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895A -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5895A KR20060035895A KR1020040084274A KR20040084274A KR20060035895A KR 20060035895 A KR20060035895 A KR 20060035895A KR 1020040084274 A KR1020040084274 A KR 1020040084274A KR 20040084274 A KR20040084274 A KR 20040084274A KR 20060035895 A KR20060035895 A KR 200600358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target
- vehicle
- evaporator
- calcul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not only a temperature but also a humidity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which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차량의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이 감지되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실내온도와,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에 의해 벤트(Vent)의 목표 토출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증발기 유입공기에 따른 제1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따른 제2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실내습도에 따른 제3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내지 제3증발기 온도중 최소값을 목표 증발기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와;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증발기 온도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실제 증발기 온도에 의해, 작동부 출력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연산된 작동부 출력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control method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a target indoor temperature and a target indoor humidity of a vehicle by a user; Detecting and inputting a vehicle indoor temperature, a vehicle outdoor temperature, and an amount of insolation from a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vent based on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the vehicl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insolation; Calculating a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vaporator inlet air; Calculating a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Calculating a thir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indoor humidity; Setting a minimum value of the first to third evaporator temperatures as a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Calculating an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Controlling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by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Calculating an operating unit output value based on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and the actual evaporator temperature;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operation unit output value.
공조, 공기조화, 공조제어, 압축기, 가변용량형, 온도, 습도제어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Control, Compressor, Variable Capacity Type, Temperature, Humidity Control
Description
도 1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perform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에 따른 목표 증발기 온도의 선정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5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도 6은, 목표 토출온도에 따른 목표 증발기 온도의 선정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도 7은, 혼합공기 설정온도에 따른 온도조절도어의 개도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ning degree control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according to the mixed air set temperat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160 : 압력조절밸브, 100: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160: pressure control valve,
200 : 증발기, 230 : 히터코어(Heater Core), 200: evaporator, 230: heater core (Heater Core),
240 : 온도조절도어, 300 : 제어유니트.
240: temperature control door, 300: control unit.
320 : 차내온도센서, 322 : 차외온도센서, 320: In-vehicle temperature sensor, 322: In-vehicle temperature sensor,
324 : 일사량센서, 332 : 온도조절스위치, 324: solar radiation sensor, 332: temperature control switch,
334 : 습도조절스위치.
334: humidity control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which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is applied, which can control not only a temperature but also a humidit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ill be.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부하에 따라 압력조절밸브에 의하여 냉매의 압력이 변동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 사판의 경사각 조절에 의하여 피스톤의 행정거리가 변화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밸브는 내부제어식의 것과 외부제어식의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조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1-107854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In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by the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load. The stroke distance of the piston is chang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so that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can be divided into an internal control type and an external control type. The structure of such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is wel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07854.
상기한 바와 같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가진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설정된 목표 증발기 온도에 따라 연산된 필요 토출열량(온도),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송풍공기 온도) 및 포깅(Fogging) 방지성을 고려하여, 가변용량형 사 판식 압축기 및 기타 공조장치 구성요소가 가동되어야 한다. In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s described above, the required discharge heat (temperatur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blowing air temperature) and fogging prevention propertie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t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this,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s and other air conditioning components must be operated.
