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765A -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Google Patents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9765A KR20060029765A KR1020040078600A KR20040078600A KR20060029765A KR 20060029765 A KR20060029765 A KR 20060029765A KR 1020040078600 A KR1020040078600 A KR 1020040078600A KR 20040078600 A KR20040078600 A KR 20040078600A KR 20060029765 A KR20060029765 A KR 200600297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reaction
- sedimentation
- flocculation
- 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5—Plurality of essentially parallel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69—Making of contact surfaces, structural details, material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규모 부지를 소요로 하는 기존 정수처리공정의 단점을 보완하고, 무동력 운전과 정수처리공정의 무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원수 수질의 악화 및 우기시 빈번히 발생하는 고탁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의 일체형 응집·침전장치는 원형 침전부(3)중앙에 구비된 반응수 유입관(1)에 여러 단계로 구성된 미끄럼 원추(12)와 정류판(14)으로 이루어진 응집반응부(10)에서 원수와 응집제가 자연스럽게 혼화되어 응집반응이 이루어지며, 응집반응이 이루어진 원수는 원형 침전부(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내부 경사판(20)과 상부 경사판(6)에 의해 플록은 하부로 침전되는 상향류식 침전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process requiring large-scale land, and to enable unmanned operation and water treatment of the water treatment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raw water quality and the high turbidity water which occurs frequently during the rainy season. The integrated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ction water inlet pip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precipitation part (3). In the coagulation reaction unit 10 consisting of a sliding cone 12 and a rectifying plate 14 composed of several stages in (1), the raw water and the coagulant are naturally mixed to form an agglomeration reaction. Mov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3) is the upflow sedimentation apparatus in which the floc is settled downward by the inner inclined plate 20 and the upper inclined plate 6.
원형 침전장치, 응집지, 경사판, 미끄럼 원추, 침전효율, 난류Circular sedimentation device, flocculation paper, sloped plate, sliding cone, sedimentation efficiency, turbulenc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원형 침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ircular precipitation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응집·침전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grated coagulation / sedi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응집반응부의 일부 절개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cision state of the aggregation reaction,
도 4는 응집반응부에서의 원수와 응집제의 유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raw water and flocculant in the flocculation reaction part;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부 경사판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pper inclined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부 경사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pper inclined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반응수 유입관 2 : 처리수 방류관1: reaction water inlet pipe 2: treated water outlet pipe
3 : 침전부 4 : 호퍼3: settling portion 4: hopper
5 : 슬러지 배출관 6 : 상부 경사판5: sludge discharge pipe 6: upper slope plate
10 : 응집반응부 12 : 미끄럼원추10: agglomeration reaction part 12: sliding cone
14 : 정류판(baffle plate) 20 : 내부 경사판14: baffle plate 20: internal inclined plate
22 : 내측 경사판 24 : 외곽 경사판22: inner inclined plate 24: outer inclined plate
T1 : 응집제 탱크 T2 : 응집보조제 탱크T1: flocculant tank T2: flocculent aid tank
M : 교반조 W : 원수M: Stirring tank W: Raw water
본 발명은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상향류식 침전설비인 원형 침전지 중앙의 반응수 유입관에 원수와 응집제가 혼합되는 응집반응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정수장 부지의 소요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응집반응부와 침전부를 무동력으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동력화 및 무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and in detail, an agglomeration reaction part in which raw water and a flocculant are mixed is formed in a reaction water inlet pipe in the center of a circular sedimentation basin as an upflow sedimentation facility. By minimizing the area and enabling the flocculation reaction part and the settling part to operate without power, the motorization and unmanned operation are made possible.
