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54066A -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 Google Patents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066A
KR20060054066A KR1020050097945A KR20050097945A KR20060054066A KR 20060054066 A KR20060054066 A KR 20060054066A KR 1020050097945 A KR1020050097945 A KR 1020050097945A KR 20050097945 A KR20050097945 A KR 20050097945A KR 20060054066 A KR20060054066 A KR 2006005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exible foam
polyol
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벤 마이어-아렌스
클라우스 스타인보른
만프레트 나우요크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5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06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1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eth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45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oxypropylene or higher oxyalk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6Flexible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oven Fabr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15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약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포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발포제로서의 다량의 물 및 승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와 함께 특별한 폴리올 혼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된다.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Description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Flexible Foams with Low Bulk Densities and Compressive Strengths}
[문헌 1] U.S. 특허 제4,970,243 A호
[문헌 2] EP 제0 719 627 B1호
[문헌 3] EP 제0 767 728 B2호
[문헌 4] U.S. 특허 제4,143,004 A호
[문헌 5] FR 제2,172,860 A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약 15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약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15 kg/m3 이하의 밀도 및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이전에는 물 및 CFC를 함유한 발포제 조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CFC 사용 금지 후, 단지 디클로로메탄 또는 아세톤과 같은 발포제를 이용하거나, 감압 하에 발포함으로써 저 벌크 밀도를 수득할 수 있었다. 이 모든 절차들은 결점들,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심각한 결점들과 관련되었다. 즉, 많은 국가들에서 디클로로메탄은 산업용 제조 플랜트로부터 최대 작업장 농도 및 방출값에 대해 엄격한 조건의 적용을 받으며, 아세톤을 이용할 경우 제조 플랜트가 폭발-방지성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감압의 사용을 위해서는 제조 플랜트의 고가의 캡슐화를 필요로 하고 단지 제한된 정도로만 연속 제조를 허용한다.
단독 발포제로서의 물의 사용, 및 그에 상응하는 물의 사용량 증가는 발포체가 매우 불량한 기계적 성질들을 가지도록 한다. 게다가, 발포 반응의 발열성으로 인해 발포체의 탈색 또는 심지어 자기 점화가 일어날 수 있다. 사용된 폴리올에 따라, 더 많은 양의 물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 발포체의 경도 및 취성이 증가될 수도 있다.
21 kg/m3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의 제조를 위해, U.S. 특허 제4,970,243 A호는 폴리올 100부 당, 5 내지 15부의 양으로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하고,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의 매우 낮은 NCO 지수(이소시아네이트기:반응 혼합물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기의 비×100)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제시한다.
EP 제0 719 627 B1호 및 EP 제0 767 728 B2호는 통상적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발포제로서의 감압 하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용도를 개시한다. EP 제0 767 728 B2호는 부가적 발포제로서 물을 사용함으로써 15 kg/m3 이하의 벌크 밀도를 갖는 발포체가 수득될 수 있다고 기재한다. 통상적 폴리올 성분을 사용하고, 폴리올 100부 당, 6부의 CO2 및 4.6부의 물을 사용할 경우, 14 kg/m3의 벌크 밀도가 생성된다. 그러나, 수득된 발포체는 1.5 kPa 미만의 원하는 압축 강도를 가지지 못한다.