일본 공개특허 제2003-200730호에는, 증발기 온도가 설정온도(예컨대 12℃) 이하인 경우 온도조절도어를 폐쇄하고, 증발기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온도조절도어를 개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3-237339호에서는 외기온도에 따라 설정 증발기 온도를 변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200730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is closed when the evaporator temperatur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12 ° C.),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is opened when the evaporat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In addi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237339 discloses a technique for changing the set evaporator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outside air temperature.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온도만을 목표로 하여 공조장치가 제어되고, 실내습도 등의 조건을 공조장치 제어에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내습도에 따른 쾌적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기호에 따른 습도조절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since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only for temperature, and conditions such as indoor humidity are not considered in the air conditioner control, it is not only possible to secure comfort according to the indoor humidit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 humidit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적용된 자동차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not only temperature but also humidity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which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is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차량의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이 감지되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실내온도와,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에 의해 벤트(Vent)의 목표 토출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증발기 유입공기에 따른 제1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토출온도에 따른 제2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실내습도에 따른 제3증발기 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내지 제3증발기 온도중 최소값을 목표 증발기 온도로 설정하는 단계와;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증발기 온도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와 실제 증발기 온도에 의해, 작동부 출력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연산된 작동부 출력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he user setting the target room temperature and the target room humidity of the vehicle; Detecting and inputting a vehicle indoor temperature, a vehicle outdoor temperature, and an amount of insolation from a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Calculating a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of the vent based on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the vehicl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insolation; Calculating a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vaporator inlet air; Calculating a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Calculating a thir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indoor humidity; Setting a minimum value of the first to third evaporator temperatures as a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Calculating an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Controlling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by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Calculating an operating unit output value based on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and the actual evaporator temperature; And outputting the calculated operation unit output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표 토출온도를 연산하는 단계이후, 내외기모드를 판단하여, 내기모드인 경우,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를 차량 실내온도로 선정하고, 외기모드인 경우,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를 차량 실외온도로 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mode is determined, in the case of the bet mode,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is selected as the vehicle room temperature, and in the case of the outdoor mode,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is the vehicle The step of sel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목표 증발기 온도와 실제 증발기 온도를 비교하여, 그 온도차이가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온도조절도어의 개도를 보정연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comparing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and the actual evaporator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outside the allowable value, the step of correc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차량의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를 설정하고, 차량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을 감지하며, 상기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에 의해 목표 증발기 온도를 연산하고, 상기 목표 증발기 온도에 의해 압축기의 토출용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ts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and the target indoor humidity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vehicle indoor temperature, the vehicl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solar radiation amount from a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the target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is calculated by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target indoor humidity, and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compressor is controlled by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상기 목표 증발기 온도는, 증발기 유입온도에 따른 제1증발기 온도, 상기 목 표 실내온도에 따른 제2증발기 온도 및 상기 목표 실내습도에 따른 제3증발기 온도중 최소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is preferably a minimum value of a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vaporator inlet temperature, a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room temperature, and a thir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indoor humidity.