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99A -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방법 및 기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방법 및 기기 관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1999A KR20060041999A KR1020050012788A KR20050012788A KR20060041999A KR 20060041999 A KR20060041999 A KR 20060041999A KR 1020050012788 A KR1020050012788 A KR 1020050012788A KR 20050012788 A KR20050012788 A KR 20050012788A KR 20060041999 A KR20060041999 A KR 200600419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recording
- resource
- slave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 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6—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for domestic distribu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4—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모니터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모니터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모니터는, 가정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이들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이들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로 되고, 다른 기기는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로 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자원 정보 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정보 추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갱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진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삭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환 기록 매체 사용 조건 공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종 기기(從機器)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전송 재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 다른 종 기기로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종 기기의 예약 녹화 설정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 녹화를 하는 예약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의 연장 예약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가 녹화 불능으로 된 경우의 예비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흐름도,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가 녹화 불능으로 된 경우의 예비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흐름도,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콘텐츠를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로서 녹화하는 백업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9는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0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에 주 콘텐츠로부터 종 콘텐츠를 복원하는 콘텐츠 복원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종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경우에 주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는 콘텐츠 조작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 종 콘텐츠를 함께 이동시키는 콘텐츠 일체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3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 종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4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했을 때에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거부하는 콘텐츠 조작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용으로 송신되어 있는 재생 스트림을 다른 스트림보다 우선하여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6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BS 디지털 방송의 수신시의 인증 처리를 주 기기로 행한 후에 종 기기로 콘텐츠를 배신하는 주 기기 인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 설정을 기기 사이에서 공유하는 조작 설정 공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 장치 2 : 안테나
3, 5 :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 6, 8 : 모니터
7 :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 9 : 가정 네트워크
11 : 튜너 12 : 디코더
13 : 기록부 14 :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
15 :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 16 :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
17 : 메모리 카드 기록부 18 : 재생부
19 : 출력부 20 : 제어부
21 : 조작부 22 : 자원 정보 기록부
23 : 전원 전환부 24 : 전원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및 기기 관리 방법, 및 당해 기기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그램의 방송 채널 및 프로그램 시간(즉, 방송연월일, 방송개시 시간, 방송종료 시간) 등의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을 용이하게 실행하도록 구축된 프로그램 녹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155131호 공보에는, 가정 내의 프로그램 녹화 장치에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되는 서버가 프로그램 녹화 장치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이 아니라, 프로그램 시간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각 프로그램 녹화 장치의 예약 내용을 변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프로그램 녹화 장치가 한 가정 내에서도 복수대 사용되고 있고, 서버가 제어하는 프로그램 녹화 장치의 수가 방대해져, 그 모두를 제어하면 서버의 부하가 과대해지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 녹화 장치를 서버가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며, 가정 내의 복수의 프로그램 녹화 장치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다.
또한, 가정 내에는, 여러 가지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녹화 장치 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나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등의 다수의 기기가 존재한다. 그러나,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 예컨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기기 자원 정보,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 등은, 각 기기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기기를 집중하여 관리할 수 없고,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방법 및 기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기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복수의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主機器)이며, 다른 기기는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從機器)이며, 종 기기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주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주 기기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자신의 자원 정보 및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종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가 주 기기로 송신되고, 주 기기에 있어서, 송신된 자원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기기마다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가 집중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주 기기가 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은, 통신 장치(1), 안테나(2), 주 기기 또는 종 기기로 되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이들에 접속되는 모니터(4, 6, 8)를 구비하고,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적절히 「콘텐츠」라고 간략히 표현한다.
통신 장치(1),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는, 가정 네트워크(9)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통신 장치(1)는 네트워크(53)를 거쳐 정보 제공 서버(51)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정보 제공 서버(51)와 방송국(52)은 전용회선 또는 범용 네트워크 등을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가정 네트워크(9)로서, IEEE1394, Ethernet(등록상표), 홈버스 규격 HBS, ECHONET(Energy Conservationand Homecare Network) 규격 등에 적합한 유선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이 이용된다. 네트워크(53)로서, 예컨대, 인터넷, 공중 전화회선 등이 이용된다.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중 하나의 기기는, 이들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로 되고, 다른 기기는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로 된다. 또, 주 기기 및 종 기기로 되는 기기 및 그 수는 상기의 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거나, 4대 이상의 기기를 이용하는 등의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주 기기가 종 기기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주 기기는 종 기기로서도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2 이상의 기기가 있는 경우에, 어느 쪽의 기기가 주 기기로 될지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가장 고기능의 기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등의 여러 가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네트워크 어댑터(25)가 기기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정 네트워크(9)에 접속되는 다른 기기로부터 주 기기를 탐색하고,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탐색된 주 기기에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통신 장치(1)는 모뎀 등으로 구성되고, 네트워크(53)를 거쳐 정보 제공 서버(51)가 제공하는 프로그램마다 수신 채널, 프로그램 내용 및 프로그램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취득하여, 가정 네트워크(9)를 거쳐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로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송신한다. 안테나(2)는 방송국(52)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로 출력한다.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는 취득한 전자 프로그램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 의해 예약된 프로그램을 가환 기록 매체 또는 고정 기록 매체에 녹화한다. 모니터(4, 6, 8)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5)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도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는 튜너(11), 디코더(12), 기록부(13),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부(14),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메모리 카드 기록부(17), 재생부(18), 출력부(19), 제어부(20), 조작부(21), 자원 정보 기록부(22), 전원 전환부(23), 전원(24), 네트워크 어댑터(25) 및 인증부(26)를 구비한다.
튜너(11)는 안테나(2)에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2)가 수신한 방송전파로부터, 조작부(21)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코더(12)로 출력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적절히 「프로그램」으로 간략히 표현한다. 디코더(12)는, 디지털 TV 방송에 의한 프로그램을 수신한 경우에 이용되고, 압축 부호화된 형식으로 수신된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기록부(13) 및 출력부(19)로 출력한다. 출력부(19)는 프로그램을 모니터(4)로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인증부(26)는 콘텐츠의 시청 허가를 얻기 위한 콘텐츠 시청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예컨대, B-CAS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BS 디지털 TV 방송의 시청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디코더(12)는 압축 부호화된 형식으로 수신된 프로그램을 복호화하여 기록부(13) 및 출력부(19)로 출력한다.
통상, 가정 네트워크에는, 범용 Ethernet(등록상표) 등이 이용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화하여 제어 버스 CB 및 스트림 버스 SB의 두 가지 버스에 의해 가정 네트워크(9)가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가정 네트워크(9)를 구성하는 제어 버스 CB는 주 기기 및 종 기기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스트림 버스 SB는 주 기기 및 종 기기 사이에서 여러 가지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가정 네트워크(9)의 제어 버스 CB 및 스트림 버스 SB에 접속된 다.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제어부(20)와 제어 버스 CB를 거쳐 다른 기기의 제어부(20)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또한, 다른 기기로부터 스트림 버스 SB를 거쳐 송신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송신하며, 재생부(18)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스트림 버스 SB를 거쳐 다른 기기로 송신한다.
기록부(13)는,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부(14)를 거쳐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로 콘텐츠를 출력하고, 기록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로서는 DVD 드라이브가 이용되고,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로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이용되고,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로서는 메모리카드 리더/라이터가 이용된다. 또한, 기록용 가환 기록 매체로서, 예컨대, DVD-RAM, DVD-R, CD-RW, CD-R, PD(Phase change rewritable Disk), Blue-ray Disk(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광디스크, VHS 등의 비디오테이프 등이 이용되고, 고정 기록 매체로서는, 하드디스크 등이 이용되며, 메모리 카드로서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등이 이용된다. 또한, 재생용의 가환 기록 매체로서, 상기 광디스크에 덧붙여, 예컨대, DVD-ROM, CD-ROM 등이 이용된다. 또,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가 구비하는 기록부는 상기의 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부(13)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거쳐 통신 장치(1)에 의해 취득된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조작부(21)는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예컨대, 조작부(21)는 콘텐츠로서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설정하기 위한 예약 설정 정보를 접수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21)는, 네트워크 어댑터(25)가 주 기기로부터 예약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당해 예약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주 기기의 제어부(20)에 통지한다.
또한, 기록부(13)는 조작부(21)에 의해 접수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을 검출하여 제어부(20)에 통지한다. 또한, 기록부(13)는 녹화하는 프로그램의 광고(commercial)를 검출하고, 제어부(20)는 광고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의 기록 동작을 정지 또는 시작한다.