U.S. 특허 제4,143,004 A호 및 FR 제2,172,860 A호는 매우 낮은 경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가요성 발포체, 소위 "하이퍼소프트(hypersoft)"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특별한 폴리올 혼합물을 개시한다. 이 폴리올 혼합물은, 상호 비혼화성이고 50 내지 70 중량%의 총 산화에틸렌 단위 함량을 갖는 2종의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함유한다. FR 제2,172,860 A호는, 폴리올 혼합물이 35 내지 55%의 1차 히드록실기 함량을 가져야 함을 개시하고, U.S. 특허 제4,143,004 A호는 55 내지 80%의 1차 히드록실기 함량을 필요로 한다. 제조된 발포체는 20 내지 30 kg/m3 범위의 벌크 밀도를 가진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15 kg/m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3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EN-ISO 845에 따름) 및 약 1.5 kPa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0 kPa 미만의 압축 강도 (EN-ISO 3386-1에 따름), 및 기타 양호한 기계적 성질들을 갖는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유형의 발포체들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발포제로서의 다량의 물 및 승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와 함께 특별한 폴리올 혼합물과 반응할 때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상기 이점 및 기타 이점, 및 이익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작용예에서 또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명세서 내의 양, 백분율, OH가, 관능가 등을 표시하는 모든 수치들은 모든 경우들에서 "약"이라는 용어로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a)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b) b1)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의 공칭 관능가, 6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초과의, 주로 1차 OH기,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의 1차 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10 내지 112,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OH가(OHV)를 갖는, 60 내지 9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b2)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의 공칭 관능가,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주로 2차 OH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의 1차 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8 내지 112의 OHV를 갖는, 10 내지 4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
c) 물, 바람직하게는 b) 100 중량부 당, 6 중량부 이상의 양의 물;
d) b) 100 중량부 당, 6 중량부 이상의 양의 가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e) 임의로 가교제; 및
f) 실리콘, 활성화제, 금속 촉매 및 PU 발포체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보조제를 기재로 한 발포체 안정화제와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의 NCO 지수에서 반응시켜 수득되는, 15 kg/m3 미만, 바람직하게는 13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1.5 kPa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발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발포체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가 바람직하게 이 목적을 위해, 특히 80 중량%의 2,4-TDI('TDI 80')을 함유하는 이성질체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다른 한 구현예에서, 단량체성 MDI 형태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DI와 그것의 고급 동종체(중합체성 MDI)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성분 b2)는 28 내지 35의 OHV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함유하고; 다른 한 구현예에서, OHV는 42 내지 56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구현예에서, 성분 b2)는 중합체 폴리올, PHD 폴리올 또는 PIPA 폴리올을 함유한다. 중합체 폴리올은 베이스 폴리올 중에서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적당한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생성된 일정 분율의 고체 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올이다. PHD 폴리올은 베이스 폴리올 중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아민, 예컨대 TDI 및 히드라진의 중부가 반응에 의해 제조되고; PIPA 폴리올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알콜의 중부가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PIPA 폴리올은 GB 2 072 204 A, DE 31 03 757 A1 및 U.S. 특허 제4,374,209 A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임의로, 가교제 e)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32 내지 400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이고,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기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b)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 양의 소르비톨이 가교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는 당업자에게 원리가 공지된 방식으로, 배치식으로 또는 연속 공정으로, 예컨대 드라카-페체타키스(Draka-Petzetakis), 맥스폼(Maxfoam), 헤넥케-플라니블록(Hennecke-Planiblock) 또는 베르티폼(Vertifoam)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세 내용은 [G. Oertel(편저): "Kunststoff Handbuch", 제7권 "Polyurethane" 제3판, Hanser Verlag, Munich 1993, pp. 193-220]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그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부" 및 "백분율 %"로 제시된 모든 양들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인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가용성 발포체는 하기 원료들을 이용하여, 아래 표 1에 제시된 제형에 따라 제조되었다.
폴리올 A: 약 72% EO, 주로 1차 OH기 및 OH가 37을 갖는, 글리세린 개시의 EO/PO 폴리에테르;
폴리올 B: 약 8% EO, 주로 2차 OH기 및 OH가 48을 갖는, 글리세린 개시의 EO/PO 폴리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 TDI 80, (데스모두르(DESMODUR) T 80, 바이에르 아게(Bayer AG));
안정화제: 폴리에테르-개질 폴리실록산(테고스타브(TEGOSTAB) BF 2370, 데구사-골드슈미트 아게(Degussa-Goldschmidt AG);
촉매 A: 프로필렌 글리콜 중 트리에틸렌디아민 용액(다브코(DABCO) 33LV,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
촉매 B: 프로필렌 글리콜 중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 에테르 용액(니악스(NIAX) A1, GE(구명칭 WITCO/OSI); 및
촉매 C: 주석 디옥토에이트(다브코 T-9, 에어 프로덕츠).
모든 발포체들은 헤넥케 UBT 78 기기에서 연속 공정으로 제조되었다. 총 폴리올 산출율은 약 28 kg/분이었고, 교반 속도는 3500 내지 4500 rpm이었다. 폴리올 온도는 25℃이었고, 이소시아네이트 온도는 21℃이었다. 폴리올은 약 30 바로 계량 주입되고, 이소시아네이트는 약 85 바(다이 압력)로 계량 주입된다. 이산화탄소는 헤넥케에 의해 제조된 노바플렉스(NOVAFLEX) 장치를 통해 계량 주입된다.
