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9440A -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440A
KR20060019440A KR1020040068129A KR20040068129A KR20060019440A KR 20060019440 A KR20060019440 A KR 20060019440A KR 1020040068129 A KR1020040068129 A KR 1020040068129A KR 20040068129 A KR20040068129 A KR 20040068129A KR 20060019440 A KR20060019440 A KR 2006001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keypad
input
mobile communication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노디자인,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006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440A/ko
Publication of KR2006001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없이도 스크린 상의 포인터를 인식하여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부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각각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저장하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며; 포인터 입력부에서는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확인한 후에,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종래의 기계적인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량박형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패드의 내구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able a Pointer and a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Pointer)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있어 발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a, 도6b 및 도 6c는 도 4에 있어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10 : 포인터 입력부 211 : 포인터 이동 수단
212 : 포인터 선택 수단 210 : 메모리부
230 : 키패드(Keypad)/포인터 디스플레이부
240 : MSM(Mobile Station Modem)
300 :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301 : 본체 302 : 스크린(Screen)
303 : 포인터
본 발명은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없이도 스크린 상의 포인터를 인식하여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게 되었으며,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무선 전화 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의 사용, 전자 메일 등의 기능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가시키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외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또는, 필수적으로) 스크린(101)과 키패드(0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크린(10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 상태(예를 들어, 전화번호 입력 상태, 발신 동작 상태, 수신 동작 상태 등)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키패드(102)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 통화, 종료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수행 시에 항목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 키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02)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들의 입력,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키의 입력, 메모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키의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상태를 상기 스크린(101)에 디스플레이해 주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 중의 하나가 휴대의 용이성으로, 해당 휴대가 용이하려면 경량박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형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스크린과 더불어 키패드가 차지하는 공간 부분이 넓으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량박형을 추구함에 있어 다소 어려운 실정이 있었다. 또한, 해당 키패드는 다양한 기계적인 버튼 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오랜 기간 사용할 시에 해당 키패드의 내구성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어려운 점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 없이도 스크린 상의 포인터를 인식하여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종래의 기계적인 키패드 구조를 제거하고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해당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량박형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패드의 내구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각각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 부와;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확인한 후에,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으로 통보하는 포인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는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중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에 상기 스크린 상에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항목들과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각 키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포인터 이동 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는 포인터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는 조이스틱, 휠 마우스 또는 내비게 이션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에 초기 항목들과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초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으로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항목이 1차적으로 로울오버되었음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키 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 형성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키패드 형성 선택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 정보가 키패드 형성 선택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키패드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키패드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키 정보가 입력 선택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를 입력 정보로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키 정보가 다이얼 항목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키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숫자 판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숫자 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숫자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발신 전화번호의 입력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여 통화 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입력 완료된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시도해 주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 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키 정보가 메시지 관리 항목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의 서브 메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 정보가 발신 메시지 메뉴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입력 키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메시지 입력 판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입력 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메시지 입력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입력 키 정보 입력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발신 메시지의 입력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여 통화 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입력 완료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입력, 단문 메시지 입력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키패드가 본 발명에서는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량박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에 해당 키패드와 함께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포인터가 위치한 곳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인 키패드 구조 없이도 키의 입력이 가능하여 키패드의 내구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입력부(210)와, 메모리부(220)와,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와, MSM(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는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키 정보를 상기 MSM(240) 측으로 입력해 준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는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 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해 준다.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하며, 이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해 준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03)의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03)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이스틱(Joystick)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303)의 위치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의 상단에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키 정보를 선택할 위치에 상기포인터(303)가 이동하면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누름으로써 해당 키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조이스틱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휠 마우스(Wheel Mouse), 내비게이션 버튼(Navigation Button) 등과 같이 방향 전환 및 선택이 가능한 어떤 수단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의 상단에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구비시켰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의 하 단 또는 측면에 형성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303)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마우스 포인터(예를 들어, 화살표 모양의 지시자, 손 모양의 표시자 등)에 상응하는 것으로,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에 의해 선택되도록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상기 포인터(303)는 사용자가 원하는 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어떤 표시자(예를 들어, 음영 표시,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 모양 변경 표시 등)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기 메모리부(220)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키패드 형성 정보(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의 구성 정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의 구성 정보 등)와, 포인터 형성 정보(예를 들어, 음영 표시, 하이라이트(High-light) 표시, 모양 변경 표시, 화살표 모양의 지시자, 손가락 모양의 표시자 등)를 저장한다. 여기서, 해당 키패드 형성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를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정보이며, 해당 포인터 형성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중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정보인 포인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2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 예를 들어, 전원을 온시키거나, 대기 중인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초기 화면에 대한 정보(즉, 포인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목들(예를 들어, 메뉴 항목, 다이얼 항목, 리스트 항목 등))를 더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20)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가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각 키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 정보(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302) 상의 전체 영역을 해당 각 키 정보에 따른 영역들로 나눈 좌표 정보 또는 그 외의 위치 정보)를 더 저장한다.
