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5033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339A
KR20060050339A KR1020050072862A KR20050072862A KR20060050339A KR 20060050339 A KR20060050339 A KR 20060050339A KR 1020050072862 A KR1020050072862 A KR 1020050072862A KR 20050072862 A KR20050072862 A KR 20050072862A KR 20060050339 A KR20060050339 A KR 2006005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shell
opening edge
ma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672B1 (ko
Inventor
케이지 쿠로다
료 모리와케
기요시 아라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방향으로 연재하는 신호 단자,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의 단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갖는 관형 쉘 (tubular shell), 및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고, 삽입 방향의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접지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질 때, 상기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가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대측 신호 단자에 상기 신호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상대측 접지 단자에 상기 접지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대측 커넥터 삽입 방향에서 보이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B-II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IIC-II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쉘 및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신호선 (signal wires)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신호선 등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신호 단자, 상기 신호 단자에 대향 하도록 배치된 접지 단자, 상기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를 지지하는 절연체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쉘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 에 형성된 돌출부를 협지 (狹持, clip)함으로써 상대측 또는 짝이 되는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 진다. 그런 다음, 상대측 커넥터를 삽입할 때, 상기 신호 단자는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에 형성된 상대측 신호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대측 단자에 형성된 상대측 접지 단자에 접속한다. 이러한 커넥터에서, 쉘과 접지 단자를 일체 성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2003-7408호 공보). 일체 성형에 의하여, 커넥터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에서는, 신호 단자가 자신의 탄성력으로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를 접지 단자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가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를 협지하고,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단자들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신호 단자가 소정의 탄성력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신호 단자의 형상은 신호 단자의 피치 (pitch)에 의해 제한되므로, 특히, 좁은 피치 (narrow-pitch) 신호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서는 신호 단자의 폭이 좁아지고, 신호 단자의 탄성력이 부족하게 되기 쉽다. 그 결과, 단자들이 상대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단자가 상대측 단자에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한 방향으로 연재 (延在)하는 제1 단자, 상대측 커넥터 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의 단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갖는 관형 쉘 (tubular shell),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고,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질 때,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신호 단자에 상기 제1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접지 단자에 상기 제2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단자는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고 있어서, 제2 단자의 스프링 길이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제2 단자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를 삽입했다 뺐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더라도 제2 단자와 상대측 커넥터의 접지 단자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가 삽입 방향으로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쉘과 제2 단자가 일체 성형되면 제2 단자는 쉘의 측벽에 노칭 (notching)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쉘의 강도가 낮아지지 않는다. 더욱이 쉘과 제2 단자가 함께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수가 감소하여 커넥터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단자가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출 편의 개수와 그들의 폭 및 피치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더욱 적합한 탄성력을 갖는 제2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단자가 삽입 방향으로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는 복수의 박판 스프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박판 스프링의 개수와 그들의 폭 및 피치를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더욱 적합한 탄성력을 갖는 제2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단자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쉘이 상기 하우징을 둘러싸고, 상기 돌출편과 박판 스프링이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삽입 방향의 반대측의 돌출편의 뒤쪽 단부 (rear end)에,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돌출편에 형성된 평면에 압력이 적용되어 하우징이 쉘에 효과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면을 참고하여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화살표는 상대측 커넥터 (2)를 커넥터 (1)에 삽입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2a는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에서 보이는 커넥터 (1)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B-II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IIC-II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1)는 기판 (50)에 장착되어 있는데, 상대 측 커넥터가 이로부터 삽입되고 빠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 (2)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6)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 (6)는 한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 형상이고, 그 한쪽 표면에는 신호 전극 (52)이 배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 표면에는 접지 전극 (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 (2) 내에는 신호 전극 (52)과 케이블 (51)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 (2)를 커넥터 (1)에 삽입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 (2)와 커넥터 (1)가 서로 R끼워 맞추어져 기판 (50)의 배선 (미도시)과 케이블 (51)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1)는 14개의 신호 단자 (제1 단자, 3), 쉘 (4), 접지 단자 (제2 단자, 5) 및 하우징 (9)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단자 (3)는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금속제 부재이고,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신호 단자 (3)는 반대 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진 2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신호 단자 (3)은 3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앞쪽 단부까지 연속되어서 실질적으로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재하는 부분, 뒤쪽 단부까지 연속되어서 실질적으로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재하는 부분, 및 상기 두 부분을 접속하여 실질적으로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재하는 부분이다. 신호 단자 (3)는 상대측 커넥터 (2) 삽입 방향의 앞쪽으로 연재하는 부분이 접지 단자 (5) 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넥터 (1)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면 신호 단자 (3)의 앞쪽은 상대측 커넥터의 신호 단 자 (5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신호 단자 (3)는 납땜 접합 (solder joining)에 의해 기판 (50) 상에 형성된 신호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쉘 (4)은 양 단부가 개방된 대략 직사각형의 관형 쉘 모양을 갖는 금속 부재이고, 쉘 내부에 신호 단자 (3)의 앞쪽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쉘 (4)이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여 신호 단자 (3)의 앞쪽 단부를 둘러싼다.