24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발포체의 블록에서 샘플을 취하여, 기계적 특징을 측정하였다. 즉, EN-ISO 845에 따라 벌크 밀도를 측정하였고; EN-ISO 1798에 따라 인장 강도 및 파단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EN-ISO 3386-1에 따라 압축 강도 40%를 측정하였고; EN-ISO 1856에 따라 압축 세트(90%)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번호 1 2* 3*
폴리올 A(부) 75 - -
폴리올 B(부) 25 100 100
이산화탄소(CO2)(부) 6 6 6
물(부) 6.00 6.00 4.6
안정화제(부) 1.50 1.80 1.50
촉매 A(부) 0.10 0.10 -
촉매 B(부) 0.03 0.05 0.05
촉매 C(부) 0.05 0.25 0.17
이소시아네이트(부) 57.9 58.9 56.6
지수 90 90 110
벌크 밀도 [kg/m3] 11.3 13.5 13.6
인장 강도 [kPa] 92 비검출 60
파단 신장율 [%] 432 비검출 157
압축 강도 40% [kPa] 0.44 비검출 1.97
압축 세트 (90%) [%] 15.8 비검출 5.4
발포체 구조 미세, 불규칙 스폰지상 구조 미세, 규칙
* 비교예
표 1를 참고로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요망되는 낮은 압축 강도 및 낮은 벌크 밀도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를 제공하였다. 기공 구조는 완벽하였다.
실시예 2는 낮은 벌크 밀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조성 및 시험 결과를 기술한다. CO2는 발포체 혼합물에 함유되지 않았고, 큰 공극을 갖는 스폰지상 구조가 수득되었다. 균질한 샘플이 수득될 수 없었기 때문에 기계적 성질을 측정할 수 없었다. 물의 양이 크게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벌크 밀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벌크 밀도보다 컸다.
실시예 3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발포체를 기술한다. 이는 다량의 CO2로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의 낮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는 달성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상기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그러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그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단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약 15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약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 및 기타 양호한 기계적 성질들을 갖는 발포체가 제공된다. 이 발포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발포제로서의 다량의 물 및 승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와 함께 특별한 폴리올 혼합물과 반응할 때 수득될 수 있다.

Claims (17)

  1. a)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b) b1) 약 2 내지 약 6의 공칭 관능가, 약 60 중량% 초과의 1차 히드록실(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약 10 내지 약 112의 OH가(OHV)를 갖는, 약 60 내지 약 9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b2) 약 2 내지 약 6의 공칭 관능가, 0 내지 약 30 중량%의 2차 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약 8 내지 약 112의 OHV를 갖는, 약 10 내지 약 4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
    c) 물; 및
    d) b) 100 중량부 당, 약 6 중량부 이상의 양의 가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e) 임의로 가교제; 및
    f) 임의로, 실리콘, 활성화제, 금속 촉매 및 기타 보조제를 기재로 한 1종 이상의 발포체 안정화제와 NCO 지수 약 80 내지 약 100에서 반응시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약 15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약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MDI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가요성 발포체.
  3.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중합체 폴리올을 함유하는 가요성 발포체.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PHD 폴리올을 함유하는 가요성 발포체.
  5.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PIPA 폴리올을 함유하는 가요성 발포체.
  6.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 e)가 소르비톨인 가요성 발포체.
  7. 제1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약 13 kg/m3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가요성 발포체.
  8. 제1항에 있어서, 발포체가 약 1.0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가요성 발포체.
  9. a)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b) b1) 약 2 내지 약 6의 공칭 관능가, 약 60 중량% 초과의 1차 히드록실 (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약 10 내지 약 112의 OH가(OHV)를 갖는, 약 60 내지 약 9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b2) 약 2 내지 약 6의 공칭 관능가, 0 내지 약 30 중량%의 2차 OH기의 옥시에틸렌 함량, 및 약 8 내지 약 112의 OHV를 갖는, 약 10 내지 약 40 중량부의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
    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
    c) b) 100 중량부 당, 약 6 중량부 이상의 양의 물; 및
    d) b) 100 중량부 당, 약 6 중량부 이상의 양의 가압 하에 용해된 이산화탄소;
    e) 임의로 가교제; 및
    f) 임의로, 실리콘, 활성화제, 금속 촉매 및 기타 보조제를 기재로 한 발포체 안정화제와 NCO 지수 약 80 내지 약 100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약 15 kg/m3 미만의 벌크 밀도 및 약 1.5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MDI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중합체 폴리올을 함유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PHD 폴리올을 함유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성분 b2)가 PIPA 폴리올을 함유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가교제 e)가 소르비톨인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 발포체가 약 13 kg/m3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가지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가요성 발포체가 약 1.0 kPa 미만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방법.