도 1은 종래 수처리용 원형 침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정수 및 오·폐수 처리용 원형 침전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과 유입된 원수에서 플록 및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방류관(2)이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원수에 함유된 플록의 침전이 용이하도록 침전부(3)의 하단부에는 깔때기 모양으로 이루어진 호퍼(4)가 형성되며, 이 호퍼(4)의 하단 또는 일측으로 슬러지 배출관(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침전부(3)의 내부에는 원수에 함유된 미세 플록과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경사판(6)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circular sedimentation apparatus, the circular sedimentation apparatus for purified water and waste water treatment is the
한편, 종래의 정수장에서는 상기한 원형 침전장치와는 별도로 착수정으로부터 유입된 원수에 약품을 주입하여 이를 혼화기에 의해 급속히 혼화하여 마이크로 플록을 형성하는 혼화지와, 이 혼화지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플록 입자를 더 크고 무겁게 응집시켜 침전지에서 침전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응집지가 구비되어야 했 었으므로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대규모 부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혼화지 및 응집지에서의 약품의 투입에서부터 시설의 운전과 유지관리를 위하여 적지 않은 인원과 동력(에너지)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 apart from the circular sediment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chemicals are injected into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landing well, and mixed with them rapidly by a mixer to form a micro floc, and micro floc particles generated in the mixed paper. There was a problem that a large site was required to install them because larger and heavier flocculation had to be provided to increase the sedimentation effect in the sedimentation basin.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a lot of personnel and power (energy) had to be put in for management.
또한, 기존의 수평류식 침전지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기후 여건상 6월에서부터 9월에 발생하는 밀도류에 대한 방지책이 없어 침전 말단에서 플록의 월류에 의한 수질악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동절기에는 기존 침전지의 경우 상부에 살얼음이 생겨 침전효율에 심한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horizontal flow sedimentation basin, there is no preventive measure against the density flow occurring from June to September due to the climate condition of Korea, and the deterioration of water due to the flow of floc continuously occurs at the end of the sedimentation. In this case, it is investigated that the thin ice is formed at the top, which severely affects the precipit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판이 장착되어 중력을 직접 이용하는 상향류식 원형 침전장치를 사용하되 여기에 응집반응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소요부지를 최소화하고, 원형 침전장치 자체를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생산함으로써 설치현장에서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도록 하며, 무동력으로 동력비가 소요되지 않고 기기류의 고장발생이 없는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upflow type circular precipitation apparatus using gravity directly mounted on the inclined plate, but the required site by forming the aggregation reaction unit integrally here By minimizing and producing the standard sedimentation device in the factor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t the installation site, and it uses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that does not require power cost and does not cause trouble of equipment.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 침전장치 중앙에 구비된 반응수 유입관에 여러 단계로 구성된 미끄럼 원추와 정류판으로 이루어진 응집반응부를 구비하여 여기에서 원수와 응집제가 자연스럽게 혼화되어 응집반응이 이루어지며, 응집반응이 이루어진 원수는 원형 침전장치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경사판에 의해 플록은 하부로 침전되고 처리수는 침전장치 상단부의 처리수 방류관으로 월류되도록 한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gglomeration reaction part consisting of a sliding cone and a rectifying plate composed of several stages in a reaction water inlet pip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ircular precipitation apparatus, where the raw water and the coagulant are naturally mixed with the agglomeration reaction. The raw water subjected to the coagulation reaction is mov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ircular sedimentation device while floc is settled downward by the inclined plate, and the treated water flows up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at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device. Provide a precipitation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유속이 매우 느린 상향류식 침전설비에서 피처리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전향력을 고려하여 침전장치의 상부에 경사판을 설계,설치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피처리수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and installing an inclined plate on the top of the sedimentation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force affecting the flow of the water in the upflow sedimentation equipment having a very low flow rat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sedimentation efficiency of the treated w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stream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tha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형 침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반응수 유입관(1)과 유입된 원수에서 플록 및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방류관(2)이 상부에 설치되고, 원수에 함유된 플록의 침전이 용이하도록 침전부(3)의 하단부에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호퍼(4)가 형성되며, 이 호퍼(4)의 하단 또는 일측으로 슬러지 배출관(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침전부(3)의 상부에는 원수에 함유되어 부상되는 미세 플록을 제거하기 위한 상부 경사판(6)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반응수 유입관(1)의 상부에는 원수(W)에 응집제 및 응집보조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탱크(T1) 및 응집보 조제 탱크(T2)가 설치되어 원수(W)와 혼합되어 반응수 유입관(1)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고, 이 반응수 유입관(1)의 내부에는 미끄럼원추(12)와 정류판(14)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교차되도록 다단계로 설치되어 원수와 응집제가 혼화되어 응집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응집반응부(10)가 형성되며, 상기 침전부(3)의 내부에는 흐름방향(연직방향)에 대하여 60°경사진 내부 경사판(20)이 설치되어 응집반응이 이루어진 원수가 원형 침전지(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판(20)에 의해 플록은 하부로 침전되고 처리수는 침전지 상부의 처리수 방류관(2)으로 월류되도록 되어 있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ircular sedimen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action
도면중 부호'M'은 원수(W)와 응집보조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조이다.Reference numeral 'M' in the figure is a stirring tank for stirring the raw water W and the coagulant aid.
