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68143A -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143A
KR20060068143A KR1020040106743A KR20040106743A KR20060068143A KR 20060068143 A KR20060068143 A KR 20060068143A KR 1020040106743 A KR1020040106743 A KR 1020040106743A KR 20040106743 A KR20040106743 A KR 20040106743A KR 20060068143 A KR20060068143 A KR 2006006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chedule
mobile communication
item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143A/en
Publication of KR2006006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14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28Services making use of subscriber schedul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촬영 시간을 독출한 후,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으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an image taken by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while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Reading out a shooting time from an image input from a camera,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shooting time; And setting a title of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w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shooting time.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스케줄 항목, 영상.Mobile terminal, camera, schedule item, video.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정보 저장 방법{Method for storaging an image information in mobile phone}Method for storing image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storaging an image information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2A to 2C are LCD scree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menu item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스케줄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3A to 3D are LCD scree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isplaying schedule menu item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이 스케줄 항목에 연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형상을 도시한 액정화면.4 is a liquid crystal display showing a shape in which a peripheral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memory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스케줄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케줄 항목을 메모리에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 schedule item input by a user through a schedule menu in a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전달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주변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성도.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title of a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a camera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and stores the title in a memor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카메라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camera

120 : 키패드 130 : 메모리 120: keypad 130: memory

140 : 제어부 150 : 표시부140: control unit 150: display unit

160 : 무선주파수 처리부 170 : 스피커160: radio frequency processing unit 170: speaker

180 : 마이크 180: micro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소정의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저장하는 영상 정보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for storing a surrounding image taken by a camera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의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촬영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한 후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정보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shooting time of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itl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is set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and stored in the memory. It relates to a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무선통신 서비스의 기술 확대와 가입자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힘입어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면 음성통화,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 및 무선 인터넷 등의 기본 서비스와, 게임, 벨소리, 음악, 전화번호 저장, 영상 촬영 및 교통 정보 제공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 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10대나 20대 초반의 사용자들은 서로간의 의사 소통을 대부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하고 있으며, 특히 문자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Rec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xpa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scribers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arious services such as voice call, text / voice message transmission and wireless internet, etc. It provides additional services to users, such as games, ringtones, music, phone number storage, video shooting and traffic information. In particular, users in their teens or early twenties mos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in particular, use text and voice messages a lot.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 이외에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다양한 주변 영상, 예를 들면 친구, 기념일, 행사장 풍경, 자연 환경, 애완 동물 등 다양한 주변 영상을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주변 영상을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various surrounding images photographed using a mounted camera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and a voice message, for example, friends, anniversaries, landscapes of a venue, a natural environment, pets, or the like. Or it transmits the stored peripheral image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소정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 년-월-일-순번 " 등의 형태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즉, 메모리에 저장되는 주변 영상에는 소정의 검색 정보, 예를 들면 촬영 당시의 상황 정보와 같은 검색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모리에 저장된다.When taking a predetermined surrounding image through a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akes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the form of "year-month-day-sequence" or the like. Automatically sets the title of the surrounding video and saves it in memory. That is, the peripheral image stored in the memory is stored in the memory in a state where predetermined search information, for example, search information such as situ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is not set.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주변 영상을 찾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영상을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has to search for the surrounding images stored in the memory when he wants to find the surrounding images he wa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소정의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정보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the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The purpose i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영상 저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촬영 시간을 독출한 후,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으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toring a captured ima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according to a user command;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while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Reading out a shooting time from an image input from a camera,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shooting time; And setting a titl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w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photographing time.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촬영된 날짜와 순번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the title of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using the captured date and sequence number, if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not set at the shooting time read from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or im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화면 이고, 도 3은 사용자가 선택한 스케줄 메뉴 항목을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화면 이고, 도 4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이 스케줄 항목에 연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형상을 도시한 액정화면 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iquid crystal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menu item selected by a user, and FIG. 3 is a schedule menu item selected by a user. 4 is a liquid crystal screen showing a shape in which a peripheral image captured by a camera is stored in a memory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주변의 영상을 포착하여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로 구성되고,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각종 부가 서비스 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120)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 및 문자 정보 등 각종 정보와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30)와, 스케줄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케줄 항목을 메모리에 설정시킨 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주변 영상이 전송되면 해당 주변 영상의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저장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각종 문자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150)와,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수 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에 접속시키는 무선주파수 처리부(160)와, 제어부(140)에 의해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70)와, 사용자 음성과 각종 소리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10 for capturing and capturing a surrounding image, and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 keypad 120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using a service, a memory 130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urrounding image and text information captured by a camera and a driving program, and a schedule input by a user through a schedule menu. After setting the item in the memory, when the peripheral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is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shooting time of the peripheral image. The controller 140 stores a title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various tex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40, and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e display unit 150 displaying the surrounding image and the baseba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40 are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is converted into a baseband signal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speaker 170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40 to the outside, and a microphone 180 for inputting user voices and various sound signals. .

