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543A - Cargo ship - Google Patents
Cargo sh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5543A KR20060045543A KR1020050028787A KR20050028787A KR20060045543A KR 20060045543 A KR20060045543 A KR 20060045543A KR 1020050028787 A KR1020050028787 A KR 1020050028787A KR 20050028787 A KR20050028787 A KR 20050028787A KR 20060045543 A KR20060045543 A KR 200600455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dock
- hatch
- pillar
- carg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폭이 넓은 대형 화물선이어도, 폰툰 해치의 취급이 용이하여, 중량물과의 혼합 탑재의 자유도가 높은 화물선을 제공한다.Even a large cargo ship having a wide ship width, the handling of the pontoon hatch is easy, thereby providing a cargo ship having a high degree of freedom of mixing and loading with heavy materials.
제2 갑판(3)으로 상부 선창(2)과 하부 선창(1)을 구획하고, 제2 갑판(3)의 개구부에 폰툰(pontoon) 해치(4)를 장착하고, 상부 선창(2)에 해치(6)를 가지는 화물선으로서, 해치(6)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의 제2 갑판(3) 상에, 각각 선창용 데크(14)를 마련하여, 2층 건조물인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을 마련한다. 각 데크 선창(21, 22)에 있어서의 해치 측의 단부에, 선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필라(13)를 장착하고 있다. 필라(13)는, 고정식 필라와 가동식 필라로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deck 2 and the lower dock 1 are partitioned by a second deck 3, a pontoon hatch 4 is fitted in the opening of the second deck 3, and the hatch is attached to the upper dock 2. As a cargo ship having (6), the deck 14 for a dock is provided on the 2nd deck 3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hatch 6, respectively, and the 1st deck dock 21 which is a two-story building And second deck dock 22. The pillar 13 is attached to the edge part of the hatch side in each deck dock 21 and 22 at intervals along the ship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llar 13 is comprised from the fixed pillar and the movable pillar.
화물선, 선창, 데크, 필라 Cargo ship, dock, deck, pilla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물선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 선 화살표에서 본 평면도이다. FIG. 2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line II arrow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 선 화살표에서 본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arrow III in FIG. 1. FIG.
도 4는, 선창용 데크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vicinity of the deck for the dock.
도 5는, 본 발명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혼합 탑재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ample of cargo mixing loading in the cargo ship of this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혼합 탑재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ample of cargo mixing loading in the cargo ship of this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혼합 탑재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example of cargo mixing loading in the cargo ship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혼합 탑재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argo mixing loading in the cargo 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예 1인 2층 갑판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ship of a two-story de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example 1. FIG.
도 10은, 종래예 2인 3층 갑판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ship of a three-story de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example 2. FIG.
도 11은, 종래예 1, 2에 있어서의 제2 갑판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11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the second deck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s 1 and 2.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하부 선창1: lower dock
2 : 상부 선창2: upper dock
3 : 제2 갑판3: second deck
4 : 폰툰 해치(pontoon hatch)4: pontoon hatch
5 : 상갑판5: upper deck
6 : 해치6: hatch
7 : 해치 커버7: hatch cover
13 : 고정 필라(pillar)13: fixed pillar
14 : 선창용 데크14: Dock Deck
20 : 데크 선창20: Deck Dock
21 : 제1 데크 선창21: First Deck Dock
22 : 제2 데크 선창22: 2nd deck dock
본 발명은, 화물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일반 잡화, 자동차, 컨테이너, 파이프 등 강재를 운반하는 일반 화물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ship.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l cargo ship carrying steel such as general goods, automobiles, containers, pipes, and the like.
