 연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A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IPv4 / MIPv4 and IPv6 / MIPv6 for continuous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v4/MIPv4 망에서의 IPv6/MIPv6 연동 절차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단말(120)이 MIPv6망(300)에 접속되어 있고 이동단말(110)이 MIPv6망(300)에 접속되어 있다가 MIPv4 망(400)을 경유하여 MIPv6망(300)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2 illustrates an IPv6 / MIPv6 interworking procedure in an IPv4 / MIPv4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as shown in FIG. 1, the
이동단말(110)이 이동하여 새로운 방문 망에 진입하면, 이동단말(110)은 방문망이 MIPv6망(300)인지 MIPv4망(400)인지를 판단한다. (S201) Whe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단말(110)의 방문망이 MIPv6망(300)인지 MIPv4망(400)인지의 판단은, 방문망의 라우터 또는 FA(Foreign Agent)로부터 방송되는 광고 메시지를 통해 행해진다. 즉, 이동단말(110)이 방문망의 라우터 또는 FA로부터 수신한 광고메시지가 MIPv4 광고 메시지이면 해당 망을 MIPv4 망(400)으로 인식하고, MIPv6 광고 메시지이면 해당 망을 MIPv6 망(300)으로 인식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visited network of the
상기 단계 S201의 판단결과, 이동단말(110)이 방문한 망이 MIPv4 망(400)인 경우, 이동단말(110)은 정상적인 MIPv4 기반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20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1, when the network visited by the
등록절차의 완료 후, 이동단말(110)은 IPv4/v6 망(200)의 HA(210)와 MIPv6 바인딩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S203)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110)이 MIPv4 망(40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MIPv4의 데이터 전달 절차를 통해 HA(210)에 대한 바인딩 갱신 절차를 수행한다(S203).After completion of the registration procedure, the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203의 바인딩 갱신 절차는 IPv4/MIPv4 기반의 방문망(MIPv4 망)과 듀얼 모드 홈망(IPv4/v6 망) 사이의 IPv4 터널링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IPv4로 터널링되어 전달된 이동단말(110)의 MIPv6 바인딩 갱신 메시지는 IPv4/v6 망(200)의 IPv4/v6 변환기(220)에 의해 IPv6로 변환된 후 HA(210)로 전달되고, HA(210)는 IPv6로 변환된 이동단말(110)의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단말(110)의 바인딩 갱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널링(tunneling)이란 IPv4 페이로드 부분에 IPv6 트래픽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터널링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방법을 사용한다. Specifically, the binding update procedure of step S203 is performed through IPv4 tunneling between the IPv4 / MIPv4-based visit network (MIPv4 network) and the dual mode home network (IPv4 / v6 network). That is, the MIPv6 binding update message of the
이동단말(110)의 바인딩 갱신이 수행된 후에는, HA(210)가 이동단말(110)에 대하여 상대단말(120)의 바인딩 갱신을 수행한다. (S204) 이는 상대단말(120)이 접속중인 망은 MIPv6망(300)이고 이동단말(110)이 MIPv4 망(400)에 접속중이라 직접 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HA(210)가 이동단말을 대신하여 바인딩 갱신을 수행한 것이다. After the binding update of the
상기 단계 S203 및 S204를 수행하여 이동단말(110)과 상대단말(120)의 바인딩 갱신이 수행된 후에, 이동단말(110)과 상대단말(12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S205).After the binding update between the
한편, 상기 단계 S201의 판단결과 방문망이 MIPv6 망(300)인 경우, HA(210) 및 상대단말(120)에 대한 MIPv6 바인딩을 갱신한 후(S206), 이동단말(110)과 상대단말(12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 (S205)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1 that the visited network is the
다음에는 이동단말이 MIPv4 망(400)으로 이동하여 MIPv4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도2의 단계 S202)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Next, the mobile terminal moves to the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이동단말(110)과 IPv4/MIPv4 기반의 방문망, 듀얼모드 홈망간의 MIPv4 등록 절차의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FIG. 3 is a timing diagram of a MIPv4 registration procedure between the
도 3을 참조하면, MIPv4 망(400)으로 이동한 이동단말(100)은 MIPv4 망(400)의 FA(410)로부터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다(S30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FA를 가지는 MIPv4망을 가정하였으나, Co-located CoA를 사용하는 MIPv4망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moving to the
이동단말(110)은 수신된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이동한 망이 MIPv4 망(400)인 것을 확인하고, 이후의 MIPv6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IPv6 주소를 FA(410)의 CoA(Care of Address)를 이용하여 구성한다(S302). 이때, FA(410)의 CoA를 이용한 IPv6 주소의 구성은 IPv6 규격에서 정의한 IPv4-mapped-IPv6 주소 구성 방법 등을 이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이동단말(110)이 FA CoA를 이용하여 MIPv4 등록 요구 메시지를 FA(410)로 전송한다.(S303) FA(410)는 수신된 등록 요구 메시지를 이용하여 MIPv4에 규정된 방문자 리스트를 작성한다(S304). 이때, FA(410)가 작성하는 방문자 리스트에는 이동단말(110)의 홈 주소와 현재 링크 계층 주소에 대한 매핑이 포함된다.The