상기 내부 경사판(20)은 반응수 유입관(1)의 외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부 외측으로 확장된 내측 경사판(22)과, 침전부(3)의 내벽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부 내측으로 직경이 수축된 외곽 경사판(24)이 한 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어 응집반응부(10)에서 하방으로 공급된 반응수의 유속이 상기 경사판(20,22)에 의해 제어되어 침전부(3)의 상방으로 향하는 유속이 완화되도록 함으로써 플록의 침강을 방해하는 난류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또, 상기 침전부(3)상단의 상부 경사판(6)은 피처리수에 전향력이 작용하는 방향(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경사판은 라멜라(lamella)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나선(propeller)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원형 침전지가 설치되는 지역의 위도에 따라 상부 경사판의 설치각도를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피처리수의 흐름을 가장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loping plate may be made of a lamellar (lamella) type, may be made of a spiral (propeller) typ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upper swash plate according to the latitude of the area where the circular settler is installed The flow of the water to be treated can be best controlled.
도 5에 도시된 라멜라형 상부 경사판(6)은 중심관(6a)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날개판(6b)이 동일한 경사각(A)으로 날개판(6b)의 뿌리(root)부분(R)에서부터 끝(edge)부분(E)까지 동일한 피치각(pitch angle)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경사판(6)은 중심관(6a)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날개판(6b)이 동일한 경사각(A)으로 날개판(6b)의 뿌리부분(R)에서는 직각이고 끝부분(E)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피치각이 감소되도록 되어 있다.The lamella-type upper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경사판(6)은 우리나와 같이 북반구에 위치한 원형 침전장치에서 사용하는 경사판이며, 이 경사판(6)의 날개판(6b)은 모두 시계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날개판(6b)의 경사각은 위도에 따라 다르게, 바람직하게는 저위도인 경우에는 경사판의 각도가 크고 고위도로 갈수록 경사각이 작아지도록 설계한다.5 and 6 is an inclined plate used in a circular precipitation apparatus located in the northern hemisphere like Uri, and all
또, 상기 반응수 유입관(1)의 내부에 구비된 응집반응부(1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원추(12)와 정류판(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끄럼원추(12)는 내측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이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원수와 응집제가 이 미끄럼원추(12)를 타고 반응수 유입관(1)의 중심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정류판(14;baffle plate)은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미끄럼원추(12)에 의해 중앙으로 집중된 원수와 응집제가 다시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미끄럼원추(12)와 정류판(14)은 반응수 유입관(1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일정간격으로 교차되게 반복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수와 응집제가 자연스럽게 혼화되어 응집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응집반응이 이루어진 반응수는 침전부(3)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침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반응수는 내부 경사판(20)을 거치면서 침전이 이루어지며, 내부 경사판(20)에서 물은 상부로 이동되면서 침전 슬러지는 하부로 흘러내려 처리효율이 증대된다.The reaction water in which the aggregation reaction is made is precipitated while mov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한편, 침전부(3)의 하부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상부를 향하여 느린 유속(약 44mm/분;참고로 상향류식 원형침전지에서의 상승유속기준은 40~50mm/분임)으로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은 매우 느린 유속에 대하여는 전향력이 유효하게 작용하게 되어 피처리수는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위로 흐르게 된다. 침전지(3)의 상부에 거의 다다른 침전수(피처리수)는 시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상부 경사판(6)을 통해 플록은 아래로 침전하게 되고 플록이 제거된 상등수는 위어(weir)를 통해 월류되어 처리수 방류관(2)으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eated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침전분리된 상징수는 침전부(3)상단부의 유출위어를 거쳐 처리수 방류관(2)을 통해서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게 되고, 호퍼(4)에 침전된 슬러지는 농축이 이루어지며, 농축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관(5)의 밸브를 통해 도시안된 탈수기나 슬러지 건조상으로 보내진다.Sedimented sewage water is sent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2) through the outlet weir of the upper part of the settling section (3), the sludge precipitated in the hopper (4) is concentrated, the concentrated sludge Is sent to a dehydrator or sludge dry bed not shown through the valve of the sludge discharge pipe (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응집·침전장치는 원형 침전지 중앙에 구비된 