재생부(18)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를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부(14)를 거쳐 수신하여 출력부(19) 및 네트워크 어댑터(25)로 출력하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부(14)는, 기록부(13) 및 재생부(18)와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의 인터페이스를 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네트워크 어댑터(2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착탈 가능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장착함으로써 주 기기 및 종 기기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가져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25)는 통신 커넥터(31), 다중화부(32), 해독부(33) 및 암호부 (34)를 구비한다. 통신 커넥터(31)는, 제어 버스 CB 및 스트림 버스 SB에 접속되며, 제어 버스 CB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또한,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버스 CB로 출력한다. 또한, 통신 커넥터(31)는, 스트림 버스 SB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를 다중화부(32)로 출력하고, 또한, 다중화부(32)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스트림 버스 SB로 출력한다. 해독부(33)는 다중화부(32)로부터 출력되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기록부(13) 및 재생부(18)로 출력한다. 암호부(34)는 기록부(13) 및 재생부(18)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다중화부(32)로 출력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20)는 ROM(리드온리메모리) 및 RAM(랜덤액세스메모리)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고, ROM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자원 정보 기록부(22)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관리하고, 또한, 기록부(13), 기록 및 재생 인터페이스부(14), 재생부(18), 조작부(21) 및 전원 전환부(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원 전환부(23)는, 전원(24)의 상태를 전환하고, 기기가 통상 동작을 하기 위한 통상 전원 상태와, 통상 전원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슬립 상태(sleep state)로 전환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자원 정보 기록부(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원 정보 기록부(22)는 정보 관리부(41),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 및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 록부(44)를 구비한다. 정보 관리부(41)는, 제어부(20)의 요구에 따라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 및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로부터 자원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자원 정보를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 및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에 기록시킨다.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의 자원 정보를 기록한다.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가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에,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록한다.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가 종 기기로서 동작할 때에,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가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당해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조건 및 기록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가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에,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종 기기가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당해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기기의 자원 정보는, 각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 각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기기 자원 정보, 조작부(21)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조작 설정 정보,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에 장전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내의 고정 기록 매체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 내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 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조건 및 기록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사용 조건 정보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기 식별 정보로서는, 각 기기 고유의 식별 코드, 가정 네트워크(9) 상의 각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등이 해당하고, 기기 자원 정보로서는, 가환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기록 기능, 가환 기록 매체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기능, 고정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기록 기능, 고정 기록 매체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기능, 메모리 카드로의 콘텐츠 기록 기능,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기능, 예약 녹화 기능, 영상콘텐츠 표시 기능, 음성콘텐츠 출력 기능, 시청인증 기능 등의 각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코드나, 고정 기록 매체 및 가환 기록 매체의 빈 용량, 가환 기록 매체의 장전의 유무, 장전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장전 가환 기록 매체 정보 등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코드 등이 해당하며, 조작 설정 정보로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채널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 정보 등이 해당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는, 전자 프로그램 정보 등으로부터 얻어진 방송개시 시간 및 방송종료 시간, 프로그램 제목, 출연자의 성명 등의 프로그램 내용 정보,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관리 정보, 주 콘텐츠를 특정하고,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 콘텐츠 식별 정보, 종 콘텐츠를 특정하여, 실제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종 콘텐츠 식별 정보 등이 해당한다.
또한, 저작권 관리 정보로서는, 가환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의 이동 허가 회수, 이동 허가 기간 및 이동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제한 정보, 콘텐츠의 복제 허가 회수, 복제 허가 세대수, 복제 허가 기간 및 복제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제 제한 정보, 콘텐츠의 재생 허가 회수, 재생 허가 기간 및 재생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한 정보 등이 해당하고, 또한, 복제 제한 정보로서는, 콘텐츠의 복제를 인정하지 않는 카피 불가 정보,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제를 인정하는 카피프리 정보, 콘텐츠의 복제를 1세대만 허가하는 1세대 카피 허가 정보, 및 콘텐츠의 복제를 1회만 허가하는 1회 카피 허가 정보 등이 해당한다.
또한, 사용 조건 정보로서는, 광픽업의 레이저파워 최적화 학습, 기록 펄스 최적화 학습, 틸트 최적화 학습 등에 의해 얻어진 재생 조건 정보 및 기록 조건 정보 등이 해당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는 재생 인터페이스부(14a), 재생부(18), 출력부(19), 제어부(20a), 조작부(21), 자원 정보 기록부(22), 전원 전환부(23), 전원(24)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부(27)를 구비한다. 또, 도 5에서,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의 각 블록 중 도 2에 나타내는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3)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재생 인터페이스부(14a)는 재생부(18)와 가환 기록 매체 재생부(27)의 인터 페이스를 한다. 재생부(18)는, 가환 기록 매체 재생부(27)에 의해 재생된 콘텐츠를 재생 인터페이스부(14a)를 거쳐 수신하여 출력부(19) 및 네트워크 어댑터(25)로 출력하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부(27)로서는 DVD 플레이어가 이용되고, 재생용의 가환 기록 매체로서, DVD-ROM, CD-ROM 등이 이용된다.
출력부(19)는 재생부(18) 및 네트워크 어댑터(25)로부터 출력되는 콘텐츠를 모니터(8)로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제어부(20a)는 자원 정보 기록부(22)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관리하고, 또한, 재생 인터페이스부(14a), 재생부(18), 조작부(21) 및 전원 전환부(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가 주 기기, 종 기기,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 또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자원 정보 기록부(22)가 자원 기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네트워크 어댑터(25)가 통신 수단, 접속 수단, 또는 어댑터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제어부(20)가 관리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전원 전환부(23)가 전원 전환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조작부(21)가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 조작 수단, 삭제 접수 수단, 예약 접수 수단, 또는 녹화 불능 검출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가 콘텐츠 기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 및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가 콘텐츠 기록 장치, 제 1 및 제 2 콘텐츠 기록 장치, 또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기록부(13)가 생성 수단, 변경 검출 수단, 또는 광고 검출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및 메모리 카드 기록부(17)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메모리 카드 기록부(17) 및 가환 기록 매체 재생부(27)가 콘텐츠 재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암호부(34)가 암호화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해독부(33)가 복호화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며, 인증부(26)가 인증 수단의 일례에 상당하고, 디코더(12)가 디코딩 수단의 일례에 상당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기기 관리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정보 추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의 전원을 온하면, 단계 S11에 있어서, 전원 전환부(23)는 전원(24)을 통상 전원 상태로 전환하여, 종 기기가 기동한다.
다음에, 단계 S12에 있어서, 종 기기의 제어부(20)는,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로부터 종 기기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기기추가 요구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추가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기기 식별 정보가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6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자원 리스트 요구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3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자원 리스트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로부터 종 기기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 및 자원 정보를 판독하여 이들을 포함하는 자원 리스트를 작성한다. 다음에, 단계 S1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자원 리스트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자원 리스트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자원 리스트로부터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종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하여 자원 리스트를 갱신한다.
다음에, 단계 S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자원 리스트 갱신 완료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 단계 S16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자원 리스트 갱신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가정 네트워크(9)로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추가되고, 주 기기는 모든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단계 S11의 기동 처리 대신에,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조작하여 종 기기의 전원 상태를 통상 전원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제어부(20)가, 조작부(21)로부터 슬립 상태 전환 지시를 접수하고, 또는, 주 기기가 종 기기의 전원 상태를 통상 전원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제어부(20)가 네트워크 어댑터(25)를 거쳐 슬립 상태 전환 지시를 접수하고, 그 후, 종 기기의 단계 S12∼S15의 처리 및 주 기기의 단계 S1∼S6의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16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가 자원 리스트 갱신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며, 전원 전환부(23)가 전원(24)을 통상 전원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종 기기가 통상 전원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주 기기로 송신할 수 있어,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갱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31에 있어서,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의 제어부(20)는, 후술하는 콘텐츠의 기록, 이동, 복제 등의 처리에 의해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에 기억되어 있는 자원 정보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원 정보에 변경이 없는 경우 는 단계 S31을 반복하고, 자원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는 단계 S32로 처리를 이행한다.
자원 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 단계 S3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자원 리스트 갱신 요구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자원 리스트 갱신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자원 리스트 갱신 요구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해서 자원 리스트 요구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후, 종 기기의 단계 S33∼S36의 처리 및 주 기기의 단계 S23∼S25의 처리가, 도 6에 나타내는 종 기기의 단계 S13∼S16의 처리 및 주 기기의 단계 S4∼S6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종 기기로부터 자원 리스트 갱신 요구에 따라 주 기기에서의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갱신되고, 주 기기는 모두의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최신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진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41에 있어서,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로 기동 요구를 송신한다. 이 때,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전원(24)이 완 전한 오프 상태가 아니라,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기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2에 있어서, 종 기기의 제어부(20)는, 전원 전환부(23)를 이용하여 전원(24)을 통상 전원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단계 S53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기동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한편, 주 기기의 제어부(20)는, 단계 S41의 실행 후, 단계 S42에 있어서, 기동명령의 송신 후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는 단계 S44로 처리를 이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4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4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해서 종 기기로부터 기동완료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동완료를 수신한 경우는 단계 S46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기동완료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42를 반복한다.
