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60069A -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069A
KR20060060069A KR1020040098932A KR20040098932A KR20060060069A KR 20060060069 A KR20060060069 A KR 20060060069A KR 1020040098932 A KR1020040098932 A KR 1020040098932A KR 20040098932 A KR20040098932 A KR 20040098932A KR 20060060069 A KR20060060069 A KR 2006006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tube
head
rod
plung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030B1 (ko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넥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넥스
Priority to KR1020040098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030B1/ko
Priority to JP2005001477A priority patent/JP2006149361A/ja
Priority to US11/034,392 priority patent/US20060115891A1/en
Publication of KR2006006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0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with covers or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or cooling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2Prevent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순환기(Thermo cycler)에 의한 DNA 증폭(Polymerase Chain Reaction) 또는 DNA 시퀀싱(Sequencing) 과정 중 반응 튜브 내의 시료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막고 상기의 과정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는 복수의 다중 월 튜브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플런저(plunger)와 상기 복수의 플런저가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하는 소정 크기의 평판(flat plate)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플런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rod)와, 각각의 튜브 내로의 수직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해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head)와, 상기 각각의 튜브 내의 시료 액면 위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튜브에 밀봉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성 및/또는 작업성으로 PCR 과정 중 발생하는 반응 튜브 내의 증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PCR 공정 및 DNA 시퀀싱 공정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PCR용 열순환기, 자동화 장치, 플런저, 결합 부재, 탄성 부재, 로드, 헤드

Description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및/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MINIMIZING EVAPORATION AND/OR CONDENSATION OCCURRING IN TUBES OF MULTI-WELL PLATE MOUNTED TO PCR THERMO CYCLER}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 결합용 구멍이 형성된 결합 부재의 개략적인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플런저와 반응 용기의 각각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런저가 반응 용기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런저 결합용 홈이 더 형성된 결합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 부재에 복수 개의 플런저들이 결합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화 장치
10, 10a, 10b: 플런저
12: 로드
14: 헤드
16: 탄성 부재
20, 20a: 결합 부재
30: 반응 용기 또는 튜브
본 발명은 열순환기(Thermo cycler)에 의한 DNA 증폭 또는 DNA 시퀀싱(Sequencing) 과정 중 반응 튜브 내의 시료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막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이란 특정 DNA 영역을 사이에 둔 2종류의 프라이머와 DNA 합성 효소에 의한 DNA 합성 반응을 시험관 내에서 반복하여, 특정 DNA 영역을 수십만 배로 증폭하는 방법을 말하며 생명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실험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PCR 공정의 한 사이클은 이중 가닥 DNA를 단일 가닥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단일 가닥 DNA에 표적영역을 사이에 둔 2종류의 프라이머(primer)를 어닐링(annealing)시키는 단계와, 프라이머를 연장하여 표적 영역에 상 보적인 서열을 합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은 여러 다양한 온도를 거치면서 고온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열에 의한 튜브 내의 시료의 증발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PCR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크게 다음의 3가지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나는, 시료에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을 첨가하여 시료의 액면 위에 오일 층을 형성, 즉 층을 중첩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고열로 인한 시료의 증발을 막는 것이다. 둘째는, 뚜껑 또는 덮개가 달린 튜브를 사용하여 시료의 증발을 막는 방법이다. 마지막 방법은 알루미늄 또는 비닐 시트(sheet)에 열을 가한 후 이를 튜브의 윗면 형상에 부합되게 튜브의 상부 개방 면을 밀봉함으로써 그 시료의 증발 및 응축을 줄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아울러, 튜브의 윗면 형상에 맞게 제작된 특수 재질의 덮개를 사용하여 각각의 튜브에 끼움으로써 시료의 증발을 막는 것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오일 층을 시료의 액면 위를 덮도록 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PCR 공정이 완료된 후 오일 층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공정은 불필요한 것으로서, PCR 공정의 전체 시간을 증가시키고 전체 공정을 복잡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 또는 덮개가 달린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나 알루미늄 또는 비닐 시트를 사용하여 튜브의 윗면을 밀봉하는 경우에는, 덮개 또는 시트와 시료의 액면 사이에 시료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빈 공간이 있게 되므로, 그 공간에 해당되는 양만큼의 증발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정도는 PCR 공정에 사용되는 시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 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무시할 수 없는 상당히 큰 양이 되므로 반드시 피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뚜껑(또는 덮개) 및/또는 시트는 PCR 공정을 자동화시키는 데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PCR용 열 순환기 내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용기 또는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및/또는 응축으로 인한 시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다중 웰 플레이트의 용기 또는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및/또는 응축을 최소하면서 PCR 공정을 