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65117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117A
KR20060065117A KR1020040103852A KR20040103852A KR20060065117A KR 20060065117 A KR20060065117 A KR 20060065117A KR 1020040103852 A KR1020040103852 A KR 1020040103852A KR 20040103852 A KR20040103852 A KR 20040103852A KR 20060065117 A KR20060065117 A KR 2006006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user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module
communication terminal
uniq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8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효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5117A/en
Publication of KR2006006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1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7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에 저장된 이동통신망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comprising: a user identificatio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mory unit sto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matched And a control unit for enabling communi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 정보, 사용자 식별 모듈, SIM, USIM, IMSI, 사용제한, 운영자, 이동통신망Mobile terminal, uniqu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module, SIM, USIM, IMSI, restriction of use, operator, mobile network

Description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nectting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Operator Offer and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necting onl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on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a : 이동통신 단말기 100b : 사용자 식별 모듈100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b: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1 : 송수신부 102 : 음성 입력부101: transceiver 102: voice input unit

103 : 명령 입력부 104 : 메모리부103: command input unit 104: memory unit

105 : 제어부 106 : 음성 출력부105: control unit 106: audio output unit

107 : 표시부 108 : 사용자 식별 모듈 인터페이스부107: display unit 108: user identification module interfac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운영자가 원하 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have been widely use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식별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used to enable a us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conveniently.

이러한 사용자 식별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 부착이 가능한 작은 카드의 형상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ess) 방식에는 표준으로 제공되고 있지 않지만, 중국등의 나라에서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ess) 방식에 사용자 식별 모듈(RUIM;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이 제공되고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a small card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not provided as a standard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used in Korea. A 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RUIM) is provided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cheme.

그러나,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방식(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는 사용자 식별 모듈이 표준으로 쓰이고 있다.However, in the Europea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n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used as a standard.

위와 같은, 사용자 식별 모듈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전화번호, 이동통신 사업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 모듈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신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연결시킴으로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user information, phone number, and mobile operato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carr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connect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사용자가 해외 여행시에도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이 사용자 식별 모듈만 휴대하고 있으면 그 나라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빌려서 자신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자기가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쓸 수 있다. Also, if a user carries only this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no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raveling abroad, he borr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untry and connects his own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as if he owns it. Can write

또한, 이러한 사용자 식별 모듈은 보안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등에서도 효용성이 높다. 국내에서도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서비스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의 카드 삽입식 단말기가 기본으로 제공될 것이다. 이것은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방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보다는 보다 향상된 개념으로 3세대 이동통신용 가입자식별 모듈(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라고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excellent in security, it is also useful in electronic commerce. In Korea, a card inser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cept will be basically provided in a broad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ervice. This is a more advanced concept than the SIM (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of the Europea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 and is called a 3rd generation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기능적인 면으로 본다면 3세대 이동통신용 가입자식별 모듈에는 통신사업자, 사용자비밀번호(A key, SSD, UIM_ID, CHV 등), 로밍 정보, 사용자 관련 전화번호(개인전화번호, 폰북, 단축키, 제한키), 통신사업자 및 콘텐츠사업자의 서비스 정보등이 저장된다.On the functional side, the 3rd generatio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includes carrier, user password (A key, SSD, UIM_ID, CHV, etc.), roaming information, user related phone number (personal phone number, phonebook, hotkey, restriction key), The service information of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is stored.

사용자는 위와 같은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함으로써 국제 로밍을 비롯한 음성 또는 데이터통화가 가능하고 텍스트 및 이미지 브라우저 중심의 무선전자상거래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By connecting the abov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er can make voice or data calls including international roaming, and can safely use text and image browser-oriented wireless electronic commerce.

위와 같이, 사용자 식별 모듈을 휴대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신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연결했을 때,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으로 접속되고 초기화 이후에 매뉴얼 선택을 통하여 다른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arrying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connects his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connec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manual selection after initialization. It is possible.