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도 1에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는, 동심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실린더 보어(Cylinder Bore, 112)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110)과;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각 실린더 보어(112)에 삽입되는 다수의 피스톤(Piston, 114)과;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크랭크실(122)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120)과;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내부에 냉매흡입실(132) 및 냉매토출실(134)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130)과; 상기 전방하우징(120) 및 실린더 블록(110)에 걸쳐 지지되는 구동축(140)과; 상기 크랭크실(122)의 내부에서 구동축(140)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Rotor, 142)와; 상기 구동축(140) 둘레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스톤(114)을 전후진시키도록 가장자리가 각 피스톤(114)에 결합되며 가장자리 일측이 로터(142)에 힌지결합되는 사판(144)과;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후방하우징(130)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흡입실(132)로부터 실린더 보어(112)로 냉매를 흡입함과 아울러 실린더 보어(112)로부터 냉매토출실(134)로 압축 냉매를 배출시키는 밸브 유니트(Valve Unit, 150)와; 그리고, 구동축(140)에 대한 사판(144)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후방하우징(130)에 설치되는 외부제어식 압력조절밸브(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shows an example of a variable displacement
상기한 바와 같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에 따르면, 사판(144)의 회전에 의하여 다수의 피스톤(114)들이 순차적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실린더 보어(112)로부터의 피스톤(114)의 후진시(즉, 흡입행정시)에는, 실린더 보어(112) 내부의 압력강하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150)의 흡입측이 개방되어 실린더 보어(112)와 흡입실이 서로 통하므로, 흡입실로부터 실린더 보어(112)로 냉매가 흡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112)쪽으로의 피스톤(114)의 전진시(즉, 압축행정시)에는, 실린더 보어(112) 내부의 압력증가에 의하여 실린더 보어(112)에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면서 밸브 유니트(150)의 토출측이 개방되어 실린더 보어(112)와 냉매토출실(134)이 서로 통하므로, 실린더 보어(112)로부터 냉매토출실(134)로 압축냉매가 토출된다. 그리고, 부하에 따라 압력조절밸브(160)에 의하여 사판(144)의 경사각이 변동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변동된다. 즉, 압력조절밸브(160)에 대한 출력(전류값)이 최대일 경우에, 피스톤(114)의 행정거리가 커지도록 사판(140)의 기울기가 변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증가한다. 또한, 압력조절밸브(160)에 대한 출력이 최소일 경우에, 피스톤(114)의 행정거리가 짧아지도록 사판(140)의 기울기가 변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감소한다. 이러한 냉매의 토출용량 변화는 자동차 실내에 대한 토출열량의 증감을 의미한다. According to the variable displacement
도 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가 적용된 차량용 공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2 shows a vehicl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variable displacemen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10)와, 상기 공조케이스(2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210)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220)와, 상기 공조케이스(210)의 상/하류측에 차례로 내장되는 증발기(200) 및 히터코어(Heater Core, 230)와, 상기 증발기(200)를 거친 공기에 대한 히터코어(230)쪽 유로 및 히터코어(230)를 우회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40)와, 상기 증발기(200)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이하, 편의상 '압축기'라 칭함)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응축하여 토출시키는 응축기(170)와, 응축기(17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기액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180)와, 그리고 리시버 드라이어(18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교축하여 증발기(200)로 보내는 팽창밸브(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es an
참조부호 212, 214, 216은 각각 자동차 실내에 대한 풍량을 제어하기 위한 벤트(Vent)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12d, 214d, 216d는 각각 상기 벤트(212, 214, 216)의 개도를 조절하는 도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210)의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에 대한 개도조절은, 액츄에이터(Actuator, 310)에 대한 제어유니트(310)의 구동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판(144)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압축기(100)의 토출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160)와, 공기흡입모드를 내기 또는 외기로 전환하는 송풍기(220)의 전환도어(222) 구동용 액츄에이터(Actuator, 미도시)도, 제어유니트 (300)에 의하여 그 구동출력이 제어된다. In addition,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warm air passage of the
즉, 제어유니트(300)는, 공조장치의 각 작동부에 대한 출력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구동축(140)에 대한 사판(144)의 경사각이 변화하여 압축기(100)의 토출용량이 증감하도록, 압력조절밸브(160)에 대한 출력(전류값)을 제어하고, 온도조절도어(240)가 공조케이스(210)의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액츄에이터(310)에 대한 출력전압을 제어하며, 전환도어(222)가 선회하여 송풍기(220)의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를 통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흡입되도록 전환도어(222)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대한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제어유니트(300)에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감지값이 입력되는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내온도센서(320)에 의한 차량 실내온도, 차외온도센서(322)에 의한 차량 실외온도, 일사량센서(324)에 의한 일사량, 증발기온도센서(326)에 의한 증발기온도 등이 입력된다. 또한, 자동차 실내의 모드스위치조립체(330)에 설치된 온도조절스위치(332)를 통해 사용자가 목표 실내온도와, 습도조절스위치(334)에 의한 목표 실내습도를 제어유니트(300)에 입력시킴으로써,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가 설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3에는,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는 모드스위치조립체(33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컨스위치(331), 온도조절스위치(332), 습도조절스위치(334), 풍향선택스위치(336), 자동온도조절스위치(338), 자동온도조절정지스위치(340), 풍량조절스위치(342), 앞유리창성에제거스위치(344), 뒷유리창열선스위치(346), 내/외기선택스위치(348), 유해가스차단스위치(350), 디스플레이 패널(352) 등이 설치되어 있다.