한편,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부(20)는, 단계 S44에 있어서, 기동완료를 송신하지 않은 종 기기의 자원 리스트 즉 자원 정보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로부터 삭제하고, 또한, 단계 S45에 있어서, 기동완료를 송신하지 않은 종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 즉 콘텐츠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로부터 삭제한다.
그 후, 단계 S4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상기의 처리로부터 기동하고 있는 종 기기를 기억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종 기기가 기동 가능한 지 여부의 진단 처리가 실행되고, 주 기기는 현재 기동하고 있는 종 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자원 삭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조작하여 자원 정보의 삭제를 지시하면, 단계 S71에 있어서,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의 조작부(21)는 자원 삭제 지시를 접수하여 제어부(20)로 통지한다.
다음에, 단계 S7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6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6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를 송신한 종 기기의 자원 리스트 즉 자원 정보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로부터 삭제하고, 또한, 단계 S63에 있어서,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를 송신한 종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 즉 콘텐츠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로부터 삭제한다.
마찬가지로, 종 기기에서는 단계 S72의 처리 후에, 단계 S7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자신의 자원 리스트 즉 자원 정보를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로부터 삭제하고, 또한, 단계 S74에 있어서, 자신의 콘텐츠 리스트 즉 콘텐츠 식별 정보를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로부터 삭제한다.
다음에, 단계 S64에 있어서, 주 기기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자원 리스트 삭제 완료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75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자원 리스트 삭제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가정 네트워크(9)로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종 기기의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에 따라 종 기기 및 주 기기의 자원 정보가 삭제된다.
또, 종 기기의 고정 기록 매체 기록부(16) 등의 기록 영역이 가득찼을 때, 새로운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 시각이 오래된 콘텐츠 등부터 자동적으로 삭제하여 새로운 기록 영역을 확보하는 경우, 상기의 단계 S71 및 S72의 처리 대신에, 종 기기의 제어부(20)가,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기기의 자원 정보(삭제할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함)를 삭제하기 위한 자원 리스트 삭제 요구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주 기기로 송신하고, 그 후, 주 기기의 단계 S61∼S64의 처리 및 종 기기의 단계 S73∼S75의 처리를 실행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종 기기의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삭제되더라도, 모든 기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의 가환 기록 매체 사용 조건 공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에 가환 기록 매체를 장전하면, 단계 S91에 있어서, 재생부(18)는 가환 기록 매체를 재생하고 가환 기록 매체의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 에, 단계 S9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8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8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가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86으로 처리를 이행하며,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83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8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사용 조건 정보 요구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93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사용 조건 정보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9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에 장전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학습하도록 지시하며, 단계 S94에 있어서, 재생부(18)는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학습하여 취득하고,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9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 조건 정보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드라이브마다 학습값이 다른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드라이브의 학습값과 실행 드라이브의 학습값의 차 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녹재(錄再) 환경 정보, 가환 기록 매체마다의 재생의 용이함 및 기록의 용이함 등을 나타내는 컨디션 정보, 가환 기록 매체에 몇 번 덮어쓰기를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오버라이트(overwrite) 카운트값 등이 해당한다.
다음에, 단계 S8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8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사용 조건 정보를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에 기록한다.
한편, 단계 S95의 처리가 완료된 후, 단계 S97에 있어서, 종 기기의 기록부(13)는, 단계 S94에서 학습한 사용 조건을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소정의 콘텐츠를 녹화한다. 기록부(13)의 녹화가 종료한 후, 종 기기에 있어서 단계 S98 및 S99의 처리 및 주 기기에 있어서 단계 S87∼S89의 처리가 실행되지만, 이들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단계 S82에 있어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8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가환 기록 매체 정보 기록부(44)로부터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판독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96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사용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9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사용 조건을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소정의 콘텐츠를 녹화한다. 기록부(13)의 녹화가 종료한 후, 단계 S98에 있어서, 제어부 (20)는, 녹화한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함께 녹화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녹화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또, 본 예는, 녹화 동작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재생부(18) 등을 이용한 재생 동작도 마찬가지로 해서 행하여진다.
다음에, 단계 S87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식별 정보,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함께 녹화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8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추가한다.
다음에, 단계 S8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 추가 완료를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99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식별 정보 추가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종 기기의 취득한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에 대응된 콘텐츠 식별 정보가 주 기기에 있어서 집중적으로 관리되고, 또한, 이미 학습된 사용 조건이 주 기기에 있어서 관리되어 있는 경우는, 종 기기는 다시 학습하는 일 없이, 주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사용 조건을 이용할 수 있어,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여 재생하는 콘텐츠 전송 재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요구원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를 조작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요구하면, 단계 S101에 있어서, 요구원 종 기기의 조작부(21)는 콘텐츠 리스트 요구를 접수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 리스트 요구를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1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리스트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 요구에 따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판독하고, 콘텐츠 식별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요구원 종 기기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02에 있어서, 요구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리스트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0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를 재생부(18) 및 출력부(19)를 이용하여 모니터(6)에 표시시킨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이용하여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단계 S104에 있어서, 조작부(21)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어부(20)로 출력하여 콘텐츠가 선택된다.
다음에, 단계 S1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검색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또한, 당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종 기기 즉 요구목적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의 기기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콘텐츠의 재생을 요구하는 재생 요구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또, 상기의 단계 S103∼S106의 처리는 주 기기에 있어서 실행하더라도 좋고, 또한, 단계 S106에 있어서, 재생 요구를 요구원 종 기기로부터 요구목적지 종 기기로 직접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단계 S113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재생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 요구가 있었던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지 여부, 예컨대, 당해 콘텐츠의 재생 가능회수가 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재생 가능회수가 0인 경우, 제어부(20)는, 당해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삭제하고, 재생 가능회수가 1 이상인 경우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재생 요구를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 기기 즉 요구목적지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21에 있어서, 요구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재생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2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재생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재생 준비 완료를 요구원 종 기 기로 송신한다. 또,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은 요구원 종 기기에서 실행하고 있어도 좋다.
다음에, 단계 S107에 있어서, 요구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 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0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재생 지시를 요구목적지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23에 있어서, 요구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 지시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24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단계 S121에서 취득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를, 재생부(18)를 이용하여 재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재생 스트림을 요구원 종 기기로 전송한다.
다음에, 단계 S109에 있어서, 요구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부(18)로 출력하고, 재생부(18)는 출력부(19)를 이용하여 모니터(6)에 재생된 영상을 표시시킨다. 다음에, 단계 S110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콘텐츠를 1회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재생회수로서 1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1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회수(1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1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콘텐츠 재생 허가 회수로부터 1을 감산하여 콘텐츠 재생 허가 회수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여 하나의 종 기기로 재생해서 표시할 수 있어, 복수의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관리 정보도 주 기기가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복제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이동목적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를 조작하여 가환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의 이동을 요구하면, 이동목적지 종 기기 및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에 의해, 단계 S131 및 S141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81∼S86 및 S91∼S96의 사용 조건 취득 처리가 실행되고, 단계 S132 및 S142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단계 S101∼S103 및 S111∼S112의 콘텐츠 리스트 요구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단계 S133에 있어서, 이동목적지 종 기기의 조작부(21)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어부(20)로 출력하여 이동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가 선택된다.
다음에, 단계 S13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로부터 저작권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이동 가능 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동 가능한 경우, 단계 S135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콘텐츠 식별 정보로부터 검색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또한, 당해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종 기기 즉 이동원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의 기기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다음에, 단계 S13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콘텐츠의 이동을 요구하는 이동 요구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또, 상기의 단계 S133∼S136의 처리는 주 기기에서 실행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단계 S143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이동 요구를 기기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종 기기 즉 이동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51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5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이동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이동준비 완료를 이동목적지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37에 있어서, 이동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이동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3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이동 개시 지시를 이동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53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이동 개시 지시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54에 있어서, 제어 부(20)는, 단계 S151에서 취득한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를, 재생부(18)를 이용하여 재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재생 스트림을 이동목적지 종 기기로 전송한다.