그리고 FA(410)는 수신된 등록 메시지를 HA(210)로 전달하고(S305), HA(210)는 이동단말(110)에 대한 바인딩 리스트를 갱신한다(S306). 이때, 바인딩 리스트에는 이동단말(110)의 홈 주소와 FA CoA에 대한 매핑이 포함된다.The
이후에 HA(210)는 등록 확인 메시지를 FA(410)로 전송하고(S307), FA(410)는 등록 확인 메시지를 이동단말(110)로 전송하여(S308) MIPv4 등록을 완료한다.Thereafter, th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IPv4 등록 이후의 MIPv6 바인딩 갱신절차(도 2의 단계 S203 및 S204)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MIPv6 binding update procedure (steps S203 and S204 of FIG. 2) after MIPv4 regist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IPv4 등록이 완료된 후의 MIPv6 바인딩 갱신 절차의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4 is a timing diagram of a MIPv6 binding update procedure after MIPv4 registr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10)은 MIPv6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IPv4 패킷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S401), 인캡슐레이션된 패킷을 FA(410)로 전송한다(S402).Referring to FIG. 4, the
FA(410)는 수신된 인캡슐레이션된 IPv4 패킷을 IPv4 터널링을 이용하여 이동단말의 홈망인 IPv4/v6 망(200)의 HA(210)로 전송한다.The
HA(210)는 수신되는 인캡슐fp이션된 IPv4 패킷을 IPv4/v6 변환기(220)를 통해 IPv6 패킷으로 변환하고(S403), 변환된 IPv6 패킷을 이용하여 바인딩 캐쉬를 갱신한다(S404).The
바인딩 갱신이 완료되면, HA(210)는 이동단말(110)의 IPv6 홈 주소와 FA CoA 주소를 이용해 생성된 이동단말(110)의 새로운 IPv6에 대한 매핑을 가지게 되며, 이동단말(110)을 대신하여 상대단말(120)에 대한 바인딩 갱신을 위한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상대단말(120)로 전송한다(S405). 또한, 동시에 HA(210)는 터널링을 통해 이동단말(110)로 바인딩 갱신을 요청했음을 알리는 응답을 보낸다.When the binding update is completed, the
한편, 단계 S405에서 바인딩 갱신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단말(120)은 바인딩 캐쉬를 갱신하고(S407) HA(210)로 바인딩 갱신이 완료되었다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며(S408), HA(210)는 터널링을 통해 상대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FA(410)로 전송하여 이동단말(110)로 전달되도록 한다. (S409). 이때 단계 S407에서 상대단말(120)이 갱신하는 바인딩 캐쉬에는 이동단말(110)의 홈 주소 및 이동단말(110)의 CoA를 나타내는 HA(210)의 주소가 매핑된다.Meanwhile, the
다음에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포맷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message format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이동단말(110)이 MIPv6 바인딩 갱신 메시지를 보낼 때의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110)이 MIPv6 바인딩 갱신을 보낼 때의 메시지는 IPv4 헤더(511~513)와 MIPv6 바인딩 갱신 메시지가 저장된 IPv6 페이로드(520)를 포함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format when the
도 5에서, IPv4 헤더에서 소스 주소(511)는 이동단말의 IPv4 CoA인 FA(410) 주소가 되며, 목적지 주소(512)는 HA의 IPv4 주소가 된다. 도 5에서 도면 부호 513은 두 주소부분을 제외한 헤더의 나머지 부분을 가리킨다. 도 5에 도시한 IPv4 헤더는 IPv4/v6 변환기(220)에 의해서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되고, IPv6 페이로드(520) 부분의 바인딩 갱신 메시지가 HA(210)로 전송된다. In FIG. 5, the source address 511 in the IPv4 header becomes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널링을 위한 패킷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A(210)와 FA(410)간의 터널링을 위한 데이터의 패킷 포맷으로 IPv4 헤더(611~615)와 IPv6 페이로드(620)를 포함한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format for tunn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packet format of data for tunneling between the
IPv4 헤더는 두 번의 인캡슐레이션을 사용하는데, 외부 헤더(611, 612)는 HA(210)가 상대단말(120, 상대 노드)을 대신하여 이동단말(110)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내부 헤더(613, 614)는 IPv6 패킷의 전달을 위한 IPv4 터널링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 헤더는 소스 주소가 HA(210)의 IPv4 주소(611), 목적지 주소가 FA CoA IPv4 주소(612)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내부 헤더는 소스 주소가 HA(210)의 IPv4 주소(613)가 되며, 목적지 주소가 이동단말(110)의 IPv4 홈 주소(614)가 된다. 도 6에서, 도면 부호 615는 상기한 주소를 제외한 헤더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The IPv4 header uses two encapsulation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대단말(120)에서 전달된 패킷을 FA(410)에서 디캡슐레이션 했을 때의 포맷을 나타낸다.7 illustrates a format when a packet delivered from the
도 7을 참조하면, 패킷은 IPv4 헤더(711~713)와 IPv6 패킷이 포함된 Pv6 페이로드(720)를 포함한다. 도 7에 구성된 패킷은 도 6에 도시한 패킷에서 외부 헤더 가 제거되고 내부 헤더인 HA(210)의 주소(711) 및 이동단말(110)의 IPv4 홈 주소(712)만이 헤더에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acket includes a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110)이 상대단말(120)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나타낸다. 8 illustrates a format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도 8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10)이 상대단말(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은 IPv4 헤더(811~813)에 이동단말의 홈 주소(811)와, HA(210)의 주소(812)를 포함시키고, IPv6 패킷(820)을 페이로드에 포함시킨 포맷으로 패킷을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8, the data packet for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110)이 상대단말(1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FA(410)에서의 패킷 포맷을 나타낸다.9 illustrates a packet format in the
