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38679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679A
KR20060038679A KR1020040087796A KR20040087796A KR20060038679A KR 20060038679 A KR20060038679 A KR 20060038679A KR 1020040087796 A KR1020040087796 A KR 1020040087796A KR 20040087796 A KR20040087796 A KR 20040087796A KR 20060038679 A KR20060038679 A KR 2006003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internet
wlan
voice call
function
c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087B1 (ko
Inventor
정창기
박전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087B1/ko
Priority to US11/258,038 priority patent/US8139561B2/en
Priority to CN2005101168778A priority patent/CN1770717B/zh
Publication of KR2006003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8Local are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W-LAN)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개시 동작의 수행시, CDMA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지 않을 경우, 무선 인터넷 기능을 데이터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호 발신 및 수신 동작시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에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며, 또한 데이터호 발신 동작시에,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가 아니면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랜, CDMA, 데이터호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METHOD FOR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W-LAN) 기능 수행 중 음성호 기능 수행을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중 CDMA 모뎀 및 W-LAN 모듈의 기능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기능 수행 중 무선랜 기능 수행을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중 CDMA 모뎀 및 W-LAN 모듈의 기능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 개시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호 발신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호 수신 동작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호 발신 동작 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랜 종료 동작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호 종료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W-LAN: Wireless - Local Area Network)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사업자에게 할당되어진 특정 무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화망(PSTN)과 연계된 기지국과 교신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고유의 기능 외에, 최근들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이나, 위성방송 또는 지상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그 사용범위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인터넷 서비스는 통상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지국과 연계된 인터넷에 접속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CDMA 방식으로 기지국을 거쳐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통화를 할 때와 동일한, 즉 고가의 서비스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노트북과 같은 정보 단말기들은 상호간의 정보 공유를 위해 무선랜에 의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상용화되어 있다. 무선랜은 백화점, 사무실, 학교 등과 같은 한정된 공간상에서 사용되며, 정보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AP(Access Point)를 두고, AP와 유선/무선으로 연결되는 라우터(router)를 통하여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랜은 제한된 공간에서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결과적으로 라우터에 의해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구성을 가져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최근 이러한 무선랜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무선랜에 무선으로 접속하며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주파수 대역(셀룰라 CDMA의 경우에는 800MHz 대역)을 사용하는 CDMA 시스템과 무선랜 주파수 대역(IEEE 801.11b의 경우 2.4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한 단말기내에 구현한다. 이하 이러한 무선랜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DBDM(Dual-Band Dual-Mode) 단말기로 칭한다. 현재 많은 사업자들은 DBDM 단말기의 구현시에 기존의 설 계 및 설치 부품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추가 구성만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CDMA 모뎀 칩(MSM: Mobile Station Modem)을 사용하여 CDMA 서비스 및 무선랜 서비스를 개발 중에 있다. 이때 무선랜 모듈은 CDMA 모뎀 칩 외부에 구비되며, CDMA 모뎀 칩에 CDMA 및 무선랜 소프트웨어가 마련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CDMA 모뎀 칩(MSM)을 사용하여 CDMA 서비스 및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현재 CDMA 음성호/데이터 호와 무선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 즉, CDMA 서비스를 받고 있는 중에는 무선랜 서비스를 받기 못하거나 그 반대로 무선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중에는 CDMA 서비스를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 서비스와 무선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개시 동작의 수행시,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지 않을 경우, 무선 인터넷 기능을 데이터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성호 발신 및 수신 동작시에,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에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또한 데이터호 발신 동작시에,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가 아니면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단말기는 CDMA 무선 통신을 위한 CDMA RF부(10)와, CDMA 송수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CDMA 모뎀(12), 무선랜 통신을 위한 W-LAN RF부(16), 무선랜 데이터 처리를 위한 W-LAN 모듈(14), LCD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18) 및 메모리, 키패드 등과 같은 주변 소자(19)로 크게 구성된다.