다음에, 단계 S139에 있어서, 이동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 스트림을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다음에, 단계 S140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콘텐츠 이동 완료 통지를 이동원 종 기기로 송신하고, 또한, 콘텐츠를 1회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회수로서 1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55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이동 완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기록부(13)를 이용하여 전송한 콘텐츠를 소거한다. 또, 복제의 경우는, 이동원 종 기기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소거는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단계 S14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이동회수(1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4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콘텐츠 이동 허가 회수로부터 1을 감산하여 콘텐츠 이동 허가 회수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부터 콘텐츠를 전송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 기기가 저작권 관리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로부터 다른 종 기기로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복제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이동원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에 장전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의 콘텐츠의 이동목적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의 이동을 요구하면, 이동원 종 기기 및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에 의해, 단계 S161 및 S171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81∼S86 및 S91∼S96의 사용 조건 취득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단계 S162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조작부(21)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제어부(20)로 출력하여 이동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가 선택된다. 다음에, 단계 S16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로부터 저작권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동 가능한 경우, 단계 S16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자원 정보를 요구하는 기기 자원 요구를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72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7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기기 자원 요구에 따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자원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판독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이동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65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자원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66에 있어서, 수신한 기기 자원 정보로부터 콘텐츠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목적지 종 기기를 검색하여 당해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특정한다. 다음에, 단계 S16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콘텐츠의 이동을 요구하는 이동 요구를 이동목적지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81에 있어서, 이동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18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이동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이동준비 완료를 이동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68에 있어서, 이동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이동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6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단계 S162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부(18)를 이용하여 재생하고, 또한 기록부(13)를 이용하여 소거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재생 스트림을 이동목적지 종 기기로 전송한다.
다음에, 단계 S183에 있어서, 이동목적지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재생 스트림을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다음에, 단계 S18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콘텐츠를 1회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이동회수로서 1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17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이동회수(1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17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콘텐츠 이동 허가 회수로부터 1을 감산하여 콘텐츠 이동 허가 회수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인 하나의 종 기기의 가환 기록 매체로부터 다른 종 기기로 콘텐츠를 전송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 기기가 저작권 관리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종 기기의 예약 녹화 설정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 녹화를 하는 예약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설정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의 조작부(21)를 이용하여 예약 녹화의 설정을 하면, 단계 S191에 있어서, 설정 종 기기의 조작부(21)는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접수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단계 S19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약 녹화 설정 정보와 함께 예약 녹화를 요구하는 예약 녹화 요구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0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약 녹화 설정 정보와 함께 예약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단계 S202에 있어서, 예약 녹화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으로부터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용량을 산출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203에 있어서,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 예컨대, 고정 기록 매체의 빈 용량, 가환 기록 매체의 장전의 유무, 가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참조하여 산출한 데이터 용량을 녹화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고, 단계 S204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검색된 종 기기 즉 녹화 종 기기로 예약 녹화 요구를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11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약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녹화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예약 녹화 준비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05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약 녹화 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20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녹화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213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1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기초로 기록부(13)에 예약 설정을 하고, 그 후, 단계 S215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약 설정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예약 설정 완료를 주 기기 및 설정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07 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약 설정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또한, 단계 S193에 있어서, 설정 종 기기는 예약 설정 완료를 수신한다.
그 후, 예약된 프로그램의 개시 시간이 되면, 단계 S216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의 기록부(13)는, 예약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녹화를 하고, 필요에 따라 도 7에 나타내는 자원 갱신 처리가 실행되고(도시생략),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종 기기에서 설정된 예약 녹화 설정에 따라 다른 종 기기로 예약 녹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의 예약 녹화 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 다른 기기로 녹화를 하는 연장 예약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의 연장 예약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7에 있어서 예약 설정 완료를 수신한 후, 단계 S231에 있어서, 주 기기의 기록부(13)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해서 정보 제공 서버(51)로부터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을 검출하여 제어부(20)로 통지한다.
다음에, 단계 S23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의 화질(전송 레이트),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으로부터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을 기록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용량을 산출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233에 있어서, 산출한 데이터 용량을 녹화 가능한 기기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 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단계 S234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검색된 종 기기 즉 변경 후 종 기기로 연장 예약 녹화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 변경 후 종 기기로서는,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와 동등한 기기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또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당해 기기가 해당한다.
다음에, 단계 S221에 있어서, 변경 후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연장 예약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연장 예약 녹화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연장 예약 녹화 준비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35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연장 예약 녹화 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23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을 녹화하기 위한 연장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변경 후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223에 있어서, 변경 후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연장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2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연장 예약 녹화 설정 정보를 기초로 기록부(13)에 연장 예약 설정을 하고, 그 후, 단계 S225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연장 예약 설정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연장 예약 설정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37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연장 예약 설정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그 후, 예약된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의 개시 시간이 되면, 단계 S226에 있어서, 변경 후 종 기기의 기록부(13)는 연장 예약 녹화 설정 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의 녹화를 하고, 도 7에 나타내는 자원 갱신 처리가 실행되고(도시생략),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예약 녹화 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다른 종 기기에 의해 프로그램의 연장 부분을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리스트에 의해 통상의 예약 녹화된 프로그램과 연장 녹화된 프로그램을 하나의 콘텐츠로서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이 복수의 기기에 걸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의식하는 일 없이 시청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예약 녹화 처리가 행하여진 후에 녹화 종 기기가 녹화 불능으로 된 경우, 예컨대, 녹화 종 기기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조작 지시(당해 기기에만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생 지시) 등이 행하여진 경우에,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의 녹화를 다른 종 기기로 실행하는 예비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가 녹화 불능으로 된 경우의 예비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7에 있어서 주 기기가 예약 설정 완료를 수신한 후, 사용자가 조작부(21)를 이용하여 우선도가 높은 조작 지시를 한 경우, 단계 S261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의 조작부(21)는 녹화 불능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20)로 통지하고, 단계 S26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녹화 불능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또, 녹화 불능 통지는, 주 기기가 녹화 종 기기에 녹화 불능인지 여부를 조회하고, 이 경우에 녹화 종 기기로부터 송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단계 S25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불능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5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으로부터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기록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 용량을 산출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253에 있어서, 산출한 데이터 용량을 녹화 가능한 기기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단계 S254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비 녹화 요구를 검색된 종 기기 즉 예비 종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예비 종 기기로서는,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와 동등한 기기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또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당해 기기가 해당한다.
다음에, 단계 S241에 있어서, 예비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4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예비 녹화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예비 녹화 준비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55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준비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256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녹화하기 위한 예비 녹화 설정 정보를 예비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243에 있어서, 예비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4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예비 녹화 설정 정보를 기초로 기록부(13)에 예비 녹화 설정을 하고, 그 후, 단계 S245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비 녹화 설정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예비 녹화 설정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246에 있어서, 기록부(13)를 제어하여 예비 녹화를 하고, 예비 녹화 종료 후, 단계 S247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예비 녹화 종료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주 기기에서는, 단계 S257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설정 완료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5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녹화정지 가능 상태가 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녹화정지 가능통지를 녹화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63에 있어서,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정지 가능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264에 있어서, 기록부(13)를 제어하여 녹화를 종료시키고, 단계 S265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녹화 종료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도 17을 참조하여, 단계 S28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종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그 후, 단계 S282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종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 력한다.
그 후, 예비 종 기기 및 녹화 종 기기에 있어서 예비 종 기기의 예비 녹화내용 즉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녹화 종 기기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 단계 S28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녹화 종 기기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는 예비 녹화 이동 요구를 예비 종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271에 있어서, 예비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예비 녹화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272, S284, S291에 있어서, 도 12 등에 나타내는 콘텐츠 이동 처리가 행하여져,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이 예비 종 기기로부터 녹화 종 기기로 이동되어 프로그램이 하나로 합병된다. 이와 같이 하여, 녹화 종 기기가 녹화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다른 종 기기로 나머지 부분의 녹화를 할 수 있고, 또한, 나머지 부분을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프로그램을 하나의 기기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콘텐츠를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로서 녹화하는 백업 녹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의 조작부(21)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텐츠의 녹화 설정을 하면, 단계 S311에 있어서, 주 기기의 조작부(21)는 녹화 설정 정보를 접수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단계 S31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를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로서 녹화 가능한 기기 즉 주 콘텐츠를 녹화하는 주 녹화 종 기기 및 종 콘텐츠를 녹화하는 종 녹화 종 기기를 검색한다.
다음에, 단계 S31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를 제 1 기록 포맷, 예컨대, MPEG2로 녹화할 것을 요구하는 녹화 요구를 주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종 콘텐츠를 제 2 기록 포맷, 예컨대, MPEG4로 녹화할 것을 요구하는 녹화 요구를 종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7))로 각각 송신한다.
여기서, 주 녹화 종 기기에서는 단계 S301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0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녹화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녹화 준비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종 녹화 종 기기에서도, 단계 S321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3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녹화 준비가 완료된 후에,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당해 사실을 통지하는 녹화 준비 완료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31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준비완료를 각각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31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녹화 설정 정보를 주 녹화 종 기기 및 종 녹화 종 기기로 각각 송신한다.