완전히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용기 또는 튜브의 각각의 튜브 내에서 시료의 증발 및/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구조물과 이러한 다중 웰 용기 내에서의 PCR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 상기 각각의 구조물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연결 수단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복수의 튜브 내의 시료 증발 및/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상기 다중 월 플레이트의 복수의 용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플런저(plunger)와 상기 복수의 플런저가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하는 소정 크기의 평판(flat plate)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플런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rod)와, 각각의 튜브 내로의 수직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해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head)와, 상기 각각의 튜브 내의 시료 액면 위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튜브에 밀봉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튜브 내의 시료의 액면 위의 공간, 즉 시료의 증발 및 응축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PCR 또는 DNA 시퀀싱 과정 중 흔히 발생하는 시료의 증발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아울러 응축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다중 웰 플레이트의 상면과 일정 간격을 갖고서 복수의 플런저를 결합 고정시키는 평판 형태의 구조물이므로, 상기 복수의 플런저를 손쉽고 정밀하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플런저를 8개, 12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 등의 개수로 동시에 상기 평판에 집적시킴으로써 PCR 공정 또는 DNA 시퀀싱 과정에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PCR 공정 또는 DNA 시퀀싱 과정을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플런저 결합용 구멍이 형성된 결합 부재의 개략적인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플런저와 반응 용기의 각각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런저가 반응 용기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일부가 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PCR용 열순환기(Thermo cycler)에 의한 DNA 증폭 또는 DNA 시퀀싱(Sequencing) 과정 중 복수의 반응 용기 또는 튜브 내의 시료의 증발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1)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복수의 용기 또는 튜브(3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플런저(10; plunger)와, 이 복수의 플런저(10)가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소정의 크기의 결합 부재(20)를 포함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런저(10)의 각각은 그 중앙에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12)와, 각각의 반응 용기(30) 내로의 수직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해 로드(12)의 상단부에 형성된 헤드(14)와, 반응 용기(30) 내의 시료 증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반응 용기(30)의 내벽과 밀봉 압착되는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로드(12)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16)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복수 개의 플런저(10)가 결합 부재(20)에 특정 시험에 적합한 개수로 한꺼번에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부재(20)는 PCR 공정에 사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반응 용기의 개수에 대응하는 소정 개수의 구멍(22; 도 1 참조) 및/또는 홈(24; 도 4 참조)을 갖는다. 즉, 이러한 결합 부재(20)에는 구멍(22) 및/또는 홈(24)이 사용되는 PCR 열순환기에 적합한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96개(= 8 X 12), 364개(= 16 X 24) 또는 1,536개(= 32 X 48)이다. 상기 구멍(22)은 각각의 플런저(10)의 로 드(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구멍(22)의 주변부에 해당되는 결합 부재의 상부 면의 소정 부분과 헤드(14)의 바닥 면은 통상의 접착제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의 결합 부재로의 결합력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홈(24)이 더 채용될 수 있는데, 상기 홈(24)은 결합 수단(20)의 상부 면에 소정 깊이(예컨대, 결합 부재의 두께의 절반 정도)로 헤드(14)의 바닥 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홈(24) 내부 바닥 면과 이에 삽입되는 상기 헤드(14)의 바닥 면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통상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런저(10a)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결합 부재(2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해 접착제 등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플런저(10a)는 로드(12)의 상부에 원추형 돌출부(121)를 더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플런저(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돌출부(121)는 로드(12)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약간 돌출되고 원추형 돌출부(121)의 상단부와 헤드(14)의 바닥 면은 일정 거리로 이격된 형태를 가지며, 이 거리는 결합 부재(20)의 두께(t)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부(12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로드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결합 부재(20)의 구멍(22) 내로 강제로 끼워질 수 있다(소위, "스냅 체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각각의 플런저(10a)는 결합 부재(20)의 구멍(22) 주변의 바닥 면과 플런저 (10a)의 원추형 돌출부(121)의 상단부의 평면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와 같이 접착제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보다 견고한 고정 결합을 위해서는 접착제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런저(10)가 고정 결합되는 결합 부재(20)는 간단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개수의 구멍 및/또는 홈을 갖는 평판 형태의 것이며, 이 평판은 소정의 두께를 가져서 플런저를 용기 내로 압착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상기 결합 부재를 반응 용기 쪽을 향해 밀기 위해 힘을 가할 때 이에 부착된 복수 개의 플런저가 하향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히 튼튼해야 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플런저도 결합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수직력을 받아 목표로 하는 거리만큼 적절히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플런저의 경우에는 헤드로부터 로드의 하단부로의 열전달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CR 공정 중에 시료에 가해지는 온도와 유사한 온도의 열을 전달하여 주면 반응 용기 내의 시료의 증발, 특히 응축을 방지하는 데에 아주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의 결합 부재 및 플런저 등은 PP, PS,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 바람직하다. 