여기서, 카메라(110)는 주변 영상을 촬상소자(미도시)에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주변 영상을 포착한다. Here, the camera 110 includes a lens for focusing the surrounding image onto an image pickup device (not shown), and captures the surrounding image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40.

이때, 제어부(140)로부터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110)는 현재 포착하고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을 제어부(140)로 전송한다.At this time,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 image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140, the camera 110 captures the surrounding image and transmits the captured peripheral image to the controller 140.

키패드(120)는 메모리(130) 내에 저장된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나 기지국을 통해 제공되는 무선통신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keypad 12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input by a user to the controller 140 in order to use various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30 or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base st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120) 상의 메뉴키를 누르면, 제어부(140)는 키패드(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메뉴키 신호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뉴 항목을 추출하여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시킨다.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menu key on the keypad 120, the controller 140 extracts a menu item stored in the memory 130 according to a menu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pad 120, and then displays the menu item on the display unit 150. Display it.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다수의 메뉴 항목 중에서 특정의 메뉴 항목으로 스크롤을 이동시킨 후 이를 선택하는 경우, 키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to a specific menu item from among a plurality of menu items and selects it through the keypad 120, the keypad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for a predetermined menu item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40. To pass.

메모리(13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 항목, 즉 전화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재미난 기능, 화면설정, 음량벨소리 등의 메뉴항목과, 상기 메뉴 항목에 연계되어 있는 하위 메뉴항목 등을 저장한다. The memory 130 is a predetermined menu item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a menu item such as a phone book, a mobile phone setting, a schedule management, a convenient function, a fun function, a screen setting, a volume ringtone, and a submenu associated with the menu item. Save the item.

또한, 메모리(13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문자 정보,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제어부(140)에 의해 구동되는 소정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30 stores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a periphe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0, and a predetermined driving program driven by the controller 140.

제어부(140)는 키패드(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 (130)에 저장된 구동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문자 메시지 전송, 사진촬영, 음성 통화, 부가서비스 및 전화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재미난 기능, 화면설정, 음량벨소리 등의 메뉴항목 등을 실행시킨다.The control unit 140 executes a driv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30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keypad 120 to send a text message, take a picture, make a voice call, an additional service and a phone book, mobile phone setting, and schedule management. , Convenient functions, funny functions, screen settings, volume items such as ringtones to run menu items.

예를 들면,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하여 메뉴키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된 메뉴키 신호에 연동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재미난 기능, 화면설정, 음량벨소리 등으로 구성된 최상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13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menu key signal through the keypad 120, the controller 170 is linked to the input menu key signal, as shown in Fig. 2A, a phone book, schedule management, convenient functions, and fun. The top menu item configured as a function, a screen setting, a volume ringer,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20)에 형성된 이동키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메뉴 항목으로 스크롤을 이동시킨 후 스크롤이 표시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30)에 저장된 구동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선택된 최상위 메뉴 항목에 링크된 하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to a menu item to be executed through a moving key formed on the keypad 120 and selects a menu item on which the scroll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memory 130 as shown in FIG. 2B. The lower menu item linked to the selected top menu item is driven by driving the driving program stored in the display unit 150.