3 shows an example of a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컨스위치(331)는, 공조장치를 가동하거나 가동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온도조절스위치(332)는, 목표로 하는 차량 실내온도를 설정하여, 공조케이스(210)의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온도조절도어(240)를 동작시켜 실내토출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습도조절스위치(334)는, 목표로 하는 차량 실내습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풍향선택스위치(336)는, 차창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디프로스트 모드, 자동차 플로어 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플로어 모드,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벤트 모드 등의 각종 공기토출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되는 공기토출모드에 대응하여 각 벤트들(212, 214, 216)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동온도조절스위치(338)는, 제어유니트(10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공조모드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동온도조절정지스위치(340)는, 공조모드의 자동제어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풍량조절스위치(342)는, 송풍기(220)의 모터에 대한 회전수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앞유리창성에제거스위치(344)는, 디프로스트 벤트(212)를 개방하도록 도어(212d)를 동작시켜 실내토출공기에 의하여 앞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뒷유리창열선스위치(346)는, 뒷유리창에 설치된 열선을 발열시켜 뒷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외기선택스위치(348)는, 송풍기(220)의 내기흡입구 및 외기흡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전환도어를 동작시켜 내기모드 또는 외기모드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해가스차단스위치(350)는, 외부의 유해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미도시된 유해가스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자동으로 공기흡입모드가 내기모드로 이루어지도록 전환도어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52)은, 각종 공조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er switch 331 functions to start or stop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e
상기 온도조절스위치(332) 및 습도조절스위치(334)는, 푸시버튼(Push Button)이나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 또는 조그 스위치(Jog Switch) 형태로 자동차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스위치(334)는, 푸시버튼 또는 조그 스위치의 형태로 습도를 선형적으로 세분화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리 스위치의 형태로 영역별로 고습, 중습, 저습 등 이산적(離散的)으로 습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을 걸고, 공조장치를 가동한다(S100). 사용자가 모드스위치조립체(330)의 온도조절스위치(332) 및 습도조절스위치(334)에 의하여 차량의 목표 실내온도 및 목표 실내습도를 설정한다(S110). 따라서, 차량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센서들, 즉 차내온도센서(320), 차외온도센서(322) 및 일사량센서(324)로부터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이 제어유니트(300)에 입력된다(S120). 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is started and an air conditioner is operated (S100). The user sets the target indoor temperature and the target indoor humidity of the vehicle by the
다음에, 제어유니트(300)는 상기 정보, 즉 목표 실내온도, 차량 실내온도, 차량 실외온도 및 일사량에 근거하여, 공조장치 벤트(212, 214, 216)의 목표 토출온도를 연산한다(S130). Next, the
또한, 제어유니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된 목표 토출온도에 근거하여, 목표 증발기 온도를 연산한다.
The
구체적으로, 제어유니트(300)는,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에 근거하여 제1증발기 온도를 선정하고(S170), 목표 토출온도에 근거하여 제2증발기 온도를 선정하며(S180), 습도조절스위치(334)를 통하여 설정된 목표 실내습도에 근거하여 제3증발기 온도를 선정한다(S190). Specifically, the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에 따른 제1증발기 온도의 선정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체감온도를 고려하여, 아이싱(Icing)을 방지할 수 있는 증발기 온도를 최저로 하고, 목표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도록 연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목표 토출온도에 따른 제2증발기 온도의 선정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2증발기 온도가 목표 토출온도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도록 연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목표 실내습도에 따른 목표 증발기 온도의 선정은 예컨대 비례-적분을 통한 방법으로 가변적으로 선정될 수 있다. An example of selecting the firs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is shown in FIG. 5. In consideration of the diminished temperature, the evaporator temperature capable of preventing icing is minimized, and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is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An example is calculated to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an increase of. In addition, an example of selecting the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is shown in FIG. 6, which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evaporator temperature is calculated to increase proportionally with the increase in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The selection of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arget room humidity can be variably selected, for example, via a proportional-integral method.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선정된 3가지의 제1 내지 제3증발기 온도 중에서, 제어유니트(300)는 최저인 온도를 최종 목표 증발기 온도로 선정한다(S200). Next, of the three first to third evaporator temperature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목표 증발기 온도가 선정되면, 제어유니트(300)는 온도조절도어(240)의 개도를 연산한다(S210). 상기 온도조절도어(240)의 개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목표 증발기 온도와 실제 증발기 온도를 비교하여(S212), 그 온도차이가 허용치를 벗어날 경우, 온도조절도어(240)의 개도를 보정연산할 수 있다(S214). 상기 온도조절도어(240)의 개도를 연산하는 예는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는데, 히터코어(230)쪽 온기통로에 대한 개도가 혼합공기 설정온도의 증가에 따라 완 전폐쇄쪽으로부터 완전개방쪽으로 비례적으로 증가하도록 연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When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에, 상기 목표 증발기 온도에 따라, 제어유니트(300)에 의해 압축기(100)의 압력조절밸브(160)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의 토출용량을 제어(S220)하고, 공조장치의 작동부의 출력치를 연산하여(S230), 작동부에 출력치를 출력한다. Next, by controlling the
한편, 상기한 목표 토출온도를 연산하는 단계(S130) 이후, 제어유니트(300)는 공기흡입모드가 외기모드인지 내기모드인지를 판단하여(S140), 외기모드일 경우에는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를 차량 실외온도로 선정하고(S150), 내기모드일 경우에는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를 차량 실내온도로 선정할 수 있다(S160).