CDMA RF부(10)는 CDMA 모뎀(12)의 출력 데이터를 기지국(미도시)으로 무선 전송하기 위해 이를 상승 변환 및 증폭 처리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하강 변환 및 증폭하여 CDMA 모듈(12)로 제공한다. 마찬가 지로 W-LAN RF부(16)는 무선랜 모듈(14)의 출력 데이터를 AP로 무선 전송하기 위해 무선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랜의 AP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W-LAN 모듈(14)로 제공한다. W-LAN 모듈(14)은 CDMA 모뎀(12)의 제어하에 무선랜과 연계되어 인터넷 데이터를 처리한다.
CDMA 모뎀(12)은 DBDM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통상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변/복조기 코덱을 내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 즉 음성신호를 PCM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이를 복조하는 기능 외에, 표시부(18) 및 주변 소자(19)를 제어한다. 특히 CDMA 모뎀(12)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W-LAN 모듈(14)과 연계하여 CDMA 서비스와 무선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무선랜 기능 설정 또는 무선랜 서비스 연결을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처리하여 CDMA 음성호와 무선랜을 동시에 서비스하도록 한다. 즉, 무선랜 서비스 연결이 아니라 무선랜 기능 설정부터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처리하여 무선랜 기능 설정 중에 사용될 수 있는 있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등과 같은 무선랜 데이터 프로토콜과 음성호의 동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예로서 설명할 것이나, 무선랜 서비스 연결부터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처리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설정 시점의 차이외에 상기 무선랜 기능 설정부터 CDMA 데이터 호처럼 처리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CDMA 서비스와 무선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W-LAN) 기능이 먼저 설정되어 수 행되는 중에 음성 통화 기능 수행을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중 CDMA 모뎀(12) 및 W-LAN 모듈(14)의 기능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토콜 구성을 살펴보면, 최상위 계층에는 CDMA 응용 프로그램(CDMA Application) 및 무선랜 응용 프로그램(W-LAN Application)이 위치한다. 그 하부에 위치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여러 함수의 집합으로써 응용 프로그램과 하부 계층 프로그램사이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API의 하부에는 각각 CDMA 프로토콜 스택(22)과 무선랜 프로토콜 스택(24)이 위치한다. 또한 무선랜 응용 프로그램의 하부에는 무선랜 관리 프로그램(W-LAN Management)이 별도로 위치한다.
CDMA 프로토콜 스택(22)에는 일측에 계층 L3, L2의 CDMA 프로토콜이 위치하며 타측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al)/UDP(User Datagram Protocol)과, 그 하부에 IP(Internet Protocol), PPP(Point-to-Point Protocol), RLP(Radio Link Protocol)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최하부에는 PHY(PHYsical) 계층 프로토콜이 위치한다. 무선랜 프로토콜 스택(24)에는 CDMA 프로토콜 스택(22)과 공용인 TCP/UDP와, 그 하부에 IP가 위치하며, 하부에는 LLC(Logical Link Control) 프로토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 및 PHY 계층 프로토콜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랜 기능을 설정하면 먼저 211단계에서 무선랜 응용 프로그램은 API(예를 들어 CM: Call Manager)에 무선랜을 획득하고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무선랜 기능을 설정하도록 알린다. 이에 따라 API는 212단계에서 무선랜 기능 설정에 대한 처리를 행한 후에 무선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무선랜 관리 프로그램에 알리어 무선랜 관리 프로그램에서 하위 LLC(Logic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랜 AP와의 접속 동작이 이루어지도로 한다. 성공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져서 무선랜 기능 설정이 완료되면 213단계에서 API 및 무선랜 응용 프로그램에 이를 알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214단계에서와 같이 CDMA 응용 프로그램에서 음성호 착발신 기능을 수행하면 이를 API에 알리여 CDMA 프로토콜이 동작되도록 하여 음성호 착발신 기능 설정을 수행하며, 음성호가 성공적으로 설정되면 215단계에서와 같이 이를 API 및 CDMA 응용 프로그램에 알리어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e) 기능이 동작된다.