여기서는, 최상위 메뉴 항목 중에서 재미난 기능 메뉴 항목이 선택된 경우로서, 재미난 기능 메뉴 항목에는 게임, 카메라, 노래방,....클릭!동영상 등의 하위 메뉴 항목이 링크되어 있다.Here, the fun menu item is selected from the top menu items, and the fun menu item is linked to sub-menu items such as game, camera, karaoke, ... click!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하위 메뉴 항목 중에서 카메라 메뉴로 스크롤을 이동시킨 후 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메뉴에 링크된 최하위 메뉴 항목인 사진찍기, 나만의 사진 관리,....화면크기 등의 최하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to the camera menu among the lower menu items through the keypad 120 and selects them, the controller 140 takes a picture, which is the lowest menu item linked to the camera menu, as shown in FIG. 2C. On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lowest menu item, such as a picture management, a screen size, and the like.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카메라 촬영을 위한 최하위 메뉴인 " 사 진찍기 "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카메라(110)를 촬영 모드로 설정한 후 사용자 명령에 따라 포착된 주변 영상에 대한 카메라 촬영을 제어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the “take picture” menu, which is the lowest menu for camera shooting, through the keypad 120, the controller 140 sets the camera 110 to a shooting mode and is captur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Control camera shooting of surrounding video.

또한, 제어부(140)는 키패드(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sets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120 and stores the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n the memory 130.

즉,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최상위 메뉴 항목 중에서 일정관리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관리 항목에 링크된 소정의 하위 메뉴 항목, 예를 들면 일정추가/삭제, 일정검색,.....D-day 카운터 등의 하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calendar menu item among the top menu items through the keypad 120,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sub-menu item linked to the calendar item,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A. Sub menu items, such as schedule addition / deletion, schedule search, ..... D-day counter,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된 하위 메뉴 항목 중에서 일정추가/삭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메뉴키에 연동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달력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a schedule addition / deletion menu item among submenu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schedule calendar as shown in FIG. 3B in association with the input menu key. Display on 150.

이후, 사용자가 스케줄 달력을 통해 소정의 날짜를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스케줄 입력창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Then, as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date through the schedule calendar, the controller 140 displays a schedule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on the date selec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3C. Display on the screen.

이때, 사용자가 스케줄 입력창을 통해 소정의 시간대를 설정한 후 스케줄 항목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스케줄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 및 시간대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inputs a schedule item after setting a predetermined time zone through the schedule input window, the controller 140 selects a date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chedul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chedule input window. And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n the time zone.

여기서, 스케줄 항목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시간, 목적, 장소 등으로 상호 구별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구, 코엑스 전시회, 동호회,...여행지 답사 등 다수의 스케줄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다.Here, the schedule item is to distinguish and store the surround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as time, purpose, place, and the lik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D, friends, COEX exhibitions, groups, ... destinations It is set up with a number of schedule items such as surveys.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이 전달되는 경우, 제어부는 전달되는 주변 영상에 대한 촬영 시간을 검출한 후, 검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0 is delivered while the schedule item is set, the controller detects a photographing time of the delivered surrounding image, and t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added to the detected photographing time. Determine whether it is set.

이때,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촬영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 년-월-일-순번 " 등의 형태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In this case, w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not set in association with the shooting time of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in "year-month". The title of the surrounding image is automatically set in the form of "day-sequence" and the like,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그러나,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촬영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과 연계시켜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 However, when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in conjunction with the shooting time of the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0, the controller 140 sets the title of the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0 to the schedule item. In association with the memory 130.

예를 들면,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의 촬영 시간에 코엑스 전시회라는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 코엑스 전시회-01.JPG, 코엑스 전시회-02.JPG, 코엑스 전시회-03.JPG....코엑스 전시회-N.JPG "등과 같이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동시켜 자동으로 설정한 후 메모리(130)에 순차적으로 저장시킨다.For example, when a schedule item called a COEX exhibition is set at the capturing time of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the controller 140 displays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itles of the surrounding images are automatically set by linking them to the schedule items, such as "COEX Exhibition-01.JPG, COEX Exhibition-02.JPG, COEX Exhibition-03.JPG .... COEX Exhibition-N.JPG". After that, the memory 130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memory 130.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captur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영상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스케줄 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스케줄 항목을 메모리에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전달받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 schedule item, and FIG. 6 illustrates setting a schedule item input by a user through a schedule menu in a memory.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title of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and storing the image in a memory. It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스케줄 항목을 메모리에 설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s a schedule item input by a user in a memory through a schedule menu.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스케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S1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케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는 날짜를 선택하기 위한 스케줄 달력을 출력시킨다(S102).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selects a schedule menu through the keypad 120 (S1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 date for which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in a schedule mode. A schedule calendar for selecting is outputted (S102).