반응수 유입관에 여러 단계로 구성된 미끄럼원추와 정류판으로 이루어진 응집반응부가 구비되어 원수와 응집제가 자연스럽게 혼화되어 응집반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응집반응이 이루어진 원수는 원형 침전지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경사판에 의해 플록은 하부로 침전되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요 부지면적이 최소화되어 대규모 부지를 소요로 했던 기존 정수처리공정에 비해 현실적이고 경제적이며, 응집과 침전 및 슬러지의 제거가 자연계에 존재하는 힘인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무동력 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수처리공정의 무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원수 수질의 악화 및 우기시 빈번히 발생하는 고탁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하절기에 발생할 수 있는 밀도류 및 동절기 침전지 상부의 결빙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계절에 상관없이 침전지 운영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coagulation / sedimen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agulation reaction part composed of a sliding cone and a rectifying plate composed of several stages in a reaction water inlet pipe provided at the center of a circular sedimentation basin, and the coagulant is naturally mixed with raw water and a coagulant. This efficient, the flocculation reaction is carried out from the bottom of the circular sedimentation basin while the floc is settled to the bottom by the inclin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d a large area to minimize the required land area Compared to the water treatment process, it is more realistic and economical, and the coagulation, sedimentation, and sludge removal are performed by gravity, which is a force existing in the natural world, so that it can be operated without power, and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can be unmanne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frequent occurrence during rainy season And it can effectively solve the turbidity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freezing in winter and mildoryu settler top that can occur in summer does not occur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operated normally, the settler regardless of the seas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600A KR20060029765A (en) | 2004-10-04 | 2004-10-04 |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600A KR20060029765A (en) | 2004-10-04 | 2004-10-04 |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8013U Division KR200371161Y1 (en) | 2004-10-04 | 2004-10-04 | Packaged inclined clarifier with accelerating flocculation for water treatment pl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765A true KR20060029765A (en) | 2006-04-07 |
Family
ID=3713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600A Withdrawn KR20060029765A (en) | 2004-10-04 | 2004-10-04 |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9765A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128B1 (en) * | 2007-12-21 | 2008-03-07 | 주식회사 한미엔텍 | Automatic pretreatment-membrane filtration hybrid water treatment system |
KR101009747B1 (en) * | 2010-12-14 | 2011-01-19 | 김도식 | Powerless Vortex Admixture |
KR101137000B1 (en) * | 2011-12-20 | 2012-04-20 | 안종철 | Phosphorous eliminat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WO2014003523A1 (en) * | 2012-06-29 | 2014-01-03 | In Suk Shin | Water purification device |
KR101369975B1 (en) * | 2013-08-27 | 2014-03-06 | 경상북도 경주시 | Non-powered partition barrier type floc cohesion apparatus |
CN103922450A (en) * | 2014-04-10 | 2014-07-16 | 北京工业大学 | Efficient hardness removal method and device applicable to underground water |
KR101681911B1 (en) * | 2016-02-27 | 2016-12-02 | 문광석 | Apparatus for seperating and discharging sludge from contaminated water |
WO2018225890A1 (en) * | 2017-06-07 | 2018-12-13 | 경상북도 경주시 | Ozone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same |
CN110510800A (en) * | 2019-09-06 | 2019-11-29 | 上海同澜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agnetic-coagulation precipitating sewage disposal device and sewage water treatment method |
CN113292146A (en) * | 2021-05-20 | 2021-08-24 | 巴文豪 | Auxiliary adding and mixing device for precipitating agent for sewage treatment |
-
2004
- 2004-10-04 KR KR1020040078600A patent/KR2006002976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1128B1 (en) * | 2007-12-21 | 2008-03-07 | 주식회사 한미엔텍 | Automatic pretreatment-membrane filtration hybrid water treatment system |