도 9를 참조하면, FA(410)에서의 IPv4 헤더(911~915)부분에는 터널링을 위한 외부헤더와 상대단말(120)로 전달하기 위한 내부 헤더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외부 헤더에서 소스 주소는 이동단말의 IPv4 CoA인 FA CoA(911)이며, 목적지 주소는 HA(120)의 IPv4 주소가 된다. 내부헤더에서 소스주소는 이동단말(110)의 홈망 주소(913)가 되고, 목적지 주소는 HA(210)의 주소(914)가 된다.In the outer header, the source address i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IPv6를 사용하던 듀얼 모드 단말이 MIPv4 만이 지원되는 망을 경유하는 경우에도, IPv4/MIPv4 만을 지원하는 방문망과 IPv6/MIPv6 만을 지원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아무런 추가적 변경 없이 상대 노드와 이동 단말간의 통신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IPv4/MIPv4 기반의 망에서 IPv6/MIPv6 망으로 망이 진화하여 상당 기간 두 망이 공존할 가능성이 높은 망 환경에서, 기존에 설치된 MIPv4 망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새로 설치되는 IPv6/MIPv6 망에의 최소한의 추가로서 두 망간의 연동을 가능케 해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dual mode terminal using MIPv6 is connected to a network supporting only IPv4 / MIPv4, even if a dual mode terminal using MIPv6 is suppor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communication between the counterpart node and the mobile terminal without any further modification. This feature is a new network for IPv6 / MIPv4 networks that does not require modification of existing MIPv4 networks in a network environment where the network has evolved from IPv4 / MIPv4-based network to IPv6 / MIPv6 network and is likely to coexist for a long time. A minimal addition to the MIPv6 network can enable interworking between the two networks.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IPv4 망에서의 MIPv6 연동 장치 및 방법은, MIPv6를 사용하는 듀얼 모드 이동단말이 MIPv4망을 경유하는 경우 상대노드에 대해 추가적인 변경없이 통신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Pv6 interworking apparatus and method in the MIPv4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using MIPv6 via the MIPv4 network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out additional changes to the other node It work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9018A KR100689731B1 (en) | 2004-12-20 | 2004-12-20 |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9018A KR100689731B1 (en) | 2004-12-20 | 2004-12-20 |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0322A true KR20060070322A (en) | 2006-06-23 |
KR100689731B1 KR100689731B1 (en) | 2007-03-08 |
Family
ID=3716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90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9731B1 (en) | 2004-12-20 | 2004-12-20 |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973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5049B1 (en) * | 2006-06-13 | 2007-08-0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How to Manage Mobility for Mobile Nodes |
KR100765798B1 (en) * | 2005-12-29 | 2007-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route optimization with dual mobile IPv4 node in IPv6-only network |
WO2008038950A1 (en) * | 2006-09-28 | 2008-04-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system and method to enable combination of network controlled mobility and ue controlled mobility between different ip versions |
KR100834578B1 (en) * | 2006-12-08 | 2008-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ow to detect movement of mobile node on dual stack mobile IP6 |
WO2009075490A3 (en) * | 2007-12-12 | 2009-08-06 | Korea Electronics Telecomm | Method for supporting transport network independent ip mobility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
KR101277259B1 (en) * | 2005-09-15 | 2013-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roaming of a dual stack capable MIPv6 node between IPv6 and IPv4 network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637B1 (en) * | 2002-06-07 | 2005-06-28 | (주)아이엠넷피아 | A Method of IPv4 communication in IPv6 Wireless LAN |
KR20050016716A (en) * | 2002-07-02 | 2005-02-21 |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 Method for encapsulating internet protocol messages |
KR20040066432A (en) * | 2003-01-18 | 2004-07-27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for Mobility Support using Mobile IP In Networks |
KR100659586B1 (en) * | 2004-08-18 | 2006-12-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ow to communicate with IP4 Internet in IPV6 mobile network environment |
-
2004
- 2004-12-20 KR KR1020040109018A patent/KR1006897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259B1 (en) * | 2005-09-15 | 2013-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of roaming of a dual stack capable MIPv6 node between IPv6 and IPv4 network |