이때, 사용자가 스케줄 달력을 통해 소정의 날짜를 선택하는 경우(S10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선택된 날짜에 소정의 스케쥴 항목을 설정시에 이용되는 스케줄 입력창을 표시부(15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4).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date through the schedule calendar (S1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a schedule input window used when se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on the selected date on the display unit 150. (S104).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9150)상에 디스플레이 된 스케줄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스케줄 항목, 예를 들면, 스케줄 시간 및 스케줄 내용 등을 입력하는 경우(S105), 이동통신 단말기9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대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S106).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for example, a schedule time and schedule content, through the schedule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150 (S10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9100 is selected by the us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in the time zone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S106).                     

이때, 스케줄 항목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을 시간, 목적, 장소 등으로 상호 구별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친구, 코엑스 전시회,... 동호회 등으로 상호 구분되어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schedule items are used to distinguish and store the surround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as time, purpose, place, etc., as shown in FIG. 3D. .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 및 시간대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메모리(130)에 설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110)로부터 소정의 촬영된 주변 영상을 전달받는다(S200). As described above, after se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n the memory 130 at the date and time selected by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photographed surrounding image from the camera 110 (S200).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카메라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S2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10)를 "촬영 모드"로 설정시킨다(S202).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when the user selects a camera menu through the keypad 120 (S2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camera 110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in the “shooting mode”. (S202).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이용하여 주변 영상에 대한 카메라(110)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S20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10)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주변 영상을 포착시킨다(S204).Subsequently, when the user inputs a control signal for zooming in or out of the camera 110 for the surrounding image using the keypad 120 (S2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puts the input control signal. In operation S204, the camera 110 is driven to capture the surrounding image selected by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10)에 의해 주변 영상이 포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방식, 예를 들면 키패드 또는 음성을 통해 포착된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110)를 제어하여 포착된 주변 영상에 대한 촬영을 제어한다(S205).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a control signal for capturing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a predetermined method, for example, a keypad or a voice while the surrounding image is captured by the camera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peration S205, the camera 100 controls the camera 110 to capture a captured surrounding image.

이후, 카메라(110)로부터 소정의 촬영된 주변 영상이 전달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촬영된 주변 영상을 후술하는 스케줄 항목의 설정 유뮤에 연계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S206). Subsequently, when a predetermined captured surrounding image is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s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in the memory 130 in association with setting a schedule item to be described later (S206). .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주변 영상이 전달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되는 주변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110 is transfer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 title of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10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and stores the title in the memory 130. Let's do it.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소정의 주변 영상이 전달됨에 따라(S3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되는 주변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촬영 시간을 독출한다(S302).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as a predetermined peripheral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s transferred (S3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ads a predetermined shooting time from the surrounding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10. (S302).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130)를 검색하여 주변 영상으로부터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Subsequent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arches the memory 130 and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capturing time read from the surrounding image (S303).

단계(S303)의 판단 결과 주변 영상이 촬영된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촬영된 주변 영상을 촬영된 날짜와 순번을 이용하여 메모리(130)에 저장시킨다(S304).If the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not set at the time when the surrounding image is captu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s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in the memory 130 using the captured date and sequence number. Save it (S304).

그러나, 단계(S303)의 판단 결과 주변 영상이 촬영된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촬영 시간에 설정된 스케줄 항목에 연계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설정한다(S305).However, when the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time when the surrounding image is captu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titl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set at the shooting time. (S305).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케줄 항목에 연계하여 제목이 설정된 소정의 주변 영상을 메모리(130)에 촬영 시간 별로 순차적으로 저장시킨다(S306).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quentially stores the predetermined surrounding image having a titl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in the memory 130 for each shooting time (S306).