이 때, 주 녹화 종 기기에서는 단계 S303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0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록부(13)를 제어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MPEG2로 기록시켜 주 콘텐츠를 녹화한다. 녹화가 종료한 후에, 단계 S3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가 가환 기록 매체에 MPEG2로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종 녹화 종 기기에서도, 단계 S323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는 녹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2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록부(13)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MPEG4로 기록시켜 종 콘텐츠를 녹화한다. 녹화가 종료한 후에, 단계 S32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가 메모리 카드에 MPEG4로 기록된 것을 나타내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316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각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제어부(20a)는 각 콘텐츠 식별 정보를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동일 내용의 콘텐츠를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로서 기록하고, 하나의 콘텐츠 식별 정보에 의해 관리를 한다. 본 구성에 의해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한쪽을 다른 쪽의 백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9는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에 MPEG2의 주 콘텐츠 및 MPEG4의 종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주 콘텐츠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통상의 파일로서 관리되고, 종 콘텐츠는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도록 은닉 파일 등으로서 관리된다.
이 때, MPEG4의 종 콘텐츠가 SD 카드에 이동된 경우, 주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에 있어서, MPEG4의 종 콘텐츠가 삭제되며, MPEG2의 콘텐츠가 종 콘텐츠로 변경되고, 또한 은닉 파일로서 콘텐츠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고,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다. 또한, MPEG2의 주 콘텐츠가 DVD에 이동된 경우, 주 기기의 콘텐츠 리스트에 있어서, MPEG2의 주 콘텐츠가 삭제되고, 나머지 MPEG4의 종 콘텐츠가 은닉 파일로서 콘텐츠 리스트에 의해 관리되며,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다. 또, 종 콘텐츠의 수는 상기의 예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주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종 콘텐츠를 작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20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에 주 콘텐츠로부터 종 콘텐츠를 복원하는 콘텐츠 복원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종 콘텐츠로부터 주 콘텐츠를 복원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351에 있어서,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 종 녹화 종 기기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것을 통지하는 종 콘텐츠 재생 불능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34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재생 불능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단계 S34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참 조하여, 종 콘텐츠의 주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기기 즉 주 녹화 종 기기를 검색한다. 다음에, 단계 S34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를 종 콘텐츠로 변환해서 종 녹화 종 기기로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종 콘텐츠 송신 요구를 주 녹화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331에 있어서, 주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송신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3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제어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해서 주 콘텐츠를 재생하고, 또한 종 콘텐츠로 변환한다. 다음에, 단계 S33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를 종 녹화 종 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S352에 있어서, 종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에 종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주 콘텐츠로부터 종 콘텐츠를 작성하여 복원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종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경우에 주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는 콘텐츠 조작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주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경우에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 하고 있는 경우, 단계 S381에 있어서, 종 녹화 종 기기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것을 통지하는 종 콘텐츠 조작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이 때, 단계 S37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조작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단계 S37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종 콘텐츠의 주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기기 즉 주 녹화 종 기기를 검색한다. 다음에, 단계 S37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할 것을 요구하는 주 콘텐츠 조작 불가 요구를 주 녹화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361에 있어서, 주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주 콘텐츠 조작 불가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6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주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도록 조작부(21) 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어 있을 때에 주 콘텐츠는 조작불능으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도 22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고, 또한 종 콘텐츠를 함께 이동시키는 콘텐츠 일체 이동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종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에 주 콘텐츠를 함께 이동시키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의 조작부(21)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의 이동을 지시한 경우, 단계 S401에 있어서, 주 기기의 조작부(21)는 주 콘텐츠 이동지령을 접수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하고,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를 장전시킨 종 기기 즉 가환 종 기기로 주 콘텐츠를 이동할 것을 요구하는 주 콘텐츠 이동 요구를 주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여기서, 가환 종 기기로서는,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와 동등한 기기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또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당해 기기가 해당한다.
다음에, 단계 S391에 있어서, 주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주 콘텐츠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39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제어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해서 주 콘텐츠를 재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를 가환 종 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S411에서, 가환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주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주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주 콘텐츠의 전송이 종료한 후, 단계 S39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주 콘텐츠의 전송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 주 콘텐츠 전송 종료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02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주 콘텐츠 전송 종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40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가환 종 기기로 종 콘텐츠를 이동할 것을 요구하는 종 콘텐츠 이동 요구를 종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21에 있어서, 종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이동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4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를 재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를 가환 종 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S412에서, 가환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종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종 콘텐츠의 전송이 종료한 후, 단계 S42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의 전송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 종 콘텐츠 전송 종료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0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전송 종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405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가 가환 종 기기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된 것을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하여 콘텐츠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도 23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 종 콘텐츠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종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 주 콘텐츠를 삭제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단계 S431∼S433, S441∼S442, S451의 처리는, 도 22에 나타내는 단계 S391∼S393, S401∼S402, S41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실행되고, 이들 처리 후에, 단계 S44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를 삭제할 것을 요구하는 종 콘텐츠 삭제 요구를 종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61에 있어서, 종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삭제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46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록부(13)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 기록부(17)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를 삭제한다. 종 콘텐츠의 삭제가 종료한 후, 단계 S46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의 삭제가 종료한 것을 통지하는 종 콘텐츠 삭제 종료 통지를 주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444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삭제 종료 통지를 수신하여 제어부(20a)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445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갱신하여, 종 콘텐츠의 삭제 처리의 결과를 반영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종 콘텐츠가 삭제되기 때문에, 주 콘텐츠와 종 콘텐츠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4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했을 때에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거부하는 콘텐츠 조작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종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했을 때에 주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거부하는 경우도 이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단계 S471∼S473, S481∼S482, S491의 처리는, 도 22에 나타내는 단계 S391∼S393, S401∼S402, S41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실행되고, 이것들의 처리 후에, 단계 S48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도록 콘텐츠 리스트를 갱신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할 것을 요구하는 종 콘텐츠 조작 불가 요구를 종 녹화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로 송신한다. 이 때, 종 콘텐츠를 은닉 파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명시하는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종 콘텐츠를 보이지 않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단계 S501에 있어서, 종 녹화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종 콘텐츠 조작 불가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0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거부하도록 조작부(21) 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 콘텐츠를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대응하는 종 콘텐츠를 조작불가로 하도록 콘텐츠 리스트를 주 기기에 있어서 갱신하여 종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접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도 25는,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용으로 송신되어 있는 재생 스트림을 다른 스트림보다 우선하여 송신하는 콘텐츠 송신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재생이란 화상 데이터의 표시 또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 등이 해당하고, 사용자로의 콘텐츠 제시를 위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가 전송원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의 조작부(21)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면, 단계 S511에 있어서, 전송원 종 기기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록, 재생, 복제 등의 전송 목적과 함께 콘텐츠의 전송 허가를 요구하는 전송 허가 요구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재생 장치(7) 및 모니터(8))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52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전송 목적과 함께 전송 허가 요구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2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전송 목적이 기록 또는 재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록 또는 재생의 경우는 단계 S523으로 처리를 이행하고, 그 밖의 경우는 단계 S524로 처리를 이행한다.
전송 목적이 기록 또는 재생인 경우, 단계 S523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전송 허가를 전송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512에 있어서, 전송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전송 허가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1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제어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하고,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통상 전송 속도로 전송원 종 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S531에 있어서, 전송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확실히 기록시킨다.
한편, 전송 목적이 기록 및 재생이 아닌 경우, 예컨대, 복제의 경우, 제어부(20a)는, 단계 S524에 있어서, 다른 종 기기가 기록 또는 재생에 가정 네트워크(9)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전송 목적이 기록 및 재생이 아닌 전송의 우선도를 낮추기 때문에, 가정 네트워크(9)의 현재의 트래픽량으로부터 통상 전송 속도보다 낮은 전송 속도를 산출하고, 단계 S525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전송 속도를 전송원 종 기기로 송신한다. 또, 다른 종 기기가 기록 또는 재생에 가정 네트워크(9)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전송 대역이 비어 있는 경우는, 복제 동작을 빠른 시기에 완료시키도록 사용 가능한 전송 속도를 통지한다.