접지 단자 (5)는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재하고 쉘 (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지 단자 (5)는 삽입 방향으로 쉘 (4)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고, 쉘 (4)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한다. 쉘 (4) 및 접지 단자 (5)는 성형된 한 장의 금속판을 절곡 (折曲) 등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일체 성형). 하우징 (9)은 쉘 (4) 내부로 가압되어 신호 단자 (3)의 앞쪽 단부를 둘러싼다.
다음, 접지 단자 (5)를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기재한다. 도 3은 쉘 (4) 및 접지 단자 (5)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단자 (5)는 7개의 돌출편 (7) 및 6개의 박판 스프링 (8)을 갖는다. 돌출편 (7)은 쉘 (4) 내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고,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7개의 돌출편 (7)은 커넥터 (1)의 뒤쪽 단부 근방에서 서로 접합하고 있다. 돌출편 (7)의 앞쪽은 신호 단자 (3)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 2b 참조). 돌출편 (7)의 뒤에는 상대측 커넥터 (2)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10)이 형성된다.
박판 스프링 (8)은, 서로 인접한 돌출편 (7)의 접합 부위의 중간 지점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쉘 (4)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편 (7)과 박판 스프링 (8)은 상대측 커넥터 (2)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1)가 상대측 커넥터 (2)와 끼워 맞추어 지면, 신호 단자 (3)와 접지 단자 (5)의 탄성력에 의하여 신호 단자 (3)과 접지 단자 (5)가 상대측 커넥터 (2)의 돌출부 (6)를 소정의 압력으로 협지한다. 이 지점에서, 돌출부 (6)의 한쪽 측면에 배치된 신호 단자 (52)와 신호 단자 (3)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돌출부 (6)의 다른 한쪽 측면에 배치된 접지 단자와 접지 단자 (5)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단자 (5)는 쉘 (4)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로부터 쉘 (4)의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고 있으므로, 접지 단자 (5)의 스프링 길이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접지 단자 (5)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 (2)를 삽입했다 뺐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더라도 접지 단자 (5)와 상대측 커넥터 (2)의 접지 단자가 서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 (5)가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접지 단자 (5)가 노칭 없이 쉘 (4)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쉘의 강도가 낮아지지 않는다. 더욱이 쉘 및 접지 단자 (5)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이들을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1)의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 다.
