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18714A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714A
KR20060018714A KR1020040067212A KR20040067212A KR20060018714A KR 20060018714 A KR20060018714 A KR 20060018714A KR 1020040067212 A KR1020040067212 A KR 1020040067212A KR 20040067212 A KR20040067212 A KR 20040067212A KR 20060018714 A KR20060018714 A KR 20060018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ing container
opening
lowe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714A/ko
Publication of KR2006001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71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측방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하부커버가 개폐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통(110)과;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150)와; 상기 집진통(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집진통(1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손잡이(130)와; 상기 집진통(110)의 일측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집진통(110)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부커버(170)와; 상기 하부커버(17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9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개폐수단(190)과 집진손잡이(130)는 상기 집진통(110)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90)은, 상기 집진통(110)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유동부재(192)와; 상기 유동부재(192)가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94)과; 상기 유동부재(192)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돌기(19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유니트의 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하부커버, 개폐수단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요부구성인 개폐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내부구성과 공기의 유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개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진공청소기 60. 흡입노즐체
70. 바디 72. 착탈레버
80. 핸들 90. 연결호스
100. 집진유니트 110. 집진통
112. 흡입가이드 120. 분리판
130. 집진손잡이 140. 상면커버
150. 필터조립체 160. 토출안내관
170. 하부커버 180. 힌지기구
190. 개폐수단 192. 유동부재
194. 복귀스프링 196. 체결돌기
196'. 체결홈 198. 가이드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집진통의 외주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되게 구비되고, 하부커버는 개폐수단의 유동부재를 집진통 내측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개방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1)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10)와, 상기 흡입노즐체(10)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20),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1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노즐체(1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12)가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바디(20)의 후면에는 코드걸이(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코드걸이(21)는 상기 바디(2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코드걸이(21)에 전선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바디(2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흡입팬(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바디(20)의 전면 중앙부에는 집진유니트(22)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집진유니트(22)는 상기 흡입노즐체(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유니트(22)에는 집진유니트(22)의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손잡이(2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집진유니트(22)의 하단부에는 하부커버(26)가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힌지(26')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구조에서는 커버힌지(26')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며, 하부커버(26)의 개폐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한 것으로, 하부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집진통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집진손잡이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개폐수단의 유동부재를 집진통 내측으로 미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하부커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와; 상기 집진통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집진통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손잡이와; 상기 집진통의 일측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집진통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집진통의 하단부에 집진통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커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개폐수단과 집진손잡이는 상기 집진통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유니트의 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70),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핸들(8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저면에는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노즐체(6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62)가 양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흡입노즐체(60)와 상기 바디(70)의 연결부는 상기 바디(7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바디(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핸들(80)을 잡고 바디(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바디(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바디(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디(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흡입팬(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바디(70)에는 집진유니트(1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유니트(100)는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7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유니트(100)는 일반적으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질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70)의 전면에는 착탈레버(7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착탈레버(72)는 중앙부의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착탈레버(72)에 의해 집진유니트(100)의 상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60)와 바디(70) 사이에는 연결호스(90)가 구비되어 공기와 오물의 유동을 안내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개폐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는 하부커버가 개폐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니트(100)는 대략 원통형의 집진통(110)에 의해 외관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집진통(110)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이드(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일단이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110)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상기 집진통(110)의 접선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측면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 중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가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판(120)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110)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판(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집진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손잡이(130)는 상기 집진통(110)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진공청소기(50)의 바디(70)로부터 상기 집진유니트(10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진통(110)의 상면은 상면커버(1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면커버(140)는 상기 집진통(110)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상면커버(140)의 하측에는 필터조립체(150)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50)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것이다.
상기 분리판(120)의 하측 중앙부에는 토출안내관(16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60)은 하단부가 측방으로 절곡되어, 대략 'ㄴ'자 형상(측방에서 볼때)으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60)은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집진통(110)의 하부 측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진통(11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방된 하면을 하부커 버(170)가 차폐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70)는 좌측단(도 5에서)에 형성되는 커버힌지(180)를 축으로 회동되며, 우측단에는 개폐수단(190)이 구비되어 하부커버(17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90)은 상기 집진손잡이(130)의 반대편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집진손잡이(130)는 상기 집진통(110)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단(190)은 이와 반대되는 상기 집진통(110)의 우측 하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190)은,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집진통(110)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유동부재(192)와, 상기 유동부재(192)가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94)과, 상기 하부커버(1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재(192)와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돌기(19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복귀스프링(194)은 상기 유동부재(192)가 좌측방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우측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복귀스프링(194)은 항상 상기 유동부재(192)를 우측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스프링(194)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196)는 상기 하부커버(1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동부재(192)에는 상기 체결돌기(196)가 관통하는 체결홈(19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부재(192)의 좌측면에는 좌측방으로 돌출된 체결부(196")가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부(196")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홈(196')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홈(196')에 상기 체결돌기(196)의 단부가 통과하여 걸어지게 된다.