  17.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요성 발포체.
KR1020050097945A 2004-10-19 2005-10-18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Ceased KR20060054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1048.2 2004-10-19
DE102004051048A DE102004051048A1 (de) 2004-10-19 2004-10-19 Weichelastische Schaumstoffe geringer Rohdichten und Stauchhär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066A true KR20060054066A (ko) 2006-05-22

Family

ID=3530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945A Ceased KR20060054066A (ko) 2004-10-19 2005-10-18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60084710A1 (ko)
EP (1) EP1650240B1 (ko)
JP (1) JP2006117936A (ko)
KR (1) KR20060054066A (ko)
CN (1) CN1772786B (ko)
AT (1) ATE370175T1 (ko)
BR (1) BRPI0504675A (ko)
CA (1) CA2523398A1 (ko)
DE (2) DE102004051048A1 (ko)
DK (1) DK1650240T3 (ko)
ES (1) ES2292033T3 (ko)
MX (1) MXPA05011148A (ko)
NO (1) NO20054612L (ko)
PL (1) PL1650240T3 (ko)
PT (1) PT1650240E (ko)
RU (1) RU2422469C2 (ko)
SI (1) SI1650240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1145A1 (fr) * 2007-01-09 2008-07-11 Cera Resine polyol d'une mousse de polyurethanne souple pour matelassu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09126A1 (de) * 2007-02-24 2008-08-28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mit niedriger Rohdichte
DE102008009192A1 (de) 2008-02-15 2009-08-20 Bayer Materialscience Ag Hochflexibles flächiges Verbundmaterial
US8901187B1 (en) 2008-12-19 2014-12-02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High resilience flexible polyurethane foam using MDI
US8906975B1 (en) 2009-02-09 2014-12-09 Hickory Springs Manufacturing Company Conventional flexible polyurethane foam using MDI
JP4920051B2 (ja) * 2009-02-25 2012-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酸素燃焼ボイラプラント及び酸素燃焼ボイラプラントの運転方法
DE102009045027A1 (de) * 2009-09-25 2011-03-31 Henkel Ag & Co. Kgaa Monomerarme Polyurethanschäume
WO2013112176A1 (en) * 2012-01-27 2013-08-01 Tempur-Pedic International, Inc. Low-density foam and foam-based objects
ITRM20120259A1 (it) 2012-06-06 2013-12-07 Bayer Internat S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 viscoelastiche.
ITRM20120260A1 (it) * 2012-06-06 2013-12-07 Bayer Internat S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 flessibili.
JP5992812B2 (ja) 2012-12-03 2016-09-14 株式会社タチエス 表皮一体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EP2762510B1 (de) 2013-02-01 2018-11-21 Covestro Deutschland AG Verbundelemente mit einem kern aus emissionsarmem polyurethan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15038826A1 (en) * 2013-09-13 2015-03-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isocyanate polyaddition polyol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EP3097146B1 (en) * 2014-01-23 2019-12-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igid polyurethane foam having a small cell size
RU2734761C2 (ru) * 2015-12-21 2020-10-23 Шелл Интернэшнл Рисерч Маатсхаппий Б.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лиуретановых пен
CA3035985C (en) * 2016-09-23 2024-01-16 Huntsman International Llc Polyurethane foams having sufficient hardness and good flexibility
EP3541988A1 (en) * 2016-11-16 2019-09-25 Huntsman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dyeing and foam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CN113795529B (zh) * 2019-05-13 2024-07-23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低密度、低压缩永久变形、长恢复时间的聚氨酯泡沫
CN110540626B (zh) * 2019-09-25 2021-04-20 深圳市国志汇富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超轻质大孔隙网状聚氨酯泡沫塑料及其超低温制备方法
CN115461387B (zh) * 2020-04-23 2023-02-24 东曹株式会社 软质聚氨酯泡沫形成用多元醇组合物、软质聚氨酯泡沫形成用组合物、以及软质聚氨酯泡沫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4527A1 (de) * 1976-06-01 1977-12-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en
DE3819940A1 (de) * 1988-06-11 1989-12-1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weichblockschaumstoffen
DE68926107T3 (de) * 1988-10-25 2005-07-07 Asahi Glass Co., Ltd. Elastischer polyurethansch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3942330A1 (de) * 1989-12-21 1991-06-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ible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mit viskoelastischen, koerperschalldaempfenden eigenschaften und hierzu verwendbare polyoxyalkylen-polyol-mischungen