도 9에 나타내는 종래예 1은 2층 갑판 화물선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하부 선창(101)과 상부 선창(102)은 제2 갑판(103)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2 갑판(103)의 중앙의 개구부는 폰툰(pontoon) 해치(hatch)(104)가 걸쳐져 있다. 상(上)갑판(105) 의 중앙 개구부에는 해치(106)가 형성되고, 해치 커버(107)로 덮개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폰툰 해치(104)는 강제(鋼製)의 덮개로서, 그 상면에 자동차 등을 적재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2층 갑판 화물선에서는 하부 선창(101)에, 주로 강재나 플랜트물(物) 등의 중량물을 실어넣고, 상부 선창(102)에 일반 화물이나 자동차를 실어넣는 등의 혼합 탑재가 가능해진다(비특허문헌 1).The prior art example 1 shown in FIG. 9 is a center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ouble deck cargo ship. The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예 2는 3층 갑판 화물선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 3층 갑판 화물선에서는 1단째의 폰툰 해치(104a)로 하부 선창(101)과 그 상부의 선창을 분리함과 함께, 상부의 선창을, 2단째의 폰툰 해치(104b)로, 중간 선창(102a)과 상부 선창(102b)로 분리한 것이다. 하부 선창(101)에는 중량물을 실어넣고, 중간 선창(102a)에는 자동차와 일반 화물을 혼합 탑재하고, 상부 선창(102b)에는 자동차를 실어넣는 등의 혼합 탑재가 가능해진다.The prior art example 2 shown in FIG. 10 is a center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three story deck cargo ship. In this three-story deck cargo ship, the
그런데, 상기 종래예 1, 2에서 사용한 폰툰 해치(104, 104a, 104b)는, 재화(載貨)중량 2만톤 클래스까지의 화물선이면, 폰툰 해치의 폭은 15m 정도까지이기 때문에 취급 가능하다. 그러나, 그 이상의 대형 화물선이 되어 폰툰 해치의 폭이 15m를 초과하게 되면, 중량도 상당히 증가하여, 해치 격납 등의 취급이 힘들고 위험한 작업이 된다. 또한, 강도 면에서는 자동차와 같은 가벼운 화물밖에 실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다목적의 혼합 탑재는 어려웠다.By the way, the
또한, 상기 종래예 1, 2에서는, 제2 갑판(103) 상의 화물 적재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s 1 and 2,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use the cargo loading space on the
즉, 도 10에서, S는 우현 측의 단면을 나타내고, P는 좌현 측을 나타내고 있 다. 우현 측은 프레임(111)을 마련한 부분의 단면이고, 좌현 측은 웹 프레임(112)을 마련한 부분의 단면이다.That is, in FIG. 10, S represents the cross section of the starboard side, and P represents the port side. The starboard side is a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2 갑판(103)의 일부 확대 평면도로서, 외판(113)은 복수개의 프레임(111)으로 지지됨과 함께, 프레임(111)의 몇개분 마다 웹 프레임(11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웹 프레임(112)은 폭이 넓기 때문에, 제2 갑판(103) 상의 화물 적재 스페이스에 오목함이 생겨서, 화물의 효율적인 적재에 지장이 생기고 있었다.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비특허문헌 1] [Non-Patent Document 1]
선체 각부 명칭도(개정판) 54~55쪽 이케다 카츠 저 1979년 해문당(海文堂)Hull Parts (Revised Edition) pages 54-55 by Katsuke Ikeda 1979 Haemun-dang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선폭이 넓은 대형 화물선이더라도, 폰툰 해치의 취급이 용이하고, 제2 갑판 상의 화물 적재 효율이 좋으며, 중량물과의 혼합 탑재의 자유도가 높은 화물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ship having a wide ship width, which is easy to handle the pontoon hatch, has a good cargo loading efficiency on the second deck, and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of mixing and loading with heavy materials. do.
제1 발명의 화물선은, 상(上)갑판에 상부 선창용 해치(hatch)를 가지고, 제2 갑판으로 상부 선창과 하부 선창을 구획하며, 상기 제2 갑판의 개구부에 폰툰(pontoon) 해치를 장착한 화물선으로서, 상기 해치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의 제2 갑판 상에, 각각 선창용 데크를 장착하여, 데크 선창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go ship of the first invention has an upper dock hatch on an upper deck, partitions the upper dock and a lower dock by a second deck, and mounts a pontoon hatch in an opening of the second deck. As one cargo ship, deck decks were provided on the 2nd deck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aid hatch, and the deck dock was provided.
제2 발명의 화물선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크 선창이, 2층 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for the cargo ship of 2nd invention, in the 1st invention, the said deck dock is a two-layered build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3 발명의 화물선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크 선창에 있어서의 해치측의 단부(端部)에, 선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필라(pillar)를 장착하고, 이 필라로 상기 선창용 데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go ship of 3rd invention WHEREIN: In 2nd invention, the pillar is attached to the edge part of the hatch side in the said deck dock at intervals along the ship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is pillar is used for the said docks. The deck is fixed.
제4 발명의 화물선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라는, 고정(固定)식 필라와 가동(可動)식 필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go ship of 4th invention is a 3rd invention WHEREIN: The said pillar is comprised from the fixed pillar and the movable pilla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실시예><Example>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하여 설명한다.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화물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 선 화살표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 선 화살표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선창용 데크 주변의 확대 평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go shi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line II arrow in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arrow III in FIG. 1.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vicinity of the dock deck.