이와 같이, 음성호와 무선랜 동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기능이 종료되면 나머지 한 기능은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무선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는 도 2의 231단계에서와 같이 CDMA 응용 프로그램은 SVD 동작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무선랜 기능을 종료하게 되면, 232단계에서 이를 CDMA 데이터 호 종료하는 것처럼 무선랜 기능을 종료하도록 API에 알리게 되며, 이후 음성호 기능만 수행된다. 한편, 음성호를 종료하면 233단계에서와 같이, 무선랜 기능만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기능이 먼저 설정되어 수행 중 무선랜 기능 수행을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 중 CDMA 모뎀 및 W- LAN 모듈의 기능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음성호 착발신 기능을 설정하면 먼저 321단계에서 CDMA 응용 프로그램은 API에 이를 알려 CDMA 프로토콜이 동작되도록 한다. 이후 322단계에서와 같이, 음성호가 성공적으로 설정되면 API 및 CDMA 응용 프로그램에 알리어 음성호 설정동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323단계에서와 같이 무선랜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API에 무선랜을 획득하고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무선랜 기능을 설정하도록 알린다. 이에 따라 API는 324단계에서 무선랜 기능 설정에 대한 처리를 행한 후에 무선랜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해 무선랜 관리 프로그램(W-LAN Management)에 알리어 무선랜 AP와의 접속 동작이 이루어지도로 한다. 성공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져서 무선랜 기능 설정이 완료되면 325단계에서 API 및 무선랜 응용 프로그램에 이를 알리며, SVD 기능이 동작된다.
이와 같이, 음성호와 무선랜 동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기능이 종료되면 나머지 한 기능은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무선랜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이는 도 3의 331단계에서와 같이 CDMA 응용 프로그램은 SVD 동작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무선랜 기능을 종료하게 되면, 332단계에서 이를 CDMA 데이터 호 종료하는 것처럼 무선랜 기능을 종료하도록 API에 알리게 되며, 이후 음성호 기능만 수행된다. 한편, 음성호를 종료하면 333단계에서와 같이, 무선랜 기능만 수행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음성호 및 무선랜 기능 동시 수행을 위한 각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도면에서는 다수의 변수들이 개시되는 데, 각 변수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 NumOf_call_id :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
. Voice_Call_Connected : 음성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
. Data_Call_Connected : 데이터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
. Wlan_Enable : W-LAN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 개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랜 개시 동작의 수행시, 먼저 402, 404, 406단계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확인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CDMA 음성호와 CDMA 데이터호를 동시에 수행하는 SVD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랜 설정을 마치 CDMA 데이터호처럼 처리하므로, 먼저 CDMA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먼저 확인하여 무선랜 설정을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02단계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Numof_call_id)가 0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0일 경우에 408단계로 진행하여 무선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확인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0이 아닐 경우에는 404단계로 진행한다. 404단계에서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2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2일 경우에는 무선랜 개시 동작을 중단하며, 확인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2가 아닐 경우에는 406단계로 진행한다. 406단계에서는 현재 서비 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1인지를 확인해서 1일 경우에 412단계로 진행한다.
412단계에서는 데이터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Data_Call_Connected)가 '참'인지, 즉 현재 데이터 호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데이터 호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무선랜 개시 동작을 중단하며, 데이터 호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414단계로 진행한다. 414단계에서는 음성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Voice_Call_Connected)가 '참(1)'인지, 즉 현재 음성 호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음성호 연결이 되어 있을 경우에 이후 416단계로 진행한다. 416단계에서는 무선랜 기능을 CDMA 데이터 호 설정처럼 설정하여 무선랜과 음성호 서비스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며, 이후 408단계로 진행한다. 408단계에서는 무선랜 개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Wlan_Enable)와, 데이터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참'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증가 시킨다.