KR100765798B1 (en) * | 2005-12-29 | 2007-10-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route optimization with dual mobile IPv4 node in IPv6-only network |
KR100745049B1 (en) * | 2006-06-13 | 2007-08-0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How to Manage Mobility for Mobile Nodes |
WO2008038950A1 (en) * | 2006-09-28 | 2008-04-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system and method to enable combination of network controlled mobility and ue controlled mobility between different ip versions |
US7813347B2 (en) | 2006-09-28 | 2010-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to enable combination of network controlled mobility and UE controlled mobility between different IP versions |
KR100834578B1 (en) * | 2006-12-08 | 2008-06-0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How to detect movement of mobile node on dual stack mobile IP6 |
US8045509B2 (en) | 2006-12-08 | 2011-10-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Network movement detection method in mobile node of DSMIP6 environment |
WO2009075490A3 (en) * | 2007-12-12 | 2009-08-06 | Korea Electronics Telecomm | Method for supporting transport network independent ip mobility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
KR100927229B1 (en) * | 2007-12-12 | 2009-11-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Transport network independent IP mobility support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9731B1 (en) | 200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6147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tunneling between different addressing domains | |
US6515974B1 (en) | Mobile computer communication scheme supporting moving among networks of different address systems | |
US20020007414A1 (en) | Network system using dedicated downlink network and bidirectional network | |
KR101240708B1 (en) |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of device in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on 6LoWPAN | |
Kim et al. | A lightweight NEMO protocol to support 6LoWPAN | |
US20040148428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ternet protocol (IP) version independent mobility management system | |
JP2009516988A (en) | Internet protocol tunneling over mobile networks | |
CN101690080A (en) | Tunneling support for mobile ip using a key for flow identification | |
KR20080075306A (en) | Lossless Mobile IP Packet Delivery Method and System Thereof | |
KR20100090972A (en) |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mobile node in a multi-hop ip network and network system therefor | |
JP2013507092A (en) | System and protocol for mobility access gateway tunneling for fast handoff transition | |
JP2004242019A (en) |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network management server, mobile node, access node and anchor node | |
KR100689731B1 (en) | How to link mobile IPv6 in mobile IPv4 network | |
WO2007036146A1 (en) |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BETWEEN IPv6 MOBILE NODE AND IPv4 COMMUNICATION PARTNER | |
KR20010098088A (en) | Hand-Over Method between Packet Zones, and Paket Data Service Using The Same | |
US823836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stack MN to roaming in an IPv4 network | |
KR101029113B1 (en) | Method for Providing IP Mobility using SCTP Signaling in 3GP base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
JP2004080733A (en) | Hierarchical mobile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
JP2003018185A (en) | Mobile IP communication system, mobile IP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re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US20080151855A1 (en) | Method for optimiz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nodes | |
JP3885942B2 (en) |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850512B1 (en) | Mobile IPv6 packets transmission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s | |
KR101433380B1 (en) | MANEMO(MANET for NEMO;Mobile Ad-hoc Network for Network Mobility) System and Method based on Anchor Point | |
CN102378284A (en) | Inter-domain switching method of proxy mobile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
CN102282821B (en) | IPv4-v6 coexistence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2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