DE4422568C1 (de) * 1994-06-28 1996-02-15 Bay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DE4446876A1 (de) * 1994-12-27 1996-07-04 Bay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DE19621305A1 (de) * 1996-05-28 1997-12-0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n Polyurethanblockschaumstoffen
DE19627065A1 (de) * 1996-07-05 1998-01-08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umherstellung mittels unter Druck gelöstem Kohlendioxid
ATE205228T1 (de) * 1997-03-25 2001-09-15 Huntsman Int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iblem polyurethanschaum
US6063309A (en) * 1998-07-13 2000-05-16 Arco Chemical Technology L.P. Dispersion polyols for hypersoft polyurethane foam
IT1315242B1 (it) * 1999-10-12 2003-02-03 Enichem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 flessibilia bassa densita'.
BR0107571B1 (pt) * 2000-02-14 2010-10-19 processo para preparar uma espuma de poliuretano flexìvel, e, espuma de poliuretano flexìvel moldada.
EP1178061A1 (en) * 2000-08-01 2002-02-06 Huntsman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preparing a polyurethane material
CA2493396C (en) * 2002-08-02 2010-09-14 Huntsman International Llc Prepolymer, polyol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a flexible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17936A (ja) 2006-05-11
NO20054612L (no) 2006-04-20
US20060084710A1 (en) 2006-04-20
EP1650240B1 (de) 2007-08-15
EP1650240A1 (de) 2006-04-26
MXPA05011148A (es) 2006-05-25
ES2292033T3 (es) 2008-03-01
DE102004051048A1 (de) 2006-04-20
CA2523398A1 (en) 2006-04-19
PL1650240T3 (pl) 2007-12-31
ATE370175T1 (de) 2007-09-15
DE502005001236D1 (de) 2007-09-27
SI1650240T1 (sl) 2007-12-31
PT1650240E (pt) 2007-11-07
BRPI0504675A (pt) 2006-06-27
RU2005132110A (ru) 2007-04-27
CN1772786B (zh) 2010-09-08
NO20054612D0 (no) 2005-10-06
RU2422469C2 (ru) 2011-06-27
DK1650240T3 (da) 2007-12-10
CN1772786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4066A (ko) 저 벌크 밀도 및 압축 강도를 갖는 가요성 발포체
KR100245236B1 (ko)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0930000B1 (ko) 저반발 연질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방법
FI95141C (fi) Nestemäisiä polyisosyanaattiseoksi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ja niiden käyttö pehmeiden polyuretaanivaahtojen valmistamiseksi
US8362098B2 (en) Process for producing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s
US20120028024A1 (en) Cellular structures and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s
JP2003522235A (ja) 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090082177A (ko)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
WO2013043645A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air flow polyether foams and the foams produced by this process
AU2011271215A1 (en) High air flow polyurethane viscoelastic foam
KR100813364B1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조성물로부터 저습윤 노화 압축 영구 변형된 저밀도 연질포옴을 제조하는 방법
EP2001922B1 (en) Process for making a polyurethane foam
US5177119A (en) Polyurethane foams blown only with water
US20240360278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ether polyol with a high ethylene oxide content
EP2519558B1 (en) Method for making low density polyurethane foam for sound and vibration absorption
US4743628A (en) Polyurethane foams incorporating alkoxylated aromatic diamine and acetylenic glycol
JP3118262B2 (ja) 通気性開口セルウレタンポリマー
US5137934A (en) Alkylene oxide adducts and polyurethane foams prepared therefrom
US6770684B2 (en) Production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s
KR20050016753A (ko) 성형 폴리우레탄 재료의 제조 방법
EP0449609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resilience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H07180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55848B2 (ko)
WO1995023819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soft, flexible, hot molded polyurethane foam
KR20170134407A (ko) 폴리올 및 폴리우레탄에 관한 개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