다르게는, 상기 메모리부(220)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와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더 저장하는데, 즉 소정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스크린(302) 상의 포인터(303)를 좌표로 인식하고 해당 포인터(303)를 해당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키 정보가 표기되어 있는 좌표 영역으로 이동시켜 1차적으로 로울오버(Rollover)되었음을 알려주고 해당 로울오버된 특정 키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MSM(240) 측으로 입력해 주기 위한 포인터 입력 프로그램과, 해당 스크린(302)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을 더 저장한다.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MSM(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 등)와 함께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상기 MSM(240)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와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종래의 기계적인 키패드 구조 없이도 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MSM(240)은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와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를 내부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외관상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소정의 외관 형상을 갖는 본체(301)를 구비하는데, 해당 본체(301)는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어느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기 본체(301)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 상태, 키패드 및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해 주는 스크린(302)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수행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능 버튼(예를 들어, 통화 버튼, 메뉴 버튼, 종료 버튼, 지움 버튼 등)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해당 최소한의 기능 버튼도 제거하고 이것을 대신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도 2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MSM(240)에서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 수행을 제어함과 동시에, 초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220)로부터 판독한 후에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302)에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 때,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MSM(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포인터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302) 상의 특정 위치(즉, 초기 위치)에 포인터(303)를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대기 중인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터(303)와 함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기 항목들(예를 들어, 메뉴 항목, 다이얼 항목, 리스트 항목 등)을 상기 초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된다(단계 S401).
이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 기에 구비되어 있는 포인터 입력부(210)의 포인터 이동 수단(211)을 조작하게 되면, 해당 포인터 이동 수단(21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후에(단계 S402),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03)의 위치를 이동시켜 준다(단계 S403).
이 때,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항목에 상기 포인터(303)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MSM(240)에서는 해당 항목이 1차적으로 로울오버되었음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상기 항목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포인터 입력부(210)의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누르게 되면, 해당 포인터 선택 수단(2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누름을 확인한 후에(단계 S404), 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303)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는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03)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며(단계 S405), 해당 인식된 포인터(303)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키 정보를 상기 MSM(240) 측으로 입력해 준다(단계 S406).
이에 따라, 상기 MSM(240)은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한 키 정보가 상기 스크린(302) 상에 키패드 형성 정보(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의 구성 정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의 구성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시켜 주어야 하는 키패드 형성 선택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07).
만약에, 상기 제407단계(S407)에서 확인한 키 정보가 키패드 형성 선택인 경우, 상기 MSM(240)은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며, 이에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MSM(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정보에 대응하는 키패드 형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302) 상에 키패드(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 등)와 함께 포인터(303)를 디스플레이시켜 준다(단계 S408).
반면에, 상기 제407단계(S407)에서 확인한 키 정보가 키패드 형성 선택이 아닌 입력 선택인 경우, 상기 MSM(240)은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정보를 입력 정보로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정보에 따라 입력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409).
예를 들어,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일반 키들인 경우에는, 해당 키에 대응하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디스플레이해 준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인 경우에는, 해당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중에서 발신 방법을 도 5a와 도 5b의 예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초기 화면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되는데, 해당 초기 화면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항목들(예를 들어, 메뉴 항목, 다이얼 항목, 리스트 항목 등)과 함께, 해당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인터(303)가 디스플레이되어진다.
이에, 수신자와의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수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된 자신이 원하는 항목인 다이얼 항목을 선택하는데, 즉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예를 들어, 조이스틱, 휠 마우스, 내비게이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상하좌우 방향 조작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해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303)의 위치를 이동시켜 해당 포인터(303)를 해당 다이얼 항목에 위치하도록 해 준다.
이 때, 상기 포인터(303)가 상기 다이얼 항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MSM(24)은 상기 다이얼 항목이 1차적으로 로울오버되었음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누르게 되면,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누름을 확인한 후에, 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303)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는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에 의해 선택되어진 포인터(303)의 위치가 상기 다이얼 항목임을 인식하며, 이에 대한 키 정보를 상기 MSM(240) 측으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상기 MSM(240)은 상기 포인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키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며, 이에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MSM(240)의 제어에 따라 키패드 형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20)로부터 판독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들의 구성(501)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해 준다.