이후 410단계에서는 무선랜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후 무선랜 기능을 수행하며, 무선랜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않을 경우에는 420단계로 진행한다. 420단계에서는 무선랜 개시 동작을 에러 처리한다. 이때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감소시키며,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 및 데이터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거짓(0)'으로 설정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개시 동작의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도 4에서 406단계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1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이전 402, 404단계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0이나 2가 아니므로, 406단계에서 판단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1인 것으로 판단됨이 당연하나, 판단 결과 1이 아닐 경우에는 동작 자체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별도의 에러 처리 동작이나 또는 402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14단계에서 현재 음성호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이전 단계들을 통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1이며(406단계), 또한 데이터 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412단계), 414단계서 판단 경로가 현재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로 판단됨이 당연하나, 판단 결과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동작 자체에 어떠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별도의 에러 처리 동작이나 또는 상기 402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호 발신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성호 발신 동작시에는 먼저 502단계에서 현재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임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이후 504단계로 진행하며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인 상태이면 이후 510단계로 진행한다. 510단계에서는 현재 음성호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음성호가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음성호 발신 동작을 중단하며, 음성호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후 512단계로 진행한다. 512단계에서는 무선랜과 음성호 서비스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며, 이후 504단계로 진행한다. 504단계에서는 음성호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참'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증가 시킨다.
이후 506단계에서는 음성호 발신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후 음성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호 발신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514단계로 진행한다. 514단계에서는 음성호 발신 동작을 에러 처리한다. 이때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감소시키며, 음성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거짓(0)'으로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호 수신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성호 수신 동작시에는 먼저 602단계에서 현재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임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이후 604단계로 진행하며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인 상태이면 이후 608단계로 진행한다. 608단계에서는 무선랜과 음성호 서비스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며, 이후 604단계로 진행한다. 604단계에서는 음성호 수신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참'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증가 시킨다.
이후 606단계에서는 음성호 수신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이후 음성호 수신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호 수신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않을 경우에는 610단계로 진행한다. 610단계에서는 음성호 수신 동작을 에러 처리한다. 이때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감소시키며, 음성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거짓(0)'으로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CDMA 데이터 호 발신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DMA 데이터호 발신 동작시에는 먼저 702단계에서 현재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임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이면, CDMA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중단하며, 무선랜 서비스가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이후 704단계로 진행하여 CDMA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참'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증가 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랜 종료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랜 기능 종료 동작시에는 802단계에서 무선랜 기능을 종료하는데, 이때 무선랜 서비스 가능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 및 데이터 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거짓'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감소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호 종료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음성호 종료 동작시에는 902단계에서 음성호를 종료하는데, 이때 음성호 연결 여부를 알리는 플래그를 '거짓'으로 설정하며, 또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1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CDMA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이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등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무선랜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휴대인터넷 등과 같은 다른 무선 접속 기술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Ad-Hoc 망으로도 연결 가능하며 이러한 Ad-Hoc 망으로 연결 중에서 CDMA 음성호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식은 SVD 방식을 변형하여, 무선랜 기능 설정을 CDMA 데이터호 설정처럼 처리하여 무선랜 기능 설정 중 사용될 수 있는 DHCP 등과 같은 무선랜 데이터 프로토콜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때 데이터 병행성(concurrency)을 지원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무선랜 동작 중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CDMA 데이터호의 발신을 미리 막을 수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개시 동작의 수행시,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데이터호가 현재 서비스되고 있지 않을 경우, 무선 인터넷 기능을 데이터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음성호 발신 및 수신 동작시에,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에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호 발신 동작시에,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일 경우가 아니면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개시 동작의 수행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0인 경우에, 무선 인터넷 기능을 데이터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호의 수가 1인 경우에, 데이터호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데이터호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무선 인터넷 기능을 데이터호로 설정하여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음성호 발신 