도 1에 있어서, 1은 하부 선창, 2는 상부 선창으로서, 이들 선창은 제2 갑판(3)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갑판(3)의 중앙 개구부에는 폰툰 해치(4)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In Fig. 1, 1 is a lower dock, 2 is an upper dock, and these docks are partitioned by a
상갑판(5)의 중앙 개구부는 해치(6)로 되어 있고, 그 상면은 해치 커버(7)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entral opening of the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배와 특히 다른 점은 없다.This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boat.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의 최외측에 있어서, 제2 갑판(3)과 상갑판(5)의 사이에는, 선측 외판(11)이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해 치 측의 내측 단부에는 고정 필라(13)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프레임(12)과 고정 필라(13)에 걸쳐지도록 선창용 데크(1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선창용 데크(14)는, 자동차나 파이프, 강재를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As shown to FIG. 1 and FIG. 4, in the outermost side of a ship body, the
상기 선창용 데크(14)는, 제2 갑판(3)과 상갑판(5) 사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2층 건조물인 데크 선창(20)을 구성하고 있다. 즉, 선창용 데크(14)의 하측이, 제1 데크 선창(21)이고, 상측이 제2 데크 선창(22)이다.Since the
상기 고정 필라(13)는, 해치(6)의 외주를 따라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2 갑판(3)과 상갑판(5) 사이에 서도록 적절히 몇개가 마련되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고정 필라(13)는, 예컨대 H형강 등을 사용하여, 고강도이지만 사이즈가 작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창용 데크(14)의 양 사이드를 사이즈가 작은 고정 필라(13)와 프레임(12)으로 양측 받침 지지한 것에 의하여, 사이즈가 큰 웹 프레임(도 10의 112)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어진 점에서, 데크 선창(20)을 구성하는 제1 데크 선창(21) 및 제2 데크 선창(22) 모두, 돌출부 없는 직사각형(스퀘어) 형상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화물의 적재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The fixing
그리고, 상기에 추가하여, 가동(可動)식인 필라(13)를 고정 필라(13)의 사이에 마련하면, 데크의 유지 강도가 높아진다. 가동식의 구조로서는, 기도(起倒)식이나 이동(移動)식 등 임의의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동식 필라를 사용하면, 필요한 유지 강도를 유지하면서, 데크 선창(20)의 개구부가 넓어지기 때문에 화물의 실어넣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이 용이하게 되고, 파이프나 강재 등의 긴 물건의 반입이 가능하게 되며, 더욱이 이들의 포크 리프트에 의한 반입도 행할 수 있게 된다.And in addition to the above, when 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물선에서는, 2번 선창(H2)과 3번 선창(H3)에 데크 선창(20)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고, 선수 측의 1번 선창(H1)과 선미 측의 4번 선창(H4)은 통상의 구조이다. 단, 선체 길이가 긴 화물선으로서, 선수 측과 선미 측의 선창을 제외하고 중간의 선창이 3 이상인 경우에, 그 모든 선창 혹은 일부의 선창에 본 발명의 데크 선창을 마련하는 것은 임의이다. 그리고, 자동차를 실어넣는 경우의 램프(ramp) 웨이(31)가 마련되어 있고, 이 램프 웨이(31)는, 상기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으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to FIG. 2 and FIG. 3, in the cargo ship of this embodiment, the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적재 예를 도 5 내지 도 8에 기하여 설명한다.Next, the cargo loading example in the cargo ship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1) 도 5의 화물 적재 예(1) Cargo Loading Example of FIG. 5
폰툰 해치(4)를 설치하고, 이하와 같이 혼합 탑재한다.The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 : 일반 화물(도시 생략)을 하부 선창(1)의 내측 바닥판에 쌓고, 상부 선창(2)에서는 폰툰 해치(4) 상에 실어넣는다.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 : 파이프나 강재 등을 실어넣는다. 파이프나 강재 등은 정렬시키기 쉽기 때문에, 가늘고 긴 제1, 제2 데크 선창(21, 22) 내에도 스페이스 효율 좋게, 대량으로 실어넣을 수가 있다.
(2) 도 6의 화물 적재 예(2) Cargo Loading Example of FIG. 6
폰툰 해치(4)를 설치하고, 이하와 같이 혼합 탑재한다.The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 : 일반 화물(도시 생략)을 하부 선창(1)의 내측 바닥판에 쌓고, 상부 선창(2)에서는 폰툰 해치(4) 위에 실어넣는다.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 : 자동차를 실어넣는다. 자동차도 정렬시키기 쉽기 때문에, 비교적 좁은 제1, 제2 데크 선창(21, 22) 내에도 다수대의 자동차를 실어넣기 가능하며, 또한 선내 장비인 램프 웨이(31)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역 효율이 높은 것이다.