다음에, 단계 S514에 있어서, 전송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전송 속도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515에 있어서, 콘텐츠의 전송 속도를 수신한 전송 속도에 설정하고, 재생부(18)를 제어하여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며, 단계 S516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설정된 전송 속도로 전송원 종 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단계 S532에 있어서, 전송원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하고, 기록부(13)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부(15)를 이용하여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복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용으로 송신되어 있는 재생 스트림을 다른 스트림보다 우선하여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 네트워크(9)의 트래픽을 유효히 활용하여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26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BS 디지털 방송의 수신시의 인증 처리를 주 기기로 행한 후에 종 기기로 콘텐츠를 배신하는 주 기기 인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의 인증부(26)에 B-CAS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단계 S541에 있어서, 주 기기의 인증부(26)는 콘텐츠의 시청 허가를 얻기 위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542에 있어서, 디코더(12)는 튜너(11)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기록부(13)로 출력한다. 다음에, 단계 S54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기록부(13)에 복호된 프로그램을 암호부(34)로 출력시켜, 암호부(34)에 프로그램을 암호화시킨다. 다음에, 단계 S544에 있어서, 주 기기의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551에 있어서,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단계 S55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해독부(33)에 암호화된 프 로그램을 복호화시켜, 재생부(18)로 출력시킨다. 다음에, 단계 S55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재생부(18)를 제어하여 프로그램을 재생시키고, 출력부(19)는 모니터(6)에 프로그램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주 기기의 인증 처리에 의해 종 기기로 콘텐츠를 배신할 수 있어, 가정 내에서 복수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증 처리를 간편화할 수 있다.
도 27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 설정을 기기 사이에서 공유하는 조작 설정 공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종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5) 및 모니터(6))의 조작 설정, 예컨대, 수신 채널의 설정을 조작부(21)를 이용하여 실행하면, 단계 S571에 있어서, 조작부(21)는 사용자의 조작 설정을 취득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단계 S572에 있어서, 취득한 조작 설정을 조작 설정 정보로서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에 기록하고, 단계 S573에 있어서, 조작 설정 정보를 조작부(21) 등에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 S57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댑터(25)를 이용하여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조작 설정 정보를 주 기기(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로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561에 있어서, 주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단계 S562에 있어서, 제어부(20a)는 수신한 조작 설정 정보를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 및 종 기기 자원 정보 기록부(43)에 기록하며, 단계 S563에 있어서, 조작 설정 정보를 자신의 조작부(21) 등에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 S56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 어 댑터(25)를 이용하여 조작 설정 정보를 다른 종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다른 종 기기로서는, 예컨대,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3) 및 모니터(4)와 동등한 기기가 도 1에 나타내는 기기 관리 시스템에 또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당해 기기가 해당한다.
다음에, 단계 S581에 있어서, 다른 종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25)는 조작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하고, 제어부(20)는, 단계 S582에 있어서, 취득한 조작 설정을 조작 설정 정보로서 자기 자원 정보 기록부(42)에 기록하며, 단계 S583에 있어서, 조작 설정 정보를 예컨대 조작부(21)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종 기기에 있어서 설정된 조작 설정을 다른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이며, 다른 기기는 상기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이며, 상기 종 기기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 기기는,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자신의 자원 정보 및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는 자 원 기록 수단과,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시스템에서는, 종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가 주 기기로 송신되고, 주 기기에 있어서, 송신된 자원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기기마다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가 집중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주 기기가 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종 기기로 되는 다른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종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자신의 자원 정보 및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고, 상기 종 기기는,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당해 주 기기가 종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주 기기로 되는 다른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상기 종 기기 중의 하나의 기기로 송신한 후에 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하며, 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 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한 후에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기기 및 종 기기가 공통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주 기기를 종 기기로서 사용하거나, 종 기기를 주 기기로서 이용할 수 있고, 기기를 증설함으로써 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기기 관리 시스템을 가정 내에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은, 제 1 전원 상태와, 상기 제 1 전원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종 기기 중 사용하는 종 기기의 전원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1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기기에 의해 종 기기의 전원 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종 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제 2 전원 상태에 있는 종 기기에 대하여 기동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기동 확인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기동 확인 통지를 수신하여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기동 가능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기동 가능 통지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동 가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당해 종 기기가 기동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1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기기에 의해 종 기기의 전원 상태를 확실히 제어할 수 있어, 종 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동 확인 통지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기동 가능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기동 가능 통지를 송신하지 않은 종 기기가 기동불능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관리 수단이 기동불능이라고 판단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동불능인 종 기기에 대한 불필요한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종 기기 중 사용하지 않은 종 기기의 전원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2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기기에 의해 사용하지 않은 종 기기의 전원 상태를 소비 전력이 낮은 상태로 설정할 수 있어, 종 기기의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기기 자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자원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기기 자원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추가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새롭게 기기가 추가된 경우에도, 모든 기기의 기기 자원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종 기기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기 자원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기기 자원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기기 자원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기기의 지시에 따라 불필요한 기기 자원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 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더 기록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도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도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도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기 자원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기기 자원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모든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기기의 지시에 따라 삭제된 기기 자원 정보에 부수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도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에 관한 접속 상태를 단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절단되기 전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주 기기로 송신할 수 있어,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는, 제 1 전원 상태와, 상기 제 1 전원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의해 제 1 전원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기기가 통상 전원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주 기기로 송신할 수 있어,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확실히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2대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당해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조건 및 기록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 조건 정보를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나의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학습한 가환 기록 매체 의 사용 조건을 다른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 조건의 학습 시간 등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2대의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지령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 중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조작 수단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조작 설정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조작 설정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종 기기의 조작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의 조작 수단의 조작 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하나의 기기에 있어서 설정된 조작 설정을,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다른 기기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일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신 채널의 설정을 접수하고, 상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 중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조작 설정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채널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 정보 를 기록하고,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채널 설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채널 설정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며,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종 기기의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종 기기의 조작 수단의 채널 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하나의 기기에 있어서 설정된 채널 설정을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다른 기기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채널 조작을 통일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 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새롭게 기기가 추가된 경우에도, 모든 기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는, 프로그램마다 수신 채널, 프로그램 내용 및 프로그램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 프로그램 정보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종 기기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 및 삭제해야 할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삭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삭제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삭제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콘텐츠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참조하고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 중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콘텐츠 식별 정보가 삭제된 경우에도, 모든 기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콘텐츠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 중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 기기의 콘텐츠가 자동적으로 삭제되더라도, 모든 기기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은,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하고, 또한, 당해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도 기록하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기기마다 정리하여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관리 정보를 더 기록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관리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 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가환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의 이동 허가 회수, 이동 허가 기간 및 이동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이동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환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의 이동 허가 회수, 이동 허가 기간 및 이동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제한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콘텐츠의 복제 허가 회수, 복제 허가 세대수, 복제 허가 기간 및 복제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제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복제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콘텐츠의 복제 허가 회수, 복제 허가 세대수, 복제 허가 기간 및 복제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제 제한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복제 제한 정보는, 콘텐츠의 복제를 인정하지 않는 카피 불가 정보,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제를 인정하는 카피프리 정보, 콘텐츠의 복제를 1세대만 허가하는 1세대 카피 허가 정보, 및 콘텐츠의 복제를 1회만 허가하는 1회 카피 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제 제한 정보를 상세히 분류하여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콘텐츠의 재생 허가 회수, 재생 허가 기간 및 재생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콘텐츠의 재생 허가 회수, 재생 허가 기간 및 재생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한 정보를 집중적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로서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설정하기 위한 예약 설정 정보를 접수하는 예약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예약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예약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예약 설정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예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설정 정보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예약된 프로그램을 녹화 가능한 종 기기를 검색하며,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종 기기로 예약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기기 중에서 예약된 프로그램을 녹화 가능한 기기를 검색하여 예약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기기 중에서 예약 녹화에 적합한 기기에 예약 설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는, 상기 예약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을 검출하는 변경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변경 전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기록 가능한 다른 종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변경 전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기록하기 위한 변경 후 예약 설정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다른 종 기기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도,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다른 기기에 자동적으로 녹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전체를 확실히 녹화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종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예약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당해 예약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녹화 불능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녹화 불능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녹화 불능 검출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이 검출된 경우, 프로그램을 녹화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한 녹화 불능 통지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녹화 불능 통지를 수신하며,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녹화 불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기록 가능한 다른 종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기록하기 위한 녹화 설정 정보를 상기 다른 종 기기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약 설정을 접수한 기기가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경우에도,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다른 기기에 자동적으로 녹화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전체를 확실히 녹화할 수 있다.
