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920A -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5920A KR20060045920A KR1020050037944A KR20050037944A KR20060045920A KR 20060045920 A KR20060045920 A KR 20060045920A KR 1020050037944 A KR1020050037944 A KR 1020050037944A KR 20050037944 A KR20050037944 A KR 20050037944A KR 20060045920 A KR20060045920 A KR 200600459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hinge
- rotatable
- biaxial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0)
-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힌지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힌지축을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제2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고정성 하우징;상기 고정성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성 하우징; 및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을 제공하는 힌지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성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고정성 하우징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결합 샤프트와, 상기 결합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성 하우징의 일면에 지지되는 씨-링(C-ring)을 더 구비하고,상기 결합 샤프트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일면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 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고정성 하우징을 관통하는 결합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실린더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씨-링이 결합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성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회전성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고정성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볼 조립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립체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고정성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 플레이트와, 상기 와셔 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금속체 볼(ball)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과 고정성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금속체 볼들과 각각 맞물리는 다수의 스토퍼 홀들이 상기 금속체 볼들의 이동 궤적을 따라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성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 소자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체결편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체결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체결편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마찰편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힌지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 샤프트 상에 고정되는 제1 힌지 캠과, 상기 제1 힌지 캠과 대면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 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 캠 및 상기 제1 힌지 캠과 제2 힌지 캠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제2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 및상기 힌지 하우징의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는 가이드 홀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2 힌지 캠의 직선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셔와, 오-링(O-ring)을 더 구비하고,상기 코일 스프링은 그의 일단이 상기 제2 힌지 캠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와셔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힌지 캠의 일면에 형성되는 산형부와, 상기 제2 힌지 캠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산형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골형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180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 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후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성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회전성 하우징을 지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제2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된 또 다른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성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결합 샤프트의 관통홀을 통해 연장된 가요성 인쇄회로가 상기 회전성 하우징 내에서 절곡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의 개구를 통해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장치는 상기 단말기의 일단부 일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성 하우징은 180도 범위 이내에서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성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성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구동 돌기; 및상기 회전성 하우징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외주면 상으로 출몰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상기 회전성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 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외주면 상에 선택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26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에 대면한 채로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범위를 180도 미만으로 제 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상기 회전성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출몰하는 몸체;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성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및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돌기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종동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26 항에 있어서,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채로 접철될 수 없는 위치로 상기 회전성 하우징이 회전한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 내로 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제26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성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 돌기는 상기 회전성 하우징 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194,572 US7440783B2 (en) | 2004-08-17 | 2005-08-02 |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64787 | 2004-08-17 | ||
KR1020040064787 | 2004-08-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5920A true KR20060045920A (ko) | 2006-05-17 |
KR100689532B1 KR100689532B1 (ko) | 2007-03-02 |
Family
ID=360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7944A KR100689532B1 (ko) | 2004-08-17 | 2005-05-06 |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9532B1 (ko) |
CN (1) | CN173852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394B1 (ko) * | 2007-12-24 | 2010-05-27 | (주)제이엠씨 |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
KR101032450B1 (ko) * | 2009-04-09 | 2011-05-03 | (주) 프렉코 |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US8204556B2 (en) | 2006-04-17 | 2012-06-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20180027394A (ko) * | 2017-11-20 | 2018-03-14 | 맹용주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20832B (zh) * | 2007-10-23 | 2012-03-2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旋转定位结构及电子装置 |
WO2010026684A1 (ja) * | 2008-09-05 | 2010-03-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2軸ヒンジ機構 |
US10501973B2 (en) | 2016-06-14 | 2019-12-1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 with free-stop function |
US10061359B2 (en) * | 2016-07-28 | 2018-08-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Hinged device with living hinge |
US10141630B2 (en) * | 2017-04-01 | 2018-11-27 | Intel Corporation | Antenna incorporated into device hinge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0498B1 (ko) * | 2001-08-21 | 2004-07-15 | 최해용 |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
-
2005
- 2005-05-06 KR KR1020050037944A patent/KR1006895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17 CN CNA200510090532XA patent/CN1738520A/zh active Pending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04556B2 (en) | 2006-04-17 | 2012-06-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100959394B1 (ko) * | 2007-12-24 | 2010-05-27 | (주)제이엠씨 |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
KR101032450B1 (ko) * | 2009-04-09 | 2011-05-03 | (주) 프렉코 |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
KR20180027394A (ko) * | 2017-11-20 | 2018-03-14 | 맹용주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101880109B1 (ko) * | 2017-11-20 | 2018-07-19 | 맹용주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9532B1 (ko) | 2007-03-02 |
CN1738520A (zh) | 200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0783B2 (en) |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 |
US7448872B2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unit cradled on a slant | |
US7526325B2 (en) |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 |
US7395100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 |
US8032192B2 (en) |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 |
US7522946B2 (en) |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KR100630139B1 (ko) |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100575947B1 (ko) |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 |
KR10065149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US7334296B2 (en) |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2003031963A (ja) |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 |
KR100640395B1 (ko) |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 |
US20080026791A1 (en) | Watch-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89532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 |
US20050187024A1 (en) | Portabl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s and hinge apparatus thereof | |
US8082632B2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b-housing stopper | |
US20070171195A1 (en) | Sliding/swing-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ositioning liquid crystal display at center portion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20110014304A (ko) |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 |
KR100474678B1 (ko) |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 |
KR100866944B1 (ko) |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 |
KR100575935B1 (ko) |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 |
KR100681089B1 (ko) | 스윙 타입 게임용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힌지 장치 | |
KR100790089B1 (ko) |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0929076B1 (ko) | 액정표시장치를 중심에 위치시키는 슬라이딩/회전 타입휴대 단말기 | |
KR100790169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