물론, 소정의 강성 및 열전달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플런저 및 결합 부재가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6)를 플런저(10 또는 10a)에 밀착 고정하기 위해, 플런저(10 또는 10a)의 하단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16)의 고정 결합을 위한 환형 홈(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환형 홈(18)은 플런저(10 또는 10a)가 반응 용기(30) 내로의 진입시 반응 용기(30)의 내벽과 밀착 결합되었다가 후퇴되는 작용이 계속적으로 반복되어도 탄성 부재(16)가 플런저(10 또는 10a)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한다. 상기 탄성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O-링(16a)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플런저(16)의 반응 용기(30) 내로의 진입시 전술한 반응 용기(30)의 내벽과의 밀봉 압착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면 O-링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개 형태의 탄성 부재(16b)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개가 플런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O-링의 고정을 위한 환형 홈(18)과 유사한 형태의 수단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런저(10 또는 10a)의 크기(예컨대, 길이 등)는 사용되는 반응 용기의 크기(예컨대, 깊이,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R 공정에 사용되는 반응 용기는 그 개방 단부(33)로부터 폐쇄 단부(34)로 갈수록 그 단면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의 것이며, 플런저(10 또는 10a)의 하단부에 장착된 O-링 등의 탄성 부재(16)가 반응 용기(30)의 해당 내부 벽면에 밀착되어 소정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플런저(10 또는 10a)는 결합 부재(20)의 바닥 면이 상기 용기의 개방 단부(33)로부터 0.5 mm 내지 20 mm 사이의 범위로 이격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 및 이에 고정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런저를 구 성함으로써, 다중 웰 플레이트의 복수의 반응 용기 내의 시료의 증발 및 응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플런저의 로드의 하단부에 O-링 형태의 탄성 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반응 용기의 내벽과 소정 위치에서 밀착 결합시킴으로써 반응 용기 내의 시료 증발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시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의 플런저를 반응 용기의 상단 개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서 평판 형태의 하나의 결합 부재에 고정 부착시킴으로써 각 플런저의 수직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반응 용기에 대한 PCR 공정 또는 DNA 시퀀싱 공정을 손쉽게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플런저들이 결합 부재와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 부재에 소정의 열을 가하여 이를 플런저를 통해 시료에 인접하는 탄성 부재 쪽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용기 내의 시료의 증발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료의 응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해 왔던 미네랄 오일을 이용하여 추가 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반응 튜브 상단에 뚜껑을 설치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성 및/또는 작업성으로 PCR 과정 중 발생하는 반응 튜브 내의 증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응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플런저를 원하는 개수만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부착된 플런저의 수직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오일 제거 공정 및 덮개 착탈 공정과 같은 불필요한 공정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PCR 공정 및 DNA 시퀀싱 공정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7)

  1.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복수의 튜브 내의 시료 증발 및/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튜브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플런저(plunger)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rod) 및 상기 각각의 튜브 내의 시료 액면 위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튜브에 밀봉식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런저와;
    상기 복수의 플런저가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하는 소정 크기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탄성 부재는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의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탄성 부재는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의 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런저는 각각의 튜브 내로의 수직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해 상기 로드의 상단부 에 형성된 헤드(he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튜브의 튜브 형성 위치에 대응되게 플런저의 헤드가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튜브의 튜브 형성 위치에 대응되게 플런저의 로드가 삽입 고정되게 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상부 면 중에서 상기 복수의 구멍의 주변부에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소정 깊이의 복수의 홈(recess)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접착제로써 상기 홈에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로드에는 상기 헤드에 인접한 부분에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퍼진 원추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원추형 돌출부는 평판의 두께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헤드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있고 그 최상부의 직경은 상기 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반응 튜브 내의 소정 위치에 밀착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런저는 상기 결합 부재의 바닥 면이 상기 튜브의 상단 개구로부터 0.5 mm 내지 20 mm 사이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그에 부착된 복수의 플런저를 동일한 높이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PCR 열순환기의 다중 웰 플레이트용 입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헤드로부터 탄성 부재로의 열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그 수직 이동에 필요한 힘을 충분히 견디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PP, PS,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8개, 12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의 플런저가 상기 평판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은 8개, 12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은 8개, 12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98932A 2004-11-30 2004-11-30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932A KR100637030B1 (ko) 2004-11-30 2004-11-30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JP2005001477A JP2006149361A (ja) 2004-11-30 2005-01-06 Pcr用サーマルサイクラーに装着される多重ウェルプレートのチューブ内での試料の蒸発及び/又は凝縮を最小化するための装置