그런 다음에, 도 5b와 같은 숫자 판(501)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이동 및 선택하는 동작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때, 해당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는 상기 숫자 판(501)의 상단 또는 그 외의 다른 스크린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완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301)에 구비되어 있는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한 통화 키를 선택하게 되면(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기 MSM(240)은 이를 감지하여 호 발신을 시도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기계적인 키패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발신 동 작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 6a, 도 6b 및 도 6c의 예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의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서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이동 및 선택하는 동작 과정을 통해서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상술한 바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위 카테고리의 메인 메뉴들(예를 들어, 메시지 관리, 전화번호 관리, 소리 설정 등)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 때, 상기 메인 메뉴들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스크롤(601)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해당 스크롤(601)을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메인 메뉴인 메시지 관리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6a의 메인 메뉴 상태에서 상기 동일한 동작으로 메시지 관리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 카테고리의 서브 메뉴들(예를 들어, 발신 메시지, 수신 메시지, 설정 등)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 용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이동 및 선택하는 동작 과정을 통해서 서브 메뉴 항목 중에서 발신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입력 판(602)을 상기 스크린(302) 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이 때, 상기 메시지 입력 판(602)에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구비되어 있는 메시지 입력 창(502b)과, 해당 메시지 입력 창(502b)으로부터 선택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표기해 주기 위한 메시지 표시 창(502a)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입력 창(502b)은 복수의 칼럼(Column)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칼럼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이 독립적으로 위치하여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하나의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칼럼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스크롤(601)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해당 스크롤(601)을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터(303)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에, 상기 메시지 표시 창(502a)에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모두 입력하여 완성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본체(301)에 구비되어 있는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상기 포인터 이동 수단(211)과 상기 포인터 선택 수단(212)을 이용한 통화 키를 선택하게 되면(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기 MSM(240)은 이를 감지하여 메시지 전송을 시도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기계적인 키패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메시지 전송 동작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발신 방법 및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해당 기능들 이외에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는 제반 기능들 모두(예를 들어, 전화번호 관리, 통화 목록 관리, 메모리 관리 등)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종래의 키패드 구조를 제거하고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해당 포인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입력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종래의 기계적인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량박형을 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패드의 내구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각각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키패드 형성 정보와 포인터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키패드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확인한 후에, 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통보하는 포인터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 중 하나의 키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에 상기 스크린 상에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항목들과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포인터 입력부가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각 키 정보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영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포인터 이동 수단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키패드/포인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선택하는 포인터 선택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 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입력부는 조이스틱, 휠 마우스 또는 내비게이션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동작 수행 시에 초기 항목들과 포인터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초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는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항목이 1차적으로 로울오버되었음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키패드 형성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키패드 형성 선택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 정보가 키패드 형성 선택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키패드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키패드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가 입력 선택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를 입력 정보로 인식하고 해당 인식된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가 다이얼 항목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키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숫자 판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숫자 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숫자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발신 전화번호의 입력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여 통화 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입력 완료된 전화번호로 호 발신을 시도해 주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정보가 메시지 관리 항목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의 서브 메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서브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 정보가 발신 메시지 메뉴인 경우에, 상기 키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 입력 키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메시지 입력 판을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입력 판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향 조정을 인식한 경우에, 해당 인식된 방향 조정에 따라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택 입력을 인식한 경우에, 상기 포인터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인식된 위치에 대응하는 메시지 입력 키 정보를 상기 MSM으로 입 력하는 과정과;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메시지 입력 키 정보 입력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발신 메시지의 입력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클릭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 이동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정보 입력 과정을 수행하여 통화 키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입력 완료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KR1020040068129A 2004-08-27 2004-08-27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KR20060019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29A KR20060019440A (ko) 2004-08-27 2004-08-27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29A KR20060019440A (ko) 2004-08-27 2004-08-27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615U Division KR200369021Y1 (ko) 2004-08-27 2004-08-27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40A true KR20060019440A (ko) 2006-03-03

Family

ID=3712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129A KR20060019440A (ko) 2004-08-27 2004-08-27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4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792B1 (ko) * 2004-12-09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프트웨어적인 포인팅 입력 기능 제공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1349309B1 (ko) * 2007-03-14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792B1 (ko) * 2004-12-09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프트웨어적인 포인팅 입력 기능 제공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1349309B1 (ko) * 2007-03-14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73491B (zh) * 2007-03-14 2015-02-11 Lg Electronics Inc 行動式通信裝置與控制此裝置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733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1782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717049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element
JP386516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制御方法
EP1028570B1 (en) Terminal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on a display of such a terminal
KR100779174B1 (ko) 로테이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
EP1832095B1 (en) A mobile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s,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WO200612028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electronic device
EP13935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pad reconfigu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334038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KR200369021Y1 (ko)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0236376A (ja) 携帯電話装置
KR20060019440A (ko) 포인터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 방법
KR1004511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 구현방법
JP2001036624A (ja) 携帯電話機とその入力装置
KR100692001B1 (ko) 핫키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핫키 실행 방법
KR200218564Y1 (ko) 다이얼식 입력 장치를 가진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814764B1 (ko) 스크롤 키 입력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운용방법
KR10063005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118285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selection device
JP3201372B2 (ja) 携帯通信装置
KR20050077606A (ko) 휴대단말기의 메뉴 마지막 항목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40827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