동작시에,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상태이면,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현재 음 성호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현재 음성호가 연결되어진 상태가 아니면, 음성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음성호 수신 동작시에,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상태이면, 무선 인터넷과 음성호 동시 서비스 동작을 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음성호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데이터호 발신 동작시에,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현재 무선 인터넷 기능이 수행중인 상태가 아니면, 데이터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KR1020040087796A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KR10067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796A KR100678087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US11/258,038 US8139561B2 (en) 2004-11-01 2005-10-26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5101168778A CN1770717B (zh) 2004-11-01 2005-10-27 移动通信终端中的无线互联网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796A KR100678087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679A true KR20060038679A (ko) 2006-05-04
KR100678087B1 KR100678087B1 (ko) 2007-02-02

Family

ID=3626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796A KR100678087B1 (ko) 2004-11-01 2004-11-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39561B2 (ko)
KR (1) KR100678087B1 (ko)
CN (1) CN17707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470A3 (ko) * 2008-10-22 2010-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652B1 (ko) * 2007-12-28 2010-06-07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과 디지털 방송의 동시 서비스를 지원하는usb방식의 무선 모뎀 장치
EP2356877A1 (en) * 2008-09-29 2011-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issioning incoming packet switched connections
US20120329440A1 (en) * 2010-02-09 2012-1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RFSP Selective Camping
WO2011100252A1 (en) 2010-02-09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Rfsp selective camping
JP6012160B2 (ja) 2011-11-10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802B1 (en) * 1998-05-15 2003-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simultaneous audio and data communication over a wireless link
TW511365B (en) * 2001-05-15 2002-11-21 Corbett Wall Method allowing individual user to record song and forward to others for listening by connecting to a service provider with telecommunication device signal
MXPA04006068A (es) 2001-12-19 2004-09-27 Thomson Licensing Sa Metodo y aparato para el traspaso de un terminal movil entre una red movil y una lan inalambrica.
US6694134B1 (en) * 2002-03-18 2004-02-17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Terminal device emulator
KR100462822B1 (ko) * 2002-03-21 2004-12-20 플렉스트로닉스 세일즈 앤드 마케팅 (에이-피) 리미티드 데이타 통신과 음성통화가 동시 가능한 고속 무선데이타통신 카드장치
JP2003319062A (ja) * 2002-04-23 2003-11-07 Nec Corp ハンズフリー携帯電話機およびハンズフリー切替プログラム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CN1479494A (zh) * 2002-08-31 2004-03-03 深圳市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上海第二 一种cdma系统与无线局域网结合的系统
AU2003287973A1 (en) * 2002-11-08 2004-06-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N1505434A (zh) * 2002-11-28 2004-06-16 �ʼҷ����ֵ��ӹɷ����޹�˾ 一种寻址及定位无线局域网通讯结点的移动终端及其方法
US20040176128A1 (en) * 2003-01-30 2004-09-09 3Com Corpor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s unit, and softswitch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link
US6965776B2 (en) * 2003-11-21 2005-11-15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network and methods therefore
US20060073841A1 (en) * 2004-10-01 2006-04-06 Murali Narasimha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conn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7470A3 (ko) * 2008-10-22 2010-07-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US8331853B2 (en) 2008-10-22 2012-12-11 Sk Planet Co., Ltd.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CPNS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0717A (zh) 2006-05-10
CN1770717B (zh) 2011-12-14
US8139561B2 (en) 2012-03-20
US20060092924A1 (en) 2006-05-04
KR100678087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5212B2 (en) Automatic network and device configuration for handheld devices based on bluetooth device proximity
US8364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hannel during an active s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966667A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4406265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間の位置特定サービスによって支援される移行
EP2047701B1 (en) Location update operations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US63516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EP36379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func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09716A1 (e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0601350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LAN
EP20334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ellular communications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TWI441530B (zh) 執行由無線寬頻(全球互通微波存取)服務至無線區域網路服務交遞之方法及使用其之終端裝置
KR19980086819A (ko) 멀티모드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138534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betwe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CN101491012A (zh) 用于为具有多个无线通信设备的平台提供空闲模式操作的方法和装置
US20090061858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Communication Handoff
KR20090013942A (ko) 휴대단말의 리비전 레벨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780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123266A1 (en) Method for signalling and time reduction during connection release
TW582158B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KR101246586B1 (ko)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인터넷에접속하는 방법
CN103249170A (zh) 用于支持umts和gsm并发业务的方法和系统
JP2024505786A (ja) 構成リセット方法及びその装置、端末機器
KR20070111849A (ko) 패킷 데이터 호 연결상태에 상관없이 멀티미디어 패킷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