On the other hand, after calculating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S130),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증발기 유입공기 온도와, 목표 토출온도와, 그리고 목표 실내습도에 따른 각각의 증발기 온도를 선정함과 아울러, 이들 증발기 온도중에서 최저인 온도를 최종적으로 목표 증발기 온도로 선정하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의 압력조절밸브(160)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가 쾌적하게 조절되므로, 자동차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evaporat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evaporator inlet air temperature, the target discharge temperature, and the target room humidity is selected, Finally, by selecting the lowest temperature as the target evaporator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더욱이,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를 통한 혼합공기에 대한 설정온도에 따라 온도조절도어(240)의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by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4274A KR101105028B1 (en) | 2004-10-21 | 2004-10-21 | Control Method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4274A KR101105028B1 (en) | 2004-10-21 | 2004-10-21 | Control Method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5895A true KR20060035895A (en) | 2006-04-27 |
KR101105028B1 KR101105028B1 (en) | 2012-01-16 |
Family
ID=3714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42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5028B1 (en) | 2004-10-21 | 2004-10-21 | Control Method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502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7883B1 (en) * | 2007-10-11 | 2009-03-06 | 주식회사 두원공조 | Vehicl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
WO2011078607A3 (en) * | 2009-12-24 | 2011-11-10 | ㈜엘지하우시스 | Anti-fog heat-generating gla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KR101314676B1 (en) * | 2007-05-25 | 2013-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3946B1 (en) | 2018-10-26 | 2024-02-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User body temperature assistance system associated with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09528B2 (en) | 1993-12-24 | 2002-07-29 | 株式会社デンソー | Vehicle air conditioner |
JPH115439A (en) * | 1997-06-17 | 1999-01-12 | Denso Corp |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
JP2001310620A (en) | 2000-04-26 | 2001-11-06 | Denso Corp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JP2002002267A (en) | 2000-06-19 | 2002-01-08 | Sanden Corp | Motor vehicle air conditioner |
-
2004
- 2004-10-21 KR KR1020040084274A patent/KR1011050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676B1 (en) * | 2007-05-25 | 2013-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0887883B1 (en) * | 2007-10-11 | 2009-03-06 | 주식회사 두원공조 | Vehicl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
WO2011078607A3 (en) * | 2009-12-24 | 2011-11-10 | ㈜엘지하우시스 | Anti-fog heat-generating gla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CN102474914A (en) * | 2009-12-24 | 2012-05-23 | 乐金华奥斯有限公司 | Anti-condensation heating glass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RU2505948C2 (en) * | 2009-12-24 | 2014-01-27 | Эл Джи ХОСИС, ЛТД. | Mist-free heat-generating glass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US8870394B2 (en) | 2009-12-24 | 2014-10-28 | Lg Hausys, Ltd. | Anti-fog heat generating glas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5028B1 (en) | 2012-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41039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EP078891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improved for frost deposition | |
JP4134687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JPH115439A (en) |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 |
JP2003166764A (en) | Refrigerating cycle device | |
US10625569B2 (en) | Engine controll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rogram for air-conditioning controller | |
JP2003080928A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 |
JP2017132412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JP3799768B2 (en) |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for vehicles | |
CN100441985C (en)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 |
KR101105028B1 (en) | Control Method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JP3716686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US7658080B2 (en) |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JP3991536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JP4626470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CN110382267A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 |
JP4285228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JP6711246B2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JP2000291995A (en) | Air conditioner | |
JP2002248936A (en) |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 |
JP3399240B2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KR20050105664A (en) | Method for controlling air temperature of air conditioner by temperature of coolant | |
JP7211309B2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JP4525515B2 (en) | Refrigeration cycle equipment | |
JP4269428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