(3) 도 7의 화물 적재 예(3) Example of Loading Cargo of FIG.
폰툰 해치(4)를 설치하고, 이하와 같이 혼합 탑재한다.The
하부 선창(1) : 일반 화물(도시 생략)을 내측 바닥판 상에 실어넣는다.Lower dock 1: General cargo (not shown) is loaded on the inner bottom plate.
상부 선창(2)(폰툰 해치(4)의 상면) : 자동차는 비교적 경량이기 때문에, 폰툰 해치(4) 상에의 적재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하역은, 선내 램프 웨이를 이용하여도 좋고, 해치(6)를 통하여 크레인 등으로 출입시켜도 좋다.Upper dock 2 (top surface of pontoon hatch 4): Since the vehicle is relatively light weight, it is possible to load on the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 : 자동차
(4) 도 8의 화물 적재 예(4) Cargo Loading Example of FIG. 8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 : 컨테이너Lower Dock (1) and Upper Dock (2): Container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 : 자동차
상갑판(5)의 상면 : 컨테이너Upper surface of upper deck: container
해치 커버(7)의 상면 : 컨테이너Top of hatch cover 7: Container
그리고,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에는, 폰툰 해치(4)를 사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쌓아올려도 좋고, 폰툰 해치(4)를 사용하여,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을 나눠서 컨테이너를 쌓아넣어도 좋다.The
이상으로 화물의 혼합 탑재 예를 4가지 예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혼합 탑재 예가 가능하여, 다목적 화물선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것이다.Although four examples of mixed loading of cargoes have been described above, not only these but various mixed loading examples are possible, and the value of use as a multipurpose cargo ship is high.
제1 발명에 의하면, 제2 갑판의 좌우 양측부에 선창용 데크를 마련한 만큼, 해치의 개구 폭도 좁아지기 때문에, 하부 선창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폰툰 해치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선폭이 큰 대형선이더라도 폰툰 해치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창용 데크에는 중량물도 포함하여 이종의 화물을 실을 수가 있기 때문에, 혼합 탑재의 자유도가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s the decks for the docks ar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deck, the opening width of the hatch is also narrowed, so that the pontoon hatch attached to the opening of the lower dock can be miniaturized. The handling of pontoon hatches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ship deck can be loaded with different kinds of cargo including heavy materials, the degree of freedom of mixed loading is increased.
제2 발명에 의하면, 2층 건조물인 데크 선창에 이종의 화물을 나눠 실을 수가 있기 때문에, 혼합 탑재의 자유도가 높아진다.According to 2nd invention, since different kinds of cargo can be divided into the deck dock which is a two-layered building, the degree of freedom of mixing loading becomes high.
제3 발명에 의하면, 필라로 선창용 데크를 고정함으로써, 2층 건조물인 데크 선창의 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필라를 사용함으로써, 사이즈가 큰 웹 프레임을 없애고, 사이즈가 작은 필라만으로 선창용 데크를 고정한 것이기 때문에, 선창용 데크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여, 화물을 효율 좋게 실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the strength of the deck dock, which is a two-layered building, can be increased by fixing the deck for the dock with a pillar. Moreover, by using a pillar, since a web frame with a large size is eliminated and a deck for docks is fixed only by a pillar with a small size, the flat shape of a dock for deck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and cargo can be loaded efficiently.