상기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 및 상기 다른 종 기기는, 녹화하는 프로그램의 광고를 검출하는 광고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는 상기 광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고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의 기록 동작을 정지하며, 상기 다른 종 기기는 상기 광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고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의 기록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록된 프로그램의 연결이 광고 기간 동안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매끄럽게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기록시키고 또한 다른 기기에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기록시킨 경우, 상기 하나의 기기 및 상기 다른 기기 중 한쪽에 다른 쪽이 기록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로그램이 분할하여 기록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하나로 정리하 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콘텐츠를 기록시킬 때에, 상기 제 1 콘텐츠 기록 장치에 당해 콘텐츠를 주 콘텐츠로서 기록시키고, 상기 제 2 콘텐츠 기록 장치에 당해 콘텐츠를 종 콘텐츠로서 기록시키며,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주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주 콘텐츠 식별 정보와, 종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종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종 콘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또는 종 콘텐츠인지를 식별 가능한 상태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일 내용의 콘텐츠를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로서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한쪽을 다른 쪽의 백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를 제 1 기록 포맷으로 기록시키고, 또한, 상기 종 콘텐츠를 상기 제 1 기록 포맷과 다른 제 2 기록 포맷으로 기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일 내용의 콘텐츠가 서로 다른 기록 포맷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각 기록 포맷에 적합한 여러 가지의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종 콘텐츠로부터 작성한 주 콘텐츠를 다시 기록시키고, 상기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주 콘텐츠로부터 작성한 종 콘텐츠를 다시 기록시키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 중 한쪽이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작성하여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경우, 다른 쪽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 중 한쪽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은 조작 불능으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 가능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를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한쪽을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 가능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 다른 쪽을 삭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한쪽을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다른 쪽이 삭제되기 때문에, 주 콘텐츠와 종 콘텐츠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 가능한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한 경우, 다른 쪽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콘텐츠 및 종 콘텐츠의 한쪽을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다른 쪽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접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의 콘텐츠만이 기록되어 있는 것 같이 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재생 스트림을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기가 재생 스트림을 이용한 콘텐츠의 기록 또는 제시를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스트림의 송신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콘텐츠의 기록 또는 제시용으로 송신되어 있 는 재생 스트림을 다른 스트림보다 우선하여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유효히 활용하여 콘텐츠의 기록 또는 제시를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은, 기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어댑터 수단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기 본체에 대한 어댑터 수단의 장착에 의해 상기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스탠드얼론(stand alone)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어댑터 수단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기기 본체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은, 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에 당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기간의 콘텐츠 통신을 암호화하여 실행할 수 있어, 콘텐츠의 비닉성(秘匿性)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주 기기는, 콘텐츠의 시청 허가를 얻기 위한 콘텐츠 시청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인증 수단과, 상기 인증 수단에 의한 콘텐츠 시청 인증이 완료된 후,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주 기기의 암호화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종 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종 기기의 복호화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 기기의 인증 처리에 의해 종 기기로 콘텐츠를 배신할 수 있어, 가정 내에서 복수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증 처리를 간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방법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하나의 주 기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 기기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종 기기가 자신의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 기기가 상기 종 기기로부터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 기기가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자원 기록 수단에 수신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주 기기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방법에서는, 종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가 주 기기로 송신되고, 주 기기에 있어서, 송신된 자원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기기마다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가 집중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주 기기가 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복수의 기기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 또는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로서 동작하는 기기 관리 장치로서, 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 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며, 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관리 장치는, 종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가 주 기기로 송신되고, 주 기기에 있어서, 송신된 자원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기기마다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가 집중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주 기기가 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 기기 또는 종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를 증설함으로써 기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기기 관리 시스템을 가정 내에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가 주 기기로 송신되고, 주 기기에 있어서, 송신된 자원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가 기기마다 기록되고,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가 집중적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주 기기가 종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복수의 기기를 협조적 또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4)
-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으로서,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기기를 구비하고,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상기 복수의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主機器)이며, 다른 기기는 상기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從機器)이며,상기 종 기기는,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주 기기는,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자신의 자원 정보 및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종 기기로 되는 다른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종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자신의 자원 정보 및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며,상기 종 기기는, 당해 종 기기가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당해 주 기기가 종 기기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주 기기로 되는 다른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상기 종 기기 중의 하나의 기기로 송신한 후에 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하고,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 단으로부터 송신된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한 후에 주 기기로서 동작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은, 제 1 전원 상태와, 상기 제 1 전원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종 기기 중 사용하는 종 기기의 전원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1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제 2 전원 상태에 있는 종 기기에 대하여 기동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기동 확인 통지를 송신하고,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기동 확인 통지를 수신하여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기동 가능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기동 가능 통지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동 가능 통지를 수신 한 경우에 당해 종 기기가 기동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1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동 확인 통지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 기동 가능 통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기동 가능 통지를 송신하지 않은 종 기기가 기동불능이라고 판단하고,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관리 수단이 기동불능이라고 판단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종 기기 중 사용하지 않은 종 기기의 전원 전환 수단을 제어하여 당해 종 기기를 상기 제 2 전원 상태로 설정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각각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기 위한 기기 자원 정보를 기록하고,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자원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기기 자원 정보를 추가하여 기록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종 기기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자원 삭제 지시를 수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기 자원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기기 자원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기기 자원 정보를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기기 자원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더 기 록하며,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도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도 수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도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며,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기기 자원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기기 자원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모든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상태를 단속시키는 접속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접속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절단되기 전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송신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는, 제 1 전원 상태와, 상기 제 1 전원 상태보다 소비 전력이 낮은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전원 전환 수단에 의해 제 1 전원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전원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2대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및 기록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사용한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와 당해 가환 기록 매체의 재생 조건 및 기록 조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구동 장치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 및 사용 조건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사용 조건 정보를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가환 기록 매체의 사용 조건 정보를 관리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2대의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지령을 접수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 중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조작 수단에 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조작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조작 설정 정보를 기록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조작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조작 설정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종 기기의 조작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의 조작 수단의 조작 설정을 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신 채널의 설정을 접수하고,상기 조작 수단을 구비하는 기기 중 하나의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조작 설정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채널의 설정을 특정하기 위한 채널 설정 정보를 기록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채널 설정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채널 설정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채널 설정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종 기기의 채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종 기기의 조작 수단의 채널 설정을 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는, 프로그램마다 수신 채널, 프로그램 내용 및 프로그램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자원 정보로서, 자신을 식별하기 위한 기기 식별 정보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종 기기는,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 및 삭제해야 할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삭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삭제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삭제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삭제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수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콘텐츠 삭제 지시가 접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 중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삭제되는 경우, 삭제되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자신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삭제 지시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삭제 지시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콘텐츠 삭제 지시가 접 수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콘텐츠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콘텐츠 식별 정보 중 콘텐츠 삭제 지시에 포함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콘텐츠 기록 수단은,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하고, 또한, 당해 가환 기록 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도 기록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기기 식별 정보 및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가환 기록 매체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 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로서,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관리 정보를 더 기록하고,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며,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관리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가환 기록 매체에 대한 콘텐츠의 이동 허가 회수, 이동 허가 기간 및 이동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이동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콘텐츠의 복제 허가 회수, 복제 허가 세대수, 복제 허가 기간 및 복제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제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복제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복제 제한 정보는, 콘텐츠의 복제를 인정하지 않는 카피(copy) 불가 정보, 콘텐츠의 자유로운 복제를 인정하는 카피프리(copy-free) 정보, 콘텐츠의 복제를 1세대만 허가하는 1세대 카피 허가 정보, 및 콘텐츠의 복제를 1회만 허가하는 1회 카피 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2 항에 있어서,상기 저작권 관리 정보는 콘텐츠의 재생 허가 회수, 재생 허가 기간 및 재생 허가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제한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제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종 기기 중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로서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설정하기 위한 예약 설정 정보를 접수하는 예약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예약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예약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예약 설정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예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예약 설정 정보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예약된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종 기기를 검색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종 기기로 예약 설정 정보를 송신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는, 상기 예약 접수 수단에 의해 접수된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을 검출하는 변경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변경 전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기록할 수 있는 다른 종 기기를 검색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변경 전의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기록하기 위한 변경 후 예약 설정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다른 종 기기로 송신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에 의해 검색된 종 기기는,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으로부터의 예약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당해 예약 설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녹화 불능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녹화 불능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녹화 불 능 검출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것이 검출된 경우, 프로그램을 녹화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기 위한 녹화 불능 통지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녹화 불능 통지를 수신하며,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녹화 불능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참조하여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기록할 수 있는 다른 종 기기를 검색하고,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가 기록할 수 없는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부분을 기록하기 위한 녹화 설정 정보를 상기 다른 종 기기로 송신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9 항에 있어서,상기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 및 상기 다른 종 기기는, 녹화할 프로그램의 광고(commercial)를 검출하는 광고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녹화 불능 통지를 송신한 종 기기는 상기 광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고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의 기록 동작을 정지하며,상기 다른 종 기기는, 상기 광고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광고 기간 동안에 프로그램의 기록 동작을 개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의 기기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기록시키고 또한 다른 기기에 프로그램의 나머지 부분을 기록시킨 경우, 상기 하나의 기기 및 상기 다른 기기 중 한쪽에 다른 쪽이 기록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부분을 이동시키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콘텐츠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콘텐츠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콘텐츠를 기록시킬 때에, 상기 제 1 콘텐츠 기록 장치에 당해 콘텐츠를 주 콘텐츠로서 기록시키고, 상기 제 2 콘텐츠 기록 장치에 당해 콘텐츠를 종 콘텐츠로서 기록시키며,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는, 주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주 콘텐츠 식별 정보와, 종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종 콘텐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식별 정보 및 종 콘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가 주 콘텐츠인지 또는 종 콘텐츠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콘텐츠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를 제 1 기록 포맷으로 기록시키고, 또한, 상기 종 콘텐츠를 상기 제 1 기록 포맷과 다른 제 2 기록 포맷으로 기록시키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종 콘텐츠로부터 작성한 주 콘텐츠를 다시 기록시키고, 상기 종 콘텐츠가 재생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주 콘텐츠로부터 작성한 종 콘텐츠를 다시 기록시키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고 있는 경우, 다른 쪽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를 함께 이동시키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할 때, 다른 쪽을 삭제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가환 기록 매체에 콘텐츠를 기록할 수 있는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주 콘텐츠 및 상기 종 콘텐츠의 한쪽을 상기 가환 기록 매체 기록 장치의 가환 기록 매체로 이동한 경우, 다른 쪽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지시를 접수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콘텐츠를 재생하여 재생 스트림을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을 구비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주 기기의 관리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스트림을 수신하는 기기가 재생 스트림을 이용한 콘텐츠의 기록 또는 제시를 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스트림의 송신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수단은, 기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어댑터 수단에 내장되는 기기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통신 수단은,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에 당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수단과,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단을 더 포함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제 41 항에 있어서,상기 주 기기는,콘텐츠의 시청 허가를 얻기 위한 콘텐츠 시청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인증 수단과,상기 인증 수단에 의한 콘텐츠 시청 인증이 완료된 후,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주 기기의 암호화 수단은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콘텐츠를 암호화하며,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은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종 기기로 송신하고,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은 상기 주 기기의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고,상기 종 기기의 복호화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화하는기기 관리 시스템.