즉, 주변 영상이 촬영된 시간에 코엑스 전시회라는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촬영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코엑스 전시회-01.JPG, 코엑스 전시회-02.JPG, 코엑스 전시회-03.JPG....코엑스 전시회-N.JPG 등 과 같이 스케줄 항목과 연계시켜 메모리(130)에 저장시킴으로써 촬영된 주변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That is, when a schedule item called a COEX exhibition is set at the time when the surrounding image is captu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titl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to COEX Exhibition-01.JPG, COEX Exhibition-02.JPG, and COEX Exhibition. -03.JPG .... Coex exhibition-N.JPG, etc.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s are stored in the memory 130 to efficiently manage the surrounding images taken.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의 제목을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킴으로써, 촬영된 주변 영상에 대한 촬영 당시의 상황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tle of the surrounding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set in association with a schedule item and stored in the memory,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photographing of the surrounding image. Has the effect that it can.

Claims (4)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저장 방법에 있어서,In the image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according to a user command; 상기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while the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촬영 시간을 독출한 후,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Reading a photographing time from an image input from the camera,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photographing time; And 상기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상기 스케줄 항목에 연계시켜 설정하는 단계If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set at the read shooting time, setting the title of the captured image in association with the schedule item;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저장 방법.Image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독출된 촬영 시간에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촬영된 날짜와 순번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단계If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not set at the read out time, setting the title of the photographed image using the captured date and sequence number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저장 방법.Image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는,Setting the schedule item, 사용자가 스케줄 메뉴를 선택하면, 소정의 스케줄 날짜를 선택시에 이용되는 스케줄 달력을 출력시키는 단계;If the user selects a schedule menu, outputting a schedule calendar used when selecting a predetermined schedule date; 상기 스케줄 달력을 통해 소정의 날짜가 선택되면, 소정의 스케줄 항목을 입력 받기 위한 스케줄 입력창을 출력시키는 단계; 및Outputting a schedule input window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when a predetermined date is selected through the schedule calendar; And 상기 스케줄 입력창을 통해 소정의 스케줄 항목이 입력되면, 상기 스케줄 항목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If a predetermined schedule item is input through the schedule input window, setting and storing the schedule item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저장 방법.Image storag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단계는, Setting a titl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상기 영상의 촬영 시간의 선후에 따라 상기 스케줄 항목에 소정의 일련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상기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저장 방법.And a title of the video is set by sequentially assigning a predetermined serial number to the schedule item according to the shooting time of the video.
KR1020040106743A 2004-12-16 2004-12-16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drawn KR200600681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43A KR20060068143A (en) 2004-12-16 2004-12-16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743A KR20060068143A (en) 2004-12-16 2004-12-16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143A true KR20060068143A (en) 2006-06-21

Family

ID=3716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743A Withdrawn KR20060068143A (en) 2004-12-16 2004-12-16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14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7272A3 (en) * 2008-03-17 2009-12-03 Persinvitro Llc Method and apparatus to encourage development of long term recollections of given episodes
WO2009142467A3 (en) * 2008-05-23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reating photo files in accordance with scheduler fun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1712B2 (en) 2007-03-18 2016-02-02 Persinvitro Llc Method and apparatus to encourage development of long term recollections of given episodes
WO2009117272A3 (en) * 2008-03-17 2009-12-03 Persinvitro Llc Method and apparatus to encourage development of long term recollections of given episodes
WO2009142467A3 (en) * 2008-05-23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reating photo files in accordance with scheduler fun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38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4010222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4682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icture caller identification feature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10069200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emo input function by pictur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566230B1 (en) How to perform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hone number on the mobile terminal
JP2008010935A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20060068143A (en) Video information storag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31226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mobile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101356485B1 (en) Method for storing a pictu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1926B1 (en) Multimedia file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201B1 (en) How to Select and Transfer Data from a Portable Terminal
KR101430441B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628072B1 (en) How to edit and send photos and mobile terminal using same
KR100678103B1 (en) How to display the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KR101414600B1 (en) Method for connecting call and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KR100557164B1 (en) How to provide class schedule of portable terminal
KR20050067295A (en) Imag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3443B1 (en) Image file retrieva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23301B1 (en) How to edit and transfer MP3 files on your mobile device
KR20070005208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origination function on photo album
KR20110016243A (en)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multimedia file management, message server to help multimedia file management of mobile terminal
JP2009105641A (en) Cellular phone, and its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04208125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