제4 발명에 의하면, 가동(可動)식인 필라를 이동시킴으로써 화물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자동차의 주행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by moving the movable pillar, the loading operation of the cargo can be facilitated, and the vehicle can be smoothly driven.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123317 | 2004-04-19 | ||
JP2004123317A JP3914540B2 (en) | 2004-04-19 | 2004-04-19 | Cargo sh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5543A true KR20060045543A (en) | 2006-05-17 |
KR100664915B1 KR100664915B1 (en) | 2007-01-04 |
Family
ID=3492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87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4915B1 (en) | 2004-04-19 | 2005-04-07 | Cargo ship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1588936B8 (en) |
JP (1) | JP3914540B2 (en) |
KR (1) | KR100664915B1 (en) |
CN (1) | CN100493985C (en) |
AT (1) | ATE348750T1 (en) |
DE (1) | DE602004003795T2 (en) |
HK (1) | HK1083015A1 (en) |
PL (1) | PL1588936T3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862B1 (en) * | 2006-09-27 | 2008-06-03 |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 Cargo vessel |
CN112356990A (en) * | 2020-11-18 | 2021-02-12 |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 Anti-floating structure of rhombic liquid cargo tan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48834B2 (en) * | 2006-03-27 | 2013-02-20 | 株式会社大島造船所 | Open bulker cargo ship |
US8327785B2 (en) * | 2008-03-05 | 2012-12-11 | Nielsen Jens M | Ship |
CN102395507B (en) * | 2009-04-15 | 2014-04-16 | 日本邮船株式会社 | Ship |
JP5596084B2 (en) * | 2012-06-27 | 2014-09-2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Ship |
SE542010C2 (en) * | 2016-10-06 | 2020-02-11 | Bassoe Tech Ab | Ship |
CN113460226B (en) * | 2021-07-22 | 2022-11-08 |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 Ocean cargo ship |
CN113525597A (en) * | 2021-08-09 | 2021-10-22 | 绍兴市松陵造船有限责任公司 | Cargo ship cabin strengthening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23265A (en) * | 1957-01-28 | 1960-02-02 | Cantieri Riuniti Adriatico Sa | Cargo ship hold construction |
US3380422A (en) * | 1966-01-13 | 1968-04-30 | Us Lines Inc | Cargo vessel |
KR830001239A (en) * | 1979-09-10 | 1983-04-29 | 닥터 클라우스 제거, 하인즈-게르트 뮐러 | Method for preparing halogenated 1-azolyl-1-fluorophenoxy-butane derivatives |
JPS57130886A (en) * | 1981-02-05 | 1982-08-13 | Hitachi Zosen Corp | Container/car carrier ship |
US6105525A (en) * | 1995-10-04 | 2000-08-22 | Rapeli; Pekka | Unit cargo ship |
-
2004
- 2004-04-19 JP JP2004123317A patent/JP391454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6-24 CN CNB2004100694748A patent/CN10049398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7-02 PL PL04015592T patent/PL1588936T3/en unknown
- 2004-07-02 EP EP04015592A patent/EP1588936B8/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02 DE DE602004003795T patent/DE602004003795T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7-02 AT AT04015592T patent/ATE348750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4-07 KR KR1020050028787A patent/KR1006649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3-07 HK HK06102959.9A patent/HK1083015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4862B1 (en) * | 2006-09-27 | 2008-06-03 |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 Cargo vessel |
CN112356990A (en) * | 2020-11-18 | 2021-02-12 |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 Anti-floating structure of rhombic liquid cargo ta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914540B2 (en) | 2007-05-16 |
CN1689908A (en) | 2005-11-02 |
DE602004003795D1 (en) | 2007-02-01 |
JP2005306114A (en) | 2005-11-04 |
HK1083015A1 (en) | 2006-06-23 |
KR100664915B1 (en) | 2007-01-04 |
EP1588936B1 (en) | 2006-12-20 |
EP1588936B8 (en) | 2007-02-28 |
PL1588936T3 (en) | 2007-03-30 |
CN100493985C (en) | 2009-06-03 |
DE602004003795T2 (en) | 2007-04-05 |
ATE348750T1 (en) | 2007-01-15 |
EP1588936A1 (en) | 2005-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59962B1 (en) | A ship | |
KR102719526B1 (en)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 |
KR100664915B1 (en) | Cargo ship | |
JP3435433B2 (en) | Hold structure of multipurpose cargo ship | |
US3165211A (en) | Cargo ship design for quick loading and discharge | |
CN1170728C (en) | Method and construction of cargo rolls by ship; intermediate decks and construction of intermediate decks in cargo holds of ships | |
WO2013110822A1 (en) | A combined reefer and container ship | |
TWI874843B (en)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 |
KR102722766B1 (en)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 |
KR101642391B1 (en) | Ship which load cargo | |
WO2009109187A1 (en) | A ship | |
WO2008153413A1 (en) | Deck structural system for a multihull vessel | |
TW202340040A (en)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 |
Olsen et al. | The Development of Containerisation | |
CN117377613A (en) |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with 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and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 |
RU2297941C2 (en) | Multi-purpose dry cargo vessel for ice navigation | |
JP5671197B6 (en) | Cargo ship | |
JP5671197B2 (en) | Cargo ship | |
UA52874A (en) | Method of manufacture of repair-overloading complex (srpk-19)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0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