-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하나의 주 기기 및 적어도 1 이상의 종 기기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방법으로서,상기 종 기기가 자신의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와,상기 주 기기가 상기 종 기기로부터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상기 주 기기가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자원 기록 수단에 수신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는 단계와,상기 주 기기가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기 관리 방법.
- 소정의 네트워크를 거쳐 복수의 기기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재생 및 기록 중 적어도 한쪽에 관련되는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주 기기 또는 주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종 기기로서 동작하는 기기 관리 장치로서,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기록하는 자원 기록 수단과,상기 종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자신의 자원 정보를 상기 주 기기로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종 기기의 통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며,상기 자원 기록 수단은, 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종 기기의 자원 정보를 기기마다 기록하고,상기 주 기기로서 동작할 때는 상기 자원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기기의 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는기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038118 | 2004-02-16 | ||
JPJP-P-2004-00038118 | 2004-02-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1999A true KR20060041999A (ko) | 2006-05-12 |
Family
ID=3469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2788A Withdrawn KR20060041999A (ko) | 2004-02-16 | 2005-02-16 |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방법 및 기기 관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98185A1 (ko) |
EP (1) | EP1564990A3 (ko) |
KR (1) | KR20060041999A (ko) |
CN (1) | CN165831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1325A (ja) * | 2002-06-12 | 2004-01-22 | Toshiba Corp |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
WO2006035777A1 (ja) * | 2004-09-29 | 2006-04-06 | Sharp Kabushiki Kaisha | 記録装置及び方法 |
JP2007180957A (ja) * | 2005-12-28 | 2007-07-12 | Toshiba Corp |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
JP2008015954A (ja) * | 2006-07-10 | 2008-01-24 | Hitachi Ltd |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システム |
DE102006042432A1 (de) * | 2006-09-09 | 2008-03-27 | Rheinmetall Defence Electronics Gmbh | Kommunikationsverfahren zwischen Komponenten eines drahtlosen Kurzstreckennetzwerkes und Netzwerkkomponente |
JP4993703B2 (ja) * | 2007-03-14 | 2012-08-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録画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JP5012111B2 (ja) * | 2007-03-15 | 2012-08-29 | 富士通株式会社 | 電子機器、不正アクセス防止方法、不正アクセス防止プログラム |
JP4670968B2 (ja) * | 2009-01-22 | 2011-04-13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
US20140358686A1 (en) * | 2013-05-31 | 2014-12-04 | Google Inc. | Selecting a display of an advertisement based on availa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82205B1 (en) * | 1997-09-02 | 2001-08-28 | Simon Lu | Digital audio-video network system |
US6052750A (en) * | 1998-01-06 | 2000-04-18 | Sony Corporation Of Japan | Home audio/video network for generating default control parameters for devices coupled to the network, and replacing updated control parameters therewith |
JP3501645B2 (ja) * | 1998-02-13 | 2004-03-02 | 富士通株式会社 | 放送映像録画装置 |
US6233611B1 (en) * | 1998-05-08 | 2001-05-15 | Sony Corporation |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
US6260124B1 (en) * | 1998-08-13 | 2001-07-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synchronizing backup data |
US6463307B1 (en) * | 1998-08-14 | 2002-10-08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terminal with established connections |
WO2001008366A1 (en) * | 1999-07-23 | 2001-02-01 | Centillium Communica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
WO2001043438A1 (en) * | 1999-12-10 | 2001-06-14 | Diva System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content within a video on demand environment |
JP2001186450A (ja) * | 1999-12-24 | 2001-07-06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
JP2001318881A (ja) * | 2000-05-11 | 2001-11-16 | Sony Corp | ネットワーク上の情報伝送方法および電子情報機器 |
JP2002094543A (ja) * | 2000-09-18 | 2002-03-29 | Sony Corp |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アクセス装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
JP2002152642A (ja) * | 2000-11-13 | 2002-05-24 | Sharp Corp | 映像記録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US20020071663A1 (en) * | 2000-12-07 | 2002-06-13 | O'donnel John Setel |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having multi-pass video processing |
KR100433516B1 (ko) * | 2000-12-08 | 2004-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트랜스코딩 방법 |
KR100434270B1 (ko) * | 2001-05-30 | 2004-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
US6948089B2 (en) * | 2002-01-10 | 2005-09-20 | Hitachi,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generation remote backup and fast restore |
JP3766056B2 (ja) * | 2002-09-30 | 2006-04-12 | 株式会社東芝 | 主通信装置、従属通信装置、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
US8588291B2 (en) * | 2003-09-22 | 2013-11-19 | Broadcom Corporation | Multiple decode user interface |
-
2005
- 2005-02-15 EP EP05003187A patent/EP1564990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2-16 US US11/058,617 patent/US200501981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2-16 KR KR1020050012788A patent/KR20060041999A/ko not_active Withdrawn
- 2005-02-16 CN CN2005100079940A patent/CN1658311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198185A1 (en) | 2005-09-08 |
EP1564990A2 (en) | 2005-08-17 |
EP1564990A3 (en) | 2008-04-16 |
CN1658311A (zh) | 2005-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938091B1 (en) |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 |
CN101911690B (zh) | 内容再现装置、控制方法和网络系统 | |
CN100359583C (zh) | 记录和再现设备 | |
JP3537684B2 (ja) | 記録再生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KR20060051212A (ko) | 이동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이동 방법 | |
JPWO2005013612A1 (ja) | 番組予約記録装置、情報提供サーバ、番組予約情報管理サーバ、番組受信装置及び番組予約記録システム | |
KR20060041999A (ko) | 기기 관리 시스템, 기기 관리 방법 및 기기 관리 장치 | |
JP4288450B2 (ja) |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管理装置 | |
RU2524861C2 (ru) |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 |
JP4647329B2 (ja) | 機器管理装置 | |
KR20060051285A (ko) | 복제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및 그 복제 방법 | |
CN100377580C (zh) | 广播接收装置和流输出装置 | |
JPH11219320A (ja) | 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 | |
JP4716068B2 (ja) |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機器 | |
JP2001160262A (ja) | 情報記録読取方法ならびに装置 | |
KR20060043370A (ko) |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 |
JP2009239354A (ja) |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 | |
JP4525361B2 (ja) | 個人用コンテンツの配信装置 | |
JP5398991B2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CN100440179C (zh) | 信息处理装置和方法 | |
JP5277486B2 (ja) |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再生方法 | |
EP1309192A2 (en) | Playback control apparatus | |
JP4107353B2 (ja) |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JP2002304822A (ja) | 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管理方法および情報記録管理装置 | |
JP2002359794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と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