상기 유동부재(192)에는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98)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부(196")의 양측에는 체결부(196")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198)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재(19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와 집진유니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청소기(50)를 동작시키면, 상기 바디(70)에 내장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흡인력이 생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고, 이러한 흡입공기와 이물은 상기 바디(70)를 경유하여 상기 집진유니트(100)의 흡입가이드(112)를 통해 집진유니트(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은 공기와 함께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와 분리되어 상기 하부커버(170)의 상면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토출안내관(160)을 거쳐 상기 바디(70)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한 다음 진공청소기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100)의 하부커버(170)의 상면에 쌓이는 먼지의 제거를 위해서는 집진유니트(100)를 상기 바디(70)로부터 분리하여 하부커버(170)를 개방하여야 하며, 이때의 작동상태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상기 집진통(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상기 하부커버(170)를 개폐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70)가 체 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왼손으로는 상기 집진손잡이(130)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상기 유동부재(192)를 좌측방으로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복귀스프링(194)이 압축되면서 상기 유동부재(192)가 좌측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체결돌기(196)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196')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커버(17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힌지(18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하부커버(170)가 개방되면, 상기 하부커버(170) 상면에 쌓여있는 이물이 낙하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유동부재(192)에 가하였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복귀스프링(194)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192)가 우측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원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커버(170)를 닫기 위해서는 하부커버(170)의 우측단은 들어올려 상기 집진통(110) 하단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96)의 상단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체결돌기(196)에 밀려 상기 유동부재(192)가 집진통(110) 내측방으로 일정부분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체결돌기(196)가 상기 체결홈(196')을 통과하여 유동부재(192)의 체결부(196")에 걸어져 체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유동부재(192)를 상기 집진통(110)에 구비하고 상기 체결돌기(196)를 상기 하부커버(170)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이와는 반 대로 상기 체결돌기(196)를 상기 집진통(110)에 형성하고 상기 유동부재(192)를 상기 하부커버(170)에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에서는, 하부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집진통의 외주면 내측에 구비된다. 즉 개폐수단이 집진통의 외주면보다 외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집진유니트의 장착이나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간섭 또는 파손이 방지되며,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집진유니트 취부를 위한 집진손잡이와 하부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의 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는 집진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손으로는 개폐수단를 조작하여 하부커버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개폐수단은 사용자가 유동부재를 일측방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하부커버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유동부재를 집진통 내측으로 밀면, 하부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하부커버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집진통 하단에 밀착시키는 동작만으로 하부커버가 집진통에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통(110)과;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150)와;
    상기 집진통(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집진통(1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손잡이(130)와;
    상기 집진통(110)의 일측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집진통(110)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부커버(170)와;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부에 집진통(110)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부커버(17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9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개폐수단(190)과 집진손잡이(130)는 상기 집진통(110)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90)은,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집진통(110)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유동부재(192)와;
    상기 유동부재(192)가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94)과;
    상기 하부커버(17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재(192)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돌기(19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192)에는 상기 체결돌기(196)가 관통하는 체결홈(19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192)에는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98)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192)와 체결돌기(196)는 상기 유동부재(192)가 집진통(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경우에 서로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20040067212A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eased KR20060018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212A KR20060018714A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212A KR20060018714A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714A true KR20060018714A (ko) 2006-03-02

Family

ID=3712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212A Ceased KR20060018714A (ko) 2004-08-25 2004-08-25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7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026A (zh) * 2021-05-17 2021-07-27 宁波哲恺电器有限公司 一种手持式吸尘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1026A (zh) * 2021-05-17 2021-07-27 宁波哲恺电器有限公司 一种手持式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1010C2 (ru) Пылесборный узел пылесоса
KR100871484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7581286B2 (en)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unit thereof
KR10086900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방법 및 진공청소기의 먼지압축장치
CA2388148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upright-type vacuum cleaner
KR2006001871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US7665182B2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2006002077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6067B1 (ko) 진공 청소기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6066B1 (ko) 진공 청소기
KR20050066908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KR20220140315A (ko) 청소기
KR20220132273A (ko) 청소기
KR101257560B1 (ko) 자동 청소기
KR20060018012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3798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64117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64116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1801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66916A (ko) 싸이클론 집진통을 구비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8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