US11/034,392 US20060115891A1 (en) 2004-11-30 2005-01-11 Apparatus for minimizing evaporation and/or condensation of samples occurring in tubes of multi-well plate mounted to PCR thermo cyc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932A KR100637030B1 (ko) 2004-11-30 2004-11-30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069A true KR20060060069A (ko) 2006-06-05
KR100637030B1 KR100637030B1 (ko) 2006-10-23

Family

ID=3656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9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7030B1 (ko) 2004-11-30 2004-11-30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15891A1 (ko)
JP (1) JP2006149361A (ko)
KR (1) KR100637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3908A1 (en) 2012-02-29 2013-09-04 K-Mac Biomaterial detec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1036B2 (ja) * 2012-06-06 2016-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バイス
JP5939392B2 (ja) * 2012-07-18 2016-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および熱サイクル装置
USD735881S1 (en) 2012-10-22 2015-08-04 Qiagen Gaithersburg, Inc. Tube strip holder for automated processing systems
US9180461B2 (en) 2012-10-22 2015-11-10 Qiagen Gaithersburg, Inc. Condensation-reducing incubation cover
EP3938287A4 (en) * 2019-03-14 2022-12-14 Biomeme Incorporated VIAL CAPS FOR BIOLOGICAL PROCESSING OR ANALYSIS
KR20210131849A (ko) 2020-04-24 2021-11-03 (주)바이오니아 추적이 가능한 멀티웰플레이트용 정밀시료주입장치
EP4122602B1 (en) 2020-04-24 2024-07-10 Bioneer Corporation Trackable precise-sample-injection device for multi-well plate
KR102406217B1 (ko) 2020-06-08 2022-06-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방지 피씨알 튜브
KR102562639B1 (ko) 2021-04-29 2023-08-02 주식회사 한국과학 Pcr 진단용 시료 채취 진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pcr 진단용 시료 채취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315A (en) * 1983-09-13 1986-07-08 University Of California Regents Microdroplet test apparatus
US5282543A (en) * 1990-11-29 1994-02-01 The Perkin Elmer Corporation Cover for array of reaction tubes
US5112574A (en) * 1991-04-26 1992-05-12 Imanigation, Ltd. Multititer stopper array for multititer plate or tray
US5599660A (en) 1993-01-19 1997-02-04 Pharmacia Biotech Inc. Method and preparation for sequential delivery of wax-embedded, inactivated biological and chemical reagents
US6136273A (en) * 1998-11-18 2000-10-24 Matrix Technologies Corporation Closure device for laboratory receptacles
JP2002010777A (ja) * 2000-06-30 2002-01-15 Precision System Science Co Ltd 反応容器、反応装置および反応液の温度制御方法
CA2453253A1 (en) * 2001-07-13 2003-01-2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hermal cycling methods and apparatus
US6682702B2 (en) * 2001-08-24 2004-01-27 Agil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onducting multiple chemical reactions
WO2003029397A1 (en) 2001-10-02 2003-04-10 Stratagene Side-wall heater for thermocycler device
US20040009583A1 (en) * 2002-02-05 2004-01-15 Genome Therapeutics Corporation Seal for microtiter plat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3344290A (ja) * 2002-05-27 2003-12-03 Aisin Cosmos R & D Co Ltd 温度調節付蛍光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3908A1 (en) 2012-02-29 2013-09-04 K-Mac Biomaterial detecting device
US8871160B2 (en) 2012-02-29 2014-10-28 K-Mac Biomaterial det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15891A1 (en) 2006-06-01
KR100637030B1 (ko) 2006-10-23
JP2006149361A (ja)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93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jecting sample well trays
EP0488769B1 (en) Two-piece plastic holder for capped sample tubes
US9140367B2 (en) Inlet valve for chamber systems and sample containers, and chamber systems and sample containers with such inlet valves
KR100637030B1 (ko) Pcr용 열순환기에 장착되는 다중 웰 플레이트의 튜브 내에서의 시료 증발 또는 응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US10648018B2 (en) Reaction vessel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same
EP1255809B1 (en) Method for closing and opening of an opening
AU2013202778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automated reagent-based assays
EP3074131A2 (en) Transportable composite liquid cells
EP3261764B1 (en) Tube rack tool and method for removing tubes from a rack
CN108348916B (zh) 具有反应器皿的调温设备
US9802200B2 (en) Tube rack tool
US5957822A (en) Lid for closing vessels
CN111013673B (zh) 一种制造密封帽阵列的方法
AU2016224108A1 (en) A sample receptacle, samp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WO2020025973A1 (en) Pcr cartridge
WO2017072289A1 (en) Modular well plates
MXPA97006649A (en) Well coated for samples for use in tests of nucleic acids and immunoensa
NZ735332B2 (en) A sample receptacle, samp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