이러한 경우에, 이동통신망의 운영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이동통신망 접속은 사용자 식별 모듈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이동통신망의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자사의 이동통신망을 사용하게 할 수 없다.In this case,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ince the initi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pendent o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not use i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사의 이동통신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사의 이동통신망만을 사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네트워크 접속을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이나 규격이 매우 부족하다.Therefore, if a mobile terminal operator owns its own mobile network, the initial network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mobile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mobile terminal is using only the mobile network. There are very few suggestions or specifications on how to do this.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사의 이동통신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사의 이동통신망에만 접속되도록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ensure that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only to i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or owns i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식별모듈이 제한됨으로써 단말기의 도난을 줄이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heft of the terminal by limiting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at can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에 저장된 이동통신망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e user identificatio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Compa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compa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f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match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enabling communi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preferably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고유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의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untry Code (MCC) and Mobile Network Code (MCC) of the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또한,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유정보가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되는 연결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c) 상기 판단 단계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에 저장된 이동통신망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전화만이 가능한 접속 단계; 를 포함한다.A method of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a)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unique information; (b)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match each other; And (c) in the determination step, a connection can be ma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case of a mismatch, only an emergency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It includes.

이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사의 이동통신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사의 이동통신망에만 접속되도록 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r owns its ow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its own is to be connected only to its ow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식별모듈이 제한됨으로써 단말기의 도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at can operate the terminal is limit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reducing the theft of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accessing on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이 가능한 기능 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accessing on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1), 마이크 등과 같은 음성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음성 입력부(103),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과 영상 촬영을 위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키들을 구비한 명령 입력부(103),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정보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04),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의 연결 시, 사용자 식별 모듈(100b)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메모리부(104)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고유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응급 전화 모드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부(107)에 표시하는 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부(105),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06), 문자 또는 영상등과, 제어부로 부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107),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을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모듈 인터페이스부(108)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onl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input unit consisting of a voice input means such as a transceiver 101, a microphone,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or video and data signals through an antenna 103, the command input unit 103 having various key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or video and data signal and in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for image capturing,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and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mory unit 104 for stor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module,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or video and data signals, and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is connected,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is stored in memory. In case of matching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stored in the unit 10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operates normally. A voice output means such as a control unit 105, a speaker, and the like, which can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to switch to the emergency call mode if it does not match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07,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signal. And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interface unit 108 for connecting the voice output unit 106, text or image to be output, the display unit 107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controller,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수신부(101)가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들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음성 신호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부(106)를 통하여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출력하고, 영상 신호, 예컨대 문자 등은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07)로 표시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ceives an audio or video and data signal from the outside, when the transceiver 101 receives a signal of audio or video and data signals from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the received audio signal i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5, the user outputs the sound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06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video signal, for example, a character, and the lik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5.

또한, 소정의 프로그램등의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4)에 저장된다.In addition, a data signal such as a predetermined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5.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은 탈, 부착이 가능한 소정의 메모리 수단으로 예를 들면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방식(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서는 일종의 스마트 카드인 사용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적용되고,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에서는 광대역 3세대 이동통신용 가입자식별 모듈(USIM;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적용된다.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is a predetermined memory means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or example, in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a user identity module (SIM), which is a kind of smart card, is used. In the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a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for wideband 3G mobile communication is applied.

또한, 이러한 사용자 식별 모듈(100b)에는 소정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는데, 예를 들면, 국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In addition, predetermined us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is stored.

또한, 여기서 고유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일련 번호(Serial Number), 이동통신 단말기(100a)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 사용자의 전화번호부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qu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serial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subscrip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a user's telephone directory, and the lik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사업자가 이동통신망 사업을 하고 있는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100a)가 자사의 이동통신망만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a)를 초기 부팅할 때, 연결된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의 고유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메모리부(104)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한다.In the case where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is carrying out a mobile communication busines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order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to use only it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initially boo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of the memory unit 1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여기서, 고유정보란, 국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의 단말기 국가 번호 (MNC; Mobile Network Code) 와 이동망 번호(MCC; Mobile Country Code)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a terminal country number (MNC; Mobile Network Code) and mobile network number (MCC) of the 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que information.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의 고유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메모리부(104)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은,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제어부(105)에서 해당 사용자 식별 모듈(100b)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a)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 검증한다.After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of the memory unit 1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all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The controller 105 verifies whether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can be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따라서, 제어부(10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a)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사용자 식별 모듈(100b)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직 응급 전화 모드로만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05 compares and determines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c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and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00b so that the controller 105 operates normally only when it matches. Control to operate only in emergency call mode.