KR101009747B1 (en) * | 2010-12-14 | 2011-01-19 | 김도식 | Powerless Vortex Admixture |
KR101137000B1 (en) * | 2011-12-20 | 2012-04-20 | 안종철 | Phosphorous eliminating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WO2014003523A1 (en) * | 2012-06-29 | 2014-01-03 | In Suk Shin | Water purification device |
KR101369975B1 (en) * | 2013-08-27 | 2014-03-06 | 경상북도 경주시 | Non-powered partition barrier type floc cohesion apparatus |
CN103922450A (en) * | 2014-04-10 | 2014-07-16 | 北京工业大学 | Efficient hardness removal method and device applicable to underground water |
CN103922450B (en) * | 2014-04-10 | 2016-04-06 | 北京工业大学 | A kind of method and device being applicable to ground water hardness removal |
KR101681911B1 (en) * | 2016-02-27 | 2016-12-02 | 문광석 | Apparatus for seperating and discharging sludge from contaminated water |
WO2018225890A1 (en) * | 2017-06-07 | 2018-12-13 | 경상북도 경주시 | Ozone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same |
CN110510800A (en) * | 2019-09-06 | 2019-11-29 | 上海同澜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agnetic-coagulation precipitating sewage disposal device and sewage water treatment method |
CN113292146A (en) * | 2021-05-20 | 2021-08-24 | 巴文豪 | Auxiliary adding and mixing device for precipitating agent for sewage treatment |
CN113292146B (en) * | 2021-05-20 | 2022-12-09 | 广东东日环保股份有限公司 | Auxiliary adding and mixing device for precipitating agent for sewage treat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6993B2 (en) | Method and plant for thickening sludge derived from water treatment by flocculation-decantation with ballasted floc | |
CN102493545B (en) | Rain sewage retention tank with function of coagulation sedimentation | |
BRPI0706345A2 (en) | process for anaerobic wastewater purification using a mudbed system, upflow reactor, and three-phase separator | |
CN104817209A (en) | Buried efficient treater of initial rainwater | |
EA025145B1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2013599B1 (en) | Scum removal system of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blowing device | |
KR20060029765A (en) | Upflow type integrated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device for water treatment | |
CN105019549B (en) | Eddy flow-the horizontal-flow grit chamber processed for early-stage rainwater | |
CN108996740A (en) | A kind of just rai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
KR200371161Y1 (en) | Packaged inclined clarifier with accelerating flocculation for water treatment plant | |
KR101898218B1 (en) | Busangjo and sedimentation tank crossing another road, and its operable processor number of multiple structures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904214B1 (en) | Secondary Sedimentation Batteries in Improved Biological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
US6921489B2 (en) | Aerated grit chamber and method | |
KR100464716B1 (en) | Apparatus for clarifying water and wastewater | |
KR101257010B1 (en) | Discharger for sedimentation sludge | |
KR100326914B1 (en) | High speed separator for water & wastewater treatment | |
KR100647716B1 (en) | Integrated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equipment for water treatment facilities | |
CN212293272U (en) | A kind of mud cement slurry mud water separation system | |
KR100545746B1 (en) | Improved structure sedimentation tank with excellent sludge settling efficiency and water treatment efficiency | |
KR200382794Y1 (en) |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combined system for water treatment | |
KR100959583B1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plate type and tube type sedimentation module with floc cleaning system by rotation | |
KR101045878B1 (en) | High Efficiency Hybrid Sedimentation Basin for Water and Sewage Treatment | |
Prasad | Sedimentation in Water and Used Water Purification | |
CN210495338U (en) | Sewage treatment tank | |
Field | The dual functioning swirl combined sewer overflow regulator/concent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060623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