또한, 돌출편 (7)의 개수, 폭 및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접지 단자 (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박판 스프링 (8)의 개수, 폭 및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접지 단자 (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뒤쪽 단부의 돌출편 (7)의 말단에 평면 (10)이 형성되기 때문에, 평면 (10)을 누름으로써 하우징 (9)이 쉘 (4)에 효과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특허의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지 단자 (5)는 돌출편 (7) 및 박판 스프링 (8)을 가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편과 박판 스프링을 함께 일체화하는 것에 의하여 접지 단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지 단자 (5)는 7개의 돌출편 (7)을 갖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편의 개수와 및 돌출편의 폭 및 피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접지 단자가 커넥터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지 단자 (5)는 6개의 박판 스프링 (8)을 갖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박판 스프링의 개수와 및 박판 스프링의 폭 및 피치를 조절하여 접지 단자가 커넥터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박판 스프링 (8)의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돌출편 (7) 사이에 접속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박판 스프링의 단부가 돌출편의 단부에 접속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평면 (10)은 커넥터 (1)의 뒤쪽 단부 상의 돌출편 (7)의 단부에 형성되지만 상기 평면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신호 단자 (3)을 둘러싸는 하우징 (9)이 제공되지만 하우징 (9)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전술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재하였으나, 당업자가 다양하게 교체,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서술하기 위한 것이지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단자,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의 단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갖는 관형 쉘,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고,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질 때,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 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신호 단자에 상기 제1 단자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접지 단자에 상기 제2 단자가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Claims (4)

  1. 한 방향으로 연재 (延在)하는 제1 단자;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의 단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갖는 관형 쉘; 및
    상기 삽입 방향으로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고, 쉘의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질 때, 상기 제1 및 제2 단자가 상대측 커넥터의 돌출부를 협지 (狹持)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신호 단자에 상기 제1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접지 단자에 상기 제2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뒤쪽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앞쪽 개구 가장자리 근방 부위까지 연재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뒤쪽 개구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만곡하는 복수의 박판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쉘이 상기 하우징을 둘러싸고,
    상기 돌출편과 박판 스프링이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편의 뒤쪽 단부에,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50072862A 2004-08-11 2005-08-09 커넥터 Active KR101157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4607A JP4474235B2 (ja) 2004-08-11 2004-08-11 コネクタ
JPJP-P-2004-00234607 2004-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339A true KR20060050339A (ko) 2006-05-19
KR101157672B1 KR101157672B1 (ko) 2012-06-20

Family

ID=3580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62A Active KR101157672B1 (ko) 2004-08-11 2005-08-09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1874B2 (ko)
JP (1) JP4474235B2 (ko)
KR (1) KR101157672B1 (ko)
TW (1) TWI2790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83B1 (ko) * 2012-05-17 2014-12-0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3544A (ja) * 2006-06-05 2007-12-1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096423A1 (en) * 2006-10-20 2008-04-24 Huang Chun-S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connector
JP5057051B2 (ja) * 2007-07-12 2012-10-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60274B2 (ja) * 2008-02-21 2012-06-27 ケル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CN101714712B (zh) * 2008-09-30 2013-03-13 苹果公司 尺寸减小的多引脚插头连接器
US9636779B2 (en) 2013-05-28 2017-05-02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Connection structure applied to a fan for connecting a metal member with a shaft by means of laser
US9401570B2 (en) * 2014-10-29 2016-07-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bus bar
CN105655823B (zh) * 2014-11-13 2019-03-29 西门子数控(南京)有限公司 连接器
US9881650B1 (en) * 2016-12-26 2018-01-3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Connector mitigating crosstalk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CN110492311A (zh) 2019-07-24 2019-11-22 华为机器有限公司 屏蔽片、母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2022054592A (ja) * 2020-09-28 2022-04-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8Y2 (ko) 1985-05-10 1991-01-11
JPH0250983U (ko) * 1988-10-04 1990-04-10
US5308251A (en) * 1992-08-10 1994-05-03 The Whitaker Corporation Mounting bracket with ESD protec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FR2747518B1 (fr) * 1996-04-12 1998-06-0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du typ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et muni d'un organ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JP3451393B2 (ja)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682368B2 (en) * 2000-05-31 2004-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multiple ground planes
JP2002093496A (ja) * 2000-09-12 2002-03-29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組立体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841352B2 (ja) * 2003-06-11 2006-11-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283B1 (ko) * 2012-05-17 2014-12-09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5529A1 (en) 2006-02-16
TWI279036B (en) 2007-04-11
JP2006054103A (ja) 2006-02-23
KR101157672B1 (ko) 2012-06-20
JP4474235B2 (ja) 2010-06-02
US7131874B2 (en) 2006-11-07
TW200614596A (en) 200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23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portion retained in an insulative housing
CN102570187B (zh) 电气连接器及其组装体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JP4970981B2 (ja) 電気コネクタ
US705232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plates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618745B1 (ja) 電気コネクタ
KR100731443B1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US20120135621A1 (en) Floating connector
US2006004055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ructures for preventing deflected-insertion
US2006010563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rengthened members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KR101181608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KR970702596A (ko) 낮은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KR101157672B1 (ko) 커넥터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JP2007128876A (ja) 電気コネクタ
JP486622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761832B2 (ja) 接続端子の係止構造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8314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CN111342248A (zh) 具有并联功能的电线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