여기서, 응급 전화 모드란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방식의 국제 표준으로써 세자리로 형성된 국제적인 응급 전화번호를 말하는 것이며, 세계 어느곳이나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방식의 영역안에서는 응급 전화 모드를 누르면 해당 국가의 특정 응급 전화 번호로 바뀌어 접속이 가능하다.Here, the emergency call mode refers to an international emergency phone number formed of three digits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Europea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method, and in the area of the Europea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ywhere in the world, when the emergency call mode is pressed, a specific emergency phon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untry It turns into and connection is possible.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사의 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사의 이동통신망만을 사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네트워크 접속을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도록 한다.Accordingly, if the mobile terminal provider owns its own network, the initial network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to be connected only to the mobile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can use only the mobile network. do.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식별모듈이 제한됨으로써 단말기의 도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at can operate the terminal is limit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reducing the theft of th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on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면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다(S201). 이후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면, 연결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인식한다(S202). As shown, when the user connects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stored in the memory (S201). Thereafter, when a user who intends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s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recogniz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identification module (S202).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고유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203).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던 고유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긴급 전화 모드로 들어가고(S204),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S205).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s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checks whether it matches (S203). If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does not matc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e emergency call mode is entered (S204). If the unique information mat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normally (S205).

이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업자와 이동통신망 운영자가 동일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부팅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고, 그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network operator are the same, when the initial boo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red with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controller operates normally only when it matches.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사의 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사의 이동통신망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r owns its own network, the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use only hi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가 자 사의 망을 소유한 경우에, 자사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사의 이동통신망만을 사용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네트워크 접속을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수익을 올리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rator with an initial network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r owns its own network. It is effective to increase profits by making sure that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desired.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식별모듈이 제한됨으로써 단말기의 도난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hat can operate the terminal is limit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reducing the theft of the terminal.

Claims (4)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인터페이스부와,A user identification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에 저장된 이동통신망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match A control unit for enabling communi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able only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an op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the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is 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고유 정보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의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is a mobile country code (MCC) and a mobile network code (MNC) of 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acc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a) 고유정보가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되는 연결 단계;(a) a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ing unique information;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의 고유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b) determining whether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match each other; And (c) 상기 판단 단계에서,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에 저장된 이동통신망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전화만이 가능한 접속 단계;(c) in the determination step, in case of a match, connection is possi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tored 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case of mismatch, only an emergency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를 포함하는 운영자가 원하는 이동통신망에만 접속하는 방법.How to connect only to the mobile network desired by the operator including a.
KR1020040103852A 2004-12-09 2004-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KR200600651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52A KR20060065117A (en) 2004-12-09 2004-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52A KR20060065117A (en) 2004-12-09 2004-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17A true KR20060065117A (en) 2006-06-14

Family

ID=3716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852A KR20060065117A (en) 2004-12-09 2004-12-0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51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341B1 (en) Dual standby mobile terminal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US9084083B2 (en) Location information erase on SIM cards
US6782278B2 (en) Dialing method for dynamically simplifying international call in cellular phone
EP160121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8330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in wireless terminal
KR20090080719A (en) User Identification Card Selection Method and Multi-Standby Terminal Using the Same
CN101409949B (en) Control method for standby mode of double-card double-standby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1808276A (e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1668344A (en) An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in a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KR20000051317A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of called party in portalbe mobile teminal
US8577367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1629738U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system
US895404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105434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JP5094279B2 (en) Communication device
CN106341506A (en) Dialing method for dialing equipment, dialing device, dialing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38085A (en) Bluetooth headset for mobile phone
KR2006006511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hich can be connected only t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ired by operator
US20070054694A1 (en) Method for activating specific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2268B1 (en) Mobile device tracking device and method
US20090131100A1 (en) Dual-mode dual-standby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by sensing thereof
KR101010804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security method
KR10071172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stant messaging and its control method
KR10067515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ternet banking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100731934B1 (en) International telephone dialing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